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377B1 -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377B1
KR101264377B1 KR1020110089087A KR20110089087A KR101264377B1 KR 101264377 B1 KR101264377 B1 KR 101264377B1 KR 1020110089087 A KR1020110089087 A KR 1020110089087A KR 20110089087 A KR20110089087 A KR 20110089087A KR 101264377 B1 KR101264377 B1 KR 10126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ens unit
uni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653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투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투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투에이
Priority to KR102011008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3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01J2001/083Testing response of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가 마련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복수개의 조도센서 및 근접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의 반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직접적으로 상기 수광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마련되는 전반사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를 일체로 설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에 따르면, 폴리머 재질을 이용한 렌즈부를 제작하여 고온의 에스엠티 공정에서도 견딜 수 있고, 이런 폴리머 재질을 이용하여 WLL(Wafer Level Lens) 방식으로 양면렌즈를 구현할 수 있어 빛의 집속성을 향상시키고, 광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게다가 발광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빛이 조도센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반사광이 입사되는 구조를 도파관 형상으로 개선하여 외부 기구물에 의한 조도 에러를 방지할 수 있어 조도센서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부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작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Optical measurement apparatus for intensity of illumination}
본 발명은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도 센서에 빛의 유입 구조를 개선하여 조도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접 조도센서에 사용되는 렌즈 구조체의 소재는 고온의 에스엠티(SMT : Surface Mount Technology)공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투명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인서트 몰딩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렌즈 구조체는 기판상에 센서칩류와 발광소자를 밀봉하여 하나의 모듈로 패키지화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렌즈 구조체는 엘이디(LED) 발광소자를 밀봉하면서 오직 렌즈 구조체의 상면에만 곡률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빛을 집광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수광센서 부분에는 렌즈구조를 구비하지 않아 수광되는 빛의 광량이 적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의 상단에는 투명 평판구조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각도 예컨대 모듈의 수평에 가까운 각도에서 입사되는 빛이 모듈의 외부 기구물에 의해 차단되어 그림자가 발생하며, 이 때문에 일부 조도센서에서 반사광이 입사되지 못하여 조도에러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게다가 발광소자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수광센서 부분으로 새어 들어가는 경우, 주변의 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 조도의 측정이 근본적으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도 센서에 빛의 유입 구조를 개선하여 조도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광소자가 마련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복수개의 조도센서 및 근접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의 반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직접적으로 상기 수광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마련되는 전반사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를 탑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1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수광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근접센서로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2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근접센서와 대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근접센서 사이에는 전반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제1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제2렌즈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제1렌즈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및 상기 발광소자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제1렌즈부 방향으로 전반사시켜 상기 조도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는 상기 발광소자를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렌즈부로 빛을 집광시키는 반 원형의 반사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는 상기 반사곡면이 수직선에 대하여 형성되는 접선 각도가 10 ~ 5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부재는 상기 제1렌즈부를 통하여 발산되는 빛이 굴절되어 상기 조도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렌즈부의 법선방향으로 투과면이 마련되는 상부 반사체와, 상기 상부 반사체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투과면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반사체에 반사된 빛이 상기 조도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반사체는 상기 제1렌즈부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의 각도에 대향하여 상기 투과면이 계단 형상으로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상부로부터 반사광이 유입되는 도파관 구조의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는 상기 유입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된 빛이 복수개의 상기 조도센서에 모두 미치도록 오목렌즈 형상의 제3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입홀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 기구물로부터 그림자 영향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면 단부 높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의 하단부에는 상기 조도센서와 대향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의 하단부와 상기 조도센서 사이에서 전반사를 유도하는 제2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코폴리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피그먼트 왁스, 폴리에스트 및 아마이드 레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폴리머 재질을 이용한 렌즈부를 제작하여 고온의 에스엠티 공정에서도 견딜 수 있고, 이런 폴리머 재질을 이용하여 WLL(Wafer Level Lens) 방식으로 양면렌즈를 구현할 수 있어 빛의 집속성을 향상시키고, 광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발광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빛이 조도센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반사광이 입사되는 구조를 도파관 형상으로 개선하여 외부 기구물에 의한 조도 에러를 방지할 수 있어 조도센서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부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작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반사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전반사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전반사부 상에서 빛의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 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100)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111)가 마련된 발광부(110)와, 조도센서(131) 및 근접센서(133)가 탑재된 수광부(130)와, 상기 발광부(110)와 상기 수광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전반사부(150)와, 상기 발광부(110) 및 수광부(130)를 일체로 설치하는 본체부(120) 및 상기 본체부(120)를 커버하는 커버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111)는 발광 다이오드(LED), 반도체 레이저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소자(111)가 발광 다이오드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광부(130)는 상기 발광부(110)의 측방향으로 복수개의 조도센서(131)와 근접센서(133)가 마련된다.
상기 수광부(130)는 상기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피검출물로부터 반사되어 유입되는 빛을 받아들이고, 유입된 빛 즉 반사광의 양 또는 응답속도에 따라서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본체부(120) 상에는 한 쌍의 상기 조도센서(131)가 나란히 배치되며, 이는 반사광의 유입 경로에 따라서 상기 수광부(130)에서 취하는 반사광의 양이나 응답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복수개의 조도센서(131)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조도센서(131)가 단일 센서로 마련되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도센서(131)는 일 측에 마련된 조도센서(131)로부터 기준값을 산정하고, 타 측에 마련된 조도센서(131)로부터 실제 조도를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접센서(133)는 상기 발광소자(1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을 검출하여 피검출물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133)는 피검출물의 근접 거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거리 안에서 피검출물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설정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반사부(150)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전반사부(15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반사부(150)는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1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1렌즈부(151)와,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근접센서(133)로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2렌즈부(153)와, 상기 조도센서(131)에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3렌즈부(155)와, 상기 발광소자(111)의 후방 또는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제1렌즈부(151) 방향으로 전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161)와, 상기 발광소자(111)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조도센서(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반사부재(164)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렌즈부(151)의 하측에는 상기 제1반사부재(16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151)와 상기 제1반사부재(161) 사이에는 상기 발광소자(111)가 위치한다. 물론 상기 제1반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렌즈부(151)와 상기 제1반사부재(161) 사이에 상기 발광소자(111)가 출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반사부의 저면이 일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111)로부터 상방으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고, 상기 발광소자(1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상기 제1반사부재(161)에 의하여 전반사되어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발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반사부재(161)는 저면 중심부가 일부 개구된 반 구 형상으로, 상기 제1반사부재(161)의 내주면에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곡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111)를 중심으로 상기 제1렌즈부(151)에 대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1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제1렌즈부(151)를 향하여 전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반사곡면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접선 각도가 10 ~ 5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반사부재(164)는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발산되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제1반사부재(161)에 전반사되면서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방사되지 못하고 측면으로 새는 빛을 투과 또는 반사시켜 상기 조도센서(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반사체(165)와, 상기 상부 반사체(165)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반사체(165)를 통과하면서 다시 반사된 빛을 상기 조도센서(131)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반사체(16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반사체(166) 역시 상기 제1반사부재(16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렌즈부(151)와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반사체(165)는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방출되지 못하고 측방향으로 투과되어 상기 조도센서(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렌즈부(151)의 법선방향으로 투과면(165)이 형성된다.
상기 투과면(165)은 복수개의 상기 투과면(165)이 계단형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투과면(165)은 각각 동일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지만, 상기 투과면(165)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수직방향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과면(165)이 오목하게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과면(165)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과면(165)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제1렌즈부(151)를 향하여 반사되지만, 일부 상기 상부 반사체(165)의 하방으로 반사되는 빛은 상기 하부 반사체(166)에 의하여 상기 조도센서(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반사체(166)에 형성되는 반사면은 상기 상부 반사체(165)에 형성되는 상기 투과면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보다 수직 방향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렌즈부(153)는 상기 근접센서(133)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렌즈부(15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렌즈부(153)와 상기 제1렌즈부(151) 사이에는 상기 제3렌즈부(155)가 배치되고, 상기 제3렌즈부(155)의 하측에는 상기 조도센서(131)가 배치된다.
상기 제2렌즈부(153)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은 평면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2렌즈부(153)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2렌즈부(153)의 상측으로 입사되는 반사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속시켜 입사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제2렌즈부(153) 주변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록하게 돌출되는 상기 제2렌즈부(153)를 향하여 빛을 반사하는 또 다른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53)의 하면과 상기 근접센서(133) 사이에는 제1공기층(158)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기층(158)은 상기 제2렌즈부(153)의 볼록한 곡면을 통과하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하여 입사된 빛의 전반사를 유도하여 상기 근접센서(133)의 감지에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3렌즈부(155)는 상기 조도센서(131)의 상부에서 반사빛이 유입되는 유입홀(156)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홀(156)은 도파관 구조로 형성되어 빛의 전반사를 유도하며, 상기 제3렌즈부(155)는 상기 유입홀(156) 내부를 통하여 상기 조도센서(131)로 빛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입홀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 기구물로부터 그림자가 형성되어 조도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면 단부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홀의 상단부 및 상기 유입홀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기 제3렌즈부는 상기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홀의 하단부는 상기 조도센서와 대향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홀의 하단부의 평면과 상기 조도센서 사이에는 빛의 전반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제2공기층(15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렌즈부(155)를 통하여 유입된 반사광은 상기 한 쌍의 조도센서(131)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부(151) 내지 제3렌즈부(155)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고, 투명한 중합체(重合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부(151) 내지 제3렌즈부(155)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코폴리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피그먼트 왁스, 폴리에스트 및 아마이드 레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며, 약 200℃ 이상의 고온에서 견디도록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100)의 작용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전반사부(150) 상에서 빛의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발광소자(111)로부터 발하는 빛이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상측 방향으로 발산된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151)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은 상기 제1반사부재(161)에 전반사되어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방출되며, 방출되지 못한 일부 빛이 직접적으로 상기 조도센서(131) 또는 근접센서(13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반사부재(164)가 빛을 투과 및 반사시켜 상기 제1렌즈부(151)로 방출하거나 전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렌즈부(151) 내지 제3렌즈부(155)를 포함하는 상기 전반사부(15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이에 따른 제작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1렌즈부(151)를 통하여 발산된 빛은 피검출물에서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13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수광부(130)에서 감지된 반사광을 토대로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게된다.
상기 수광부(130)로 반사광이 유입됨에 있어서, 피검출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상기 제2렌즈부(153)를 통하여 집광되어 상기 근접센서(133)로 유입되고, 또한 상기 제3렌즈부(155)를 통하여 상기 조도센서(131)로 유입된다.
상기 제2렌즈부(153)를 통하여 유입된 반사광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2렌즈부(153)로부터 집광되어 상기 근접센서(133)로 굴절되도록 입사되고, 상기 제2렌즈부(153)의 하면과 상기 근접센서(13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공기층(158)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전반사로 인하여 상기 제2렌즈부(153) 이외의 구조를 통해 입사되는 빛은 전반사시켜 상기 근접센서(133)의 감지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렌즈부(155)가 상기 커버부(14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빛을 수렴함으로써 상기 커버부(140)의 그림자 등으로 상기 조도센서(131)의 일 측에만 빛이 입사되어 조도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렌즈부(155)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홀(156)은 도파관 구조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3렌즈부(155)로부터 유입된 반사광이 상기 도파관 구조 내부에서 전반사되며 이는 입사되는 반사광의 방향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한 쌍의 조도센서(131)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110 : 발광부
111 : 발광소자 120 : 본체부
130 : 수광부 131 : 조도센서
133 : 근접센서 140 : 커버부
150 : 전반사부 151, 153, 155 : 렌즈부
161, 164 : 반사부재

Claims (15)

  1. 발광소자가 마련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복수개의 조도센서 및 근접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의 반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직접적으로 상기 수광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발광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1렌즈부와, 상기 수광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근접센서로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는 제2렌즈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제1렌즈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및 상기 발광소자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제1렌즈부 방향으로 전반사시켜 상기 조도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렌즈부의 법선방향으로 투과면이 마련되는 상부 반사체와 상기 상부 반사체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투과면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반사체에 반사된 빛이 상기 조도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반사체를 포함하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전반사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를 탑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사체는,
    상기 제1렌즈부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의 각도에 대향하여 상기 투과면이 계단 형상으로 패턴 형성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상부로부터 반사광이 유입되는 도파관 구조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된 빛이 복수개의 상기 조도센서에 모두 미치도록 오목렌즈 형상의 제3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입홀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 기구물로부터 그림자 영향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면 단부 높이까지 연장 형성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하단부에는,
    상기 조도센서와 대향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의 하단부와 상기 조도센서 사이에서 전반사를 유도하는 제2공기층이 형성되는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15. 삭제
KR1020110089087A 2011-09-02 2011-09-02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KR10126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87A KR101264377B1 (ko) 2011-09-02 2011-09-02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87A KR101264377B1 (ko) 2011-09-02 2011-09-02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53A KR20130025653A (ko) 2013-03-12
KR101264377B1 true KR101264377B1 (ko) 2013-05-14

Family

ID=4817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087A KR101264377B1 (ko) 2011-09-02 2011-09-02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495B1 (ko) * 2015-04-13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822A (ja) * 2006-06-07 2007-12-20 Sharp Corp 光学式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8082878A (ja) 2006-09-27 2008-04-10 Seiko Epson Corp 照度測定装置、及び照度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822A (ja) * 2006-06-07 2007-12-20 Sharp Corp 光学式エンコー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8082878A (ja) 2006-09-27 2008-04-10 Seiko Epson Corp 照度測定装置、及び照度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53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549B1 (ko) 광 센서
TWI397867B (zh) 用於偵測器、散射輻射偵測器之輻射導引部
US20160377762A1 (en) Proximity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805301B2 (ja) 光電子装置
US20090009348A1 (en) Photoelectric smoke sensor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300950B (zh) 触摸感测系统中的光学耦合
JP2008028025A5 (ko)
CN102066909B (zh) 光学测量构件以及用于执行反射测量的方法
US8969784B2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optical devices thereof
RU2363073C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птический детектор, выполненный с помощью светоди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банкнот
US20200256990A1 (en) Proximity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64377B1 (ko) 광학식 조도 측정장치
JP6323057B2 (ja) 光電センサ
US20230393407A1 (en) Optical mouse and light pipe thereof
JP5465452B2 (ja) 光ファイバ型光電センサの本体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型光電センサ
JP5128232B2 (ja) 反射型光電センサ
JP2013201226A (ja) 発光装置
JP2009016698A (ja) フォトリフレクタ
US10520422B2 (en) Optical micro-particles detector
JP2011044125A (ja) 光学装置
TWI811557B (zh) 光學感測模組
JP6334324B2 (ja) 光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8085153A (ja) 反射型フォトインタラプタ
CN219417211U (zh) 一种快速响应的红外气体传感器
US11886649B2 (en) Optical navig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