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50Y1 -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50Y1
KR200485250Y1 KR2020130003127U KR20130003127U KR200485250Y1 KR 200485250 Y1 KR200485250 Y1 KR 200485250Y1 KR 2020130003127 U KR2020130003127 U KR 2020130003127U KR 20130003127 U KR20130003127 U KR 20130003127U KR 200485250 Y1 KR200485250 Y1 KR 200485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ual
sensor
fire detector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629U (ko
Inventor
주재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5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본 고안은 빛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들에 대응되게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부 및 베이스부가 한 쌍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 사이에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하나의 화재 감지기의 불작동시 다른 화재 감지기가 작동되도록 자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화재 감지 시스템을 통해,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각각의 화재 감지기에 대한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DUAL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OR SYSTEM THEREOF}
본 고안은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화재 감지기에 추가로 센서부 및 베이스부를 추가한 듀얼 화재 감지기를 통하여 감지기 유지관리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열감지형과 연기감지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초기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구성되어 있어 그 응답성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단면이다. 상기와 같은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저면 중앙부위에 연기유입부(11)를 형성하고 그 사방 외주연에 연기배출로(12)를 형성한 감지몸체(10)와, 상기 감지몸체(10)의 일측에서 연기유입부(11)의 연기유입을 감지를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20)와, 상기 발광소자(20)에 의한 조사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루게 감지몸체(10)에 설치되며 연기유입부(11)로 유입된 연기에 의하여 산란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광소자(30)와,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과 감지수광소자(30)를 통하여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재감지기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연기가 감지몸체(10)의 연기유입부(11)로 유입되면 발광소자(20)에서 조사된 감지빛이 연기에 의하여 산란되게 되며, 산란된 감지빛은 발광소자(20)에 의한 감지빛의 조사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루게 설치되어 있는 감지수광소자(30)로 유입되어서 상기 감지수광소자(30)가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감지수광소자(3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감지제어부는 화재신호를 출력하여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발광소자(2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의 이의 확인이 불가능하고, 동작유무의 확인을 위하여는 연기를 연기유입부로 직접 유입시켜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설치 수년 후 잦은 오작동으로 허위 Detecting Alarm 발생 빈도 증가하고, 화재감지기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선급(DNV-OS-D202, Ch.2 Sec.1 A503)에 적용되는 룰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불필요한 케이블 및 화재감지기의 수량이 증가하여 비용 및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듀얼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듀얼 화재 감지기를 통하여 허위 faulty alarm 발생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적 호선 대비하여 케이블 및 감지기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빛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들에 대응되게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부 및 베이스부가 한 쌍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 사이에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하나의 화재 감지기의 불작동시 다른 화재 감지기가 작동되도록 자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센서부는 연기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연기에 의해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수광소자; 및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부를 구성하는 발광소자 및 감지수광소자가 각각 다른 방향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센서부는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빛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들에 대응되게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 사이에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센서부 및 베이스부가 한 쌍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들과 듀얼 파이어 센트럴(fier central)로 구성된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에는 각각 모듈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듀얼 화재 감지지들과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은 단일 루트의 케이블로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센서부는 연기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연기에 의해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수광소자; 및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부를 구성하는 발광소자 및 감지수광소자가 각각 다른 방향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센서부는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각각의 화재 감지기에 대한 유지보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위 faulty alarm 발생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적 호선 대비하여 케이블 및 감지기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감지기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기본적인 화재 감지기의 베이스부 및 센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베이스부 및 어긋나게 배치된 센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기본적인 화재 감지기의 베이스부 및 센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베이스부 및 어긋나게 배치된 센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근거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화재 감지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기본적인 화재 감지기는 베이스부(50) 및 센서부(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감지기와 같은 몸체부에 두 개의 베이스부 및 이에 대응하는 두 개의 센서부가 구비된다.
즉, 빛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부(110)와 제 2 센서부(120); 및 상기 센서부들(110, 120)에 대응되게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제 1 베이스부(210) 및 제 2 베이스부(220)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부 및 베이스부가 한 쌍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특히 상기 제 1 베이스부(210) 및 제 2 베이스부(220) 사이에 스위치부(300)가 구비되어 하나의 화재 감지기의 불작동시 다른 화재 감지기가 작동되도록 자동으로 전환시켜 준다.
이와 같이, 듀얼 센서부 및 듀얼 베이스부를 구비하여 추가적인 감지기의 구매 및 설치없이 현 해양 프로젝트의 선급 및 선주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각각의 센서부(110, 120)는 연기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11, 121) 및 연기에 의해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수광소자(112, 122)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오작동이나 고장시에도 제 1 및 제 2 베이스부(210, 220) 사이에 위치한 스위치부(300)에 의해 정상작동하는 센서부 쪽으로 전환시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발광소자 및 감지수광소자로 구성되는 센서부(110, 120)가 각각 다른 방향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다. 도 3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발광소자(111, 121)는 대응하는 감지수광소자(112, 122)를 향해서 빛을 발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감지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감지신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감지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기존의 화재 감지기와 듀얼 파이어 센트럴로 구성된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재 감지기와 듀얼 파이어 센트럴로 구성된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기존의 화재 감지 시스템에는 각각의 센트럴 파이어에 해당하는 화재 감지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따로 적용되어 케이블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빛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들에 대응되게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 사이에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센서부 및 베이스부가 한 쌍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들(400)과 듀얼 파이어 센트럴(600)로 구성된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600)에는 각각 모듈 스위치(500)가 구비되어 상기 듀얼 화재 감지지들(400)과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600)은 단일 루트의 케이블(700)로 전체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적용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Dual Fire Central)은 기존의 파이어 센트럴 하나에 모듈 스위치(Module S/W)를 적용하여 기존의 케이블 길이 및 감지기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설계가 가능하다. 즉, 하나의 파이어 센트럴이 오작동시 다른 하나의 파이어 센트럴이 계속 작동하여 화재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DNV 개정 Rule 관련하여 오작동 신호(Faulty Signal) 부분이 추가되었는데, 상기 오작동 신호란, 기존의 화재 감지 신호와 다르게 감지기가 어떠한 이유로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했을 때 파이어 센트롤로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말한다. 보통 오작동 신호는 선박의 운영 중 쉽게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신호가 화재 감지 신호와 같이 취급되면, 그 영향은 선박의 전체적인 셧다운 상황까지 갈 수 있었으나 이러한 오작동 신호는 화재 감지 신호와 동급으로 적용시킨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감지기를 듀얼로 구성한다면, 이러한 오작동 신호는 무시될 수 있으며, 듀얼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스위치부의 체인지 오버 기능으로 화재 감지 시스템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치 않는다.
여기에 추가로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듀얼 파이어 센트럴 및 듀얼 화재 감지기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에 소요되는 케이블의 길이 또한 짧아져 비용적인 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화재 감지기를 이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적용된다.
110: 제 1 센서부 111: 발광소자
112: 감지수광소자 120: 제 2 센서부
210: 제 1 베이스부 220: 제 2 베이스부
300: 스위치부 400: 듀얼 화재 감지기
500: 모듈 스위치 600: 듀얼 파이어 센트럴
700: 단일 루트 케이블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빛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들에 대응되게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 사이에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센서부 및 베이스부가 한 쌍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듀얼 화재 감지기들(400)과 듀얼 파이어 센트럴(600)로 구성된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600)에는 각각 모듈 스위치(500)가 구비되어 상기 듀얼 화재 감지지들(400)과 상기 듀얼 파이어 센트럴(600)은 단일 루트의 케이블(700)로 전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부는
    연기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연기에 의해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수광소자; 및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부를 구성하는 발광소자 및 감지수광소자가 각각 다른 방향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센서부는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2020130003127U 2013-04-23 2013-04-23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200485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127U KR200485250Y1 (ko) 2013-04-23 2013-04-23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127U KR200485250Y1 (ko) 2013-04-23 2013-04-23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29U KR20140005629U (ko) 2014-11-03
KR200485250Y1 true KR200485250Y1 (ko) 2017-12-12

Family

ID=5245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127U KR200485250Y1 (ko) 2013-04-23 2013-04-23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9857B2 (en) 2020-09-25 2024-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Raman scatter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ue fire using th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302B1 (ko) * 2018-05-03 2020-02-11 강태균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KR102053418B1 (ko) * 2018-09-20 2019-12-0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550A (en) * 1987-07-29 1988-09-06 Quantum Group, Inc. Dual scattering-type smoke detector with cross-checking
JP3690025B2 (ja) * 1996-12-26 2005-08-31 松下電工株式会社 複合型火災感知器及びそのシステム
JP3539536B2 (ja) * 1997-08-21 2004-07-07 ニッタン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9857B2 (en) 2020-09-25 2024-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Raman scatter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ue fire using th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29U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539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485250Y1 (ko) 듀얼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US20160097878A1 (en) Sensor apparatus and hazard sensing system
JP2005141594A (ja) 防犯システム
SE0402329D0 (sv) Skyddsanordning
KR20150096817A (ko) 화재 감지 경보기
KR101497539B1 (ko) 이중 구조의 암실을 갖는 연기 감지기
DE602008003063D1 (de) System mit mehreren Komponenten
JPWO2011013511A1 (ja) 安全センサおよび安全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
KR101736048B1 (ko) 주택용 화재감지기
JP2008180649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6169984A (ja) 接続不良検出器
KR102140896B1 (ko) 이상발생에 따른 자가 차단이 가능한 소방시설용 경종
KR20170003499A (ko) 정수기용 수위 검출 센서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수위 검출 장치
JP2014170348A (ja) 警報器
KR101211912B1 (ko) 철도차량용 지상신호장치
JP2008310980A (ja) マットスイッチ及びマットスイッチ装置
KR200340682Y1 (ko)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JP5204882B2 (ja) 煙感知システム
JP2019017784A5 (ko)
JP7190303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及び火災報知方法
KR200290678Y1 (ko) 검출용소자가내장된시퀀스컨트롤러
JP2012155648A (ja) 誘導パネルおよび誘導システム
KR20170003735U (ko) 비분해식 감지 거리 조절 수단을 구비한 불꽃 감지 장치
KR200237218Y1 (ko) 원격감시기능을 가진 지락 검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