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31Y1 -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 Google Patents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31Y1
KR200485331Y1 KR2020170001890U KR20170001890U KR200485331Y1 KR 200485331 Y1 KR200485331 Y1 KR 200485331Y1 KR 2020170001890 U KR2020170001890 U KR 2020170001890U KR 20170001890 U KR20170001890 U KR 20170001890U KR 200485331 Y1 KR200485331 Y1 KR 200485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connection
connection plate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호
Original Assignee
(주)로프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프캠프 filed Critical (주)로프캠프
Priority to KR2020170001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 프레임은, 제1 몸체에 구비되는 제1 연결판; 상기 제1 몸체와 상이한 제2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판;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제1 연결판,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제2 연결판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판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거나 옷 등이 걸릴만한 부분이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결합된 연결판들을 커버부로 둘러쌈으로써 이음새 부분에 옷 등이 걸리거나 이음새 부분이 시각적으로 도드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판 사이에 완충패드가 구비되어 체결 부위에 녹이 슬거나,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유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 CONNECTED FRAME FOR USE IN PLAYGROUND FOR CHILDREN }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frame)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제 프레임 등의 연결 구조에서 튀어나온 부분이나 옷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하여 어린이 놀이터 등에 유용한 연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시설물, 예컨대, 정자, 벤치 또는 체육시설물 등은 주로 하나 이상의 철제 프레임을 브라켓(bracket) 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295호는, 프레임의 일측에 요홈과 단턱을 형성하고, 프레임과 프레임 간에 브라켓을 장착한 후, 프레임의 단턱과 브라켓 간에 볼트를 장착하여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조립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295호를 비롯한 종래의 프레임 조립 구조는 브라켓 등의 체결부재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어 옷 등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돌출되지 않았더라도 단턱 등으로 인해 옷 등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어린이들은 성인에 비해 활동성이 뛰어나 시설물을 여러 방향에서 오르거나 내리며 사용하는데, 시설물의 프레임에 어린이의 옷의 일부(예컨대, 후드 티셔츠의 목 조임 줄 등)가 걸릴 경우 옷이 손상되는 것은 물론 어린이의 안전이 위협을 받을 수도 있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프레임의 이음새 부분의 돌출부나 단턱 등에 커버를 덧씌워 가리는 방법도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커버 설치로 인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음새 부분이 커버로 인해 도드라지게 되므로 시설물의 미감이 손상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295호
따라서 본 고안은 금속제 프레임 등의 연결 구조에서 튀어나온 부분이나 옷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하면서도 견고하고 미적으로 뛰어난 연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제1 몸체에 구비되는 제1 연결판; 상기 제1 몸체와 상이한 제2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판;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제1 연결판,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제2 연결판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연결판은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제3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볼트에 각각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판,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제2 연결판을 둘러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표면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하나 이상의 표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은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와 동일한 단면을 가진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커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커버판 각각은 하나 이상의 나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커버판을 결합하도록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제2 몸체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 프레임에 의하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판이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의 각 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나 옷 등이 걸릴만한 부분이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 프레임에 의하면, 서로 결합된 연결판들과 완충패드를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 및/또는 재질의 커버로 둘러쌈으로써, 프레임의 이음새 부분에 옷 등이 걸리거나 이음새 부분이 시각적으로 도드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프레임에 의하면, 서로 마주보는 연결판들 사이에 완충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연결판들의 체결 부위에 녹이 슬거나,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유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에서 커버(cover)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에서 커버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과,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 (20) 사이의 완충패드(30)와,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40, 51)를 포함한다.
제1 연결판(10)과 제2 연결판(20)은 연결 프레임을 이용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각 몸체에 구비된다. 즉, 제1 연결판(10)은 프레임의 제1 몸체(1)에 구비되며, 제2 연결판(20)은 제1 몸체(1)와 상이한 프레임의 제2 몸체(2)에 구비된다. 예컨대,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은 각각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의 외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사각형 또는 다른 임의 형상의 플랜지(flange) 형태일 수 있다.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는 결합을 통해 정자, 벤치 또는 체육시설물 등 시설물을 형성하고자 하는 전체 프레임의 어느 한 부분에 각각 해당된다. 도면에 도시된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의 형상이나, 이를 통해 형성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형태는 특정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 각각은 알루미늄(Al), 철(Fe) 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의 재질이 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결 프레임에서,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의 결합을 통해 제1 몸체(1)와 제2 몸체(2)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제1 연결판(10)은 제1 몸체(1)와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제2 연결판(20)은 제2 몸체(2)에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의 재질은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의 재질과 각각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1)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의 제1 연결판(10)을 제1 몸체(1)와 독립적으로 형성한 후 용접 등의 과정에 의해 제1 몸체(1)상에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제2 연결판(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1 연결판(10)과 제2 연결판(20)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사이에 완충패드(30)를 삽입하고, 결합부재(40, 51)에 의해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는 하나 이상의 볼트(40) 및 상기 볼트(40)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너트(51)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트(40) 및 너트(51)를 통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 연결판(10)은 볼트(40)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홀(10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판(20)은 볼트(40)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홀(200)을 포함한다. 완충패드(30) 역시 볼트(40)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 홀(300)을 포함한다. 하나의 볼트(40)가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를 모두 통과하기 위해서는, 제1 홀(100), 제2 홀(200) 및 제3 홀(300)의 위치는 서로 정렬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로 4개의 볼트(40)가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에도 각각 4개씩의 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의 개수는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재는 너트(51)가 볼트(40)로부터 의도치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40)와 너트(51)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와셔(52, 53)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프링 와셔(52) 및/또는 고무 와셔(53)가 너트(51)와 함께 더 사용될 수 있다.
완충패드(3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는 것은, 완충패드(30)가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사이의 뒤틀림이나 유격을 메울 수 있을 정도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완충패드(30)는 전단탄성계수가 0.4 내지 0.9 MPa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완충패드(30)는 고무 또는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진다.
탄성 복원력을 가진 완충패드(30)를 제1 연결판(10)과 제2 연결판(2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시설물의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이 뒤틀리는 경우에도 완충패드(30)가 이에 대한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사이의 틈새가 없이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체결 후 유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완충패드(30)가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각각의 한쪽 표면을 덮게 되므로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완충패드(30)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의 두께의 1/2 내지 3/2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두께를 가진 완충패드(30)를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사이에 삽입하고, 결합부재(40, 51)에 의하여 완충패드(30)를 본래 두께의 50% 내지 90% 두께를 갖도록 압착하도록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결합 상태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은 조립 후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사이의 유격이나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외부의 단턱으로 인한 이음새가 없이 매끄러운 형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의 각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이음새 부분에 어린이들의 옷의 일부(예컨대, 후드 티셔츠의 목 조임 줄 등)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령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있더라도, 탄성 복원력을 가진 완충패드(3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유격 부위에 옷 등이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 프레임 외부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하여 어린이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의 모서리 부분은 연마에 의해 라운딩(rounding) 처리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프레임에서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에서 커버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서로 결합된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의 외부를 덮는 커버부(60)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만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60)는 서로 결합된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의 외부를 덮도록 제1 몸체(1)와 제2 몸체(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60)는 연결 부위와 인접한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의 가장자리 부분도 일정 영역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음새 없는 매끄러운 형상이 되도록, 커버부(60)의 표면은 제1 몸체(1) 및/또는 제2 몸체(2)의 표면과 하나의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60)의 재질 역시 제1 몸체(1) 및/또는 제2 몸체(2)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 및 제2 몸체(2)는 각각 금속제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이며, 각 원기둥은 제1 연결판(10) 및 제2 연결판(2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 부위의 서로 결합된 제1 연결판(10), 제2 연결판(20) 및 완충패드(30)의 외부를 금속제 원통 형태의 커버부(60)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체(1), 제2 몸체(2) 및 커버부(60)는 애초에 동일한 하나의 파이프를 절단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결합 상태와 같이 외부에서 볼 때는 이음새 부분이 없는 하나의 매끄러운 원기둥 형태로 연결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60)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커버판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커버부(60)는 2 개의 커버판(61, 62)으로 이루어지나, 커버부를 구성하는 커버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버판(61, 62)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공(600)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나의 커버에 구비된 각 나사공과 다른 커버에 구비된 각 나사공 사이에 나사(630)를 체결함으로써 커버판(61, 62)이 서로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커버판(61)에 구비된 나사공(600)과, 다른 커버판(62)으로부터 연장되거나 이에 부착된 체결부(620)에 구비된 나사공(625)을 하나의 나사(630)가 통과하도록 나사(630)를 체결함으로써 커버판(61, 62)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커버부(60)를 구성하는 각 커버판(61, 62)을 결합하는 방식은 나사를 이용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결합된 연결판들(10, 20)과 완충패드(30)의 외부를 커버부(60)로 둘러쌈으로써, 연결 프레임의 이음새 부분에 옷 등이 걸리거나 이음새 부분이 시각적으로 도드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제1 몸체 2 : 제2 몸체
10 : 제1 연결판 20 : 제2 연결판
30 : 완충패드 40 : 볼트
51 : 너트 52 : 스프링 와셔
53 : 고무 와셔 60 : 커버부
61, 62 : 커버판 100 : 제1 홀
200 : 제2 홀 300 : 제3 홀
600, 615, 625 : 나사공 610, 620 : 체결부
630 : 나사

Claims (10)

  1.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에 구비되는 제1 연결판;
    상기 제1 몸체와 상이한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의 제2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판;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 사이에 위치하고, 전단탄성계수가 0.4 내지 0.9 Mpa인 탄성 복원력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
    상기 제1 연결판,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제2 연결판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연결판에 연결된 상기 제1 몸체의 일부, 상기 제1 연결판, 상기 완충패드, 상기 제2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에 연결된 상기 제2 몸체의 일부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상기 커버부의 단면을 이등분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커버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의 표면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표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완충패드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완충패드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판 또는 상기 제2 연결판의 두께의 1/2 내지 3/2이고,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완충패드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두께의 50% 내지 90%의 두께를 갖도록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판은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제3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볼트에 각각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버판 각각은 하나 이상의 나사공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판을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제2 몸체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프레임.
  10. 삭제
KR2020170001890U 2017-04-14 2017-04-14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KR200485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90U KR200485331Y1 (ko) 2017-04-14 2017-04-14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90U KR200485331Y1 (ko) 2017-04-14 2017-04-14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31Y1 true KR200485331Y1 (ko) 2017-12-26

Family

ID=6125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90U KR200485331Y1 (ko) 2017-04-14 2017-04-14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3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7002U (ja) * 1981-10-28 1983-05-07 株式会社巴組鐵工所 鋼管継手
JP2005126940A (ja) * 2003-10-22 2005-05-19 恒文 ▲高▼松 連結具
KR20060032295A (ko) 2004-10-12 2006-04-17 홍순래 어린이 놀이터용 프레임 조립방법
JP2006307874A (ja) * 2005-04-26 2006-11-09 Nippon Light Metal Co Ltd 吊りロッドおよびその締付方法
JP2008240248A (ja) * 2007-03-25 2008-10-09 Utsunomiya Univ スプリットティ継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7002U (ja) * 1981-10-28 1983-05-07 株式会社巴組鐵工所 鋼管継手
JP2005126940A (ja) * 2003-10-22 2005-05-19 恒文 ▲高▼松 連結具
KR20060032295A (ko) 2004-10-12 2006-04-17 홍순래 어린이 놀이터용 프레임 조립방법
JP2006307874A (ja) * 2005-04-26 2006-11-09 Nippon Light Metal Co Ltd 吊りロッドおよびその締付方法
JP2008240248A (ja) * 2007-03-25 2008-10-09 Utsunomiya Univ スプリットティ継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200B1 (ko)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KR20060030593A (ko)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20050146107A1 (en) Suspension seat and axle coupling
CN110036212B (zh) 螺钉保持装置和螺钉保持组件
KR101655743B1 (ko) 마찰댐퍼를 포함하는 복합제진장치
KR200485331Y1 (ko) 어린이 놀이터용 연결 프레임
CN213512560U (zh) 德式挂头卡箍
JP5695787B1 (ja) 構造物用強制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KR101649684B1 (ko) 낙석 방지용 탄성 결합구
JP5714293B2 (ja) 座屈拘束ブレース
JP5364724B2 (ja) 板状部材間における垂直方向ジョイント部の密閉装置
JP4485287B2 (ja) 制振補強装置
US8061525B2 (en) Protective element
JP5226366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緩衝継手
KR20140108743A (ko) 완충형 오탁방지막 프레임
JPH0229190Y2 (ko)
KR200482817Y1 (ko) 완충 그레이팅
KR20100004685U (ko) 풀림 방지용 볼트
CN206478304U (zh) 通气软管管夹
KR200339749Y1 (ko) 관 클램프용 패드
KR200363096Y1 (ko) 폴리우레탄 와샤
JP6643129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KR200486760Y1 (ko)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KR100568713B1 (ko) 리어 범퍼 구조
KR200203030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