KR200485921Y1 -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21Y1
KR200485921Y1 KR2020170004493U KR20170004493U KR200485921Y1 KR 200485921 Y1 KR200485921 Y1 KR 200485921Y1 KR 2020170004493 U KR2020170004493 U KR 2020170004493U KR 20170004493 U KR20170004493 U KR 20170004493U KR 200485921 Y1 KR200485921 Y1 KR 200485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water
port
supply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영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G01F25/00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제공하는 레벨포트와, 레벨포트에 설치되어 유체의 설정된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레벨스위치로 이루어진 수위 계측기의 오류를 검사하는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벨포트의 하부에 형성된 포트플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포트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밸브유닛; 상기 밸브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포트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공급되며, 상기 레벨포트와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레벨포트와 동일한 수위를 나타내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형성되는 수위확인 파이프; 및 상기 밸브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TESTING APPARATUS FOR WATER LEVEL INDICATOR}
본 고안은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발전소 내에 설치된 유체저장탱크의 저장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설정수위의 부족이나 과다를 경고하는 수위 계측기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사함과 아울러, 궁극적으로는 수위 계측기를 교정할 수 있는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화력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는 발전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냉각수와 같은 유체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화력발전은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로 물을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발생시킨 후 고압의 증기로 증기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인 전기를 발전하게 되고, 증기터빈을 통과한 증기는 복수기(復水器)에서 복수되며, 이때 많은 량의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원자력 발전에서 냉각수(component cooling water, CCW) 계통은 발전소 내의 다양한 기기들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순수(purified water)의 폐회로(closed-loop)이다. 그의 중요하고도 주된 역할 중 하나는 원자로가 셧다운(shutdown)된 이후에, 원자로수로부터 붕괴열을 제거하는 것이고, 이는 일반적으로 "붕괴열 냉각기(decay heat cooler)"나 "잔열 제거 열교환기(residual heat removal heat exchanger)"로 다양하게 알려진 관형(tubular) 열교환기 내에서 이루어진다. 전기적/기계적 장치를 냉각시키는 데 이용되는 붕괴열 냉각기 및 그외 열교환기들 내의 기기 냉각수로 전달되는 열은, 원자로수와 관련될 수 있는 방사선 오염(radioactive contamination)으로부터, 기기 냉각수를 분리하고 격리시키는 관들의 벽부(wall)를 가로질러 일어난다.
즉, 냉각 계통은 본질적으로, 환경으로의 방사선 누출을 가로막는 장벽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냉각이 요구되는 발전소 내의 모든 장비로부터 폐기열을 제거하는 수단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전설비에서는 냉각수와 같은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탱크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며, 특히 유체저장탱크에는 냉각수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만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체저장탱크에는 유체의 수위를 제공하면서 설정된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위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위 계측기는 유체저장탱크의 수위가 설정범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올라갈 경우에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유체의 부족이나 과다를 경고한다.
따라서, 수위 계측기의 작동 상태는 매우 중요하며, 주기적인 검사 및 교정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수위 계측기의 검사 및 교정을 위하여 수위 계측기와 동일한 수위를 나타내는 수위확인 호스에 주전자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물을 주입한 후, 수위를 확인하면서 설정된 수위에서 수위 계측기가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지를 검사 및 교정을 수행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수위 계측기의 검사 및 교정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검사를 위한 물의 공급 및 배출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944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수위 계측기 및 수위확인 파이프로 각각 물을 자동으로 분기시켜 공급할 수 있으며, 물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밸브를 서로 분리된 상태로 각각 구비함으로써 검사 및 교정 과정이 편리한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위 계측기의 높이에 부합되는 높이로 수위확인 파이프의 높이를 조절시킴으로써 정확한 검사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는, 유체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제공하는 레벨포트와, 레벨포트에 설치되어 유체의 설정된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레벨스위치로 이루어진 수위 계측기의 오류를 검사하는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포트의 하부에 형성된 포트플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포트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밸브유닛; 상기 밸브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포트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공급되며, 상기 레벨포트와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레벨포트와 동일한 수위를 나타내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형성되는 수위확인 파이프; 및 상기 밸브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물 공급유닛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인렛헤더; 상기 인렛헤더에 연결되고, 상기 레벨포트의 포트플러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인렛헤더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레벨포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아웃렛헤더; 상기 인렛헤더와 상기 아웃렛헤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레벨포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충수밸브; 및 상기 충수밸브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아웃렛헤더에 연결되고, 상기 충수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벨포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속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물 공급유닛은, 상기 밸브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의 수위를 나타내는 물공급탱크; 상기 물공급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밸브유닛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유닛으로 상기 공급펌프의 물을 공급하고, 릴에 인출가능하게 수납 수납되어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밸브유닛의 연결길이를 조절하는 공급호스; 및 상기 물공급탱크, 상기 공급펌프 및 상기 공급호스가 고정되는 운반수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검사장치는, 상기 밸브유닛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의 높이를 상기 레벨포트에 대응하는 높이로 조절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밸브유닛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벨포트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유/공압 펌프;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포트의 하단부를 감지하면서 상기 유/공압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는, 밸브유닛을 구성하는 아웃렛헤더가 레벨포트와 수위확인 파이프로 각각 분기되어 연결되므로 물 공급유닛의 물이 자동으로 레벨포트 및 수위확인 파이프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위 계측기의 검사는 물론 교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렛헤더와 아웃렛헤더를 연결하는 충수밸브 및 배수밸브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수위 확인을 위한 물 공급 및 물 배출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 공급유닛이 물 공급탱크와 공급펌프 및 공급호스로 구성되어 밸브유닛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수위 검사를 위한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물 공급탱크와 공급펌프 및 공급호스가 운반수레에 설치되므로 검사 준비과정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유닛의 높이가 지지부재의 신축을 통해 조절 가능함에 따라 수위확인 파이프를 텔레포트에 부합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텔레스코픽 실린더가 유/공압펌프에 의해 신축하면서 감지센서에 의해 제어되므로 수위확인 파이프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계측기(5)에 연결되어 수위 계측기(5)의 오류를 검사함과 아울러,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수위 계측기(5)를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유닛(100)과 수위확인 파이프(200) 및 물 공급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계측기(5)는 예컨대 발전소에 사용되는 냉각수와 같은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T)의 수위를 계측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포트(1)와 레벨스위치(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벨포트(1)는 유체저장탱크(T)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통수밸브(1a)(1b)를 통해 연결되어 유체저장탱크(T)와 동일한 수위를 가지며, 레벨스위치(2)는 레벨포트(1)에 설치되어 설정된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레벨스위치(2)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작동하며, 레벨포트(1)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일정수위 이후로 내려갈 경우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수위 이상을 경고한다.
또한, 레벨포트(1)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포트플러그(1c)가 하단부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밸브유닛(100)의 연결부위를 이룬다.
이러한 수위 계측기(5)는 비단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저장탱크 뿐만 아니라 유체를 설정된 수위로 저장하는 유체탱크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100)은 레벨포트(1)의 포트플러그(1c)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후술되는 물 공급유닛(300)의 물을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공급하면서 물의 과급 상황에서의 레벨스위치(2)의 작동상태를 검사하며,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면서 물의 부족 상황에서의 작동상태를 검사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밸브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헤더(110), 아웃렛헤더(120), 충수밸브(130) 및 배수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렛헤더(110)는 후술되는 물 공급유닛(3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물 공급유닛(300)의 물이 공급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인렛헤더(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으로 구성되어 물 공급유닛(300)의 물을 공급받으며, 후술되는 충수밸브(130) 및 배수밸브(140)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분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렛헤더(110)에는 물 공급유닛(300)을 구성하는 공급호스(330)와 연결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키를 이루는 키커넥터(11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인렛헤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이 아닌 2방향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물공급유닛(300)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아웃렛헤더(120)는 후술되는 충수밸브(130)를 통해 인렛헤더(110)의 물을 공급받아서 레벨포트(1)와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아웃렛헤더(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으로 구성되어 충수밸브(130)를 통해 인렛헤더(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에 각각 연결되어 공급된 물을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분기시킬 수 있다.
또한, 아웃렛헤더(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배수밸브(140)를 통해 인렛헤더(110)와 연결되어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을 물공급유닛(300)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배수밸브(140)에 연결되면서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을 물공급유닛(300)과는 별도의 라인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아웃렛헤더(120)는 연결포트(1)의 포트플러그(1c)에 연결관(121)을 통해 연결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키를 이루는 키커넥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충수밸브(130)는 인렛헤더(110)와 아웃렛헤더(120)를 연결하면서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공급되는 물 공급유닛(300)의 물을 단속한다.
배수밸브(140)는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수밸브(130)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서 인렛헤더(110)와 아웃렛헤더(12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충수밸브(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을 물 공급유닛(300)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배수밸브(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렛헤더(120)와 연결되면서 인렛헤더(110)와 분기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수밸브(140)는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을 별도의 배수펌프(140a)를 통해 배수하면서 외부로 배출하거나 미도시된 배수저장탱크 또는 정화탱크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200)는 레벨포트(1)의 수위를 육안으로 현시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으로, 전술한 아웃렛헤더(120)에 연결된 상태로 레벨포트(1)와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레벨포트(1)와 함께 물이 공급되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대기와 소통됨으로써 레벨포트(1)와 동일한 수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위확인 파이프(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미도시된 측정눈금이 형성되어 수위를 확인하면서 레벨포트(1)의 수위를 검사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술한 충수밸브(130)를 개방하면 물 공급유닛(300)의 물이 인렛헤더(110) 및 아웃렛헤더(120)를 통해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는 물의 과급상태에서의 레벨스위치(2)의 작동상태를 검사할 경우, 증가하는 수위를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확인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경우 레벨스위치(2)가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레벨스위치(2)를 교정한다.
또한, 충수밸브(130)를 폐쇄하고 전술한 배수밸브(140)를 개방하면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이 배수밸브(140)를 통해 물 공급유닛(300)으로 바이패스되거나, 배수펌프(1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작업자는 물의 부족상태에서의 레벨스위치(2)의 작동상태를 검사할 경우, 감소하는 수위를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확인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경우 레벨스위치(2)가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레벨스위치(2)를 교정한다.
상기 물 공급유닛(300)은 밸브유닛(100)을 구성하는 인렛헤더(110)에 연결되면서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물 공급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탱크(310), 공급펌프(320), 공급호스(330) 및 운반수레(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공급탱크(310)는 밸브유닛(100)의 인렛헤더(11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의 수위를 나타내는 수위지시계(311)가 구비된다.
공급펌프(320)는 물공급탱크(310)에 연결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공급탱크(310)의 물을 펌핑하여 밸브유닛(100)을 통해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 공급한다.
공급호스(330)는 밸브유닛(100)의 인렛헤더(1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급펌프(320)와 인렛헤더(110)를 연결하는 것으로, 릴(331)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공급펌프(320)와 인렛헤더(110)의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운반수레(340)는 물공급탱크(310), 공급펌프(320) 및 공급호스(330)가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면서 물공급탱크(310), 공급펌프(320) 및 공급호스(33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운반수레(34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전술한 밸브유닛(100)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높이를 레벨포트(1)와 동일한 높이로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지지부재(400)는 밸브유닛(1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을 통해 수위확인 파이프(200)와 레벨포트(1)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실린더(410), 유/공압펌프(420) 및 감지센서(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실린더(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유닛(100)을 구성하는 인렛헤더(110) 및 아웃렛헤더(12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유/공압 펌프(420)에 의해 길이가 신축하면서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실린더(410)는 인렛헤더(110) 및 아웃렛헤더(120)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인렛헤더(110) 및 아웃렛헤더(120)와 분리구성되어 인렛헤더(110) 및 아웃렛헤더(120)가 안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유/공압 펌프(42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텔레스코픽 실린더(41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서 텔레스코픽 실린더(41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유/공압 펌프(42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운반수레(340)에 설치된 상태로 텔레스코픽 실린더(410)에 연겨로딜 수 있다.
감지센서(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레벨포트(1)의 하단부를 감지하면서 유/공압 펌프(4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감지센서(430)는 유/공압 펌프(420) 및 텔레스코픽 실린더(410)에 의해 수위확인 파이프(200)와 함께 이동하면서 레벨포트(1)의 하단부를 감지하며, 레벨포트(1)의 하단부를 감지할 경우 감지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유/공압 펌프(4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여기서, 감지센서(430)는 예컨대 적외선이나 초음파 등을 통해 레벨포트(1)의 하단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레벨포트(1)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미도시된 비컨이나 수광센서 등을 통해 레벨포트(1)의 하단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400)에 의해 밸브유닛(10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에는, 전술한 아웃렛헤더(120)와 연결포트(1)의 포트플러그(1c)에 연결관(121)이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되면서 길게 구성됨으로써 밸브유닛(10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레벨포트(1)의 설정된 저수위에서 레벨포트(2)의 작동을 검사하는 경우, 작업자는 유/공압 펌프(420)를 작동시켜 텔레스코픽 실린더(410)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높이를 레벨포트(2)에 대응하도록 조절한 후, 아웃렛헤더(120)의 연결관(121)을 레벨포트(1)의 포트플러그(1c)에 연결하고 인렛헤더(110)에 물 공급유닛(300)의 공급호스(3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레벨포트(1)의 통수밸브(1a)(1b)와 배수밸브(140)를 폐쇄하고, 충수밸브(130)를 개방한 후 공급펌프(32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물공급탱크(310)의 물은 공급호스(330), 인렛헤더(110), 충수밸브(130), 아웃렛헤더(120)로 공급되어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동시에 공급된다.
작업자는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증가하는 수위를 확인하면서 설정된 세트포인트에 수위가 도달하면 충수밸브(130)를 폐쇄하고 공급펌프(32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배수밸브(140)를 개방하여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물을 외부 또는 물 공급유닛(300)으로 배수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감소하는 수위를 확인하면서 설정된 리세트 포인트에 수위가 도달하였을 때 레벨스위치(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레벨스위치(2)를 교정한다.
여기서, 만약 레벨포트(1)의 설정된 수위 이상의 고수위에서 레벨스위치(2)가 작동하는 것을 검사할 경우에는 수위확인 파이프(200)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레벨스위치(2)가 정상 작동하는 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레벨스위치(2)를 교정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10)는 밸브유닛(10)을 구성하는 아웃렛헤더(120)가 레벨포트(1)와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각각 분기되어 연결되므로 물 공급유닛(300)의 물이 자동으로 레벨포트(1) 및 수위확인 파이프(200)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인렛헤더(110)와 아웃렛헤더(120)를 연결하는 충수밸브(130) 및 배수밸브(140)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수위 확인을 위한 물 공급 및 물 배출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100 : 밸브유닛
110 : 인렛헤더 120 : 아웃렛헤더
130 : 충수밸브 140 : 배수밸브
200 : 수위확인 파이프
300 : 물 공급유닛
310 : 물공급탱크 320 : 공급펌프
330 : 공급호스 340 : 운반수레
400 : 지지부재
410 : 텔레스코픽 실린더 420 : 유/공압 펌프
430 : 감지센서
1 : 레벨포트 2 : 레벨스위치
5 : 수위 계측기

Claims (4)

  1. 유체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유체의 수위를 제공하는 레벨포트와, 레벨포트에 설치되어 유체의 설정된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레벨스위치로 이루어진 수위 계측기의 오류를 검사하는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포트의 하부에 형성된 포트플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포트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밸브유닛;
    상기 밸브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포트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공급되며, 상기 레벨포트와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레벨포트와 동일한 수위를 나타내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형성되는 수위확인 파이프; 및
    상기 밸브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물 공급유닛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인렛헤더;
    상기 인렛헤더에 연결되고, 상기 레벨포트의 포트플러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인렛헤더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레벨포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아웃렛헤더;
    상기 아웃렛헤더와 상기 레벨포트의 포트플러그를 연결하면서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키커넥터;
    상기 인렛헤더와 상기 아웃렛헤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레벨포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충수밸브; 및
    상기 충수밸브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아웃렛헤더에 연결되고, 상기 충수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벨포트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속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유닛은,
    상기 밸브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의 수위를 나타내는 물공급탱크;
    상기 물공급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밸브유닛을 연결하여 상기 밸브유닛으로 상기 공급펌프의 물을 공급하고, 릴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밸브유닛의 연결길이를 조절하는 공급호스; 및
    상기 물공급탱크, 상기 공급펌프 및 상기 공급호스가 고정되는 운반수레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의 높이를 상기 레벨포트에 대응하는 높이로 조절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밸브유닛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벨포트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는 텔레스코픽 실린더;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유/공압 펌프; 및
    상기 수위확인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포트의 하단부를 감지하면서 상기 유/공압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4493U 2017-08-24 2017-08-24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KR200485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93U KR200485921Y1 (ko) 2017-08-24 2017-08-24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93U KR200485921Y1 (ko) 2017-08-24 2017-08-24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21Y1 true KR200485921Y1 (ko) 2018-03-13

Family

ID=6164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93U KR200485921Y1 (ko) 2017-08-24 2017-08-24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831B1 (ko) * 2022-10-06 2023-10-19 주식회사 이에스씨에스 수냉 시스템의 수위 센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029U (ja) * 1991-11-13 1993-06-11 西日本プラント工業株式会社 水位計校正装置
JPH0894418A (ja) * 1994-09-27 1996-04-12 Kandenko Co Ltd フロート式レベルスイッチ校正用水位調整装置
KR20000029443A (ko) 1996-08-01 2000-05-25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핵발전소에사용하는유체의레벨측정기구
KR20120033825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이송부의 위치제어 기능을 갖는 선박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1277U (ko) * 2012-08-23 2014-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레벨 측정장치 시운전용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029U (ja) * 1991-11-13 1993-06-11 西日本プラント工業株式会社 水位計校正装置
JPH0894418A (ja) * 1994-09-27 1996-04-12 Kandenko Co Ltd フロート式レベルスイッチ校正用水位調整装置
KR20000029443A (ko) 1996-08-01 2000-05-25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핵발전소에사용하는유체의레벨측정기구
KR20120033825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이송부의 위치제어 기능을 갖는 선박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1277U (ko) * 2012-08-23 2014-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레벨 측정장치 시운전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831B1 (ko) * 2022-10-06 2023-10-19 주식회사 이에스씨에스 수냉 시스템의 수위 센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7613B2 (en) Hydrostatic pressure testing system and method
US8499610B2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valve
KR100894430B1 (ko) 초음파, 음향 및 온도변화를 이용한 밸브의 유체누설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누설 측정방법
KR100716550B1 (ko) 기밀 내부공간을 갖춘 압력구조물의 누설검사장치
JP4357298B2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KR200485921Y1 (ko) 수위 계측기용 검사장치
SE436948B (sv) Anordning for provning in situ av ror i en anggenerator
US11629806B2 (en) Method of installing liner assembly for pipeline repair or reinforcement, and liner assembly and steam generator for same
JPH07260986A (ja) 管状部材の壁部分の漏止め具合の現場検査方法及び装置
CN108072100B (zh) 地暖管道泄漏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7146644B (zh) 一种反应堆压力容器液位探测器功能验证的试验装置
KR200408408Y1 (ko) 안전변 점검 장치
CN106052968A (zh) 核蒸汽发生器传热管氦质谱检漏设备漏点定位方法
JP6586894B2 (ja) 原子炉格納容器漏えい率検査用の圧縮空気ブロー構造
KR100535627B1 (ko) 원자로 내부 검사장치
JP5463727B2 (ja) 復水器冷却管漏洩検査装置
CN115031905A (zh) 反应堆焊缝检测装置
EP07276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 situ testing of the leak-tightness of a tubular member
CN110514433A (zh) 一种检测阀门全性能的自动控制试验台设备
CN107884145B (zh) 一种汽轮机凝汽器灌水查漏装置
CN216669224U (zh) 一种用于检查换热器管堵塞位置的装置
CN220207324U (zh) 一种pe管耐压检测装置
KR790001041B1 (ko) 고로 냉각반 파손 검출장치(高爐冷却盤破損檢出裝置)
CN105116104B (zh) 一种推进剂泄漏自动检测装置
CN113899542A (zh) 一种用于检查换热器管堵塞位置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