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81Y1 -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 - Google Patents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81Y1
KR200485081Y1 KR2020150007148U KR20150007148U KR200485081Y1 KR 200485081 Y1 KR200485081 Y1 KR 200485081Y1 KR 2020150007148 U KR2020150007148 U KR 2020150007148U KR 20150007148 U KR20150007148 U KR 20150007148U KR 200485081 Y1 KR200485081 Y1 KR 200485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nsor
light
pen
transparent cover
pe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478U (ko
Inventor
짠-썽 루
량 쎄
Original Assignee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1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투광커버는 광센서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광센서를 보호하고, 투광할 수 있고, 상기 투광커버는 오목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렌즈는 광선을 굴절시켜 상기 광센서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하다.

Description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A SMART PEN WITH THE TRANSPARENT COVER}
본 고안은, 투광커버에 관한 것이며 특히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에 관한 것이다.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펜심이 자동적으로 펜케이스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펜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는 스마트펜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펜의 펜케이스의 사이즈가 제한되어 있기에 광선센서의 외부 차광커버의 사이즈도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광선센서가 광선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작아져서 상기 광센서가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하여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투광커버 및 상기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투광커버는 광센서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광센서를 보호하고, 투광할 수 있고, 상기 투광커버는 오목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렌즈는 광선을 굴절시켜 상기 광센서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펜은 펜케이스, 상기 펜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의 외부를 커버하고 상기 펜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광센서를 밀봉하는 스마트펜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는 오목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렌즈는 광선을 굴절시켜 상기 광센서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한다.
본 고안에 따른 투광커버는 광선을 굴절할 수 있기에 광센서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하고, 또한 상기 광센서가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기에 상기 스마트펜의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펜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펜의 부분확대도에서 투광커버의 작업원리도이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투광커버 및 상기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펜(100)은 펜케이스(10), 적어도 하나의 광센서(20) 및 상기 광센서(20)와 하나씩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커버(3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상기 스마트펜(100)은 상기 광센서(20)를 통하여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감지하고 감지한 광선의 강약에 따라 펜심(101)이 상기 펜케이스(10)에서 인출되거나 혹은 상기 펜케이스(10) 내부로 인입된다. 혹은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감지하고 감지한 광선의 강약을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로 하여금 눈보호에 주위를 기울리게끔 한다.
동시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센서(20)는 상기 펜케이스(10)에 설치되어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투광커버(30)는 상기 광센서(20)를 커버하고, 또한, 상기 펜케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광센서(20)를 밀봉하여 상기 광센서(20)를 보호할 수 있고 광선이 상기 투광커버(30)를 투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30)의 표면은 원구형의 표면이고, 상기 투광커버(30)의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오목렌즈(31)가 설치되어 광선을 굴절시켜 상기 광센서(20)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31)는 상기 광센서(30)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기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30)는 오목렌즈의 형태를 이루어 광선을 굴절시킨다. 기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30)의 형태는 원구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등 기타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광센서(20)와 상기 투광커버(30)의 수량은 본 고안의 도면에 지시한 수량에 제한되지 않고 실제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동시에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센서(20)가 출사한 광선은 광선경로A에 따라 출사되고, 상기 광선경로A의 각도는 각도 a이며, 상기 오목렌즈(31)의 굴절에 의해 상기 광선은 광선결로B에 따라 출사되고, 상기 광선결로B의 각도는 각도 a보다 큰 각도 b이며, 최후에 매질(介)의 변화에 따라 상기 광선은 공기의 굴절에 의해 광선경로C에 따라 출사되고, 상기 광선경로C의 각도는 각도 b보다 큰 각도 d이다. 따라서 상기 광센서(20)가 출사한 광선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출사한 광선이 확산할 수 있다. 동시에 반대로 외부의 광선이 입사할 때, 입사광선이 상기 광선경로C, 상기 광선결로B, 상기 광선경로A의 순서에 따라 상기 광센서(20)에 입사되어 상기 입사광선이 모여지므로 상기 광센서(20)의 광선감지 범위가 확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투광커버(30)는 광선을 굴절할 수 있기에 상기 광센서(20)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하고, 또한 상기 광센서(20)가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기에 상기 스마트펜(100)의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30)는 상기 스마트펜(100)에만 제한되지 않고 상기 광센서를 구비하는 기타 물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펜 10 --- 펜케이스
101 --- 펜심 20 --- 광센서
30 --- 투광커버 31 --- 오목렌즈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펜케이스, 상기 펜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의 외부를 커버하고 상기 펜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광센서를 밀봉하는 투광커버를 구비하는스마트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상기 펜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펜케이스의 출심구와 떨어져 있는 상기 펜케이스의 일단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커버는 오목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렌즈는 상기 광센서와 마주하며 상기 광센서의 광선을 굴절시켜 상기 광센서의 광선감지 범위를 확대하며, 또한 상기 광센서는 주변환경 광선의 강약을 감지하고, 감지한 광선의 강약에 따라 펜심이 상기 펜케이스에서 인출되거나 혹은 상기 펜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는 상기 투광커버의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의 표면은 원구형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는 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펜.
KR2020150007148U 2015-10-16 2015-11-04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 KR2004850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67484.XA CN106597582A (zh) 2015-10-16 2015-10-16 透光罩及具有该透光罩的智能笔
CN201510667484.X 201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78U KR20170001478U (ko) 2017-04-26
KR200485081Y1 true KR200485081Y1 (ko) 2017-12-20

Family

ID=5545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48U KR200485081Y1 (ko) 2015-10-16 2015-11-04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03101U (ko)
KR (1) KR200485081Y1 (ko)
CN (1) CN106597582A (ko)
TW (1) TWM55298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317Y1 (ko) * 2001-05-15 2001-10-15 오토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다중 광센서
JP2004527853A (ja) * 2001-05-11 2004-09-09 アノト・アクティエボラーク キャップを取り外すと起動する電子ペ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769B1 (ko) * 2007-08-08 2009-07-02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광센서
CN201784318U (zh) * 2010-09-25 2011-04-06 浙江大学 防近视笔
CN202163275U (zh) * 2011-07-12 2012-03-14 湖北开特汽车电子电器系统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控制系统用阳光传感器
TWM448798U (zh) * 2012-08-10 2013-03-11 Meicer Semiconductor Inc 光學元件封裝模組
CN204398639U (zh) * 2014-12-31 2015-06-17 上海市闸北区中小学科技指导站 一种带灯小笔
CN205176307U (zh) * 2015-10-16 2016-04-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透光罩及具有该透光罩的智能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853A (ja) * 2001-05-11 2004-09-09 アノト・アクティエボラーク キャップを取り外すと起動する電子ペン
KR200244317Y1 (ko) * 2001-05-15 2001-10-15 오토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다중 광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78U (ko) 2017-04-26
JP3203101U (ja) 2016-03-10
CN106597582A (zh) 2017-04-26
TWM552988U (zh)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320B1 (ko) 근조도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17011120A (ja) 近接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5519545A5 (ko)
US11300506B2 (en) Droplet sensor
CN110300950B (zh) 触摸感测系统中的光学耦合
US8969784B2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optical devices thereof
TW201308134A (zh) 光學指標裝置
CN110770802A (zh) 传感器组件和包括这种传感器组件的设备.
KR200485081Y1 (ko) 투광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펜
KR101710534B1 (ko) 광학식 센서를 위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JP2016162666A5 (ko)
JP2006275553A (ja) 位置計測システム
JP5773770B2 (ja) 液体センサ
US11607158B2 (en) Sensor and biosensor
CN205176307U (zh) 透光罩及具有该透光罩的智能笔
TWI359936B (ko)
JP2014142293A (ja) 測距装置
KR101324627B1 (ko) 3차원 공간인식 센서모듈
TWM599415U (zh) 觸控裝置
JP2007003348A (ja) 回帰反射型光電センサ
US20200149884A1 (en) Proximity sensor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JP6078294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CN217332834U (zh) 一种防自激感应的激光探头
KR101264377B1 (ko)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KR20160071492A (ko) 광학식 센서를 위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포토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