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180A -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180A
KR20160016180A KR1020140099777A KR20140099777A KR20160016180A KR 20160016180 A KR20160016180 A KR 20160016180A KR 1020140099777 A KR1020140099777 A KR 1020140099777A KR 20140099777 A KR20140099777 A KR 20140099777A KR 20160016180 A KR20160016180 A KR 2016001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isplay
charging system
advertis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14009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180A/ko
Publication of KR2016001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2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art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충전 시간 동안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의 자리에서 이동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어서 편리하며, 충전 시간 동안에 충전 시스템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노출되는 광고에 집중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분실 위험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며, 충전 잭을 구비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서비스 업주, 특히 외식업체의 업주는 충전 시스템이 비치된 업장에 대한 선호로 고객의 집객력을 높여 매출을 증대할 수 있으며, 자체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통신망을 이용할 때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으며, 광고주는 충전 시간 동안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 여유 있는 시간 동안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공고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CHARGING SYSTEM HAVING DISPLAY AND METHOD FOR EXPOSING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충전 시간 동안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서비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편의성과 다양성을 가진 다양한 외식업체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외식업체들의 예로, 브랜드화 된 커피 전문점, 햄버거 치킨, 음료, 아이스크림 등을 취급하는 패스트푸드점, 가족 고객을 타겟으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등을 들 수 있다. 이동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례가 급증하는 환경에서, 사용자는 충전에 대한 필요성에 자주 노출된다.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 특히 외식업장에 입장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을 원할 경우, 보통 자신의 스마트폰을 카운터에 맡겨서 충전을 하거나, 미리 준비한 충전 잭을 외식업장 내의 적절한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을 한다. 스마트폰을 카운터에 맡겨서 충전을 하는 경우,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스마트폰이 분실될 우려도 있다. 그리고 미리 준비한 충전 잭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경우, 충전 잭을 항상 구비해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식업장의 내구 구조상 충전을 전혀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고객에게 지급된 디스플레이 충전단말기는 충전 시 효용적이지만, 디스플레이의 광고를 고객에게 100% 노출시키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충전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이동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할 때, 충전 시간 동안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 충전 잭을 인입시키기 위한 충전 잭 인입부를 포함하되, 내부에 미리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 잭을 통하여 연결되는 이동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이동 전자 기기를 충전시키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충전 연결부는 적층형 또는 개별 삽입형 충전기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동 전자 기기를 충전하는 동안, 광고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는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를 매개로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은 적층형 충전기 또는 개별 단말충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충전을 완료하거나,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동 전자 기기로 전달하여 이동 전자 기기의 충전을 완료한 이벤트를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광고를 효율적으로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의 자리에서 이동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어서 편리하며, 충전 시간 동안에 충전 시스템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노출되는 광고에 집중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분실 위험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며, 충전 잭을 구비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업주, 특히 외식업체의 업주는 충전 시스템이 비치된 업장에 대한 선호로 고객의 집객력을 높여 매출을 증대할 수 있으며, 자체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타인의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이득이 있으며, 통신망을 이용할 때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주는 충전 시간 동안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 여유 있는 시간 동안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공고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시로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노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사업자는 원격지에서 광고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충전기가 고객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 전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해 광고노출을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LCD 모니터를 장착한 무선 호출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충전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전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후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복수개 적층하여 충전하는 적층형 충전기와 복수개 개별 충전하는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기능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동작 모듈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 원격에서 광고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 원격에서 광고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 운영자가 정한 일정시간 광고를 노출하고 충전을 개시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충전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니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은 상면 일측에 디스플레이(130), 상면 타측에 복수의 충전 연결부(125), 충전 잭(300)이 인입되는 충전 잭 인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매장, 특히 외식업체에 입장한 고객 중 충전을 원하는 고객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 및/또는 충전 잭(300)을 지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을 지급받은 고객은 자신의 자리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이동 전화 기기, 특히 스마트폰(200)을, 지급된 충전 잭(300)을 충전 잭 인입부에 인입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에 연결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을 이용한 충전 시간 동안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시간 동안에 광고를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노출하는 것과 동시에 노출되는 광고에 상응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130)에 노출되는 광고에 상응하는 오디오를 이어폰 잭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이어폰 잭 인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충전 시간 동안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출력되는 광고 및/또는 스피커나 이어폰 잭을 통하여 출력되는 광고에 상응하는 오디오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외관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을 충전하는 적층형 충전기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기능별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동작 모듈별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에 노출되는 광고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환경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전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후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은 상면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30), 상면 타측에 복수개 구비된 충전 연결부(125),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된 충전 잭 인입부(120), 하면에서 상면 타측에 복수개 구비된 충전 연결부(125)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충전 잭 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는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원격에서 제공된 광고를 출력한다. 충전 잭 인입부(120)는 충전 잭을 인입시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스마트폰으로 이동시켜 충전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상면 및 하면에 복수개 구비된 충전 연결부(125)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적층형 충전기에 적층되어 적층형 충전기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을 매개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복수개 적층하여 충전하는 적층형 충전기와 복수개를 개별 충전하는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층형 충전기(4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을 적층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을 적층한 상태에서 충전 잭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인가된 전기 에너지의 일부는 최하부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충전 연결부를 통하여 내부에 저장되며, 인가된 전기 에너지의 다른 일부는 충전 연결부를 통하여 상부의 다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으로 전달되어 그 중 일부가 내부에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적층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들이 충전될 수 있다. 충전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을 원하는 고객에게 지급되어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기능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충전부(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입력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2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적층형 충전기에서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잭 인입부에 충전 잭을 인입하면 내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충전 잭을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달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30)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도어 있거나 통신부(160)를 통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광고를 충전 시간 동안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이 적층형 충전기에 적층되어 적층형 충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는 동안에, 디스플레이(130)는 작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40)는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될 광고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장기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6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PC 형태인 로컬 제어 서버를 매개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110)는 충전부(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입력부(150) 및 통신부(1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외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동작 모듈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은 적층형 충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충전시키는 충전 모듈(732), 충전 시간 동안에 미리 저장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 모듈(734), 적층형 충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충전을 완료하거나,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을 완료한 경우에 그 이벤트를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로 전달하거나, 고객의 호출 요청을 추가로 로컬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호출 모듈(736) 및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PC 형태인 로컬 제어 서버를 매래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7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모듈(730)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은 다양한 OS(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700)에 하이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7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은 API(700)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73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0)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72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7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0)는 API(700)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73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여기서, 응용 모듈(730)은 충전 모듈(732), 광고 노출 모듈(734), 호출 모듈(736) 및 통신 모듈(738)을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720)는 각 응용 모듈(730)에 대한 매핑부(721, 723, 725, 727)와 인터페이스부(722, 724, 726, 728)를 각각 포함한다.
충전 모듈 매핑부(72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0)로부터 적층형 충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충전시키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충전 모듈(732)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충전 모듈 인터페이스부(722)를 통하여 충전 모듈(732)로 제공한다.
광고 노출 모듈 매핑부(723)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0)로부터 충전 시간 동안에 미리 저장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광고 노출 모듈(734)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광고 노출 모듈 인터페이스부(724)를 통하여 광고 노출 모듈(734)로 제공한다.
호출 모듈 매핑부(725)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0)로부터 적층형 충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충전을 완료하거나,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을 완료한 경우에 그 이벤트를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로 전달하거나, 고개의 호출 요청을 추가로 로컬 제어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호출 모듈(736)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호출 모듈 인터페이스부(726)를 통하여 호출 모듈(736)로 제공한다.
통신 모듈 매핑부(727)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710)로부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PC 형태의 로컬 제어 서버를 매개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통신 모듈(738)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통신 모듈 인터페이스부(728)를 통하여 통신 모듈(736)로 제공한다. 통신 모듈(738)은 필요에 따라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와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는 SS7 음성망 연동 인터페이스나 TCP/IP 망 연동 인터페이스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프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 원격에서 광고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서 원격에서 광고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SS7 음성망 또는 TCP/IP 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500)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600)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광고에 상응하는 컨텐츠 및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공된 광고 컨텐츠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100)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거나,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에서 QR코드를 활용 또는 NFC를 활용한 충전개시방법을 예시한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110…제어부
120…충전부 125…충전 연결부
130…디스프레이 140…메모리
150…입력부 160…통신부
200…스마트폰 300…충전 잭
500…중앙 제어 서버 600…로컬 제어 서버
732…충전 모듈 734…광고 노출 모듈
736…호출 모듈 738…통신 모듈

Claims (9)

  1. 디스플레이; 및
    충전 잭을 인입시키기 위한 충전 잭 인입부
    를 포함하되,
    내부에 미리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 잭을 통하여 연결되는 이동 전자 기기에 전달하여 이동 전자 기기를 충전시키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 연결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충전 연결부는 적층형 충전기 또는 개별 충전단자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동 전자 기기를 충전하는 동안, 광고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에서 QR코드를 노출시켜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QR스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의 충전개시는 단말기 운영자가 정한 시간에 광고노출 후 충전개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는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를 매개로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KR1020140099777A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KR20160016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77A KR20160016180A (ko)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77A KR20160016180A (ko)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80A true KR20160016180A (ko) 2016-02-15

Family

ID=5535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777A KR20160016180A (ko)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1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732A (zh) * 2016-12-20 2017-04-2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条形码的路由器无线充电方法和系统
CN106655541A (zh) * 2016-12-20 2017-05-1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指定认证码的路由器无线充电方法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732A (zh) * 2016-12-20 2017-04-2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条形码的路由器无线充电方法和系统
CN106655541A (zh) * 2016-12-20 2017-05-1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指定认证码的路由器无线充电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0965A (zh) 线下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11227253B2 (en)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in the electronic commer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CN103955845A (zh) 一种有偿广告平台的互动系统
KR20160044824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JP2003132424A (ja) 自動販売機
CN105528655A (zh) 购票方法及系统
KR20150025681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KR20160016180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CN103581977B (zh) 数据连接断开的处理方法、移动终端及基站
KR101661609B1 (ko)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CN107046547A (zh) 异常操作识别方法和装置
WO2013138391A1 (en) A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dvertisement
KR101914747B1 (ko) 광고 시청 및 유료 과금을 통한 모바일 단말기 충전 시스템
KR20170133869A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93664A (ko) 무인 자동소화캡슐과 결합 연동되는 화재 예방 관제 시스템
KR20150080993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CN108154359A (zh) 一种自助网络缴费装置
KR200485324Y1 (ko)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KR101332983B1 (ko) 이벤트에 연동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06779B1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KR20180031105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103346A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시스템
CN204010030U (zh) 智能3d视频移动终端设备
TWM545406U (zh) 用來執行訊息推播方法之推播裝置及網路端
JP2016086319A (ja) 携帯端末充電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広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