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72Y1 -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 Google Patents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72Y1
KR200485072Y1 KR2020160001925U KR20160001925U KR200485072Y1 KR 200485072 Y1 KR200485072 Y1 KR 200485072Y1 KR 2020160001925 U KR2020160001925 U KR 2020160001925U KR 20160001925 U KR20160001925 U KR 20160001925U KR 200485072 Y1 KR200485072 Y1 KR 200485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crew
frame
adjusting screw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606U (ko
Inventor
정지성
Original Assignee
정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성 filed Critical 정지성
Priority to KR2020160001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7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4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05Y2800/353Frames; Posts fixed
    • E05Y2800/358Frames; Posts fixed vertical frame member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7Length, width or depth adjustment
    • E05Y2800/372Telescop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를 출입구 등에 시공함에 있어서, 창호의 양측(좌우) 외곽 세로틀 사이의 폭과 출입구 등의 폭 사이의 사이즈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범위 내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외곽 세로틀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창호(2)의 외곽 가로틀(3)에 조립되는 제1 세로틀(10),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출입(出入) 가능하도록 제1 세로틀(10)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제2 세로틀(20), 제1 세로틀(10)의 내측 또는 제2 세로틀(20)의 내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11 또는 21)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되는 너트부재(30), 제2 세로틀(20) 또는 제1 세로틀(10)에 형성된 나사삽입공(22 또는 1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30)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40), 및 제2 세로틀(20) 또는 제1 세로틀(10)에 대한 조절나사(40)의 회전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고;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에 부가하여 조절나사(40)의 나사부(42)의 끝단에 추가나사머리(43)6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나사(40)의 추가나사머리(43)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세로틀(10) 또는 제2 세로틀(20)에는 추가나사머리(43)로의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진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나사(40)의 회전에 따라,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변화됨으로써,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정도가 조절되어, 전체의 폭(W)이 조절된다.

Description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Width Adjustable External Vertical Frame of Window or Door}
본 고안은 창호용 외곽 세로틀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호를 출입구 등에 시공함에 있어서, 창호의 양측(좌우) 외곽 세로틀 사이의 폭과 출입구 등의 폭 사이의 사이즈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범위 내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외곽 세로틀에 관한 것이다.
현관에는 원래의 출입문에 더하여 방충문과 같은 추가의 문(창호)을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예를 들어 출입문이 설치된 현관에는 출입문에 인접하여 해충 차단과 경우에 따라 방범의 기능을 겸하는 접이식 방충문이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출입구 등에 방충문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방충문의 부품들을 충분히 긴 사이즈로 제작하여 시공 현장에 공급하면, 시공 현장에서는 해당 출입구의 사이즈에 맞게 부품들을 절단하고 조립하여 설치하는 '현장맞춤식 시공방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고, 출입구의 사이즈를 사전에 측정하고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방충문을 제작하여 시공 현장에 공급하면, 시공 현장에서는 단지 방충문을 설치만 하는 시공방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전자의 '현장맞춤식 시공방법'은, 방충문의 사이즈를 현장 출입구에 꼭 맞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자가 시공 현장에서 절단과 조립 등의 번잡한 작업을 실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후자의 시공 방법은 방충문의 설치를 위해 작업자가 현장을 적어도 2회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런 이유로, 공장에서 미리 방충문을 제작하되, 가장 보편적인 출입구의 표준화된 사이즈에 최대한 근접한 몇 가지 표준 사이즈로 방충문을 미리 제작하여 두고, 시공 현장에서는 해당 출입구에 가장 맞는 사이즈의 방충문을 선택하여 그대로 설치만 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방충문을 출입구 등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현장맞춤식 시공방법을 제외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방충문의 사이즈와 출입구의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발생할 수 있고, 작업자는 출입구의 사이즈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의 방충문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밖에 없으며, 이럴 경우 방충문의 좌우 외곽 세로틀과 출입구의 양측 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기 마련이고, 시공 작업자는 실리콘 등의 실링제를 사용하여 틈새를 메워 마무리 하게 되는 바, 이렇게 실리콘 등으로 틈새를 메우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가능한 그 틈새가 좁은 것을 선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 창호의 좌우 폭을 조절하거나 창호가 설치되는 문틀의 좌우 폭을 조절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일부 제안되어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867416호의 '폭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및 대한민국 특허 제10-1101287호의 '문선 또는 창선을 통한 폭 조절 및 교체 가능한 문틀 또는 창틀' 등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방충문과 같은 창호를 출입구 등에 시공함에 있어서, 창호와 출입구 등의 사이즈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범위 내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외곽 세로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은, 제1 세로틀, 제2 세로틀, 너트부재, 조절나사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로틀은, 창호의 외곽 가로틀에 조립된다.
상기 제2 세로틀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출입(出入)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세로틀에 끼워맞춤 조립된다.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1 세로틀의 내측 또는 상기 제2 세로틀의 내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2 세로틀 또는 상기 제1 세로틀에 형성된 나사삽입공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세로틀 또는 상기 제1 세로틀에 대한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좌우 이동을 구속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은,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나사와 상기 너트부재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1 세로틀과 상기 제2 세로틀 사이의 출입정도가 조절되어, 전체의 폭이 조절된다.
상기 제2 세로틀의 세로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삽입공은 상기 오목홈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나사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머리는 상기 오목홈에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재로는,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제2 세로틀 또는 상기 제1 세로틀에 구속하는 고정핀과, 상기 제2 세로틀 또는 상기 제1 세로틀의 내면과 상기 너트부재 사이의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세로틀과 상기 제2 세로틀이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머리에 부가하여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부의 끝단에 추가나사머리를 더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조절나사의 상기 추가나사머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 세로틀 또는 상기 제2 세로틀에는 상기 추가나사머리로의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진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이 적용된 창호를 현관의 출입구 등에 시공할 경우에,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대한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결합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세로틀과 상기 제2 세로틀 사이의 출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세로틀과 상기 제2 세로틀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창호의 양측 외곽 세로틀의 폭을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창호의 양측 외곽 세로틀 사이의 폭과 창호가 설치되는 출입구의 폭 사이의 사이즈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창호의 시공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이 적용되는 예시적인 방충문의 개략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너트부재, 조절나사 및 고정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작용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에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너트부재, 조절나사 및 고정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2 구체예의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작용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작용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4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작용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제5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5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의 작용 단면도,
도11은 높이조절커버의 작용을 보여주는 방충분의 부분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을 아니다.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각종 창호(출입문이나 창문)에서 좌우의 외곽에 사용되는 세로 방향 외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부재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각종 건물의 신축과 함께 제작되고 설치되는 맞춤형의 창호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출입구에 현관문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후에 부가적으로 출입구에 방충문(2)을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기존의 출입구에 추가로 설치되는 창호(2)의 외곽 세로틀로 특히 적합하다.
도1에 예시된 구체예는, 출입문이 설치된 현관 출입구의 벽(4: 도4) 사이에 추가로 설치되는 방범기능을 겸한 방충문(2)에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을 적용한 예이다.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제1 세로틀(10), 제2 세로틀(20), 너트부재(30), 조절나사(40) 및 고정부재(5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1 세로틀(10)은 창호(2)의 외곽 가로틀(3)에 조립되고, 상기 제2 세로틀(20)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출입(出入) 가능하도록 제1 세로틀(10)에 끼워맞춤 조립된다.
상기 너트부재(30)는, 이하의 제1 구체예 내지 제3 구체예 및 제5 구체예(도1 내지 도7 및 도9 내지 도10)와 같이 제1 세로틀(10)의 내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11)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되거나, 또는 이하의 제4 구체예(도8)에서와 같이 제2 세로틀(20)의 내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21)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 조절나사(40)는, 이하의 제1 구체예 내지 제3 구체예 및 제5 구체예(도1 내지 도7 및 도9 내지 도10)에서와 같이 제2 세로틀(20)에 형성된 나사삽입공(2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재(30)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이하의 제4 구체예(도8)에서와 같이 제1 세로틀(10)에 형성된 나사삽입공(1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3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이하의 제1 구체예 내지 제3 구체예 및 제5 구체예(도1 내지 도7 및 도9 내지 도10)에서와 같이, 제2 세로틀(20)에 대한 조절나사(40)의 회전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거나, 또는 이하의 제4 구체예(도8)에서와 같이 제1 세로틀(10)에 대한 조절나사(40)의 회전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좌우 이동을 구속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에 의해 조절나사(40)의 회전에 따라,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가변(조절) 됨으로써,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정도가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전체의 폭(W)이 조절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여러 구체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구체예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1 세로틀(10), 제2 세로틀(20), 너트부재(30), 조절나사(40) 및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로틀(10)은 도시되지 않은 연결구를 사용하여 방충문(2: 창호)의 외곽 가로틀(3)에 세로로 조립(연결)되는 세로방향의 골격 프레임으로서, 제1 세로틀(10)에는 내측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11)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구체예의 제1 세로틀(10)은, 대략 단면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이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형상과 소재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2 세로틀(20)은 제1 세로틀(10)과 협력하여 전체적으로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을 형성하는 골격 프레임으로서, 일정 범위 내에서 출입(出入) 가능하도록 제1 세로틀(10)과 끼워맞춤 조립된다.
도시된 제1 구체예에서의 제2 세로틀(20)은, 세로부(20a)의 상하에 가로부(20b)를 형성함으로써 좌측이 개방된 대략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한 예이고,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형상과 소재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2 세로틀(20)의 세로부(20a)에는 나사삽입공(22)을 형성하되, 가이드(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3)을 형성하고, 오목홈(23)에 나사삽입공(2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오목홈(23)과 나사삽입공(22)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은,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끼워맞춤 조립된다. 예를 들어, 제2 세로틀(20)의 좌측 입구를 형성하는 상하의 가로부(20b)의 좌단 양측에 내측으로 접힌 걸림턱(24)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세로틀(10)의 우단 양측에 외측으로 접힌 걸림턱(1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측면에서 제2 세로틀(20)의 안으로 제1 세로틀(10)을 끼워 넣어 상호 조립한 상태에서, 제1 세로틀(10)의 우단이 제2 세로틀(20)의 내측 우단에 닿게 되는 위치까지 제1 세로틀(10)은 제2 세로틀(20)의 안에 최대한 깊게 삽입될 수 있고(도4의 B), 제1 세로틀(10)의 걸림턱(14)이 제2 세로틀(20)의 걸림턱(24)에 걸리는 위치까지 제1 세로틀(10)은 제2 세로틀(20)의 안에 최대한 얕게 삽입될 수 있다(도4의 A).
결국,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의 출입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조립구조에 의하면,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의 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전체 폭(W)은, 최대한 얕게 삽입된 최장 폭의 범위(도4의 A)로부터 최대한 깊게 삽입된 최단 폭(도4의 B)의 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시공 환경에서의 창호의 사이즈와 창호가 설치되는 출입구의 사이즈 차이는, 많아야 30mm 정도를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 가능한 최대 길이(W1)를 대략 15mm 내지 20mm 정도가 되게 설정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1개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로 0mm에서 15mm 내지 20mm의 범위로 폭(W)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면,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을 좌우 양측에 적용한 방충문(2)의 경우 0mm 내지 30mm 또는 0mm 내지 40mm의 범위(W1*2)에서 창호(2)의 전체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너트부재(30), 조절나사(40) 및 고정부재(50)는, 끼워맞춤 조립된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을 원하는 폭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구체예에서, 상기 너트부재(30)는, 제1 세로틀(10)의 가이드(11)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고, 가이드(11)에 삽입된 너트부재(30)는 가이드(11)에서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고 회전되지는 못한다. 너트부재(30)에는 조절나사(40)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구체예에서의 가이드(11)는, 제1 세로틀(10)의 내부에 상하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의 슬릿(11a)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고, 너트부재(30)는 슬릿(11a)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너트부재(30)는 슬릿(11a)을 따라 상하로만 이동되고 회전되지는 못하게 된다.
상기 조절나사(40)는, 나사삽입공(2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부(42)가 너트부재(30)의 나사공(31)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제2 세로틀(20)의 세로부(20a)에는 가이드(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을 따라 오목홈(23)을 형성하고, 나사삽입공(22)을 오목홈(23)에 형성함으로써, 나사삽입공(22)에 장착된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가 오목홈(23) 내에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나사머리(41)가 제2 세로틀(20)에서 벽(4) 쪽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인한 틈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조절나사(40)가 나사삽입공(22)에 삽입되고 나사머리(41)가 오목홈(23)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나사부(42)에 장착되는 고정핀(51)을 적용할 수 있으며, 나사머리(41)와 고정핀(51) 사이에 제2 세로틀(20)의 세로부(20a)가 구속되면서, 나사삽입공(22)에 삽입된 조절나사(40)는 회전은 자유롭지만 좌우로는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로 제2 세로틀(20)에 구속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너트부재(30)에 제1 세로틀(10)이 구속되고 조절나사(40)에 제2 세로틀(20)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은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끼워맞춤 조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나사머리(41)의 나사머리홈(41a)에 삽입하여 조절나사(40)를 회전하면,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변화되고, 결국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전체의 폭(W)이 조절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예시적인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조절나사(40)를 제2 세로틀(20)의 오목홈(23)에 형성된 나사삽입공(22)에 끼우고 나사부(42)에 고정부재(50)로서의 고정핀(51)을 장착한 후에, 나사부(42)의 적당한 위치까지 너트부재(30)를 나사 결합하고, 다음에, 제2 세로틀(20)의 상하에서 제1 세로틀(10)을 끼워 맞추며, 이때 너트부재(30)가 제1 세로틀(10)의 가이드(11)인 슬릿(11a)에 삽입되게 하여 제2 세로틀(20)과 제1 세로틀(10)을 조립한다.
너트부재(30), 조절나사(40) 및 고정부재(50)의 세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문 등의 일측 외곽 세로틀을 형성하는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의 조립체에 대해, 예를 들어 '상하' 2곳이나 '상중하' 3곳에 적용할 수 있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절나사(40)를 회전하면,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변화되고, 이로써 너트부재(30)에 구속된 제1 세로틀(10)과 조절나사(40)에 구속된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정도를 최대한 깊게 삽입된 상태와 최대한 낮게 삽입된 상태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전체적인 폭(W)을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이 적용된 방충문 등을 출입구 등에 설치할 때에는, 방충문이 출입구에 꼭 맞게 끼워져서 가능한 한 틈새가 없게 되도록, 드라이버 등으로 상하 또는 상중하의 조절나사(40)를 조이고 풀어서, 방충문(2)의 폭을 조절하고, 폭이 조절된 방충문(2)을 출입구에 끼워 장착한 다음에, 필요하다면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의 중첩 부위에 걸쳐서, 그리고 외곽 세로틀(1)과 출입구의 벽(4)에 걸쳐서, 예를 들어 나사못 등을 체결하여, 사이즈 확정된 방충문(2)을 출입구에 견고하게 고정한 후에, 실리콘 등으로 남아 있는 틈새를 마감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출입구의 벽(4)은 예를 들어 하단에 걸레받이 등이 부착된 것 등을 이유로, 벽의 상단과 하단의 폭이 약간 다를 수 있는바, 이와 같은 폭 차이는 상하 또는 상중하에 위치하는 조절나사(40)의 나사결합깊이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균일하지 않은 출입구 벽의 상태에 맞게 방충문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구체예
본 고안에 따른 제2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로서 제1 구체예의 고정핀(51)을 대신하여 탄성부재(52)를 적용한 예이며, 나머지 구성은 제1 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구체예에서, 탄성부재(52)는 제2 세로틀(20)의 세로부(20a)의 내면과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부(42)에 삽입되며,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이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도시된 구체예는 탄성부재(52)로서 압축스프링을 적용한 예이다.
고정부재(50)로 탄성부재(52)를 적용한 제2 구체예의 경우, 너트부재(30)에 제1 세로틀(10)이 구속되고 조절나사(40)에 제2 세로틀(20)이 탄성부재(52)에 의해 탄성적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은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끼워맞춤 조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로 조절나사(40)를 회전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변화되고, 결국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전체의 폭(W)이 조절된다.
제2 구체예의 경우에, 탄성부재(52)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이 서로 가까워지는 쪽으로 가해지면,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조절된 폭이 의도하지 않게 좁아질 수 있으나, 외력이 사라지면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조절된 폭으로 원상 복귀되고, 이와 같은 외력에 의한 일시적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의 폭 변화는 방충문(2)의 시공에 불편을 주지 아니하며, 오히려 벽(4)에 방충문(2)을 탄성적으로 삽입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 구체예
본 고안에 따른 제3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로틀(10)에 형성된 가이드(11)로서, 제1 구체예의 슬릿(11a) 대신에, 제1 세로틀(10)의 내부에 상하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돌기(11b)를 형성하고, 두껍게 형성한 너트부재(30)의 양측면에 각각 요홈(30a)을 형성하는 한편, 요홈(30a)에 돌기(11b)가 삽입되게 상하방향에서 너트부재(30)를 제1 세로틀(10) 내로 삽입하면, 너트부재(30)가 돌기(11b)를 따라 상하로만 이동되고 회전되지는 못하게 한 예이다.
또한, 제3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고정부재(50)로서 고정핀(51)과 탄성부재(52) 양자 모두를 적용한 예이다. 고정핀(51)과 탄성부재(52)를 함께 적용하면, 고정핀(51)이 조절나사(40)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켜주면서, 탄성부재(52)가 폭 조절된 상태의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을 탄성적으로 유지시켜서, 시공 과정에서 가이드(11)와 너트부재(30)에 존재하는 유격으로 인한 흔들림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3 구체예의 창호용 외각 세로틀(1)에서, 가이드(11)와 고정부재(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1 내지 도4의 제1 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4 구체예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제1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창호(2)의 외곽 가로틀(3)이 조립되는 제1 세로틀(10)에 가이드(11)를 형성하고 제2 세로틀(20)에 나사삽입공(22)을 형성하고 있으나, 제4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로틀(20)에 형성한 가이드(21: 예, 슬릿)에 너트부재(30)를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하는 한편, 제1 세로틀(10)에 나사삽입공(12)을 형성하여 조절나사(40)가 나사삽입공(1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30)에 나사 결합되게 한 예이다.
제4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에서는, 조절너트(30)에 제2 세로틀(20)이 구속되고 조절나사(40)에 제1 세로틀(10)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은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끼워맞춤 조립된다.
제4 구체예에서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는 벽(4) 쪽이 아닌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나사머리(41)의 돌출을 피하기 위한 제1 구체예에서 제2 세로틀(20)에 형성한 오목홈(23)과 같은 홈을 제1 세로틀(10)에는 굳이 형성할 필요가 없다.
제4 구체예의 창호용 외각 세로틀(1)에서,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에 대해 너트부재(30)와 조절나사(40)를 반대로 설치한 것에 관련된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도1 내지 도4의 제1 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5 구체예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구체예들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가 벽(4)에 접하는 제2 세로틀(20)의 우측에 위치하여 벽(4) 쪽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나사머리(41)의 나사머리홈(41a)에 삽입하여 조절나사(40)를 회전시켜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를 조절하는 구체예들이고, 도8의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가 제1 세로틀(10)의 좌측에 위치하여 벽(4) 쪽이 아닌 내측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조절나사(40)를 회전시켜 조절나사(40)와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를 조절하는 구체예인바, 도9와 도10에 도시된 제5 구체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벽(4) 쪽과 내측의 양쪽 모두에서 조절나사(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체예이다.
도8에 도시된 제5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도, 도1 구체예 등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창호(2)의 외곽 가로틀(3)에 조립되는 제1 세로틀(10),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출입 가능하도록 제1 세로틀(10)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제2 세로틀(20), 제1 세로틀(10)의 내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11)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되는 너트부재(30), 제2 세로틀(20)에 형성된 나사삽입공(2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30)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40), 및 제2 세로틀(20)에 대한 조절나사(40)의 회전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제5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은, 조절나사(40)에 구비된 원래의 나사머리(41)에 더하여 나사부(42)의 끝단에 추가의 나사머리(43: 이하, '추가나사머리'라 함)가 더 형성되어 있고, 조절나사(40)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세로틀(10)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추가나사머리(43)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진입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머리(41)는 조절나사(40)가 제2 세로틀(20)에 대해 좌우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도록 나사삽입공(22)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하지만, 추가나사머리(43)의 경우는 너트부재(30)의 나사공(31)에 나사부(42)가 나사 결합되어야 하고 나사머리(41)에서와 같은 구속의 작용이 필요 없으므로, 단지 나사부(42)의 끝단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삽입되는 나사머리홈(43a)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너트부재(30)를 나사부(42)에 나사체결한 후에 나사부(42)의 끝에 추가나사머리(43)를 너트부재(30)의 나사공(3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너트부재(30)가 추가나사머리(43) 쪽으로도 나사부(4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도9 및 도10의 구체예와 같이,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을 끼워맞춤 조립함에 있어서, 앞서 다른 구체예에 적용하였던 걸림턱(14, 24)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제2 세로틀(20)의 상하 가로부(20b) 중에 상측의 가로부(20b)를 하측의 가로부(20b) 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제2 세로틀(20) 내에 끼워 맞춤된 제1 세로틀(10)이 제2 세로틀(20) 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9와 도10의 구체예는, 고정부재(50)로서 고정핀(51)과 탄성부재(52)를 모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나, 어느 하나만을 적용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가이드(11)로서, 제1 세로틀(10)에 형성한 슬릿(11a)을 적용하고 있으나 돌기(11b)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8의 제4 구체예와 같이, 제2 세로틀(20)에 가이드(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5 구체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이 적용된 방충문(2) 등을 출입구 등에 설치할 때에는, 나사머리(41) 쪽에서 나사머리홈(41a)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방충문(2)이 출입구의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나사(40)를 조이고 풀어서 방충문(2)의 폭을 1차적으로 조절하고, 1차적으로 폭이 조절된 방충문(2)을 출입구에 끼워 장착한 다음에, 방충문의 폭 조절이 불충분한 경우에 드라이버를 진입공(13)을 통해 접근시켜 다시 추가나사머리(43) 쪽에서 나사머리홈(43a)에 삽입하여 추가로 조절나사(40)를 조이고 풀어서 방충문(2)의 폭을 2차적으로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제1 세로틀(10)과 제2 세로틀(20)의 중첩 부위에 걸쳐서, 그리고 외곽 세로틀(1)과 출입구의 벽(4)에 걸쳐서 예를 들어 나사못 등을 체결하여, 사이즈 확정된 방충문(2)을 출입구에 견고하게 고정한 후에, 실리콘 등으로 남아 있는 틈새를 마감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시공이 완료된 후의 진입공(13)은 도시되지 않는 마감캡을 끼워서 마무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외곽 세로틀(1)이 적용된 창호(2)에는, 도1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가로틀(3)의 상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커버(60)를 적용할 수 있다.
높이조절커버(60)는, 아래로 개방된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외곽 가로틀(3)에 위로부터 끼워맞춤 조립된다.
따라서, 창호(2)가 설치되는 출입구의 상하의 벽 사이의 사이즈에 맞게 높이조절커버(70)와 외곽 가로틀(3)의 끼워맞춤의 출입정도를 조절한 후에, 높이조절커버(70)와 외곽 가로틀(3)에 걸쳐 예를 들어 나사못 등을 체결하여, 방충문(2)의 상하 사이즈를 출입구의 사이즈에 맞춘 다음에, 실리콘 등으로 남아 있는 틈새를 마감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창호(2)의 상하 외곽 가로틀(3) 사이의 폭과 출입구 등의 상하 폭 사이의 사이즈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창호를 시공할 수 있다.
1: 본 고안의 창호용 외곽 세로틀 2: 창호(방충문)
3: 외곽 가로틀 10: 제1 세로틀
11, 21: 가이드 11a: 슬릿
11b: 돌기 12, 22: 나사삽입공
13: 진입공 14, 24: 걸림턱
20: 제2 세로틀 20a: 세로부
20b: 가로부 23: 오목홈
30: 너트부재 30a: 홈
31: 나사공 40: 조절나사
41: 나사머리 41a, 43a: 나사머리홈
42: 나사부 43: 추가나사머리
50: 고정부재 51: 고정핀
52: 탄성부재 60: 높이조절커버

Claims (4)

  1. 창호(2)의 외곽 가로틀(3)에 조립되는 제1 세로틀(10),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출입(出入)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세로틀(10)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제2 세로틀(20),
    상기 제1 세로틀(10)의 내측 또는 상기 제2 세로틀(20)의 내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11 또는 21)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고 회전되지 않게 설치되는 너트부재(30),
    상기 제2 세로틀(20) 또는 상기 제1 세로틀(10)에 형성된 나사삽입공(22 또는 12)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재(30)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40), 및
    상기 제2 세로틀(20) 또는 상기 제1 세로틀(10)에 대한 상기 조절나사(40)의 회전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부재(5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에 부가하여 상기 조절나사(40)의 나사부(42)의 끝단에 추가나사머리(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나사(40)의 상기 추가나사머리(43)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 세로틀(10) 또는 상기 제2 세로틀(20)에는 상기 추가나사머리(43)로의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진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나사(40)와 상기 너트부재(3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1 세로틀(10)과 상기 제2 세로틀(20) 사이의 출입정도가 조절되어, 전체의 폭(W)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로틀(20)의 세로부(20a)에 상하방향을 따라 오목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홈(23)에 상기 나사삽입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삽입공(22)에 삽입된 상기 조절나사(40)의 나사머리(41)는 상기 오목홈(23) 내에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조절나사(40)의 나사부(42)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나사(40)를 제2 세로틀(20) 또는 상기 제1 세로틀(10)에 구속하는 고정핀(51), 및 상기 제2 세로틀(20) 또는 상기 제1 세로틀(10)의 내면과 상기 너트부재(30) 사이의 상기 나사부(4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세로틀(10)과 상기 제2 세로틀(20)이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2) 중에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4. 삭제
KR2020160001925U 2016-04-08 2016-04-08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KR200485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25U KR200485072Y1 (ko) 2016-04-08 2016-04-08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25U KR200485072Y1 (ko) 2016-04-08 2016-04-08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06U KR20170003606U (ko) 2017-10-18
KR200485072Y1 true KR200485072Y1 (ko) 2017-11-24

Family

ID=6040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25U KR200485072Y1 (ko) 2016-04-08 2016-04-08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7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430A (ja) * 2000-07-03 2002-01-23 Two Four Technical Kk 建具幅調節装置
JP2005155125A (ja) * 2003-11-25 2005-06-16 Ryoichi Kinoshi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991Y2 (ko) * 1974-07-23 1981-05-23
JPS5890979U (ja) * 1981-12-15 1983-06-20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建具の建付調整装置
JPH0712612Y2 (ja) * 1991-12-19 1995-03-29 三幸商事株式会社 戸または窓のための枠の取付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430A (ja) * 2000-07-03 2002-01-23 Two Four Technical Kk 建具幅調節装置
JP2005155125A (ja) * 2003-11-25 2005-06-16 Ryoichi Kinoshi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06U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8791A1 (en) Door assembly
KR20190020378A (ko)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KR200485072Y1 (ko)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ITMI980233U1 (it) Dispositivo di montaggio di un meccanismo a tapparella avvolgibile in una configurazione nuova o di ristrutturazione
KR101674343B1 (ko)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JP5085884B2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20170030298A (ko) 폭 조절 가능한 창호용 외곽 세로틀
KR20160006395A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내측 마감재
KR102260557B1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20200002649U (ko) 보호펜스
KR101855697B1 (ko) 건물 외벽용 조립식 패널의 마감재 설치구조
ITUB20154888A1 (it) Soluzione per il fissaggio reciproco di parti componenti di un sistema di chiusura, in particolare per infissi
KR102233497B1 (ko) 문틈 간격 조절 장치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JPH038787Y2 (ko)
JP3294831B2 (ja) 上げ下げ障子の吊りワイア調節装置
JP6851912B2 (ja) 建具
KR101561266B1 (ko) 방범방충창
KR20230151656A (ko) 시공이 편리한 문틀 조립체
JPH0144872B2 (ko)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EP4234876A1 (en) A method for installing a sunshade in a light opening of a building element, and a building element
JPS6041404Y2 (ja) 建具の戸首幅調節装置
JP2546620B2 (ja) 建物用窓
KR20180028283A (ko) 리모델링용 외부 몰딩과 기존 창호 틀을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