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77Y1 -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 Google Patents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77Y1
KR200484777Y1 KR2020170002609U KR20170002609U KR200484777Y1 KR 200484777 Y1 KR200484777 Y1 KR 200484777Y1 KR 2020170002609 U KR2020170002609 U KR 2020170002609U KR 20170002609 U KR20170002609 U KR 20170002609U KR 200484777 Y1 KR200484777 Y1 KR 200484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film layer
film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유진
Original Assignee
채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유진 filed Critical 채유진
Priority to KR2020170002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21H19/38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은 토양의 표면을 부직포나 검은 비닐로 덮어주는 멀칭(Mulching)작업이 되지 않는 과수목이 심어진 부분의 일정 면적에 도포되어 잡초가 나지 않게 하며, 서 상기 파쇄지를 물에 불린 후 젤믹서기로 갈아 파쇄젤 상태로 만들며, 상기 파쇄젤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건조펄프로 만든 후, 상기 건조펄프를 펄프파쇄기로 파쇄하여 펄프파우더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펄프파우더에 일정 양의 물을 넣고 파우더믹서기로 혼합하여 제조된 펄프젤로 형성시킨 펄프막층과; 상기 펄프막층을 빗물이나 수분 및 외부의 힘에 의해 일정 기간 내에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펄프막층의 상부에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일정량을 살포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형성되는 경화피막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펄프막층은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지표에 상기 펄프젤을 도포한 후 일정 두께로 펴서 형성시키고, 상기 경화피막층은 상기 펄프막층이 일정 시간 경과되어 경화되면 상기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살포한 후 일정 시간을 경화시켜 형성시킨다.
본 고안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르면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나무 둥지 가장자리 부분에도 잡초가 나지 않게 하여 김매기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멀칭이 훼손된 부분이나 멀칭이 부실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고,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며, 일정 기간 경과 후 자연적으로 썩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아 친환경 잡초제어제의 역할을 하며, 폐지를 사용할 수 있어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Anti-Weeds Film using Waste Paper}
본 고안은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매기가 어려운 공간에서 풀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수목이 심겨진 바로 아래에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곳에 설치되어 풀이 나지 않게 하며, 폐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초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나무와 배나무 등의 대형 목본작물로 된 과수목은 각종 작업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열을 이루어지도록 식목하였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과수목과 함께 자생하는 각종 잡초는 제초제나 예초기를 사용하여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청경관리와 과수목이나 토양에 유익하도록 잡초를 이용하는 초생관리 방법이 보편적이었다.
근래에는 청경관리에 따른 제초작업의 불편을 해소하면서 초생관리의 장점을 살리기 위하여 과수목 주변의 지표면에 멀칭필름이나 부직포 등의 방초막을 덮여지도록 하여 잡초의 생육을 억제 및 방지하는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기 방초막의 경우에는 잡초의 생장을 둔화시키는 고유의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었으나, 시공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방초막이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수시로 사후관리와 보수유지를 해야되는 번거로움과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또한, 아로니아와 같이 지표와 닿아 뻗어나는 나무는 나무가 자라는 가운데 부분은 땅에서 뻗어 나오는 나뭇가지들 때문에 부직포를 덮을 수 없어 맨땅이 드러나는 자리에 풀이 자라고, 그 풀이 어느 정도 자라면 사람을 사서 주기적으로 김매기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찢어진 부직포 사이로 흙이 보이는 부분에 신문지를 끼워 넣어 두기도 하는데, 끼워둔 신문지가 쭈글쭈글해져 있고, 쭈글쭈글해진 신문지 사이로 풀이 자라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933084 (등록일자 : 2014년 04월 30일) 방초 식생매트 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74079 (등록일자 : 2014년 08월 13일) 방초 커버장치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91567 (공개일자 : 2016년 08월 03일) 잡초 생장 방지 장치 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11888 (공개일자 : 2016년 02월 02일) 과수원의 잡초 방지장치 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52439 (공개일자 : 2012년 05월 24일) 잡초 생장 억제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는 멀칭작업이 어려운 지표에 폐지로 만든 펄프젤을 일정 두께로 바른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피막경화액을 도포하여 경화피막층을 형성시키는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은 토양의 표면을 부직포나 검은 비닐로 덮어주는 멀칭(Mulching)작업이 되지 않는 과수목이 심어진 부분의 일정 면적에 도포되어 잡초가 나지 않게 하며, 서 상기 파쇄지를 물에 불린 후 젤믹서기로 갈아 파쇄젤 상태로 만들며, 상기 파쇄젤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건조펄프로 만든 후, 상기 건조펄프를 펄프파쇄기로 파쇄하여 펄프파우더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펄프파우더에 일정 양의 물을 넣고 파우더믹서기로 혼합하여 제조된 펄프젤로 형성시킨 펄프막층과; 상기 펄프막층을 빗물이나 수분 및 외부의 힘에 의해 일정 기간 내에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펄프막층의 상부에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일정량을 살포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형성되는 경화피막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펄프막층은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지표에 상기 펄프젤을 도포한 후 일정 두께로 펴서 형성시키고, 상기 경화피막층은 상기 펄프막층이 일정 시간 경과되어 경화되면 상기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살포한 후 일정 시간을 경화시켜 형성시킨다.
상기 폐지세절기는 10~50mm 폭과 50~150mm 길이로 세절시키고, 걸림을 제거하기 위해 정역회전 기능과 모터 과열감지센서를 갖춘다.
상기 폐지파쇄기는 상기 폐지세절기로부터 세절된 세절폐지를 받는 호퍼부와; 다수 개의 회전날개을 가져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절폐지와의 마찰에 의해 1차 파쇄시키는 회전파쇄부와, 상기 회전파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 파쇄된 세절폐지를 해머의 타격으로 2차로 파쇄시키는 해머파쇄부를 포함하는 파쇄부와; 상부에 상기 호퍼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파쇄부 및 해머파쇄부가 설치되며 2차 파쇄된 파쇄지를 배출하고, 상기 파쇄지의 크기가 3mmm 이하가 되도록 일정 크기의 스크린이 설치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를 밀폐시키는 케이싱부와; 상기 파쇄부를 구동시키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젤믹서기는 물에 불린 파쇄지가 인입되어 교반되면서 파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믹서조와; 상기 믹서조에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파쇄지를 타격하여 더 잘게 파쇄하는 다수의 교반익을 구비한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 교반기와; 상기 믹서조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교반되는 물질의 회동 흐름을 제어하는 회동배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펄프파쇄기는 회전하는 축의 원주 방향으로 기류와 건조펄프가 이송되고 분쇄실의 충격판에서 1차 충격파쇄되며 내면의 라이너 사이에서 전단력에 의한 파쇄와 기류에 의한 입자 상호 간의 자기 파쇄와 압력진동에 의해 분쇄되는 터보밀을 사용한다.
상기 파우더믹서기는 상기 펄프파우더와 물이 투입되고 믹싱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믹싱이 완료되어 생성된 상기 펄프젤을 배출하는 젤배출구가 형성되는 믹서통과; 상기 믹서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펄프파우더와 물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주는 하부회전날개와, 상기 하부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로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펄프파우더와 물을 골고루 혼합시켜주는 혼합회전날개와, 상기 믹서통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부딪쳐 섞여지게 하는 고정날개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주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어드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믹싱장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피막경화액의 희석액은 일부는 펄프막층에 흡수되어 상기 펄프막층을 보호하고, 일부는 상기 펄프막층의 상부에 남아 경화피막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피막경화액은 주피막제와 보조접착제 역할을 하는 폴리우레탄 50~65 중량%와; 주접착제 역할을 하는 폴리비닐알코올 25~35 중량%와; 이산화규소, 황산나트륨, 피로리돈카르본산나트륨, 초산비닐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보조코팅피막제 0.5~5 중량%와; 솔비톨, 벤토나이트, 폴리사카라이드, 카세인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점도조절제 2∼5 중량%와: 탄산칼슘, 중탄산칼슘, 소석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충진제 2∼10 중량%와; 친환경적이고 지표면과 비슷한 색상을 띄도록 하는 안료제 0.01~1 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펄프젤은 상기 펄프파우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0~250 중량부를 상기 파우더믹서기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펄프막층은 1~3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경화피막층은 상기 피막경화액 1중량부에 물 100~300중량부로 혼합 희석시켜 분무하고, 3시간 이내에 경화되어야 한다.
상술한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르면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나무 둥지 가장자리 부분에도 잡초가 나지 않게 하여 김매기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멀칭이 훼손된 부분이나 멀칭이 부실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고,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며, 일정 기간 경과 후 자연적으로 썩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아 친환경 잡초제어제의 역할을 하며, 폐지를 사용할 수 있어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과수목이 심겨진 과수원에서 멀칭작업을 하기 전 상태도
도 2는 과수목이 심겨진 과수원에서 멀칭작업을 완료한 상태도
도 3은 과수목이 심겨진 과수원에서 멀칭작업을 완료한 곳에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을 설치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펄프젤 제조공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폐지파쇄기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젤믹서기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파우더믹서기 개략도
먼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 따른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과수목이 심겨진 과수원에서 멀칭작업을 하기 전 상태도이며, 도 2는 과수목이 심겨진 과수원에서 멀칭작업을 완료한 상태도이고, 도 3은 과수목이 심겨진 과수원에서 멀칭작업을 완료한 곳에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을 설치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펄프젤 제조공정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폐지파쇄기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젤믹서기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에 따른 파우더믹서기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멀칭(Mulching)작업은 과수목(C)이 심어진 부분의 일정 면적에 도포되어 잡초가 나지 않게 토양의 표면을 부직포 또는 검은 비닐(B)로 덮어주는 작업이다.
멀칭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잡초가 토양에 있는 영양분을 흡수하고 또한 잡초에 의해 햇볕을 가려 상기 과수목(C)가 광합성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필요한 작업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A)은 토양의 표면을 부직포 또는 검은 비닐(B)로 덮어주는 상기 멀칭(Mulching)작업이 되지 않는 과수목(C)이 심어진 부분의 일정 면적에 도포되어 잡초가 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아로니아와 같이 지표와 닿아 뻗어나는 나무는 나무가 자라는 가운데 부분은 땅에서 뻗어 나오는 나뭇가지들 때문에 부직포를 덮을 수 없어 맨땅이 드러나는 자리에 풀이 자라고, 그 풀이 어느 정도 자라면 사람을 사서 주기적으로 김매기를 해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A)을 사용하면 김매기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멀칭이 훼손된 부분이나 멀칭이 부실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고,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며, 일정 기간 경과 후 자연적으로 썩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아 친환경 잡초제어제의 역할을 하며, 폐지를 사용할 수 있어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방초막(A)은 폐지를 폐지세절기를 사용하여 일정 폭과 길이로 세절하여 세절폐지로 만든 후, 상기 세절폐지를 공급받아 폐지파쇄기(4)로 일정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지를 만들고, 파쇄지 불림조에서 상기 파쇄지를 물에 불린 후 젤믹서기(5)로 갈아 파쇄젤 상태로 만들며, 상기 파쇄젤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건조펄프로 만든 후, 상기 건조펄프를 펄프파쇄기(6)로 파쇄하여 펄프파우더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펄프파우더에 일정 양의 물을 넣고 파우더믹서기(7)로 혼합하여 제조된 펄프젤로 형성시킨 펄프막층(1)과; 상기 펄프막층(1)을 빗물이나 수분 및 외부의 힘에 의해 일정 기간 내에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펄프막층(1)의 상부에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일정 양을 살포하여 형성시키며, 나무의 성장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경화피막층(2)으로 구성된다.
상기 펄프막층(1)은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지표에 상기 펄프젤을 도포한 후 일정 두께로 펴서 형성시킨다.
상기 펄프막층(1)은 나무의 성장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도록 1~3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프젤은 상기 펄프파우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0~250 중량부를 상기 파우더믹서기(7)로 혼합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펄프막층(1)이 경화되면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펄프젤은 상기 펄프파우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0~250 중량부에 접착력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 1~5 중량부를 추가하여 상기 파우더믹서기(7)로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폐지세절기는 10~50mm 폭과 50~150mm 길이로 세절시키고, 걸림을 제거하기 위해 정역회전 기능과 모터 과열감지센서를 가진다.
상기 폐지파쇄기(4)는 상기 폐지세절기로부터 세절된 세절폐지를 받는 호퍼부(41)와; 다수 개의 회전날개를 가져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절폐지와의 마찰에 의해 1차 파쇄시키는 회전파쇄부(421)와, 상기 회전파쇄부(421)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 파쇄된 세절폐지를 해머의 타격으로 2차로 파쇄시키는 해머파쇄부(422)를 포함하는 파쇄부(42)와; 상부에 상기 호퍼부(41)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파쇄부(421) 및 해머파쇄부(422)가 설치되며 2차 파쇄된 파쇄지를 배출하며 상기 파쇄지의 크기가 3mmm 이하가 되도록 일정 크기의 스크린이 설치된 배출부(431)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42)를 밀폐시키는 케이싱부(43)와; 상기 파쇄부(42)를 구동시키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젤믹서기(5)는 물에 불린 파쇄지가 인입되어 교반되면서 더 잘게 파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믹서조(51)와; 상기 믹서조(51)에 설치된 회전축(522)과, 상기 회전축(522)에 결합되며 상기 파쇄지를 타격하여 더 잘게 파쇄하는 다수의 교반익을 구비한 임펠러(521)와, 상기 회전축(5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23)을 포함한 교반기(52)와; 상기 믹서조(51)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교반되는 물질의 회동 흐름을 제어하는 회동배플(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펄프파쇄기는 고속 회전하는 축의 원주 방향으로 기류와 건조펄프가 이송되고 분쇄실의 충격판에서 1차 충격파쇄되며 내면의 라이너 사이에서 전단력에 의한 파쇄와 급격한 기류에 의한 입자 상호 간의 자기 파쇄와 압력진동에 의해 분쇄되는 터보밀을 사용한다.
상기 파우더믹서기(7)는 상기 펄프파우더와 물이 투입되고 믹싱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믹싱이 완료되어 생성된 상기 펄프젤을 배출하는 젤배출구가 형성되는 믹서통(71)과; 상기 믹서통(7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721)과, 상기 회전축(721)의 하단에 설치되어 펄프파우더와 물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주는 하부회전날개(722)와, 상기 하부회전날개(722)에서 일정 거리로 위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721)에 설치되어 상기 펄프파우더와 물을 골고루 혼합시켜주는 혼합회전날개(723)와, 상기 믹서통(71)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부딪쳐 섞여지게 하는 고정날개(724)와, 상기 회전축(721)을 회전시켜주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어드모터(7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믹싱장치부(72)로 구성된다.
상기 피막경화액의 희석액은 일부는 상기 펄프막층(1)에 흡수되어 상기 펄프막층(1)을 보호하고, 잔여분은 상기 펄프막층(1)의 상부에 남아 상기 경화피막층(2)을 형성시킨다.
상기 피막경화액은 주피막제와 보조접착제 역할을 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50~65 중량%와; 주접착제 역할을 하는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vinyl Alcohol) 25~35 중량%와; 이산화규소(SiO2), 황산나트륨(Na2So4), 피로리돈카르본산 나트륨(PCA-Na), 초산비닐수지(Polyvinyl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보조코팅피막제 0.5~5 중량%와; 솔비톨(Sorbitol), 벤토나이트(Bentonit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카세인나트륨(Sodium Casei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점도조절제 2∼5 중량%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 CaCo3), 중탄산칼슘(Calcium Bicarbonate : Ca(HCo3)2), 소석고(Calcined Gypsum)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충진제 2∼10 중량%와; 친환경적이고 지표면과 비슷한 색상을 띄도록 하는 안료제 0.01~1 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충진제는 상기 펄프막층(1)의 미세 크랙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화피막층(2)은 상기 펄프막층(1)이 일정 시간 경과되어 경화되면 상기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살포한 후 일정 시간을 경화시켜 형성시킨다.
상기 경화피막층(2)은 상기 피막경화액 1중량부에 물 100~300중량부로 혼합 희석시켜 분무하고, 3시간 이내에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펄프막층(1) 위에 희석 피막경화액을 도포했을 때에 일부는 상부에 남아 상기 경화피막층(2)을 형성하고 희석 피막경화액이 상기 펄프막층(1)으로 일부가 침투하여 상기 펄프막층(1)의 강도를 보완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펄프젤은 폐지를 폐지세절기를 사용하여 일정 폭과 길이로 세절하여 세절폐지로 만든 후, 상기 세절폐지를 공급받아 폐지파쇄기(4)로 일정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지를 만들고, 파쇄지 불림조에서 상기 파쇄지를 물에 불린 후 젤믹서기(5)로 갈아 파쇄젤 상태로 만들며, 상기 파쇄젤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건조펄프로 만든 후, 상기 건조펄프를 펄프파쇄기(6)로 파쇄하여 펄프파우더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펄프파우더에 일정 양의 물을 넣고 파우더믹서기(7)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폐지세절기는 10~50mm 폭과 50~150mm 길이로 세절시켜 폐지가 상기 폐지파쇄기(4)에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회전파쇄부(421)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폐지파쇄기(4)에서는 크기가 3mmm 이하가 되도록 파쇄지를 만든다.
상기 파쇄지 불림조는 상기 패쇄지를 물에 불려 더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젤믹서기(5)는 물에 불린 파쇄지가 인입되어 교반되면서 더 잘게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건조기는 파쇄젤을 건조시켜 상기 펄프파쇄기(6)에서 파쇄할 수 있는 건조펄프로 만든다.
상기 펄프파쇄기는 건조펄프를 알겡이의 크기가 200메쉬 이하의 파우더로 만든다.
상기 파우더믹서기(7)은 펄프파우더를 물, 또는 물과 폴리비닐알코올에 혼합하여 펄프젤로 만든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폐지파쇄기(4)는 상기 폐지세절기로부터 세절된 세절폐지를 받는 호퍼부(41)와; 다수 개의 회전날개를 가져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절폐지와의 마찰에 의해 1차 파쇄시키는 회전파쇄부(421)와, 상기 회전파쇄부(421)의 하부에 설치되어 1차 파쇄된 세절폐지를 해머의 타격으로 2차로 파쇄시키는 해머파쇄부(422)를 포함하는 파쇄부(42)와; 상부에 상기 호퍼부(41)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파쇄부(421) 및 해머파쇄부(422)가 설치되며 2차 파쇄된 파쇄지를 배출하며 상기 파쇄지의 크기가 3mmm 이하가 되도록 일정 크기의 스크린이 설치된 배출부(431)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42)를 밀폐시키는 케이싱부(43)와; 상기 파쇄부(42)를 구동시키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젤믹서기(5)는 물에 불린 파쇄지가 인입되어 교반되면서 더 잘게 파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파쇄젤이 배출되는 배출구(511)가 형성된 믹서조(51)와; 상기 믹서조(51)에 설치된 회전축(522)과, 상기 회전축(522)에 결합되며 상기 파쇄지를 타격하여 더 잘게 파쇄하는 다수의 교반익을 구비한 임펠러(521)와, 상기 회전축(5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23)을 포함한 교반기(52)와; 상기 믹서조(51)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교반되는 물질의 회동 흐름을 제어하는 회동배플(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파우더믹서기(7)는 상기 펄프파우더와 물이 투입되고 믹싱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믹싱이 완료되어 생성된 상기 펄프젤을 배출하는 젤배출구(711)가 형성되는 믹서통(71)과; 상기 믹서통(7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721)과, 상기 회전축(721)의 하단에 설치되어 펄프파우더와 물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주는 하부회전날개(722)와, 상기 하부회전날개(722)에서 일정 거리로 위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721)에 설치되어 상기 펄프파우더와 물을 골고루 혼합시켜주는 혼합회전날개(723)와, 상기 믹서통(71)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부딪쳐 섞여지게 하는 고정날개(724)와, 상기 회전축(721)을 회전시켜주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어드모터(7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믹싱장치부(7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A)에 따르면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나무 둥지 가장자리 부분에도 잡초가 나지 않게 하여 김매기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멀칭이 훼손된 부분이나 멀칭이 부실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고,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며, 일정 기간 경과 후 자연적으로 썩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아 친환경 잡초제어제의 역할을 하며, 폐지를 사용할 수 있어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A : 방초막 B : 부직포 또는 검은 비닐
C : 과수목 D : 잡초
1 : 펄프막층 2 : 경화피막층
3 : 폐지세절기 4 : 폐지파쇄기
41 : 호퍼부 42 : 파쇄부
421 : 회전파쇄부 422 : 해머파쇄부
43 : 케이싱 431 : 배출부
44 : 구동부 5 : 젤믹서기
51 : 믹서조 511 : 배출구
52 : 교반기
521 : 교반익 522 : 회전축
523 : 구동수단 53 : 회동배플
6 : 펄프파쇄기 7 : 파우더믹서기
71 : 믹서통 711 : 젤배출구
72 : 믹싱장치부
721 : 회전축 722 : 하부회전날개
723 : 혼합회전날개 724 : 고정날개
725 : 기어드모터

Claims (2)

  1. 토양의 표면을 부직포 또는 검은 비닐(B)로 덮어주는 멀칭(Mulching)작업이 되지 않는 과수목(C)이 심어진 부분의 일정 면적에 도포되어 잡초가 나지 않게 하는 방초막(A)에 있어서,
    상기 방초막(A)은 폐지를 폐지세절기를 사용하여 일정 폭과 길이로 세절하여 세절폐지로 만든 후, 상기 세절폐지를 공급받아 폐지파쇄기(4)로 일정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지를 만들고, 파쇄지 불림조에서 상기 파쇄지를 물에 불린 후 젤믹서기(5)로 갈아 파쇄젤 상태로 만들며, 상기 파쇄젤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건조펄프로 만든 후, 상기 건조펄프를 펄프파쇄기(6)로 파쇄하여 펄프파우더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펄프파우더에 일정 양의 물을 넣고 파우더믹서기(7)로 혼합하여 제조된 펄프젤로 형성시킨 펄프막층(1)과;
    상기 펄프막층(1)을 빗물이나 수분 및 외부의 힘에 의해 일정 기간 내에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펄프막층(1)의 상부에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일정량을 살포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형성되는 경화피막층(2)으로 구성되며,
    상기 펄프막층(1)은 멀칭작업이 되지 않은 지표에 상기 펄프젤을 도포한 후 일정 두께로 펴서 형성시키고,
    상기 경화피막층(2)은 상기 펄프막층(1)이 일정 시간 경과되어 경화되면 상기 피막경화액을 일정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살포한 후 일정 시간을 경화시켜 형성시키며,
    상기 피막경화액의 희석액은 일부는 상기 펄프막층(1)에 흡수되어 상기 펄프막층(1)을 보호하고, 일부는 상기 펄프막층(1)의 상부에 남아 상기 경화피막층(2)을 형성시키며,
    상기 피막경화액은 폴리우레탄 50~65 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25~35 중량%와;
    이산화규소, 황산나트륨, 피로리돈카르본산나트륨, 초산비닐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보조코팅피막제 0.5~5 중량%와;
    솔비톨, 벤토나이트, 폴리사카라이드, 카세인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점도조절제 2∼5 중량%와:
    탄산칼슘, 중탄산칼슘, 소석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충진제 2∼10 중량%와;
    지표면과 비슷한 색상을 띄도록 하는 안료제 0.01~1 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펄프젤은 상기 펄프파우더 100 중량부에 물 150~250 중량부를 상기 파우더믹서기(7)로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펄프막층(1)은 1~3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경화피막층(2)은 상기 피막경화액 1중량부에 물 100~300중량부로 혼합 희석시켜 분무하고, 3시간 이내에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2. 삭제
KR2020170002609U 2017-05-29 2017-05-29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KR200484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09U KR200484777Y1 (ko) 2017-05-29 2017-05-29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09U KR200484777Y1 (ko) 2017-05-29 2017-05-29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77Y1 true KR200484777Y1 (ko) 2017-10-25

Family

ID=6040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09U KR200484777Y1 (ko) 2017-05-29 2017-05-29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1293A (zh) * 2022-10-09 2023-01-31 科伦塑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抑草地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110A (ja) * 1994-09-13 1996-03-26 Aihara Soken:Kk 除草紙
JP3111033B2 (ja) * 1996-11-06 2000-11-20 株式会社 ジャパンクリエイティブル 地表被覆材
KR20120052439A (ko) 2010-11-15 2012-05-24 임충묵 잡초 생장 억제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74079Y1 (ko) 2014-03-18 2014-08-21 이성대 방초 커버장치
KR20160011888A (ko) 2014-07-23 2016-02-02 허정 과수원의 잡초 방지장치
KR20160091567A (ko) 2015-01-26 2016-08-03 가평군(농업기술센터장) 잡초 생장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110A (ja) * 1994-09-13 1996-03-26 Aihara Soken:Kk 除草紙
JP3111033B2 (ja) * 1996-11-06 2000-11-20 株式会社 ジャパンクリエイティブル 地表被覆材
KR20120052439A (ko) 2010-11-15 2012-05-24 임충묵 잡초 생장 억제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74079Y1 (ko) 2014-03-18 2014-08-21 이성대 방초 커버장치
KR20160011888A (ko) 2014-07-23 2016-02-02 허정 과수원의 잡초 방지장치
KR20160091567A (ko) 2015-01-26 2016-08-03 가평군(농업기술센터장) 잡초 생장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1293A (zh) * 2022-10-09 2023-01-31 科伦塑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抑草地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83424A2 (zh) 一种园林垃圾用环保处理装置
CN211185040U (zh) 一种生产肥料的秸秆粉碎机
CN207805559U (zh) 一种筛分式对辊造粒机
CN205883880U (zh) 一种盐碱地施肥粉碎装置
CN203416580U (zh) 农田深层残留地膜回收机组
CN208863180U (zh) 一种二次抛送式秸秆粉碎还田及残膜回收联合作业机
KR200484777Y1 (ko) 폐지를 이용한 방초막
JP4794046B2 (ja) グランドカバー及びグランド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203748261U (zh) 一种可将草料快速分解的割草机
CN207135465U (zh) 一种园林育苗土壤修复处理系统
CN114835518A (zh) 一种有机肥及有机肥加工方法
CN208714255U (zh) 一种具有干燥功能的饮料瓶粉碎清洗装置
US2699629A (en) Process of preparing mulch for agricultural purposes
KR100831938B1 (ko) 절개지 법면용 토양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N205518938U (zh) 建筑园林绿化废弃物处理装置
CN210726063U (zh) 一种农业机械秸秆粉碎处理装置
CN207201336U (zh) 一种农作物茬口、秸秆三级精细粉碎装置
CN204217351U (zh) 一种能打碎秸秆的旋耕播种机
CN105532169A (zh) 一种用于秸秆草屑的抛洒装置
CN213253923U (zh) 一种多功能活土配制快速均匀混拌装置
CN109819790A (zh) 一种新型粉碎机
CN204217382U (zh) 一种旋耕播种机
CN210868856U (zh) 一种用于农业种植的秸秆粉碎装置
CN211571555U (zh) 一种废弃苗叶的回收再利用装置
CN207820586U (zh) 一种秸秆还田粉碎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