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49U - 보호펜스 - Google Patents

보호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649U
KR20200002649U KR2020190002181U KR20190002181U KR20200002649U KR 20200002649 U KR20200002649 U KR 20200002649U KR 2020190002181 U KR2020190002181 U KR 2020190002181U KR 20190002181 U KR20190002181 U KR 20190002181U KR 20200002649 U KR20200002649 U KR 202000026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fence
fastening part
connection exten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373Y1 (ko
Inventor
김정모
Original Assignee
김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모 filed Critical 김정모
Priority to KR2020190002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7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8Children's play- pens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기 상부 체결부 및 상기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펜스{PROTECTING FENCE}
본 고안은 보호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 유아가 있거나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펜스가 설치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보호 펜스는 단순히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구역을 구분하는 칸막이로써의 역할에 제한되어 이용되는 실정이다.
종래 보호용 펜스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보호하고 보호자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을 구비하고 있지만,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의 출입문이 유아 또는 애완동물에 의해서도 개방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일반 가정에서 설치하기에는 보호펜스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보호용 펜스는 보호펜스를 설치한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지나갈 수 있는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간편하게 가정에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설치가 요구되는 공간의 폭에 따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보호펜스가 설치된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지나갈 수 있는 틈새가 없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기 상부 체결부 및 상기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부는, 상기 제1 나사봉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체결홀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나사봉의 외주면에 억지끼움할 수 있도록 상측 혹은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연장부는, 상부 체결부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 연장부와, 하부 체결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 연장부와, 상부 연결 연장부 및 하부 연결 연장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장부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장부는,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신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상부 연결 연장부 및 하부 연결 연장부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봉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기둥과 상기 보조펜스 사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간편하게 가정에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설치가 요구되는 공간의 폭에 따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보호펜스가 설치된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지나갈 수 있는 틈새가 없는 보호펜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펜스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호펜스를 벽에 설치한 결합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가 결합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결합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도 6(c)는 상부 체결부 또는 하부 체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보조펜스의 연결 연장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나사봉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10)는 본체 프레임(20)과, 힌지부(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20)에 결합된 출입문(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중앙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21)는 출입문(40)에 의해서 개폐된다. 본체 프레임(20)은 출입문(40)에 구비된 제1잠금부(60)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잠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잠금부(60)와 제2잠금부(80)이 서로 체결된 경우 출입문(40)은 개방부(21)를 폐쇄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사각 단면 금속재 또는 합성 수지재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본체 프레임(20)이 배치된 장소에 본체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벽(2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 프레임(20)의 양단에 고정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90)는 본체 프레임(20)의 좌측 단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1고정부재(90a)와, 좌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2고정부재(90b)와, 우측 단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3고정부재(90c)와, 우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4고정부재(90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펜스(10)를 양단 벽(200)에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본체 프레임(20)의 좌측 단부의 상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22a), 좌측 단부의 하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22b), 우측 단부의 상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장부(22c),우측 단부의 하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4연장부(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90a)는 제1연장부(22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재(90b)는 제2연장부(22b)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고정부재(90c)는 제3연장부(22c)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4고정부재(90c)는 제4연장부(22d)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연장부(22a)와 제2연장부(22b)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지지기둥(24a), 제3연장부(22c)와 제4연장부(22d)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지지기둥(2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개방부(21)의 내측으로 힌지고정 프레임(26)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0)는 출입문(40)을 회전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고정 프레임(26)에 연결될 수 있다.
출입문(40)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출입문 프레임(42)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 프레임(42)의 상부 일측이 힌지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타측이 제1잠금부(60)에 의해서 본체 프레임(20)에 체결된다. 출입문 프레임(42)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안전기둥(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펜스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호펜스를 벽에 설치한 결합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고정부재(90a) 내지 제4고정부재(90d)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고정부재(90a)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90a)는, 본체 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나사봉(92)과, 나사봉(92)의 끝단에 결합되어 벽면(200)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94)과, 나사봉(92)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본체 프레임(20)의 단부에 밀착되는 너트부재(96)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봉(92)은 본체 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면까지 신장할 수 있다.
나사봉(92)을 본체 프레임(20)의 단부(22)에 형성되는 구멍(23)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부재(96)를 회전시키면 너트부재(96)와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봉(92)과의 나사산 작용에 의해 너트부재(96)가 지지판(9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94)이 보호펜스(10)를 설치하기 위한 벽에 강한 압력으로 밀착된다. 즉, 고정부재(90)를 본체프레임(20)의 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부재(96)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보호펜스가 벽 사이의 공간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90)를 이용하여 벽 사이에 보호펜스(10)가 고정되었으나, 보호펜스(10)의 너비 길이에 비하여 양 벽 사이의 길이가 길어 고정부재(90a, 90b)를 본체 프레임(20)의 구멍(23)에 조금만 삽입하여 너트부재(94)로 고정한 경우 도 3의 A 영역과 같이 고정부재들(90a, 90b) 사이에 비어있는 틈새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 공간을 통하여 유아나 애완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10)는 보조펜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가 결합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결합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보조펜스(100)는 본체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1 보조펜스(100a) 및 우측에 설치되는 제2 보조펜스(10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펜스(100a) 및 제2 보조펜스(100b)는 각각 한 개로만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둘 중 하나는 한 개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조펜스(100a) 및 제2 보조펜스(100b)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 제1 보조펜스(100a)를 대표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조펜스(100a)는 제1나사봉(92a)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101a)와, 제2나사봉(92b)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102a)와,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나사봉(92a) 및 제2나사봉(92b)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공간을 막을 수 있다.
제1 보조펜스(100a)와 유사하게 제2 보조펜스(100b)는 제3고정부재(90c)의 제3나사봉(미도시)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미도시)와, 제4고정부재(90d)의 제4나사봉(미도시)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미도시)와,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부 체결부(101a)는 제1나사봉(92a)의 나사산(92aa)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01aa)을 포함하는 너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 체결부(102a)는 제2나사봉(92b)의 나사산(92bb)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02aa)을 포함하는 너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보호펜스(10)가 설치된 경우 보호펜스(10)의 제1연장부(22a)의 단부로 부터 보조펜스(100)까지의 길이를 L로 설정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상부 체결부(101a)의 체결홀(101aa)로 제1나사봉(92a)를 삽입하고 체결홀(101aa)을 통과한 제1 나사봉(92a)의 길이가 제1나사봉(92a)의 단부로부터 L이 되도록 세팅한다. 이후 제1나사봉(92a)을 제1연장부(22a)의 구멍(23) 내측으로 나사 결합하여 체결한다. 이후에 보호펜스(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거치한 후에 제1나사봉(92a)를 구멍(23)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지지판(94a)를 벽면에 밀어서 지지한다. 벽면에 보호펜스(10)가 설치된 후에 보조펜스(100)와 보호펜스(10)의 제1연장부(22a) 사이의 길이는 L로 세팅된다.
도 6(a), 도 6(b), 도 6(c)는 상부 체결부 또는 하부 체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 6(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는 나사봉(92a, 92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는 나사봉(92a, 92b)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상측으로 개구된 상측 개구부(104)를 포함하는 상측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는 나사봉(92a, 92b)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측방으로 개구된 측방 개구부(105)를 포함하는 측방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나사봉(92a, 92b)를 제1연장부(22a)의 구멍(23)에 삽입한 후에도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를 나사봉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보조펜스(100)의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는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체결부는 너트 형상, 상측 개구 형상, 측방 개구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하부 체결부는 너트 형상, 상측 개구 형상, 측방 개구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는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보조펜스의 연결 연장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보조펜스(100)의 연결 연장부(103a)는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3a)를 연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일체된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연장부(103a)의 재질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파이프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보조펜스(100)의 연결 연장부(103a)는 상부 체결부(101a)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 연장부(103a-1)와, 하부 체결부(102a)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 연장부(103a-2)와,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를 연결하는 중간 연장부(103a-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장부(103a-3)는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파이프와 같이 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중간 연장부(103a-3)는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연장부(103a)는 원통 형상, 사각 형상, 다각 형상 등과 같이,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수직하게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나사봉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나사봉(92)의 길이방향으로 나사봉의 외주면에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 예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나사봉의 머리(920)로부터 소정의 제1 길이(L1) 동안 나사봉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개방 영역(921)이 형성된 일 예이다. 이 경우 나사봉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921)에 상부 체결부 혹은 하부 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된 폐쇄 영역(922)은 구멍(2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개방 영역(921)의 길이(L1)은 폐쇄 영역(922)의 길이(L2)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나사봉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923) 및 나사산이 형성된 폐쇄 영역(924)이 서로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부 체결부가 너트 형상인 경우 개방 영역(921) 혹은 폐쇄 영역(922)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부/하부 체결부가 상측 개구 형상 혹은 측방 개구 형상인 경우 폐쇄 영역(922) 보다는 개방 영역(921)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영역(923)의 길이(L3)은 폐쇄 영역(924)의 길이(L4)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10)은 스페이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스페이서 바디부(301)와, 바디부(301)의 일측에 구비되어 보조펜스(100)에 체결되는 스페이서 좌측 체결부(302)와, 바디부(301)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 지지기둥(24a)에 체결되는 스페이서 우측 체결부(30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부(301)는 보조펜스(100)와 제1지지기둥(24a) 사이의 틈을 가릴 수 있도록 사이의 틈보다 긴 너비를 가지며, 유아 혹은 애완동물이 뛰어 넘을 수 없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부(301)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보조펜스(100)의 길이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 좌측 체결부(302) 및 스페이서 우측 체결부(303)은 상측 개구 형상을 가지거나, 측방 개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조펜스(100) 및 제1지지기둥(24a)에 직접적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스페이서(300)의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탄성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를 설치함으로써, 보조펜스(100)의 이동을 방지하고, 사이의 틈새로 유아 혹은 애완동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기 상부 체결부 및 상기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는 보호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부는, 상기 제1 나사봉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체결홀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나사봉의 외주면에 억지끼움할 수 있도록 상측 혹은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연장부는, 상부 체결부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 연장부와, 하부 체결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 연장부와, 상부 연결 연장부 및 하부 연결 연장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장부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장부는,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신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상부 연결 연장부 및 하부 연결 연장부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봉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기둥과 상기 보조펜스 사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펜스.
KR2020190002181U 2019-05-28 2019-05-28 보호펜스 KR200493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81U KR200493373Y1 (ko) 2019-05-28 2019-05-28 보호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81U KR200493373Y1 (ko) 2019-05-28 2019-05-28 보호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49U true KR20200002649U (ko) 2020-12-08
KR200493373Y1 KR200493373Y1 (ko) 2021-03-17

Family

ID=7378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81U KR200493373Y1 (ko) 2019-05-28 2019-05-28 보호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897B1 (ko) * 2020-06-25 2023-03-06 김정모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KR20230138217A (ko) 2022-03-23 2023-10-05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펜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89U (ja) * 2005-09-06 2005-12-08 宣毅 中村 ベビーフェンス
JP2016174634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屋内用フェンス
KR101745271B1 (ko) * 2016-07-14 2017-06-09 김옥일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215B1 (ko) 1990-11-30 1999-05-01 요시다 쇼오지 서방성 안구삽입용 약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89U (ja) * 2005-09-06 2005-12-08 宣毅 中村 ベビーフェンス
JP2016174634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屋内用フェンス
KR101745271B1 (ko) * 2016-07-14 2017-06-09 김옥일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2018년 12월 5일, 인터넷: < URL: https://bodring9.blog.me/221412777095 >* *
네이버 블로그, 2018년 9월 27일,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ssbill/221366583473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73Y1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373Y1 (ko) 보호펜스
KR101709447B1 (ko) 도어용 손낌 방지형 힌지 장치
KR20170057942A (ko)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US7452011B1 (en) Safety latch apparatus
US20080116333A1 (en) Supporting rod assembly structure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US7389573B2 (en) Method of retrofit installation of a portable swimming pool barrier fence
US6893007B2 (en) Safety fence
KR101562365B1 (ko)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US20170292325A1 (en) Barrier gate pressure fit extension mechanism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2506897B1 (ko)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101392369B1 (ko) 안전도어
KR20170004184A (ko) 방범방충창
KR20090081872A (ko) 도어스토퍼
KR101369469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160020856A (ko) 방범방충창
KR102233497B1 (ko) 문틈 간격 조절 장치
KR101561266B1 (ko) 방범방충창
KR200144934Y1 (ko)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0754411B1 (ko) 건축물의 유아보호형 난간
US20230258018A1 (en) Non-conductive tensioned safety barrier system
US20200232273A1 (en) Removable mesh screen for a door gate
KR20160023479A (ko) 미닫이식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