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12Y1 -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12Y1
KR200484612Y1 KR2020160001349U KR20160001349U KR200484612Y1 KR 200484612 Y1 KR200484612 Y1 KR 200484612Y1 KR 2020160001349 U KR2020160001349 U KR 2020160001349U KR 20160001349 U KR20160001349 U KR 20160001349U KR 200484612 Y1 KR200484612 Y1 KR 200484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late
swash plate
wipers
blocking ba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97U (ko
Inventor
박찬규
여인설
강광남
허문수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에이티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에이티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202016000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1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9Heating or coo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경사판침전장치는 라멜라 경사판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된 경사판침전조;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상부 양측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처리수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처리수가 월류하는 월류홈이 형성된 격벽부; 상기 격벽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월류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처리수가 월류하는 배출웨어; 상기 격벽부의 전방을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웨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웨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배출웨어의 상단보다 높고 하단은 상기 배출웨어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경사판침전조 내의 수표면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방류를 방지하는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INCLINED PLATE TYPE SETTLING DEVICE HAVING SUSPENDED SOLIDS BLOCKING BAFFLE}
본 고안은 중력을 이용한 오염물의 분리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사판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월류웨어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판침전장치는 침전조내에 라멜라경사판이 설치되어, 중력을 이용한 고액분리공정을 통해 고형물이 침전되는 것으로서, 고형물의 밀도가 높을 수록 침전효율도 좋다. 이러한 경사판침전장치는 하,폐수처리장과 정수장의 침전지 및 농축설비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사판침전장치는 라멜라경사판의 상부에 배출웨어(weir, '위어'라고도함)가 설치되어, 라멜라경사판을 거친 처리수가 배출웨어를 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처리수 배출웨어의 경사판침전장치는 응집제 및 기타물질과 반응하여 거대화되어진 플럭은 표면적이 증대된 라멜라경사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하부로 침전되어지고 상등수는 배출웨어를 통해 한곳으로 모여져 최종적으로 배출되어진다.
그러나, 이때 침전효율은 유입원수의 수질 및 약품과의 반응 등 다양한 조건들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라멜라경사판 사이를 통과해 상승된 처리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게 되며, 미 반응된 부유물질 중 쉽게 부유되는 스컴이나 미세오염물질 등의 부유물질들이 발생되게 되며, 이는 배출웨어를 통해 방류되어질 때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즉, 종래의 경사판침전장치는 고정형으로서 오리피스 방식이 주로 적용된 것으로, 부유물질의 경우 라멜라경사판에서 쉽게 침전되지 않고 부상되어 침전조의 수표면에 존재하게 되어, 배출웨어를 통과하여 처리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었다.
경사판침전장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처리수 배출시 부유물질 및 미세 입자 등의 유출을 가장 최소화하여 깨끗한 상등수만을 배출하는 것인데, 기존 배출웨어를 통한 경사판침전장치는 부유물질이 함께 배출되어 처리수질을 불량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677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403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라멜라 침전조 내의 상등수 표면에 존재하는 부유물질과 미세오염물의 방류를 차단하고 수표면 아래의 깨끗한 상등수만을 집수하여 배출하게 하여 보다 높은 수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는 라멜라 경사판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된 경사판침전조; 상기 경사판침전조의 상부 양측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처리수배출공간을 형성하며, 처리수가 월류하는 월류홈이 형성된 격벽부; 상기 격벽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월류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처리수가 월류하는 배출웨어; 상기 격벽부의 전방을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웨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웨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배출웨어의 상단보다 높고 하단은 상기 배출웨어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경사판침전조 내의 수표면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방류를 방지하는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웨어는, 상기 격벽부의 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월류홈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격벽부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높이가 상기 월류홈의 하단보다는 높고 상기 격벽부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의 전단과 측면판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전면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유물질 차단배플은 상기 격벽부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측면판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측면판 상단보다 높고, 하단은 상기 측면판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는 양측격벽; 및, 상기 양측격벽의 전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전면격벽;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양측격벽의 하단부는 상기 배출웨어측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배출웨어 보다 높도록 차단배플이 구비되어 있어, 경사판침전조 내의 상등수 표면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방류를 차단하고 수표면 아래의 깨끗한 상등수 만을 집수하여 배출하게 하여 보다 높은 처리효율을 달성하게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차단배플의 전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을 저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경사판침전장치(1)는 라멜라경사판(14)이 내장된 경사판침전조(10), 격벽부(20), 배출웨어(30),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을 포함한다.
경사판침전조(10)는 내부에 라멜라경사판(12)이 구비되며, 후방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12)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입구(12)를 통해 경사판침전조(10) 내로 유입된 원수는 라멜라경사판(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면서 중력에 의해 고액분리가 이루어지고, 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 배출구(16)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경사판침전조(10)의 상부에는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격벽부(20), 배출웨어(30),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이 형성된다.
격벽부(2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 "U"자 형의 월류홈(22)이 구비된다. 격벽부(20)는 경사판침전조(10)의 상부 양측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1처리수배출공간(c1)을 형성한다. 이 제1처리수배출공간(c1)은 처리수배출구(1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월류홈(22)을 통해 처리수가 월류하여 제1처리수배출공간(c1)으로 유입되게 된다.
배출웨어(30)는 격벽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배출웨어(30)의 내부는 월류홈(2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배출웨어(30)의 내부공간(c2)의 처리수는 월류홈(22)을 통해 월류하여 제1처리수배출공간(c2)으로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배출웨어(30)는 바닥판(31), 측면판(32), 전면판(35)을 포함한다.
바닥판(31)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격벽부(20)의 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며, 월류홈(22)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측면판(32)은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바닥판(31)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격벽부(20)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면판(32)의 상단 높이는 월류홈(22)의 하단보다는 높고 격벽부(31)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된다. 측면판(32)의 상단은 지그재그로 산과 골을 이루는 톱니부형태(33)로 이루어진다.
전면판(35)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바닥판(31)의 전단과 측면판(32)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은 격벽부(20)의 전방을 돌출되게 형성되되, 배출웨어(30)의 외측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출웨어(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은 상단이 배출웬어(30)의 상단보다 높고 하단이 배출웨어(30)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을 양측격벽(42)과 전면격벽(4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양측격벽(42)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격벽부(20)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되, 측면판(32)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양측격벽(42)의 상단은 측면판(32) 상단보다 높고, 양측격벽(42)의 하단은 측면판(32)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된다.
전면격벽(45)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양측격벽(42)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판침전조(10) 내의 수표면(w)에 존재하는 스컴, 미세오염물질 등의 부유물질(s)이 배출웨어(30)를 통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가 상단부에 비해 배출웨어(30) 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격벽(42)의 하단과 측면판(32)의 하단의 사이간격(k)을 좁게 구성해 줌으로써, 양측격벽(42)의 하단과 측면판(32)의 하단 사이를 통해 스컴이나 미세오염물질과 같은 부유물질이 양측격벽(42)과 측면판(32)의 사이공간(c3)을 거쳐, 배출웨어(30)로 방류될 가능성을 좀 더 줄여줄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배출웨어(30)의 외측에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이 설치된 구조로서, 수표면(w)에 존재하는 스컴, 미세오염물질과 같은 부유물질(s)이 배출웨어(30)를 통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표면(w) 아래에 있는 깨끗한 상등수 만을 배출시킬 수 있어 처리수의 수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은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의 재질이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부(42a)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온도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도조절수단(50)은 전기히터, 냉각기 등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는 소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양측격벽(42)의 상단부에 대해 배출웨어(30)의 측면판(32)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진 원상태를 유지하고, 소정온도 이상이 된 경우, 도 11과 같이,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가 상단부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변하도록 형태변형될 수 있다.
이때,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는 상단부에 대해 도 11과 같이 직선을 이루도록 변형될 수도 있고, 하단부(42a)의 각도가 도 10과 도 11에서 보여지는 각도 사이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가 상단부에 측면판(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각도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의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의 각도가 조절되어, 양측격벽(42)의 하단과 측면판(32)의 하단 사이 간격(k)을 조절됨으로써, 양측격벽(42)과 측면판(32)의 사이공간(c3)으로 유입되어 배출웨어(30)로 월류되는 처리수의 배출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단,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와 측면판(32)의 사이 간격을 좁게 하면, 배출유량은 감소되어 처리속도는 줄어드나, 부유물질(s)의 방류가능성은 좀더 줄어들어, 처리수의 처리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와 측면판(32) 사이 간격이 넓어지면, 배출유량은 증가하여 처리속도는 향상되나 부유물질(s)의 방류가능성은 미세하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설계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이 하단부(42a)를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각도조절하여 배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측격벽(42)의 하단부(42a)가 상단부에 대해 힌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여타의 구동수단에 의해 하단부(42a)가 상단부에 대해 각도조절가능하여 방류랑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경사판침전조
14....라멜라경사판
20...격벽부
22...월류홈
30...배출웨어
31...바닥판
32...측면판
35...전면판
40...부유물질 차단배플
42...양측격벽
45...전면격벽

Claims (3)

  1. 라멜라 경사판(14)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배출구(16)가 형성된 경사판침전조(10);
    상기 경사판침전조(10)의 상부 양측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구(16)와 연결되는 제1처리수배출공간(c1)을 형성하며, 처리수가 월류하는 월류홈(22)이 형성된 격벽부(20);
    상기 격벽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월류홈(2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처리수가 월류하는 배출웨어(30);
    상기 격벽부(20)의 전방을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출웨어(3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웨어(3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배출웨어(30)의 상단보다 높고 하단은 상기 배출웨어(30)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경사판침전조(10) 내의 수표면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방류를 방지하는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침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웨어(30)는,
    상기 격벽부(20)의 전방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월류홈(22)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바닥판(31);
    상기 바닥판(31)의 양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격벽부(20)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높이가 상기 월류홈(22)의 하단보다는 높고 상기 격벽부(20)의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는 측면판(32);
    상기 바닥판(31)의 전단과 측면판(32)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전면판(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침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질 차단배플(40)은
    상기 격벽부(20)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측면판(32)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측면판(32) 상단보다 높고, 하단은 상기 측면판(32) 상단보다 낮도록 구성되는 양측격벽(42); 및,
    상기 양측격벽(42)의 전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전면격벽(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침전장치.
KR2020160001349U 2016-03-14 2016-03-14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KR200484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49U KR200484612Y1 (ko) 2016-03-14 2016-03-14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49U KR200484612Y1 (ko) 2016-03-14 2016-03-14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97U KR20170003297U (ko) 2017-09-25
KR200484612Y1 true KR200484612Y1 (ko) 2017-10-24

Family

ID=6040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49U KR200484612Y1 (ko) 2016-03-14 2016-03-14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1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86Y1 (ko) 2002-10-28 2003-02-06 주식회사 에네트 스컴 분리장치
KR100786774B1 (ko) 2006-06-30 2007-12-18 주식회사 그레넥스 일체형 침전장치
KR100941938B1 (ko) 2009-09-15 2010-02-11 (주)효성엔바이로 혼화응집설비를 갖춘 슬러지 수집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37Y1 (ko) 2005-02-02 2005-05-11 (주)엔바이로시스템 오폐수처리시스템의 집수분리장치
KR101047208B1 (ko) * 2008-10-22 2011-07-06 (주)중우환경 부유식 상징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86Y1 (ko) 2002-10-28 2003-02-06 주식회사 에네트 스컴 분리장치
KR100786774B1 (ko) 2006-06-30 2007-12-18 주식회사 그레넥스 일체형 침전장치
KR100941938B1 (ko) 2009-09-15 2010-02-11 (주)효성엔바이로 혼화응집설비를 갖춘 슬러지 수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97U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0328B2 (ja) 液体又は気体の流れから固形物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938775B1 (ko) 복수 개의 경사판침전지를 갖는 수처리장치
CN108854174A (zh) 污泥沉淀池
US9260853B2 (en) Self cleaning debris screen for runoff water separation apparatus
JP6316156B2 (ja) 沈殿池
KR200426877Y1 (ko) 침전지용 경사판
JPH0693962B2 (ja) 上向流傾斜板沈降装置
JP5938738B2 (ja) 沈降分離装置および原水の処理方法
KR200484612Y1 (ko) 부유물질 차단배플을 구비한 경사판침전장치
CS271652B1 (en) Complex device for multistep water conditioning treatment and water purification
US3258123A (en) Centripetal scale pit
US2215185A (en) Liquid clarification
KR100777132B1 (ko) 비중 분리 고속 침전조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TW313560B (ko)
JPS599686Y2 (ja) 上向流式傾斜板沈降装置
KR20020041691A (ko) 사이클론 슬러지 분리기 및 이 분리기가 구비된 전해처리시스템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JP3882464B2 (ja) 沈殿槽
KR101172198B1 (ko)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킨 경사판 침전지
CN207436235U (zh) 沉泥井雨水污染物截污设施
JPH08112505A (ja) 傾斜沈降装置
JP7436092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
JP4412017B2 (ja) 沈殿槽
KR20070056572A (ko) 고효율 침전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