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97Y1 -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4897Y1 KR200484897Y1 KR2020150005397U KR20150005397U KR200484897Y1 KR 200484897 Y1 KR200484897 Y1 KR 200484897Y1 KR 2020150005397 U KR2020150005397 U KR 2020150005397U KR 20150005397 U KR20150005397 U KR 20150005397U KR 200484897 Y1 KR200484897 Y1 KR 2004848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 screw
- hole
- machine tool
- housing
- sh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28—Means for securing sliding members in any desir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the machine
- B23Q2701/0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for milling machines, their drive, control or gu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가공시 가공물이 안착된 선반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하는 선반의 자체 중량과 속도에 의해 선반이 사용자가 멈추고자 하는 위치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작기계에 장착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가공시 가공물이 안착된 선반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하는 선반의 자체 중량과 속도에 의해 선반이 사용자가 멈추고자 하는 위치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작기계에 장착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이하 모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던가 또는 더욱 정밀한 가공을 추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공작기계는 모재를 가공하는 방식에 따라, 칩(chip)이 발생하는 방식의 절삭가공과 칩이 발생하지 않는 비절삭 방식의 성형가공으로 대별된다. 따라서, 가공 과정 중 칩이 발생하는 공작기계를 절삭공작 기계라 하고, 가공 과정 중 칩이 발생하지 않는 비절삭 공작기계를 성형공작기계라고 한다.
이러한 절삭공작기계는 산업 전반에 걸쳐 자동화 및 수치제어화(Numerical Control)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산업현장의 폭 넓은 수요에 힘입어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작기계는 모재를 가공하기 위해 모재가 안착되는 선반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선반은 볼스크류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반의 위치를 설정된 높이 및 좌우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반이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반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손잡이의 회전을 정지하는데, 이때 선반의 자체 중량과 이동하는 이동속도에 따른 관성으로 인해 선반의 위치가 최초로 사용자가 멈추고자 하는 위치를 벗어남과 동시에 손잡이 및 볼스크류를 회전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모재가 안착된 선반의 위치를 정확하게 이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모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어 불량률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선반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모재의 가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공작기계에 설치된 선반의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여 모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반의 이동속도와 자체 중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 선반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모재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하는 볼스크류에 마찰저항을 가함으로써 선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마찰패드의 불량이나 교체시기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공작기계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모재를 가공하는 본체(20), 상면에 모재가 안착 되며, 상기 본체(20)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결되는 선반(30)을 포함하는 공작기계(M)와 상기 베이스(10)에 안착 되며, 일측이 상기 선반(30)과 결합 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선반(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40)를 포함하는 스크류 하우징(50), 상기 볼스크류(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60)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스크류 하우징(50)에는 상기 스크류 하우징(50)의 상단에 안착 되며, 상기 선반(30)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상기 선반(30)이 상기 볼스크류(40)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볼스크류(40)를 회전시키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스크류(40)의 측면에 일정한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제어수단(1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제어수단(100)은 상기 볼스크류(40)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일측면이 상기 볼스크류(4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턱(112)에 안착되는 마찰패드(120); 상기 마찰패드(120)가 상기 볼스크류(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마찰패드(120)와 접촉되고 타측단이 삽입홀(11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마찰패드(1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볼스크류(4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관통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30)가 상기 관통홀(113)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113)에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30)를 지지하고 상기 관통홀(11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지지판(140); 상기 관통홀(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마찰패드(120)와 상기 볼스크류(40)의 마찰력을 제어하도록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140)을 이동시키는 장력제어핀(150);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회전제어수단(100)은 상기 볼스크류(40)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4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관통홀(113')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일측면이 상기 볼스크류(4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턱(112')에 안착되고 , 타측면에 상기 관통홀(1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21)가 돌출 형성되는 마찰패드(120'); 상기 관통홀(113')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이동하도록 상기 관통홀(1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판(140'); 일측단이 상기 고정돌기(121)와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판(140')에 접촉되어 상기 마찰패드(120')가 상기 볼스크류(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0'); 상기 관통홀(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마찰패드(120')와 상기 볼스크류(40)의 마찰력을 제어하도록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140')을 이동시키는 장력제어핀(150'); 상기 마찰패드(120')가 마모되어 상기 고정돌기(121)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121)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마찰패드(120')의 마모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마모측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모측정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측면을 따라 지지턱(211)이 돌출 형성되는 노출핀(210)과 상기 지지턱(211)에 안착되어 상기 노출핀(210)을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관통홀(113')과 연통 되며 상기 노출핀(210)이 삽입되는 노출핀 관통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21)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노출핀(210)의 하단과 접촉되는 경사돌기(300)가 형성되며, 상기 마찰패드(120')가 마모되어 상기 볼스크류(4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노출핀(210)의 하단이 상기 경사돌기(300)의 경사면에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노출핀(210)의 일측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반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선반의 자체 중량에 의해 선반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음으로 모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어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볼스크류를 가압하는 마찰패드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선반의 중량 및 이동속도에 따라 볼스크류의 회전저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가압패드의 마모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공작기계와 공작기계에 장착된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공작기계와 공작기계에 장착된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공장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는 공작기계(M)의 이동수단에 설치된다. 공작기계(M)는 지면에 안착되며 공작기계(M)를 지지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본체(2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20)에는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본체(20)에 체결되는 선반(30)이 형성되고, 베이스(10)에는 선반(30)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40)를 포함하는 스크류 하우징(50)이 형성된다.
즉, 볼스크류(40)는 일측이 선반(30)과 결합되고, 타측이 베이스(10)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선반(30)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20)에는 볼스크류(40)를 회전시켜 선반(3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레버(6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공작기계(M)의 이동수단의 스크류 하우징(50)에는 볼스크류(40)의 회전을 저지하여 선반(30)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선반(30)이 상기 볼스크류(4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100)이 형성된다.
회전제어수단(100)은 스크류 하우징(50)의 상면에 안착되며, 볼스크류(40)의 측면에 일정한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회전제어수단(100)과 볼스크류(40) 상호간에 발생하는 마찰계수는 선반(30)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레버(6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회전레버(60)을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반(3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선반(30)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볼스크류가 회전하여 선반(30)이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반(3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볼스크류에도 회전제어수단(100)이 형성되면, 회전제어수단(100)이 볼스크류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선반(3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선반(30)의 이동에 의한 관성력에 의해 선반(30)이 정지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반(30)에 안착된 모재를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회전제어수단(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전제어수단(100)은 하우징(110), 마찰패드(120) 및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스크류 하우징(50)의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중앙에 볼스크류(4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1)이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110)의 내측면에는 하우징(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된다.
마찰패드(120)는 하단이 안착턱(112)에 안착되어 볼스크류(40)와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되, 일측면이 볼스크류(40)와 접촉되면서 볼스크류(40)와 상호간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찰패드(120)는 볼스크류(40)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인, 구리, 주석, 황동 및 청동 등을 혼합한 합금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패드(120)는 볼스크류(40)와의 마찰로 인해 접촉면이 점차적으로 마모되며, 일정두께 이상 마모되면 새로운 마찰패드(120)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일측면이 마찰패드(120)와 접촉되고 타측면이 삽입홀(1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패드(1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로인해 마찰패드(120)가 볼스크류(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마찰패드(120)가 볼스크류(40)를 가압하면 마찰패드(120)와 볼스크류(40) 상호간에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에는 볼스크류(4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관통홀(113)은 하우징(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홀(111)과 하우징(110)의 외측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관통홀(113)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3)에는 지지판(140)과 장력제어핀(15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140)은 탄성부재(130)의 타측단이 안착되어 탄성부재(130)를 지지하고, 관통홀(113)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장력제어핀(150)은 관통홀(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회전함에 따라 관통홀(113)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력제어핀(140)이 볼스크류(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판(140)과 탄성부재(130)를 가압하면 탄성부재(130)의 탄성계수가 증가하여 마찰패드(120)가 볼스크류(4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상승하고, 이와 반대로 장력제어핀(140)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130)의 탄성계수가 하강하여 볼스크류(40)를 가압하는 마찰패드(120)의 가압력이 하강한다. 이처럼 장력제어핀(150)을 통해 선반(30)에 안착되는 모재의 중량에 따라 마찰패드(130)와 볼스크류(30)의 상호 간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회전제어수단(100)은 하우징(110'), 마찰패드(120'), 탄성부재(130'), 지지판(140'), 장력제어부(150') 및 마모측정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볼스크류(40)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되며, 삽입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고, 볼스크류(4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마찰패드(120')는 일측면이 볼스크류(4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안착턱(112')에 안착 되고, 일측면이 볼스크류(40)와 접촉됨으로 인해 볼스크류(40)와 상호간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마찰패드(120')의 타측면에는 관통홀(1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21)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판(140')은 관통홀(11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관통홀(113')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일측단이 고정돌기(121)와 접촉되고 타측단이 지지판(140')에 접촉되어 마찰패드(120')가 볼스크류(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마찰패드(120')를 탄성지지한다.
장력제어핀(150')은 관통홀(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회전함에 따라 관통홀(113')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장력제어핀(150')은 상기 장력제어핀(150)과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내용에 준한다.
마모측정부(200)는 마찰패드(120')와 볼스크류(40)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면 마찰패드(120')의 마모 정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마찰패드(120')가 마모됨으로써 고정돌기(121)는 볼스크류(40)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고정돌기(121)의 이동거리를 마모측정부(200)가 측정하여 하우징(110')의 상면에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노출시킨다.
즉 도 5 를 참조하면 마모측정부(200)는 노출핀(210)과 제2 탄성부재(220)를 포함한다. 노출핀(21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측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지지턱(211)이 돌출형성되며, 제2 탄성부재(220)는 지지턱(211)에 안착되며 노출핀(210)을 탄성지지한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관통홀(113')과 연통 되는 노출핀 관통홀(115)이 형성되며, 노출핀(210)은 노출핀 관통홀(115)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 제2 탄성부재(220)가 노출핀(210)을 노출핀 관통홀(115)에서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고정돌기(121)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돌기(300)가 형성된다. 경사돌기(300)는 고정돌기(121)의 끝단부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사돌기(300)와 노출핀(210)의 하단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모측정부(200)의 구조로 인해 마찰패드(120')가 마모되어 고정돌기(121)가 볼스크류(40) 방향으로 이동하면 경사돌기(300)가 노출핀(210)의 하단과 접촉되면서 마찰패드(120')의 마모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노출핀(21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노출핀(210)의 상단은 하우징(110')의 외부, 즉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핀(210)의 노출되는 거리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마찰패드(120')의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는 회전제어수단(100)이 볼스크류(40)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선반(30)의 자체 중량에 의해 선반(3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밀한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볼스크류(40)를 가압하는 마찰패드(120)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선반(30)의 중량 및 이동속도에 따라 볼스크류(40)의 회전저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과 마찰패드(120)의 마모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 베이스 20 : 본체
30 : 선반 40 : 볼스크류
50 : 스크류 하우징 60 : 회전레버
100 : 회전제어수단 110 : 하우징
111 : 삽입홀 112 : 안착턱
113 : 관통홀 115 : 노출핀 관통홀
120 : 마찰패드 121 : 고정돌기
130 : 탄성부재 140 : 지지판
150 : 장력제어핀 200 : 마모측정부
210 : 노출핀 211 : 지지턱
220 : 제2 탄성부재 M : 공작기계
30 : 선반 40 : 볼스크류
50 : 스크류 하우징 60 : 회전레버
100 : 회전제어수단 110 : 하우징
111 : 삽입홀 112 : 안착턱
113 : 관통홀 115 : 노출핀 관통홀
120 : 마찰패드 121 : 고정돌기
130 : 탄성부재 140 : 지지판
150 : 장력제어핀 200 : 마모측정부
210 : 노출핀 211 : 지지턱
220 : 제2 탄성부재 M : 공작기계
Claims (5)
-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모재를 가공하는 본체(20), 상면에 모재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20)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는 선반(30)을 포함하는 공작기계(M)와 상기 베이스(10)에 안착되며, 일측이 상기 선반(30)과 결합 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선반(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40)를 포함하는 스크류 하우징(50), 상기 볼스크류(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60)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스크류 하우징(50)에는
상기 스크류 하우징(5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선반(30)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상기 선반(30)이 상기 볼스크류(4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볼스크류(40)를 회전시키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스크류(40)의 측면에 일정한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볼스크류(40)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제어수단(10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제어수단(100)은 상기 볼스크류(40)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4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13')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일측면이 상기 볼스크류(4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턱(112')에 안착되고 , 타측면에 상기 관통홀(1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21)가 돌출 형성되는 마찰패드(120');
상기 관통홀(113')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도록 상기 관통홀(1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판(140');
일측단이 상기 고정돌기(121)와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판(140')에 접촉되어 상기 마찰패드(120')가 상기 볼스크류(4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0');
상기 관통홀(113')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마찰패드(120')와 상기 볼스크류(40)의 마찰력을 제어하도록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140')을 이동시키는 장력제어핀(150');
상기 마찰패드(120')가 마모되어 상기 고정돌기(121)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121)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기 마찰패드(120')의 마모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마모측정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측정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측면을 따라 지지턱(211)이 돌출 형성되는 노출핀(210)과 상기 지지턱(211)에 안착되어 상기 노출핀(210)을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관통홀(113')과 연통되며 상기 노출핀(210)이 삽입되는 노출핀 관통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21)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노출핀(210)의 하단과 접촉되는 경사돌기(300)가 형성되며,
상기 마찰패드(120')가 마모되어 상기 볼스크류(4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노출핀(210)의 하단이 상기 경사돌기(300)의 경사면에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노출핀(210)의 일측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397U KR200484897Y1 (ko) | 2015-08-13 | 2015-08-13 |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397U KR200484897Y1 (ko) | 2015-08-13 | 2015-08-13 |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679U KR20170000679U (ko) | 2017-02-22 |
KR200484897Y1 true KR200484897Y1 (ko) | 2017-11-20 |
Family
ID=5826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5397U KR200484897Y1 (ko) | 2015-08-13 | 2015-08-13 |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897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00709A (zh) * | 2017-11-30 | 2018-04-13 | 江苏阿尔博装饰工程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机床滑台 |
CN108788786A (zh) * | 2018-06-29 | 2018-11-13 | 聂超 | 一种移动式机械加工平台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11725B2 (ja) * | 2012-06-29 | 2016-10-1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改良された共振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1725Y2 (ja) * | 1977-07-22 | 1985-04-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交流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
JPH081473A (ja) * | 1994-06-17 | 1996-01-09 | Sony Corp | 送りネジにおけるブレーキ機構 |
KR19980013632U (ko) | 1996-08-30 | 1998-06-05 | 양재신 | 자동차용 컵홀더 |
KR19980082357A (ko) * | 1997-05-06 | 1998-12-05 | 이재원 | 공작기계의 수치 제어 컨트롤 시스템 |
KR101248809B1 (ko) | 2011-05-20 | 2013-04-01 | 한국정밀기계(주) | 공작기계용 링크식 록킹 장치 |
KR101957378B1 (ko) | 2012-11-26 | 2019-03-13 |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 공작기계 |
-
2015
- 2015-08-13 KR KR2020150005397U patent/KR20048489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11725B2 (ja) * | 2012-06-29 | 2016-10-1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改良された共振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679U (ko) | 2017-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35914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work piece in a machine tool | |
KR200484897Y1 (ko) | 공작기계의 이동수단 제어장치 | |
KR101504460B1 (ko) | 이중각도 가공용 지그 베이스 | |
WO2013118311A1 (ja) | 孔明け加工機 | |
CN105397566A (zh) | 一种加工中心刀具磨损在线检测与智能补偿系统及方法 | |
KR101001630B1 (ko) | 브이-홈 커팅기용 바이트홀더 승강장치 | |
JP2013202630A (ja) | 摩擦撹拌接合装置 | |
TWI573663B (zh) | 作爲螺桿軸之工件之有效直徑之製程中測定方法及測定裝置 | |
KR101366762B1 (ko) | 볼밸브용 볼 연마장치 | |
KR101565548B1 (ko) | 3차원 측정용 지그 | |
KR20190056098A (ko) | 브이홈 절삭장치용 클램핑장치 | |
KR101441794B1 (ko) | 구멍 가공용 백챔퍼링 공구 | |
KR20040023897A (ko) | 기계 가공용 높이 조절장치 | |
US20120325061A1 (en) | Machining device | |
CN107097100A (zh) | 机床的主轴相位分度装置 | |
KR101610633B1 (ko) | 서보제어를 이용한 선반 snap ring 홈가공 전용기 시스템 | |
KR20230055670A (ko) | 디버링 장치 | |
KR20140077605A (ko) | 연주기 세그먼트 롤 베어링 틈새 검사장치 | |
JP2008114352A (ja) | 研削装置 | |
KR102491018B1 (ko) | 정밀한 상하이동거리 조절이 가능한 절삭공구 이송장치 | |
US9233444B2 (en) | Adjustable key block assemblies and associated methods of adjusting extra large workpieces | |
JP2013185669A (ja) | エレベータブレーキライニング摩耗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ブレーキライニング摩耗検出方法 | |
KR20160109760A (ko) | 보링기 | |
CN214212954U (zh) | 适用于牙掌精车的可调节定位机构 | |
CN210121687U (zh) | 一种基于斜坡原理的车刀调高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