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98Y1 -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98Y1
KR200484998Y1 KR2020160002076U KR20160002076U KR200484998Y1 KR 200484998 Y1 KR200484998 Y1 KR 200484998Y1 KR 2020160002076 U KR2020160002076 U KR 2020160002076U KR 20160002076 U KR20160002076 U KR 20160002076U KR 200484998 Y1 KR200484998 Y1 KR 200484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fixing
piping
bra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705U (ko
Inventor
박길승
Original Assignee
박길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승 filed Critical 박길승
Priority to KR2020160002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9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매설되는 수도배관의 커플러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배관 커플러의 고정 위치를 알맞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관 커플러(10)가 고정되는 커플러 고정부(110)가 좌우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고, 좌우측 양단에는 거푸집(20)에 고정되는 거푸집 고정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좌우의 커플러 고정부(110)와 거푸집 고정부(120) 사이는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130)로 이루어져 배관 커플러(10)와 거푸집(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BRACKET FOR FIXING PIPE COUPLER}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매설되는 수도배관의 커플러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의 전후 길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커플러가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매설되는 위치를 알맞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비롯한 건축물에는 냉수 공급관 및 온수 공급관이 분배기에 연결되고, 분배기에서 욕실, 화장실, 주방 등으로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분배기에서 각 사용처로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수도배관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고, 수도배관에는 수전 연결기구를 매개로 각종 수전이 연결된다.
수도배관은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수도배관을 벽체 내부에 매설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수도배관을 가설된 거푸집에 고정용 브라켓으로 고정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한 후 콘크리트로 벽체를 타설하게 된다.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전은 수도배관과 연결되는 배관 커플러를 통해 수도배관과 연결되는데, 배관 커플러 역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수도배관과 미리 연결되어 벽체 속에 매립 설치되거나, 조적 시공 시 철판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되어 벽체에 설치된다.
이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5가 대표적인데, 이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고정용 브라켓에 대부분 냉수와 온수를 위한 수도배관용 배관 커플러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배관 커플러의 설치 깊이를 조정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고정용 브라켓에서는 이와 같은 설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특히 일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위치의 배관 커플러가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됨으로써 공사기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용 브라켓을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하기도 하지만 현장 상황에 일일이 맞추어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 비규격의 제품이 필요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브라켓의 보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위와 같은 배관 고정작업을 마무리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0224호 '수도배관 고정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5997호 '수도꼭지 연결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1759호 '수도꼭지 연결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9677호 '수도배관 고정구' 한국등록특허 제10-1509645호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에서 커플러의 매설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관 커플러가 고정되는 커플러 고정부가 좌우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고, 좌우측 양단에는 거푸집에 고정되는 거푸집 고정부가 형성된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커플러 고정부와 거푸집 고정부 사이는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로 이루어져 커플러와 거푸집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신축부는 커플러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평행한 슬릿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조절구멍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에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사이에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탄성볼과, 상기 커플러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의 슬릿과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슬릿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에 천공된 암나사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보조슬릿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현장 상황에 맞게 배관 커플러의 매설 위치에 맞게 브라켓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시작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공기를 맞추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하던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길이 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100)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배관 커플러(10)가 고정되는 커플러 고정부(110)가 좌우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고, 좌우측 양단에는 거푸집(20)에 고정되는 거푸집 고정부(120)가 형성된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100)으로, 상기 커플러 고정부(110)와 거푸집 고정부(120) 사이는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130)로 이루어져 배관 커플러(10)와 거푸집(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신축부(130)는 커플러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1)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평행한 슬릿(131)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조절구멍(132)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2)에 상기 슬릿(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133)와, 상기 가이드(133) 사이에 상기 위치조절구멍(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탄성볼(134)과, 상기 커플러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1)의 슬릿(131)과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슬릿(135)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2)에 천공된 암나사구멍(136)에 체결되고 상기 보조슬릿(13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축부(130)의 탄성볼(134)은 하우징(134a) 내부에 스프링(134b)으로 지지되어 있어 외측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위치조절구멍(132)에 끼워지게 되며, 외력을 받게되면 내측으로 함몰되어 위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0)의 길이조절 간격은 상기 위치조절구멍(132)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정해지게 되는데, 위치조절구멍(132) 사이의 간격은 5mm~10mm정도의 간격으로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간편하게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길이로 신축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나사(137)를 조여주게 되면 판체(P1,P2)가 서로 밀착되어 압박되게 되어 외력을 받게 되더라도 조절된 길이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상기 탄성볼(134)을 수용하는 하우징(134a)은 판체(P1)의 측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고, 용접 방식 외에도 요철결합 등 다양한 물리적인 방식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슬릿(131)에 끼워진 가이드(133)는 상기 고정나사(137)와 같은 형태 즉,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어 2개의 판체(P1,P2)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커플러 고정부(110)와 거푸집 고정부(120)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에 사용되는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신축부(130) 또한 그 구체적인 규격과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에 거푸집 고정부(1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13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브라켓(100) 선단의 커플러 고정부(110)에 부착된 배관 커플러(10)의 위치를 현장 상황에 맞게 적정 위치로 세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나사(137)만을 전동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여주는 것에 의해 길이 세팅이 완료되게 되므로 거푸집 내부에의 배관 매설작업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고, 거푸집 내부에 배관 커플러를 매설한 후 후속하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곧바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브라켓의 길이가 현장 상황에 맞지 않아 배관 매설작업을 신속하게 하지 못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배관 커플러
20 : 거푸집
100 :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110 : 커플러 고정부
120 : 거푸집 고정부
130 : 신축부
131 : 슬릿
132 : 위치조절구멍
133 : 가이드
134 : 탄성볼
134a : 하우징
134b : 스프링
135 : 보조슬릿
136 : 암나사구멍
137 : 고정나사
P1,P2 : 판체

Claims (2)

  1. 배관 커플러(10)가 고정되는 커플러 고정부(110)가 좌우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고, 좌우측 양단에는 거푸집(20)에 고정되는 거푸집 고정부(120)가 형성된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100)으로,
    상기 커플러 고정부(110)와 거푸집 고정부(120) 사이는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130)로 이루어져 배관 커플러(10)와 거푸집(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되 상기 신축부(130)는 커플러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1)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평행한 슬릿(131)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조절구멍(132)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2)에 상기 슬릿(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133)와, 상기 가이드(133) 사이에 상기 위치조절구멍(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탄성볼(134)과, 상기 커플러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1)의 슬릿(131)과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슬릿(135)과, 상기 거푸집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판체(P2)에 천공된 암나사구멍(136)에 체결되고 상기 보조슬릿(13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2. 삭제
KR2020160002076U 2016-04-18 2016-04-18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KR200484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76U KR200484998Y1 (ko) 2016-04-18 2016-04-18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76U KR200484998Y1 (ko) 2016-04-18 2016-04-18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05U KR20170003705U (ko) 2017-10-26
KR200484998Y1 true KR200484998Y1 (ko) 2017-11-16

Family

ID=6040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76U KR200484998Y1 (ko) 2016-04-18 2016-04-18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883B1 (ko) * 2021-05-18 2022-02-09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가변형 수전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1801U1 (de) * 2020-04-02 2021-07-05 André Deipenbrock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anitärtechnische Anl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717Y1 (ko) * 2003-02-12 2003-04-26 해성공영주식회사 냉ㆍ온수관의 수전구 고정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24Y1 (ko) 2001-12-28 2002-03-29 임관섭 수도배관 고정구
KR200295997Y1 (ko) 2002-08-28 2002-11-22 임관섭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301759Y1 (ko) 2002-10-23 2003-01-24 임관섭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369677Y1 (ko) 2004-09-08 2004-12-09 임관섭 수도배관 고정구
KR200442184Y1 (ko) * 2006-12-20 2008-10-14 서주광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KR100992051B1 (ko) * 2008-03-14 2010-11-18 현성피엔엠(주)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509645B1 (ko)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717Y1 (ko) * 2003-02-12 2003-04-26 해성공영주식회사 냉ㆍ온수관의 수전구 고정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883B1 (ko) * 2021-05-18 2022-02-09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가변형 수전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05U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891Y1 (ko) 배관 고정구
KR200484998Y1 (ko) 배관 커플러 고정용 브라켓
KR20190008594A (ko) 석재 설치용 앵커볼트 어셈블리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1254151B1 (ko) 수전시공지그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KR100786978B1 (ko) 수관의 벽체 설치 시스템
KR101625368B1 (ko) 설치 호환성을 구비한 수전함 어셈블리
KR200489839Y1 (ko)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101983079B1 (ko) 배관 고정구
KR20100010826U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장치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KR100892784B1 (ko) 배수관 고정장치
KR101991637B1 (ko) 수전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전시공지그
KR200294916Y1 (ko) 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101750424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US1706285A (en) Toilet-fixture support
GB2536777A (en) Fluid device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60044375A (ko) 각도 조절이 간편한 새들 분수전
KR200475926Y1 (ko) 샤워바
KR102644853B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US75968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ink off set from sewer
KR101414729B1 (ko) 건축물의 수전구가 결합된 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2407289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