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79B1 -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79B1
KR101806779B1 KR1020170018385A KR20170018385A KR101806779B1 KR 101806779 B1 KR101806779 B1 KR 101806779B1 KR 1020170018385 A KR1020170018385 A KR 1020170018385A KR 20170018385 A KR20170018385 A KR 20170018385A KR 101806779 B1 KR101806779 B1 KR 10180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free
smartphone
advertis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637A (ko
Inventor
강동연
Original Assignee
강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연 filed Critical 강동연
Priority to KR102017001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02J7/0054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2J2007/00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노출 및 클릭을 통해 무료로 스마트폰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충전단말기 및 그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으로서, 충전단말기의 하우징에 부착된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충전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고 운영서버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광고 정보에 포함된 제1 광고 이미지와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기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BATTERY CHARGING METHOD FOR HAND HELD PHONE}
본 발명은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문자메시지 송수신,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스마트폰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장시간 외출 시 스마트폰용 보조배터리를 항시 휴대해야 한다. 스마트폰용 보조배터리를 휴대하지 못한 상태에 스마트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부족 시 편의점에서 돈을 지급하고 수 분 동안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돈과 시간을 모두 낭비하는 불편을 겪게 되는 것이다.
일부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휴대용 배터리충전기를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휴대용 배터리충전기는 보조배터리에 불과하다.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를 미리 충전시켜서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은 여전히 존재한다.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무료로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2966호에서 무료로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한가지 해결책을 제시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2966호에는 공중전화에 충전단말기를 설치하여 충전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광고 시청 시 무료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출원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2966호와 다른 무료로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해결책에 따른 충전단말기는 병원, 백화점, 식당, 경기장, 광관명소, 은행, 게임방, 회사 건물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2966호 (등록일 2015.11.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광고 노출 및 클릭을 통해 무료로 스마트폰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 방법은, 내부에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회로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전기회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에 구비된 전기콘센트 또는 차량의 시가잭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을 포함하는 충전단말기와 운영서버와 연동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은, 충전단말기의 하우징에 부착된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충전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고,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료충전용 광고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정보에 포함된 제1 광고 이미지와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기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은, 무료충전 종료이벤트가 발생하면 광고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무료이용 쿠폰을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무료이용 쿠폰은 충전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한 충전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충전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으로부터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입력되면 외부 전원을 전원출력부를 통해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로 출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광고 시청시 무료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증진은 물론이고 운영자 입장에서는 광고를 통한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소지자는 충전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무료이용 쿠폰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광고 시청 후 무료로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단말기(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주요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무료충전을 위한 광고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광고는 광고노출에 대한 정액제 과금방식을 적용한 CPM(Cost Per Mile) 광고, 광고클릭을 통해 광고수수료를 지급하는 CPC(Cost Per Click) 광고 또는 광고가 실제로 노출된 Query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되는 CPQ(Click Per Query) 광고를 포함한다.
광고 시청 시 무료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영서버(120)와 앱 서버(140)와 스마트폰(160)과 충전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운영서버(120)는 광고주 식별정보, 광고 정보, 및 스마트폰(160)에서 표시되는 광고 정보의 노출 횟수 또는 클릭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 카운트 정보를 스마트폰(160)으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한다. 운영자는 운영서버(120)와 통신 가능한 통신장치 예컨대 노트북, 태블릿 PC를 이용해서 운영서버(12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변경, 추가, 파일 복사, 파일 송수신 등을 할 수 있다.
운영서버(120)는 충전단말기(20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운영서버(120)는 충전단말기(200)를 통해 충전을 하고자 하는 스마트폰(160)으로부터 충전단말기(20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스마트폰(160)으로 전송한다.
앱 서버(140)는 예를 들어 음악, 영화, 도서 등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마트폰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앱을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앱"이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앱 서버(140)는 충전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하며 스마트폰(160)에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제공한다.
스마트폰(160)은 충전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한다. 무료충전용광고 앱은 일례로, 스마트폰(160) 제조 시에 펌웨어로 저장될 수 있다. 충전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한 스마트폰(160)은 충전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한다. 스마트폰(160)에서 충전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충전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전기회로모듈(210)과 블루투스 모듈(220)과 전원커넥터(230)와 인쇄물(24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충전단말기(200)는 내부에 전기회로모듈(210)과 블루투스 모듈(220)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 외측면에는 블루투스 모듈(220)의 식별정보가 인쇄된 인쇄물(240)이 부착된다. 인쇄물(240)은 QR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는 핀-코드(pin-code)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는 운영서버(120)에 저장된다.
전기회로모듈(2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출력부(211)와 충전제어부(21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출력부(211)는 건물에 구비된 전기콘센트 또는 차량의 시가잭 커넥터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전원을 스마트폰(160)의 충전연결부로 출력한다. 전기회로모듈(210)은 보조배터리(213)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출력부(211)는 일례로, 스마트폰의 유에스비(USB) 단자에 삽입되는 전기커넥터가 장착된 충전용 전원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용 전원케이블은 유에스비(USB) 전원단자, 음(negative)의 데이터 단자, 양(positive)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갖는다.
전원출력부(211)는, 다른 예로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에 공명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된 전원출력부(211)는, 구리 등으로 구성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된 전원출력부(211)의 코일은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구현된다.
전원출력부(211)는, 다른 예로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의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를 주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세계무선충전협회(WPC)의 표준인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된 전원출력부(211)는 코일에 전류를 흘러 자기장을 발생하면 스마트폰에 내장된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면서 전류가 흘러 충전된다.
충전제어부(212)는 블루투스 모듈(220)을 통해 스마트폰(160)으로부터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외부 전원을 전원출력부(211)를 통해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로 출력한다. 일례로, 충전요청정보는 충전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제어부(212)는 충전시간 동안 외부 전원을 전원출력부(211)를 통해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로 출력한다.
보조배터리(213)는 건물에 구비된 전기콘센트 또는 차량의 시가잭 커넥터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키면서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충전제어부(212)는 보조배터리(213)의 충전을 제어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으면 보조배터리(213)의 전원을 전원출력부(211)를 통해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로 출력한다. 충전제어부(212)는 스마트폰 배터리와 보조배터리(213) 중 스마트폰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도록 구현된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스마트폰(16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스마트폰(160)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충전요청정보를 수신한다. 전원커넥터(230)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회로모듈(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에 구비된 전기콘센트 또는 또는 차량의 시가잭 커넥터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단말기(200)는 반드시 스마트폰(160)으로부터 무료충전용 광고 앱에서 생성된 충전요청정보가 전송되어야 스마트폰(160)을 충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스마트폰(16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무선통신부(161), A/V(Audio/Video) 입력부(162), 사용자 입력부(163), 출력부(164), 메모리(165), 충전연결부(166), 전원공급부(167), 및 제어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61)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2)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모듈과 마이크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63)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63)는 스마트폰(16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ZigBe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스마트폰(16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한다.
출력부(16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 음향 출력모듈, 알람부, 및 햅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예를들어, 스마트폰(160)이 충전 모드인 경우에는 무선충전용광고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는 스마트폰(160)의 이벤트 예를 들어 무료충전 시작, 무료충전 종료,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햅틱 모듈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메모리(165)는 제어부(168)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한다. 메모리(165)는 충전단말기(200)와 연동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저장한다. 메모리(165)는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정보를 저장한다.
충전연결부(166)는 유에스비(USB) 전원단자, 음(negative)의 데이터 단자, 양(positive)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유에스비(USB)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연결부(166)는 무선 충전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충전패드는 충전단말기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공명주파수에 커플링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기공명방식으로 구현된 무선 충전패드는, 구리 등으로 구성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패드는 충전단말기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로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7)는 제어부(16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7)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8)는 메모리(16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8)는 충전단말기의 하우징에 부착된 인쇄물을 카메라모듈로 촬영하고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168)는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한다.
블루투스 모듈에서 근거리 신호를 송신하면 근거리(10~20m) 내에 있던 블루투스 기기들이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68)는 응답신호에 포함된 해당 블루투스 기기들의 블루투스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충전단말기의 인쇄물에서 판독한 블루투스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한 후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하, 스마트폰(160)에서 충전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을 도 3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68)는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메모리(165)에 저장된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여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광고 이미지와 충전시작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68)는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충전단말기로 전송한다.
무료충전 시작이벤트는, 예를 들어 충전단말기의 충전용 전원케이블이 스마트폰 충전연결부에 연결됨을 알려주는 신호,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무료충전용광고 앱 실행요청정보이다.
제어부(168)는 스마트폰 충전연결부를 통해 충전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마트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방전시키면서 직류전원을 내부 부하에 공급한다.
도 4에서 참조부호 411은 광고노출에 대한 정액제 과금방식을 적용한 CPM(Cost Per Mile)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412는 충전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4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충전을 하기 위해 충전시작 아이콘(412)을 누르면, 제어부(168)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부호 511은 광고클릭을 통해 광고수수료를 지급하는 CPC(Cost Per Click)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512는 충전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5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충전을 하기 위해 충전시작 아이콘(512)을 누르면, 제어부(168)는 충전시간(예를 들어, 5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 참조부호 611은 광고클릭을 통해 광고수수료를 지급하는 CPC(Cost Per Click)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612는 충전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6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충전을 하기 위해 충전시작 아이콘(612)을 누르면, 제어부(168)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서 참조부호 711은 광고가 실제로 노출된 Query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되는 CPQ(Click Per Query)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고, 참조부호 712는 질문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분이다. 도 7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답 1(711a) 또는 답 2(711b)를 누르면, 제어부(168)는 정답(예컨대, 답 1)의 좌표값이 입력되면, 광고 카운트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충전단말기를 이용하여 무료충전 시 1회 충전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광고들이 적어도 3번 노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광고는 무료충전 시작이벤트 발생 시, 두 번째 광고는 사용자가 광고를 보고 충전시작 이이콘을 누른 경우, 세 번째 광고는 무료충전 종료이벤트 발생 시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적어도 3번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사용자가 첫 번째 광고를 보고 충전시작 아이콘을 누르면, 두 번째 광고를 노출하고 사용자가 두 번째 광고를 보고 충전시작 이이콘을 누르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통신사와 제휴를 통해 충전 시 데이터 100MB를 제공하는 데이터쿠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금융사와 제휴를 통해 충전 시 0.01%의 금리우대를 제공하는 금리우대 쿠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게임사와 제휴를 통해 충전 시 게임머니 1000원을 제공하는 게임머니 쿠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무료충전 종료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무료이용 쿠폰을 표시부로 출력한다. 서비스 무료이용 쿠폰은, 무료충전용광고 제휴사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쿠폰, 은행에서 제공하는 금리우대 쿠폰, 또는 게임업체에서 제공하는 게임머니 쿠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충전단말기 위치를 지도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제어부(168)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 위치정보를 운영서버(도 1의 참조부호 120)로 전송하고, 운영서버(도 1의 참조부호 120)는 해당 위치정보를 기초로 충전단말기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내부에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회로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우징,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전기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에 구비된 전기콘센트 또는 차량의 시가잭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가 인쇄된 인쇄물을 포함하는 충전단말기와 운영서버와 연동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으로서,
    상기 충전단말기의 하우징에 부착된 인쇄물에 인쇄된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충전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무료충전 시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구동하고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에 포함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정보에 포함된 제1 광고 이미지와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광고 이미지와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기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은 충전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기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광고 정보에 포함된 제2 광고 이미지와 제2 충전시작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2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충전시작 아이콘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기 충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은,
    무료충전 종료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광고 정보에 포함된 제3 광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은,
    무료충전 종료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광고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무료이용 쿠폰을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무료이용 쿠폰은,
    상기 충전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한 충전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충전용광고 앱이 저장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KR1020170018385A 2017-02-10 2017-02-10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KR10180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85A KR101806779B1 (ko) 2017-02-10 2017-02-10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85A KR101806779B1 (ko) 2017-02-10 2017-02-10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072A Division KR101807174B1 (ko) 2016-03-04 2016-03-04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37A KR20170103637A (ko) 2017-09-13
KR101806779B1 true KR101806779B1 (ko) 2017-12-07

Family

ID=5996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85A KR101806779B1 (ko) 2017-02-10 2017-02-10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03B1 (ko) 2019-02-18 2020-07-27 강동연 스마트 충전기를 이용한 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24B1 (ko) * 2014-03-07 2015-03-17 김현식 광고 조건부 디바이스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24B1 (ko) * 2014-03-07 2015-03-17 김현식 광고 조건부 디바이스 및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03B1 (ko) 2019-02-18 2020-07-27 강동연 스마트 충전기를 이용한 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37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3883B (zh) 移动终端
CN102187544B (zh) 附件电源管理
EP266502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25554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698975A1 (en) Charging reservation support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charging reserv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CN103533151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200017308A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01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0152633A (ja) 携帯機器を用いた顧客サービスシステム
CN101211232A (zh) 触控式操作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807174B1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시스템
KR101806779B1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JP5970247B2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自動販売機、位置情報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485324Y1 (ko)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KR20150102250A (ko)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914747B1 (ko) 광고 시청 및 유료 과금을 통한 모바일 단말기 충전 시스템
JP2009200537A (ja) ペイテレビ課金システム
KR20160044824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CN114997845A (zh) 支付方法、装置、充电桩、可读存储介质及芯片
KR20150025681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KR20140079566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에 대한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KR20180031105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1019253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2213095A (ja) 携帯電話端末の識別用情報の管理システム、管理用装置および管理方法
KR101246841B1 (ko) 이동 단말기, 충전 장치 및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