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897B1 -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 Google Patents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897B1
KR102506897B1 KR1020200077917A KR20200077917A KR102506897B1 KR 102506897 B1 KR102506897 B1 KR 102506897B1 KR 1020200077917 A KR1020200077917 A KR 1020200077917A KR 20200077917 A KR20200077917 A KR 20200077917A KR 102506897 B1 KR102506897 B1 KR 10250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rotation unit
attachment member
fixing
protectiv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27A (ko
Inventor
김정모
Original Assignee
김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모 filed Critical 김정모
Priority to KR102020007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8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부를 포함하는 보조펜스 및 보조펜스에 부착되어 애완동물의 월담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PROTECTIVE FENCE WITH ROTATING MEMBER}
본 발명은 보호펜스 및 보호펜스 회전식 부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보호펜스에 부착함으로써 고양이, 다람쥐 등과 같은 애완동물의 재도약을 방지함으로써 월담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 유아가 있거나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펜스가 설치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 보호 펜스는 단순히 어린이 또는 애완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구역을 구분하는 칸막이로써의 역할에 제한되어 이용되는 실정이다.
종래 보호용 펜스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보호하고 보호자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을 구비하고 있지만,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의 출입문이 유아 또는 애완동물에 의해서도 개방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일반 가정에서 설치하기에는 보호펜스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보호용 펜스는 보호펜스를 설치한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지나갈 수 있는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보호펜스는 미닫이 방식으로 종래의 문짝이 설치된 장소 또는 문짝이 없는 통로 등에 설치하게 된다. 문짝이 설치된 장소에 보호펜스를 설치하는 경우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출입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호펜스가 문짝의 프레임 전체를 가리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문짝이 없는 통로의 경우 문짝의 상부 프레임자체가 부재한 경우가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월담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펜스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월담을 차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최근 애완동물의 종류가 전에 비하여 다양 해졌으나, 강아지와 고양이는 오래전부터 사람과 가까운 애완동물로 키워져 왔다.
강아지나 고양이를 실내에서 키우는 경우 일정 공간에 머물도록 하여야 하는데, 특히, 고양이의 경우 몸이 유연하고 자신의 키보다 높은 곳으로 도약하는 능력을 갖추어 공간의 통제가 용이하지 않다.
고양이는 거의 모든 포유류와 같이 7개의 경추를 가지고 있으며, 13개의 흉추, 7개의 요추, 3개의 천추를 가지며 맹크스를 제외하고는 22개나 23개의 미추를 가진다. 이러한 골격의 특징으로 인해(여분의 요추와 천추) 고양이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보다 향상된 척추 운동성과 유연성을 가진다. 미추는 꼬리를 형성하며, 고양이의 빠른 운동시에 몸의 균형을 잡는 데 이용된다. 또한 고양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쇄골을 가지고 있어서 어떠한 공간이라도 머리만 들어간다면 몸이 지나는 게 가능하다.
특히,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 중에는 고양이가 창밖을 내려다보면 나가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고양이에게 창밖이란 인간이 TV를 시청하는 것처럼, 밖에 보이는 새와 곤충들을 보면서 안에서 할 수 없는 사냥 욕구를 창밖을 보면서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고양이가 나가고 싶어 한다고 착각하여 밖에 나가 놀게 해준다면, 영역 동물인 고양이는 낯선 환경의 외부세계에 대해 긴장감이 높아지고, 예민해지기 오히려 스트레스를 야기한다고 하며, 때문에, 만약 이러한 문제가 있는 고양이가 있다면 외부세계의 호기심을 집 안에서 풀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고양이와 마찬가지로 월담 능력이 뛰어나고, 자신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에 민감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적당한 개방감을 제공하면서도 월담을 방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가정에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가 요구되는 공간의 폭에 따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펜스가 설치된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지나갈 수 있는 틈새가 없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펜스에 부착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월담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펜스 회전식 부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펜스의 폭에 따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호펜스 회전식 부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기 상부 체결부 및 상기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체결부는, 상기 제1 나사봉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체결홀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나사봉의 외주면에 억지끼움할 수 있도록 상측 혹은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봉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연장부는, 상부 체결부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 연장부와, 하부 체결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 연장부와, 상부 연결 연장부 및 하부 연결 연장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장부는,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신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상부 연결 연장부 및 하부 연결 연장부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기둥과 상기 보조펜스 사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보호펜스에 부착하기 위한 회전식 부착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시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마찰감소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호간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는 상기 고정부를 보호펜스의 일측에 결합하기 위해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보조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기 상부 체결부 및 상기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는 보호펜스와 상기 보호펜스의 상부에 부착되되,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부착부재를 포함한 보호펜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가정에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가 요구되는 공간의 폭에 따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호펜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호펜스가 설치된 경우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지나갈 수 있는 틈새가 없는 보호펜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펜스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호펜스를 벽에 설치한 결합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가 결합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결합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도 6(c)는 상부 체결부 또는 하부 체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보조펜스의 연결 연장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나사봉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펜스에 부착하기 위한 회전식 부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회전식 부착부재에 구비된 회전부의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마찰감소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회전식 부착부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안화 한 것으로, 회전부,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1 고정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지지프레임, 제2 고정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펜스에 회전식 부착부재를 결합하는 모습과 결합이 완료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보호펜스에 비하여 회전식 부착부재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적용하기 위한 보조 회전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보조 회전부와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부착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의 회전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10)는 본체 프레임(20)과, 힌지부(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20)에 결합된 출입문(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중앙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21)는 출입문(40)에 의해서 개폐된다. 본체 프레임(20)은 출입문(40)에 구비된 제1잠금부(60)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잠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잠금부(60)와 제2잠금부(80)이 서로 체결된 경우 출입문(40)은 개방부(21)를 폐쇄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사각 단면 금속재 또는 합성 수지재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본체 프레임(20)이 배치된 장소에 본체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벽(2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 프레임(20)의 양단에 고정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90)는 본체 프레임(20)의 좌측 단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1고정부재(90a)와, 좌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2고정부재(90b)와, 우측 단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3고정부재(90c)와, 우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4고정부재(90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펜스(10)를 양단 벽(200)에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본체 프레임(20)의 좌측 단부의 상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22a), 좌측 단부의 하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장부(22b), 우측 단부의 상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장부(22c),우측 단부의 하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4연장부(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90a)는 제1연장부(22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재(90b)는 제2연장부(22b)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고정부재(90c)는 제3연장부(22c)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4고정부재(90c)는 제4연장부(22d)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연장부(22a)와 제2연장부(22b)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지지기둥(24a), 제3연장부(22c)와 제4연장부(22d)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지지기둥(2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개방부(21)의 내측으로 힌지고정 프레임(26)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0)는 출입문(40)을 회전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고정 프레임(26)에 연결될 수 있다.
출입문(40)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출입문 프레임(42)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 프레임(42)의 상부 일측이 힌지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타측이 제1잠금부(60)에 의해서 본체 프레임(20)에 체결된다. 출입문 프레임(42)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안전기둥(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펜스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호펜스를 벽에 설치한 결합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고정부재(90a) 내지 제4고정부재(90d)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고정부재(90a)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90a)는, 본체 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나사봉(92)과, 나사봉(92)의 끝단에 결합되어 벽면(200)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94)과, 나사봉(92)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본체 프레임(20)의 단부에 밀착되는 너트부재(96)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봉(92)은 본체 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면까지 신장할 수 있다.
나사봉(92)을 본체 프레임(20)의 단부(22)에 형성되는 구멍(23)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부재(96)를 회전시키면 너트부재(96)와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봉(92)과의 나사산 작용에 의해 너트부재(96)가 지지판(9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94)이 보호펜스(10)를 설치하기 위한 벽에 강한 압력으로 밀착된다. 즉, 고정부재(90)를 본체프레임(20)의 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부재(96)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보호펜스가 벽 사이의 공간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90)를 이용하여 벽 사이에 보호펜스(10)가 고정되었으나, 보호펜스(10)의 너비 길이에 비하여 양 벽 사이의 길이가 길어 고정부재(90a, 90b)를 본체 프레임(20)의 구멍(23)에 조금만 삽입하여 너트부재(94)로 고정한 경우 도 3의 A 영역과 같이 고정부재들(90a, 90b) 사이에 비어있는 틈새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 공간을 통하여 유아나 애완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10)는 보조펜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가 결합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펜스(100)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결합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보조펜스(100)는 본체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1 보조펜스(100a) 및 우측에 설치되는 제2 보조펜스(10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펜스(100a) 및 제2 보조펜스(100b)는 각각 한 개로만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둘 중 하나는 한 개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조펜스(100a) 및 제2 보조펜스(100b)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 제1 보조펜스(100a)를 대표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조펜스(100a)는 제1나사봉(92a)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101a)와, 제2나사봉(92b)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102a)와,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나사봉(92a) 및 제2나사봉(92b)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공간을 막을 수 있다.
제1 보조펜스(100a)와 유사하게 제2 보조펜스(100b)는 제3고정부재(90c)의 제3나사봉(미도시)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미도시)와, 제4고정부재(90d)의 제4나사봉(미도시)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미도시)와,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부 체결부(101a)는 제1나사봉(92a)의 나사산(92aa)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01aa)을 포함하는 너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 체결부(102a)는 제2나사봉(92b)의 나사산(92bb)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02aa)을 포함하는 너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보호펜스(10)가 설치된 경우 보호펜스(10)의 제1연장부(22a)의 단부로 부터 보조펜스(100)까지의 길이를 L로 설정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상부 체결부(101a)의 체결홀(101aa)로 제1나사봉(92a)을 삽입하고 체결홀(101aa)을 통과한 제1 나사봉(92a)의 길이가 제1나사봉(92a)의 단부로부터 L이 되도록 세팅한다. 이후 제1나사봉(92a)을 제1연장부(22a)의 구멍(23) 내측으로 나사 결합하여 체결한다. 이후에 보호펜스(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거치한 후에 제1나사봉(92a)를 구멍(23)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지지판(94a)을 벽면에 밀어서 지지한다. 벽면에 보호펜스(10)가 설치된 후에 보조펜스(100)와 보호펜스(10)의 제1연장부(22a) 사이의 길이는 L로 세팅된다.
도 6(a), 도 6(b), 도 6(c)는 상부 체결부 또는 하부 체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 6(a)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는 나사봉(92a, 92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b)을 참조하면,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는 나사봉(92a, 92b)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상측으로 개구된 상측 개구부(104)를 포함하는 상측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는 나사봉(92a, 92b)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측방으로 개구된 측방 개구부(105)를 포함하는 측방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나사봉(92a, 92b)을 제1연장부(22a)의 구멍(23)에 삽입한 후에도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2a)를 나사봉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보조펜스(100)의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는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체결부는 너트 형상, 상측 개구 형상, 측방 개구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하부 체결부는 너트 형상, 상측 개구 형상, 측방 개구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는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보조펜스의 연결 연장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보조펜스(100)의 연결 연장부(103a)는 상부 체결부(101a) 및 하부 체결부(103a)를 연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일체된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연장부(103a)의 재질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파이프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보조펜스(100)의 연결 연장부(103a)는 상부 체결부(101a)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 연장부(103a-1)와, 하부 체결부(102a)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 연장부(103a-2)와,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를 연결하는 중간 연장부(103a-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장부(103a-3)는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파이프와 같이 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중간 연장부(103a-3)는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연결 연장부(103a-1) 및 하부 연결 연장부(103a-2)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연장부(103a)는 원통 형상, 사각 형상, 다각 형상 등과 같이,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수직하게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나사봉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나사봉(92)의 길이방향으로 나사봉의 외주면에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 예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나사봉의 머리(920)로부터 소정의 제1 길이(L1) 동안 나사봉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개방 영역(921)이 형성된 일 예이다. 이 경우 나사봉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921)에 상부 체결부 혹은 하부 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된 폐쇄 영역(922)은 구멍(2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개방 영역(921)의 길이(L1)는 폐쇄 영역(922)의 길이(L2)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나사봉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개방 영역(923) 및 나사산이 형성된 폐쇄 영역(924)이 서로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부 체결부가 너트 형상인 경우 개방 영역(921) 혹은 폐쇄 영역(922)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부/하부 체결부가 상측 개구 형상 혹은 측방 개구 형상인 경우 폐쇄 영역(922) 보다는 개방 영역(921)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영역(923)의 길이(L3)는 폐쇄 영역(924)의 길이(L4)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펜스(10)는 스페이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스페이서 바디부(301)와, 바디부(301)의 일측에 구비되어 보조펜스(100)에 체결되는 스페이서 좌측 체결부(302)와, 바디부(301)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 지지기둥(24a)에 체결되는 스페이서 우측 체결부(30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부(301)는 보조펜스(100)와 제1지지기둥(24a) 사이의 틈을 가릴 수 있도록 사이의 틈보다 긴 너비를 가지며, 유아 혹은 애완동물이 뛰어 넘을 수 없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부(301)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보조펜스(100)의 길이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 좌측 체결부(302) 및 스페이서 우측 체결 부(303)은 상측 개구 형상을 가지거나, 측방 개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조펜스(100) 및 제1지지기둥(24a)에 직접적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스페이서(300)의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탄성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를 설치함으로써, 보조펜스(100)의 이동을 방지하고, 사이의 틈새로 유아 혹은 애완동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펜스에 부착하기 위한 회전식 부착부재(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펜스에 부착하기 위한 회전식 부착부재(400)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회전부(410), 상기 회전부(410)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410)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보호펜스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보호펜스는 일반적인 출입문, 개폐가 불가한 고정식 펜스 등 애완동물 또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설치된 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출입문의 상부에 부착되어 함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애완동물은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 다람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양이를 예로 들면, 몸 길이의 약 4-5배에 달하는 높이까지 도약이 가능하다. 고양이의 경우 앞발이 닿는 정도 높이의 보호펜스를 넘어갈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고양이가 약 1-1.5 미터의 보호펜스를 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앞발로 보호펜스의 상단부를 밟은 후 몸을 웅크리고, 뒷발로 다시 보호펜스의 상단부를 밟아 재도약하는 방식으로 월담을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고양이를 비롯하여 다람쥐 등의 경우도 월담을 하기 위하여 보호펜스의 최상단면을 밟아 재도약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고양이의 월담 방법과 유사하다.
고양이의 경우 약 2미터를 넘나드는 높이의 보호펜스를 넘나들 수 있으므로, 고양이의 월담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보호펜스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문 전체를 가릴 수 있는 보호펜스가 구비되어야 한다. 보호펜스를 높이는 것만으로 고양이 등의 월담을 방지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부착부재(400)를 보호펜스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낮은 높이의 보호펜스만으로도 고양이 등의 월담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양이의 경우 월담을 위해서 앞발이 상단부를 밟을 수 있도록 도약할 수 있는 높이를 확인하고 도약(점프)하게 되는데, 이때 상단부에 구비된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고양이의 재도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고양이가 재도약을 할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회전부(410)의 회전이 원활히 일어나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 1미터 내지 1미터 50센티미터의 보호펜스에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회전식 부착부재(400)를 부착하고, 고양이의 월담가능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충분한 도약 높이에 이르러 앞발을 회전식 부착부재(400)에 놓은 후에 2차 발구름을 시도하였으나, 월담을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2차 도약을 위해 보호펜스의 상단에 설치된 회전부(410)를 밟은 경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충분한 2차 도약이 불가하게 되어 고양이는 수차례의 도약에도 불구하고 보호펜스 너머로 월담을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회전부(410)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시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마찰감소 유닛(41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회전식 부착부재(400)에 구비된 회전부(410)의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마찰감소 유닛(413)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부착부재의 양단에는 마찰감소 유닛(413)(베어링)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마찰감소 유닛(413)은 구체적으로 중심부에 연결핀(510) 등의 고정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베어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중심부에 연결핀(510)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중심홀을 구비한 마찰감소 유닛(413)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410)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431) 및 제2 고정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회전식 부착부재(4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안화 한 것으로, 회전부(410), 제1 고정부(431), 제2 고정부(432), 제1 고정부(431)와 결합되기 위한 제1 지지프레임(443), 제2 고정부(432)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지지프레임(441)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제1 고정부(431)는 제1 지지프레임(443)과 결합하고, 제2 고정부(432)는 제2 지지프레임(441)과 결합하여 독립적으로 회전부(410)의 마찰감소 유닛(413)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호간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443) 또는 제2 지지프레임(441)은 사각기둥, 원기둥 등 다각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이 다른 지지프레임으로 인입,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부(410)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수축, 신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상기 고정부를 보호펜스의 일측에 결합하기 위해 브릿지(451, 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브릿지(451, 452)를 통하여 보호펜스에 회전식 부착부재(400)를 결합하는 모습과 결합이 완료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펜스의 상부에 회전식 부착부재(400)가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브릿지(451, 45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브릿지(451, 452)와 보호펜스 상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회전식 부착부재(400)를 보호펜스의 상단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회전식 부착부재(400)가 보호펜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보호펜스의 출입문이 개폐될 때, 회전식 부착부재(400) 역시 함께 개폐되도록 구비되므로, 보호자 등이 보호펜스를 통하여 지나갈 때 회전식 부착부재(400)가 보호자 등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부착부재(400)의 회전부(410)에 고양이 등의 하중이 그대로 실리지 않고, 매우 작은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회전식 부착부재(400)에 결합된 브릿지(451, 452)는 보호펜스의 상단에 나사 및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브릿지(451, 452) 이외에 회전식 부착부재(400)의 하중을 유지할 수 있는 부착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400)는 상기 회전부(410)와 결합되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보조 회전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보호펜스에 비하여 회전식 부착부재(4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적용하기 위한 보조 회전부(420)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보호펜스에 비하여 회전식 부착부재(400)의 길이가 짧은 경우라면 보조 회전부(420)를 통해 보호펜스의 너비에 맞추어 회전식 부착부재(400)의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여 보호펜스의 상부에 빈틈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보호펜스와 회전부(410)의 너비 차(S2)를 보조 회전부(420)가 메꿔주므로 보호펜스의 전체 너비를 모두 차단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월담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보조 회전부(420)와 회전부(4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회전부(410)와 보조 회전부(420)는 연결핀(510)에 의하여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핀(510)이 회전부(410) 또는 보조 회전부(420)쪽으로 치우쳐 이탈하지 않도록 중심에 걸림턱을 형성한 연결핀(51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핀의 단부와 걸림턱 사이의 거리는 보조 회전부(420) 길이의 약 1/4 내지 1/2 의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정부로부터 돌출된 고정핀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보조 회전부(420)와 회전부(410)의 고속 회전시 핀이 회전부와 보조 회전부의 회전축에서 이탈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전부(410)는 고양이 등의 발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바람개비 형태의 날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봉 또는 스크류봉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부착부재(400)에 결합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의 회전부(4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홈이 구비된 나선형의 스크류봉 형식의 회전부(450)의 홈은 고양이의 발톱 등에 의한 회전이 발생할 수 있도록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마찰감소 유닛(413)이 베어링 등으로 적용되어 작은 힘에도 회전부(4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라면 홈이 없는 민무늬 회전부 또는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민무니 봉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는 보호펜스과 보호펜스의 상부에 부착되되, 회전부(410)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410)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부착부재(400)를 포함한 보호펜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보호펜스 시스템의 경우 통로의 너비에 맞추어 설치하는 경우 고양이 등 상당한 높이로 도약할 수 있는 애완동물의 월담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보호펜스 시스템은 지상면에 밀착되도록 기립하여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른 높이로 제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펜스 시스템의 높이는 약 1미터, 1.2미터, 1.3미터, 1.4미터, 1.5미터, 1.6미터, 1.7미터, 1.8미터, 1.9미터 또는 2.0미터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개방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본체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단부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나사봉 및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봉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와, 상기 상부 체결부 및 상기 하부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 연장부로 구성된 보조펜스를 포함하는 보호펜스에 있어서, 상기 보호펜스는 상기 보호펜스의 상부에 부착되되,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회전부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보조 회전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지지프레임, 상기 제2 고정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호간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상기 출입문 일측에 결합하기 위해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부착부재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보조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보조 회전부는 바람개비 형태의 날개 형상이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보조 회전부는 연결핀에 의하여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연결핀은 중심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핀의 단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조 회전부 길이의 1/4 내지 1/2 의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시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마찰감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77917A 2020-06-25 2020-06-25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KR10250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17A KR102506897B1 (ko) 2020-06-25 2020-06-25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17A KR102506897B1 (ko) 2020-06-25 2020-06-25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7A KR20220000227A (ko) 2022-01-03
KR102506897B1 true KR102506897B1 (ko) 2023-03-06

Family

ID=7934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17A KR102506897B1 (ko) 2020-06-25 2020-06-25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8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89B2 (ja) 1990-11-30 2000-12-11 千寿製薬株式会社 徐放性眼内埋込み用製剤
KR101651866B1 (ko) * 2016-03-10 2016-08-29 손경열 월담 방지구를 갖는 애완동물용 울타리
JP2016174634A (ja)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屋内用フェンス
KR101745271B1 (ko) 2016-07-14 2017-06-09 김옥일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
KR200493373Y1 (ko) * 2019-05-28 2021-03-17 김정모 보호펜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89U (ja) * 2005-09-06 2005-12-08 宣毅 中村 ベビーフェンス
KR20190001508U (ko) * 2017-12-12 2019-06-20 이준홍 안전 펜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89B2 (ja) 1990-11-30 2000-12-11 千寿製薬株式会社 徐放性眼内埋込み用製剤
JP2016174634A (ja)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屋内用フェンス
KR101651866B1 (ko) * 2016-03-10 2016-08-29 손경열 월담 방지구를 갖는 애완동물용 울타리
KR101745271B1 (ko) 2016-07-14 2017-06-09 김옥일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
KR200493373Y1 (ko) * 2019-05-28 2021-03-17 김정모 보호펜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2018년 12월 5일, 인터넷: < URL: https://bodring9.blog.me/221412777095 >
네이버 블로그, 2018년 9월 27일,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ssbill/2213665834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7A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832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US8616531B2 (en) Pivoting fencing apparatus and fencing system
US20060236952A1 (en) Portable animal playpen
US20080277638A1 (en) Cat confinement fence
JP2006042792A5 (ko)
CA2680032A1 (en) Barrier mounted animal containment apparatus
CA3069443A1 (en) Pet guide platform for a pet door opening
US20170254110A1 (en) Fence slat and fence slat locking system
KR200478622Y1 (ko) 어린이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 어셈블리
KR102506897B1 (ko) 회전식 부착부재가 구비된 보호펜스
US20090211716A1 (en) Adjustable width stairwell child safety gate
KR200493373Y1 (ko) 보호펜스
US9121208B2 (en) Unclimbable child barrier
US6190082B1 (en) Babygate quad lock system
US8074969B2 (en) Reconfigurable gate
US20190032399A1 (en) Adjustable-Width Safety Gate Covers
US7111584B2 (en) Kennel
US9683386B1 (en) Portable shelter
WO2017136302A1 (en) Low-profile snake barrier
JP4934877B2 (ja) 小動物の侵入防止設備
US6655321B1 (en) Adapter for converting an animal enclosure into a self encased pet crate
JP4212001B2 (ja) 愛玩動物侵入規制用柵
AU621295B2 (en) Play structures
US20070261316A1 (en) Removable panels for pool enclosures
KR100924386B1 (ko) 경사 침대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