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746Y1 -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 Google Patents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746Y1
KR200485746Y1 KR2020170003430U KR20170003430U KR200485746Y1 KR 200485746 Y1 KR200485746 Y1 KR 200485746Y1 KR 2020170003430 U KR2020170003430 U KR 2020170003430U KR 20170003430 U KR20170003430 U KR 20170003430U KR 200485746 Y1 KR200485746 Y1 KR 200485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groove
support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희
Original Assignee
엄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희 filed Critical 엄재희
Priority to KR2020170003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원하는 각도로 거치하는 거치대 및, 위생품, 문구류, 의류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대 기능을 겸하는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상물을 임의 각도로 고정하는 거치 기능 또는 대상물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 기능을 겸하는 다용도 지지 기구로서, 지지 부재(200)가 연결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와이어(210)의 일단을 연결시켜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2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210)를 대상물을 지지하기 좋은 형태로 임의 변형하는 작용을 통해 대상물에 대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선택적 수행하게 하는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Description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Multipurpose support apparatus with mounting and hanger func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원하는 각도로 거치하는 거치대 및, 위생품, 문구류, 의류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대 기능을 겸하는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대는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이동수단에서 운행 중에 내비게이션의 활용을 위한 장치를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견고하게 자동차의 데시보드 측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거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고 임의 각도로 기울여 받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하고, 걸이대는 욕실, 책상, 옷장 등에서 칫솔, 가위, 벨트, 옷 등의 위생품, 문구류, 의류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종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066호를 살펴보면, 다용도 핸드폰 커버 거치대로서, 전면에는 핸드폰이 결합되고, 후면에는 자전거용 거치부 또는 탁상용 거치부가 결합되도록 원형의 홈 형태로 구성된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고정구에 탈착되며 자전거에 핸드폰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는 자전거용 원형결합구; 상기 자전거용 원형결합구 후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자전거결합구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자전거결합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거치부; 상기 커버부의 고정구에 탈착되며, 탁상에 핸드폰을 세워둘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는 탁상용 원형결합구; 상기 탁상용 원형결합구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힌지결합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액자와 같이 탁상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탁상용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583호를 살펴보면, 흡착식 칫솔걸이로서, 전방에는 돌출된 형상의 걸이부가 3개 이상 형성되고 걸이부 사이사이에는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을 형성하며, 후방에는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한 홈부에는 흡착판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한 끼움홈은 크고 작은 것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거치대는 거치 기능을 수행하고, 걸이대는 걸이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 구분된 별개의 기구들로 제작되기 때문에 거치 및 걸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어 거치대 및 걸이대를 각각 구매함으로 소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는 힌지 결합 구조를 갖음에 따라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의 가시 방향을 제한적으로 제공하면서 그 제공되는 가시 방향의 변경이 자유롭지 못하고, 기존 거치대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거치대를 주로 사용하는 자동차, 자전거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단단한 재질의 거치대에 사용자가 충격되어 2차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걸이대는 칫솔, 벨트, 옷 등을 걸기 위한 걸이 부분이 고리 형태로 고정형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칫솔, 벨트 옷 등의 대상물의 크기보다 걸이 부분의 크기가 작으면 걸이대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대상물에 맞는 걸이대를 별도 구매해야 하는 등의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하나의 기구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추가 구매 비용을 절약하도록 하고, 거치대 기능에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의 가시 방향의 변경을 자유롭게 하면서, 단단한 재질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충격에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연질을 사용하여 지지 기구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며, 걸이 부분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게 하여 걸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걸이 기능을 사용하여 실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상물을 임의 각도로 고정하는 거치 기능 또는 대상물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 기능을 겸하는 다용도 지지 기구로서,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시켜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를 대상물을 지지하기 좋은 형태로 임의 변형하는 작용을 통해 대상물에 대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선택적 수행하게 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면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지지 부재를 형성하여 지지 부재의 형태를 임의 변형하는 작용으로 거치대 또는 걸이대를 선택 사용하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거치 및 걸이 기능을 하나의 지지 기구에서 수행 가능하여 추가 구매 비용이 절약되고, 거치 기능에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의 가시 방향의 변경이 자유롭고, 유연하게 형태가 변형되는 재질을 사용함으로 의도치 않은 지지 기구의 충격에 사용자를 보호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고, 걸이 기능에서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걸이 부분의 크기를 임의 변형하여 사용가능하여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6은 보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지지 기구(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100)와;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본구성으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지지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지지 기구의 측면도, 도 3은 지지 기구의 평면도이다.
먼저, 상기 베이스(100)는;
지지 부재(200)가 연결되는 것이며, 거치 기능의 경우 유동체의 대상물에 부착되어 유동체의 대상물을 지지 부재(200)가 지지하게 하는 것이고, 걸이 기능의 경우 고정체의 대상물에 부착되어 고정체의 대상물을 이용해 지지 부재(200)를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0)는; 지지 부재(200)의 고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판 형태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임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이고, 사각, 다각 등 판 형태의 기본적인 외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몸체(110)는; 일 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되면서 외측에 와이어홈(142)이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홈(142)에 와이어(210)가 끼워져 고정되는 작용으로 지지 부재(200)를 베이스(100)에 결합되게 하는 연결돌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돌부(140)는, 몸체(110)의 일 측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데, 그 연결돌부(140)가 돌출된 외측에 지지 부재(200)의 와이어(210)가 끼워 고정되는 와이어홈(142)이 와이어(2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억지 끼움을 유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140)는 후술하는 커버(130)가 결합되면 커버(130)와 몸체(110)의 안쪽 사이에 간격에 의한 공간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돌부(140)는 커버(130)의 끼움돌기(131)가 끼움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기(131)에 형성된 제1턱(131a)이 걸려서 고정되는 제2턱(141a)이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141)을 갖으며, 상기 끼움홈(141)은 연결돌부(140)의 외측면 중앙에 끼움돌기(131)가 억지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턱(131a)은 끼움홈(141)의 바깥 측 안쪽에 돌출되어 걸림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제1턱(131a)과 제2턱(141a)이 최초 접촉되는 부분에는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완만한 면으로 형성되는 라운드면(131b,141b)을 각각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몸체(110)의 외측면에 마련되는데, 외부로 노출된 면이 대상물에 부착되는 작용으로 지지 기구(1)를 고정되게 하는 점착시트(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착시트(120)는, 양면에 접착 물질이 마련된 패드 형태로 제작되며, 일측면은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그 타측면은 몸체(110)의 외측면에 노출되면서 지지 기구(1)가 사용되는 대상물에 부착하여 지지 기구(1)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점착시트(120)가 부착되는 대상물은 지지 기구(1)를 거치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일 수 있고, 지지 기구(1)를 걸이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욕실의 벽체, 책상, 옷장의 벽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몸체(110)의 연결돌부(140)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몸체(110)의 안쪽에 연결돌부(140)의 돌출길이에 의한 간격으로 마련되는 수용공간(14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부재(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144)을 이용해 지지 부재(200)를 감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폐하는 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판 형태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110)의 외형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10)의 연결돌부(140)에 커버(130)의 일측면이 접촉되게 끼움결합됨으로 상기 커버(130)와 몸체(110) 사이에 연결돌부(140)의 돌출길이에 의한 간격으로 수용공간(144)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커버(130)는 연결돌부(140)의 끼움홈(141)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되되, 상기 끼움홈(141)에 형성된 제2턱(141a)에 걸려서 고정되게 단턱으로 제1턱(131a)이 형성된 끼움돌기(131)를 갖고, 상기 끼움돌기(131)는 커버(130)의 일측면에서 상기 끼움홈(141)에 대응하여 억지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131)의 끝 부분 외주에는 상기 제2턱(141a)에 걸리는 제1턱(131a)이 단턱 형태로 일체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베이스(100)에 커버(130)에 의한 수용공간(144)이 마련됨에 따라 지지 부재(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베이스(100)의 연결돌부(140)를 기반으로 지지 부재(200)를 연결돌부(140)의 외주에 순차적으로 감아 수용공간(144)에 위치시키며, 상기 수용공간(144)에 감기 지지 부재(200)는 커버(130)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지지 부재(200)가 사용하지 않는 중에 거추장스럽게 여기저기 걸리거나 닿지 않게 하고, 특히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많은 대상물에서 지지 기구(1)의 사용이 적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와이어(210)의 일단을 연결시켜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2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210)를 대상물을 지지하기 좋은 형태로 임의 변형하는 작용을 통해 대상물에 대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선택적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연결돌부(14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베이스(100)의 외측에서 임의 형태로 변형되며, 그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210)는, 강선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와이어(210)의 일단부는 베이스(100)의 연결돌부(140)의 외주에 형성된 와이어홈(142)에 억지 끼움 형태로 감기면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0)에 연결된 와이어(210)의 타단부는 베이스(100) 외측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노출되는데, 상기 지지 부재(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와이어(210)를 베이스(100)의 수용공간(144)에 감아서 커버(130) 안쪽으로 차폐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210)는 베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길이가 10cm ~ 15cm로 이루어지는데, 그 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2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규소 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00)는; 와이어(210)의 외측을 감싸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210)를 보호하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완충 기능을 하는 연질 특성을 갖는 보호피복(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피복(220)은, 와이어(210)의 외측 전체를 감싸서 와이어(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며,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연질의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피복(220)은, 지지 부재(200)가 임의 형태로 변형되면, 상기 지지 부재(200)의 끝 부분이 변형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넓은 면으로 형성되는 받침부(2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21)는, 보호피복(220)에 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와이어(210)의 끝 부분에 위치되며, 본 고안의 지지 기구(1)를 거치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받침부(221)가 거치되는 장소의 바닥에 접촉되면서 보호피복(220)의 재질 특성에 의한 마찰 면적을 확보하여 쉽게 지지 부재(200)가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따른 본 고안의 지지 기구(1)는 지지 부재(200)의 형태를 임의 변형하는 작용으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하나의 지지 기구(1)에서 수행 가능하여 추가 구매 비용이 절약되고, 유연하게 형태가 변형되는 재질을 사용함으로 거치 기능에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의 가시 방향의 변경이 자유롭고, 의도치 않은 지지 기구의 충격에 사용자를 보호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고, 걸이 기능에서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걸이 부분의 크기를 임의 변형하여 사용가능하여 실용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의 사용상태의 실시 예를 도 4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 기구(1)를 거치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에 내비게이션 또는 스마트폰을 점착시트(120)를 이용해 부착하는데 도면에서는 스마트폰을 부착한 것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베이스(100)에 스마트폰이 부착되면 상기 지지 부재(200)를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거치 각도를 갖도록 그에 맞는 형태로 만들어 유지되게 한 후, 지지 부재(200)를 이용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내비게이션을 거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 부재(200)를 자동차의 데시보드에 지지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하게 한다.
또는, 본 고안의 지지 기구(1)를 걸이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를 사용하는 장소 즉, 욕실의 벽체, 책상, 옷장의 벽체 등에 점착시트(120)를 이용해 부착하여 지지 기구(1)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 부재(200)를 칫솔과 같은 위생품, 필기도구와 같은 문구류, 수건과 같은 의류를 걸기 쉬운 형태로 및 크기의 걸이 부분을 갖도록 변형하여 걸이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또는, 본 고안의 지지 기구(1)에서 지지 부재(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4의 (c)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수용공간(144)에 지지 부재(200)를 연결돌부(140)의 외주에 감아서 커버(130)의 안쪽으로 차폐되게 하고, 상기 커버(130)의 안쪽에 지지 부재(200)가 차폐됨으로 스마트폰의 경우는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벽체에 베이스(10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200)가 거추장스럽게 여기저기 걸리거나 닿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지지 기구의 측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 기구(1) 중 상기 받침부(221)는, 접촉되는 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확보하는 마찰부재(22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찰부재(221a)는, 받침부(221)의 일측면, 즉 바닥에 직접 접촉되는 면에 일체로 요철(凹凸)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 및 홈으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돌부(140)는; 와이어(210)가 와이어홈(142)에 끼움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210)의 끝단부가 끼움홈(141) 측으로 삽입되도록 고정홈(143)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143)으로 삽입된 와이어(210)의 끝단부는 고저홈(143)을 통해 고정됨으로 상기 지지 부재(200)가 연결돌부(140)를 중심으로 헛돌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143)은, 와이어홈(142)의 측방으로 끼움홈(141)과 와이어홈(142)이 서로 통하도록 관통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홈(142)에 끼움 결합되는 와이어(210)의 끝단부를 상기 고정홈(143)을 관통하면서 끼움홈(141) 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 지지 부재(200)가 연결돌부(140)를 중심으로 헛돌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점착시트(120)가 마련되는 면의 내측으로 자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어 자성을 이용해 베이스(100)가 대상물에 부착되게 하는 자석부재(1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석부재(111)는, 몸체(110)의 점착시트(120)가 마련되는 면의 내측에 원판 형태로 고정삽입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시트(120)와 함께 사용하거나 또는 점착시트(120) 대신 자석부재(111)를 선택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지지 기구(1)의 적용 대상이 자성에 약한 것이면 상기 자석부재(111)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석부재(111)는 네오디움 등의 자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석부재(111)를 더 부가함으로 지지 기구(1)가 적용되는 대상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점착시트(120)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해 자력을 이용해 베이스(10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특히 냉장고와 같은 대상에 지지 기구(1)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시트(120)를 이용하지 않고 자석부재(111)의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여 점착시트(120)의 점착제 잔류물이 대상에 남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지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 기구(1) 중 상기 보호피복(220)은,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눈금으로 형성되어 지지 부재(200)의 형태 변형에 따라 대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자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눈금자(2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눈금자(222)는, 보호피복(220)의 외측 길이방향으로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량형 단위가 눈금으로 형성되고, 본 고안의 지지 기구(1)에 자 기능을 부가하여 지지 부재(200)를 형태 변형이 가능한 자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눈금자(222)는 지지 부재(200)의 형태 변형에 따라 직선 자 또는 굴곡 자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눈금자(222)를 이용한 측정대상물이 직선이 아닌 경우 지지 부재(200)의 형태 변형 특성에 따라 측정대상물에 맞게 형태를 변형시켜 눈금자(222)로 정확한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잦은 대상물에 지지 기구(1)를 적용하는 경우 눈금자(222)의 활용이 극대화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지지 기구 100; 베이스
110; 몸체 120; 점착시트
130; 커버 200; 지지 부재
210; 와이어 220; 보호피복

Claims (4)

  1. 대상물을 임의 각도로 고정하는 거치 기능 또는 대상물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 기능을 겸하는 다용도 지지 기구로서,
    지지 부재(200)가 연결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와이어(210)의 일단을 연결시켜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2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면 그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210)를 대상물을 지지하기 좋은 형태로 임의 변형하는 작용을 통해 대상물에 대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선택적 수행하게 하는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0)는, 몸체(110)의 외측면에 마련되는데, 외부로 노출된 면이 대상물에 부착되는 작용으로 지지 기구를 고정되게 하는 점착시트(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시트(120)는, 양면에 접착 물질이 마련된 패드 형태인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0)는, 지지 부재(200)의 고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110)는, 일 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되면서 외측에 와이어홈(142)이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홈(142)에 와이어(210)가 끼워져 고정되는 작용으로 지지 부재(200)를 베이스(100)에 결합되게 하며, 그 돌출형성된 내측에 제2턱(141a)이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141)을 갖는 연결돌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0)는, 몸체(110)의 연결돌부(140)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몸체(110)의 안쪽에 연결돌부(140)의 돌출길이에 의한 간격으로 마련되는 수용공간(14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부재(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144)을 이용해 지지 부재(200)를 감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폐하는 커버(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130)는, 상기 끼움홈(141)에 형성된 제2턱(141a)에 걸려서 고정되게 단턱으로 제1턱(131a)이 형성된 끼움돌기(131)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부(140)는, 와이어홈(142)의 측방으로 끼움홈(141)과 와이어홈(142)이 서로 통하도록 고정홈(143)이 관통형성되며, 와이어(210)가 와이어홈(142)에 끼움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210)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홈(14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는, 점착시트(120)가 마련되는 면의 내측으로 자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어 자성을 이용해 베이스(100)가 대상물에 부착되게 하는 자석부재(111)를 더 포함한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3430U 2017-07-03 2017-07-03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KR200485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30U KR200485746Y1 (ko) 2017-07-03 2017-07-03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30U KR200485746Y1 (ko) 2017-07-03 2017-07-03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746Y1 true KR200485746Y1 (ko) 2018-03-29

Family

ID=6180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430U KR200485746Y1 (ko) 2017-07-03 2017-07-03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4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11B1 (ko) * 2008-02-27 2009-05-26 (주) 아이예스티티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JP2014149078A (ja) * 2013-01-11 2014-08-21 Masao Tsubota 吸盤装置、ジョイント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11B1 (ko) * 2008-02-27 2009-05-26 (주) 아이예스티티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JP2014149078A (ja) * 2013-01-11 2014-08-21 Masao Tsubota 吸盤装置、ジョイント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40061406A1 (en) System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a monitor
US20150181008A1 (en) Flush Mounting Stand, Hanger/Carry Hand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5661798A (en) Back clip structure of a mobile phone
ITMI20110127U1 (it) Custodia per un dispositivo elettronico di tipo tablet, in particolare un tablet computer
KR20140134071A (ko) 점착식 물품거치대
US9605696B1 (en) Detachable magnetic retainers
KR20140007050A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US20200083921A1 (en) Mobile device multi-tool
US20090221333A1 (en) Cell Phone Device
US20120088559A1 (en) Mobile device housing with interchangeable backing
US5337906A (en) Wall secretary
US20170142846A1 (e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fastener member, and the kit and method for placing, holding and mounting such devices using at least one hook and one loop of fastener technology
KR200485746Y1 (ko) 거치 및 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지지 기구
US7815051B2 (en) Container system
KR101191719B1 (ko) 휴대 단말용 보호 장치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60143448A1 (en) Bedside Organizer
US7769163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CN208969438U (zh) 座挂两用钟表
JP2019041387A (ja) 携帯端末用カバー
JP3173682U (ja) 物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