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24Y1 -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24Y1
KR200485324Y1 KR2020160003764U KR20160003764U KR200485324Y1 KR 200485324 Y1 KR200485324 Y1 KR 200485324Y1 KR 2020160003764 U KR2020160003764 U KR 2020160003764U KR 20160003764 U KR20160003764 U KR 20160003764U KR 200485324 Y1 KR200485324 Y1 KR 200485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martphone
cradle
unit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연
Original Assignee
강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연 filed Critical 강동연
Priority to KR2020160003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04M2001/02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객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무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또는 관리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광고 노출 및 클릭을 통해 무료로 스마트폰 충전을 제공하는 크래들 및 그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CRADLE AND SMART PHONE EQUIPPED WITH AAP FOR FREE CHARGING AND ADVERTISING}
본 고안은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문자메시지 송수신,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스마트폰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장시간 외출 시 스마트폰용 보조배터리를 항시 휴대해야 한다. 스마트폰용 보조배터리를 휴대하지 못한 상태에 스마트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부족 시 편의점에서 돈을 지급하고 수 분 동안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돈과 시간을 모두 낭비하는 불편을 겪게 되는 것이다.
일부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휴대용 배터리충전기를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휴대용 배터리충전기는 보조배터리에 불과하다.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를 미리 충전시켜서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은 여전히 존재한다.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무료로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1552호(고안의 명칭: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이 카페와 같은 매장을 방문하여 카운터에서 보조 배터리 장치를 발급받아 착석할 테이블(3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무선 충전 패드(200)의 보조 배터리 장치 결합부에, 보조 배터리 장치 하면에 형성된 무선 충전 패드 결합부를 결합시킨 후, 커버부(240) 위에 스마트폰(600)을 올려놓아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1은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장치를 테이블(300)에 고정 설치된 무선 충전 패드(200)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자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무선 충전 패드에 결합해야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또는 관리자)는 많은 보조 배터리 장치를 항상 충전시켜야 하므로, 전기소모와 그로 인한 비용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객에게 스마트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에서는 충전 서비스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부담을 제품 단가에 추가로 포함시킬 수 밖에 없다. 또한 여러 사용자들이 보조 배터리 장치를 빈번하게 사용함으로 분실 위험 등이 있어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5093호(고안의 명칭: 배터리 충전 크래들, 이하, '선행문헌 2'라 함.)에는 배터리 충전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타블렛PC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채택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에 포함된 배터리를 한 번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크래들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는 종래의 충전 크래들이 단순히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기능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선행문헌 2의 충전 크래들은 충전기의 접속 단자와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 유입되는 충전 전류를 스위칭부를 통해 배터리 또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급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2에 따른 충전 크래들 역시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외부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타블렛PC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채택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커피숍이나 식당과 같은 매장을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또는 관리자)는 전기소모와 그로 인한 비용부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1552호 (등록일 2015.11.1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5093호 (등록일 2014.10.3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고객에 의한 분실 위험이 적어 관리가 편리한 크래들 및 그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 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고객에게 무료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에게 무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또는 관리자)의 전기소모로 인한 비용부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크래들 및 그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내부에 전기 회로모듈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부와,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와 하우징을 건물에 설치된 피고정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회로모듈은,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입력받아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단말 충전부와, 단말충전부와 배터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배터리부에서 상기 단말충전부로 흐르는 직류전력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상기 단말충전부로 출력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와, 스마트폰로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 측정신호를 상기 충전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내부에 전기회로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부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와 하우징을 건물에 설치된 피고정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하우징 외측면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이 부착되고,
상기 전기회로모듈은,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입력받아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단말 충전부와, 단말충전부와 배터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배터리부에서 상기 단말충전부로 흐르는 직류전력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단말충전부로 출력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충전요청정보는 충전시간을 포함하며, 크래들의 충전제어부는 충전시간 동안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단말충전부로 출력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과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를 통해 크래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마트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방전시키면서 직류전원을 내부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크래들의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주변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블루투스 기기 중에 판독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크래들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며,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여 무료충전용 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제1 광고 이미지와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고,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은 충전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한다. 제1 광고 이미지는 노출 시 광고비가 지불되는 CPM 광고, 클릭 시 광고비가 지불되는 CPC 광고 또는 CPQ 광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건물에 설치된 피고정물에 장착됨으로써, 크래들 분실 위험이 적고,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에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영업시간 내에 배터리 방전으로 인해 배터리를 크래들에서 빼내어 충전해야 하는 일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치 않고 충전된 배터리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크래들이 장착된 피고정물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과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을 소유한 사용자는 광고 시청 시 무료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고, 운영자 입장에서는 광고를 통한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의 주요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무료충전을 위한 광고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종래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케이스(20)와 잠금장치(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테이블에 전선 연결이 없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10)과 케이스(20)에 의해 배터리가 보호되고, 하우징(10)과 케이스(20)를 잠금장치(30)를 통해 체결함으로서, 배터리와 크래들의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에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한다면, 영업시간 내에 배터리 방전으로 배터리를 크래들에서 빼내어 충전해야 하는 일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즉, 영업 시간 전 또는 영업 시간 후에 배터리를 크래들에서 수거하여 충전한 후, 다시 크래들에 장착하기만 하면 하루종일 크래들을 관리해야 하는 수고를 전혀 없도록 하거나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은 매장에 방문한 모든 고객에게 보조 배터리 장치를 대여하고 고객이 매장을 떠난 후에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실용적인 장점이 있다.
하우징(10)과 케이스(20)는 전기회로모듈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1)을 보호한다. 또한, 하우징(10)과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배터리부(12)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장치(30)는 케이스(20)와 하우징(10)을 건물에 설치된 피고정물(예컨대, 매장 테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잠금장치(3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핀(31)과 결합핀(31)이 삽입되는 홈을 갖는 고정부재(32)와 결합핀(31)과 체결되는 결합너트(33)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잠금장치(30)는 도 1b에 도시한 구성 외에도 자물쇠를 이용한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광고 시청 시 무료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영서버(120)와 앱 서버(140)와 스마트폰(160)과 크래들(200)을 포함한다.
운영서버(120)는 광고주 식별정보, 광고 정보, 및 스마트폰(160)에서 표시되는 광고 정보의 노출 횟수 또는 클릭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 카운트 정보를 스마트폰(160)으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한다. 운영자는 운영서버(120)와 통신 가능한 통신장치 예컨대 노트북, 태블릿 PC를 이용해서 운영서버(12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변경, 추가, 파일 복사, 파일 송수신 등을 할 수 있다.
운영서버(120)는 크래들(20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운영서버(120)는 크래들(200)을 통해 충전을 하고자 하는 스마트폰(160)으로부터 크래들(20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스마트폰(160)으로 전송한다.
앱 서버(140)는 예를 들어 음악, 영화, 도서 등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마트폰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앱을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앱"이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앱 서버(140)는 크래들(200)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하며 스마트폰(160)에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제공한다.
스마트폰(160)은 크래들(200)과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한다. 무료충전용광고 앱은 일례로, 스마트폰(160) 제조 시에 펌웨어로 저장될 수 있다. 크래들(200)과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한 스마트폰(160)은 크래들(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한다. 스마트폰(160)에서 크래들(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크래들(200)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인쇄물(210)과 전기회로모듈과 블루투스 모듈(270)을 포함한다. 크래들(200)은 건물에 설치된 피고정물, 예컨대 테이블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크래들(200)은 하우징과 하우징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하우징 내부에는 전기회로모듈과 블루투스 모듈(270)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다. 하우징 외측면에는 블루투스 모듈(270)의 식별정보가 인쇄된 인쇄물(210)이 부착된다. 인쇄물(210)은 QR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는 핀-코드(pin-code)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는 운영서버(120)에 저장된다.
전기회로모듈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부(220)와 단말충전부(230)와 스위칭부(240)와 배터리부(250)와 전류측정부(260)와 충전제어부(28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LED부(220)는 충전이 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것으로 적색, 녹색, 황색 LDE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LED부(220)는 충전제어부(28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현된다.
단말충전부(230)는 배터리부(250)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입력받아 스마트폰을 충전한다. 단말충전부(230)는 일례로, 스마트폰의 유에스비(USB) 단자에 삽입되는 전기커넥터가 장착된 충전용 전원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용 전원케이블은 유에스비(USB) 전원단자, 음(negative)의 데이터 단자, 양(positive)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갖는다.
단말충전부(230)는, 다른 예로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에 공명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된 전원출력부(211)는, 구리 등으로 구성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 공명방식으로 구현된 단말충전부(230)의 코일은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구현된다.
단말충전부(230)는, 다른 예로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를 주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세계무선충전협회(WPC)의 표준인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된 단말충전부(230)는 코일에 전류를 흘러 자기장을 발생하면 스마트폰에 내장된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면서 전류가 흘러 충전된다.
스위칭부(240)는 단말충전부(230)와 배터리부(250) 사이에 연결되어 배터리부(250)에서 단말충전부(230)로 흐르는 직류전력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킨다. 스위칭부(240)는 충전제어부(280)에서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현된다.
배터리부(250)는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저장된 전력을 방전시키면서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부(250)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 측정부(260)는 스마트폰(160)로 입력되는 전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전류 측정신호를 충전제어부(280)로 출력한다. 충전제어부(280)는 전류 측정값을 조사하여 스마트폰(160)가 충전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제어부(280)는 블루투스 모듈(270)을 통해 스마트폰(160)으로부터 무료 충전용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배터리부(250)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단말충전부(230)로 출력하도록 스위칭부(240)를 제어한다. 일례로, 충전 요청정보는 충전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제어부(280)는 충전시간 동안 배터리부(250)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단말충전부(230)로 출력하도록 스위칭부(240)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블루투스 모듈(270)은 스마트폰(16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모듈(270)은 스마트폰(16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들(200)은 일례로 스마트폰(160)으로부터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전송되면 스마트폰(160)을 충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160)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무선통신부(161), A/V(Audio/Video) 입력부(162), 사용자 입력부(163), 출력부(164), 메모리(165), 충전연결부(166), 전원공급부(167), 및 제어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61)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2)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모듈과 마이크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63)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63)는 스마트폰(16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ZigBe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스마트폰(16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한다.
출력부(16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 음향 출력모듈, 알람부, 및 햅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160)이 충전 모드인 경우에는 무선충전용광고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는 스마트폰(160)의 이벤트 예를 들어 무료충전 시작, 무료충전 종료,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햅틱 모듈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메모리(165)는 제어부(168)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한다. 메모리(165)는 크래들(200)과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한다. 메모리(165)는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충전연결부(166)는 유에스비(USB) 전원단자, 음(negative)의 데이터 단자, 양(positive)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유에스비(USB)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연결부(166)는 무선 충전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충전패드는 크래들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공명주파수에 커플링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된 무선 충전패드는, 구리 등으로 구성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패드는 크래들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로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7)는 제어부(16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7)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8)는 메모리(16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8)는 크래들의 하우징에 부착된 인쇄물을 카메라모듈로 촬영하고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168)는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한다.
블루투스 모듈에서 근거리 신호를 송신하면 근거리(10~20m) 내에 있던 블루투스 기기들이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68)는 응답신호에 포함된 해당 블루투스 기기들의 블루투스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크래들의 인쇄물에서 판독한 블루투스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한 후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하, 스마트폰(160)에서 크래들(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을 도 3b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68)는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메모리(165)에 저장된 무료 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여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광고 이미지와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68)는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 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한다.
무료충전 시작이벤트는, 예를 들어 크래들의 충전용 전원케이블이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에 연결됨을 알려주는 신호,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무료충전용광고 앱 실행요청정보이다.
제어부(168)는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를 통해 크래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마트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방전시키면서 직류전원을 내부 부하에 공급한다.
도 4에서 참조부호 411은 광고노출에 대한 정액제 과금방식을 적용한 CPM(Cost Per Mile)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412는 충전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4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충전을 하기 위해 충전시작 아이콘(412)을 누르면, 제어부(168)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부호 511은 광고클릭을 통해 광고수수료를 지급하는 CPC(Cost Per Click)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512는 충전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5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충전을 하기 위해 충전시작 아이콘(512)을 누르면, 제어부(168)는 충전시간(예를 들어, 5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 참조부호 611은 광고클릭을 통해 광고수수료를 지급하는 CPC(Cost Per Click)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612는 충전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6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충전을 하기 위해 충전시작 아이콘(612)을 누르면, 제어부(168)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서 참조부호 711은 광고가 실제로 노출된 Query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되는 CPQ(Click Per Query)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712는 질문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7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답 1(711a) 또는 답 2(711b)를 누르면, 제어부(168)는 정답(예컨대, 답 1)의 좌표값이 입력되면, 광고 카운트 정보를 생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크래들을 이용하여 무료충전 시 1회 충전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광고들이 적어도 3번 노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광고는 무료충전 시작이벤트 발생 시, 두 번째 광고는 사용자가 광고를 보고 충전시작 이이콘을 누른 경우, 세 번째 광고는 무료충전 종료이벤트 발생 시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적어도 3번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사용자가 첫 번째 광고를 보고 충전시작 아이콘을 누르면, 두 번째 광고를 노출하고 사용자가 두 번째 광고를 보고 충전시작 이이콘을 누르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통신사와 제휴를 통해 충전 시 데이터 100MB를 제공하는 데이터쿠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금융사와 제휴를 통해 충전 시 0.01%의 금리우대를 제공하는 금리우대 쿠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게임사와 제휴를 통해 충전 시 게임머니 1000원을 제공하는 게임머니 쿠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고는 광고노출에 대한 정액제 과금방식을 적용한 CPM(Cost Per Mile) 광고, 광고클릭을 통해 광고수수료를 지급하는 CPC(Cost Per Click) 광고 또는 광고가 실제로 노출된 Query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되는 CPQ(Click Per Query) 광고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인쇄회로기판 12: 배터리부
20: 케이스
30: 잠금장치
31: 결합핀 32: 고정부재
33: 결합너트

Claims (14)

  1. 삭제
  2.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무료충전용광고 앱과 연동하여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를 통해 상기 크래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마트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방전시키면서 직류전원을 내부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크래들의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주변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블루투스 기기 중에 판독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크래들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며,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여 무료충전용 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제1 광고 이미지와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제2 광고 이미지와 제2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광고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고, 무료충전 종료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제3 광고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크래들은,
    내부에 전기회로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부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하우징을 건물에 설치된 피고정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이 부착되고,
    상기 전기회로모듈은,
    상기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입력받아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단말충전부와;
    상기 단말충전부와 배터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에서 상기 단말충전부로 흐르는 직류전력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상기 단말충전부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충전요청정보는 충전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충전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부에서 방전되는 직류전력을 상기 단말충전부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충전부는,
    충전용 전원케이블인,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충전부는,
    단말충전부의 코일에 공명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되는,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충전부는,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를 주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되는,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은 충전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는,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20160003764U 2016-06-29 2016-06-29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KR200485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64U KR200485324Y1 (ko) 2016-06-29 2016-06-29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64U KR200485324Y1 (ko) 2016-06-29 2016-06-29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24Y1 true KR200485324Y1 (ko) 2017-12-26

Family

ID=6125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64U KR200485324Y1 (ko) 2016-06-29 2016-06-29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92B1 (ko) * 2019-01-15 2019-09-17 김재용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093A (ko) 2002-01-18 2004-08-26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단응력 감소를 위한 다이부착 필렛 높이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05142B1 (ko) * 2013-02-27 2013-09-12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KR20140062837A (ko) * 2012-11-15 2014-05-2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KR101571552B1 (ko) 2014-02-28 2015-11-23 주식회사 투에이치솔루션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572966B1 (ko) * 2014-10-30 2015-12-01 강동연 공중전화부스에서 공중전화를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 및 광고 시스템
KR20160040973A (ko) * 2014-10-06 2016-04-15 강동연 무선통신장치를 내장한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및 충전 개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093A (ko) 2002-01-18 2004-08-26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단응력 감소를 위한 다이부착 필렛 높이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40062837A (ko) * 2012-11-15 2014-05-2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KR101305142B1 (ko) * 2013-02-27 2013-09-12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KR101571552B1 (ko) 2014-02-28 2015-11-23 주식회사 투에이치솔루션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40973A (ko) * 2014-10-06 2016-04-15 강동연 무선통신장치를 내장한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및 충전 개시 방법
KR101572966B1 (ko) * 2014-10-30 2015-12-01 강동연 공중전화부스에서 공중전화를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 및 광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92B1 (ko) * 2019-01-15 2019-09-17 김재용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3883B (zh) 移动终端
CN102187544B (zh) 附件电源管理
EP266502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98975A1 (en) Charging reservation support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charging reserv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CN102760332A (zh) 用于提供无线充电服务的装置和系统
TW201211903A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JP2010152633A (ja) 携帯機器を用いた顧客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485324Y1 (ko)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KR101807174B1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시스템
CN205845097U (zh) 一种基于自动售货机的支付控制设备
JP5970247B2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自動販売機、位置情報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06779B1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JP2009200537A (ja) ペイテレビ課金システム
US10312720B2 (en) Wireless charging service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1309482A (zh) 配备有模式设置按键的移动终端及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KR20160044824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WO2014098381A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에 대한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WO2015116814A1 (en) Intelligent device charging station
KR20140089059A (ko) 모바일 기기의 무선 배터리 충전서비스 제공방법
KR100901349B1 (ko) Rf 컨트롤 칩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rf 위치정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서비스 제공방법
CN105788072B (zh) 一种移动终端的刷卡方法及装置
KR20160016180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KR102137903B1 (ko) 스마트 충전기를 이용한 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JP2011097277A (ja) 携帯通信機器
JP2008158937A (ja) 電源タップおよび携帯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