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68Y1 -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68Y1
KR200484468Y1 KR2020150008552U KR20150008552U KR200484468Y1 KR 200484468 Y1 KR200484468 Y1 KR 200484468Y1 KR 2020150008552 U KR2020150008552 U KR 2020150008552U KR 20150008552 U KR20150008552 U KR 20150008552U KR 200484468 Y1 KR200484468 Y1 KR 200484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anual
shaft
moto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432U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68Y1/ko
Priority to EP16197014.0A priority patent/EP3188207B1/en
Priority to ES16197014.0T priority patent/ES2686119T3/es
Priority to US15/390,370 priority patent/US10176948B2/en
Priority to CN201611237051.1A priority patent/CN106920712A/zh
Publication of KR20170002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4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01H33/664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having coil-lik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ct rod and the prope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00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 F02N1/02Starting apparatus having hand cranks having safety means preventing damage caused by reverse ro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6Pre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차지 핸들을 이용하여 개폐기구부의 스프링에 대한 차징 작업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는 진공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투입스프링 장전용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차징축; 상기 차징축의 일단에 끼워져 상기 차징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 차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차지 핸들은, 상기 차징축의 일단에 끼워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 수단이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수동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차지 핸들을 이용하여 개폐기구부의 스프링에 대한 차징 작업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 설치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공차단기는, 투입 및 트립 동작을 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스프링을 장전(차징, cjarging)하기 위하여 모터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전기적으로 모터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제어전원 이용 불가 시 수동으로도 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차단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개폐장치는 모터(1)가 구동되면 모터(1)의 회전력이 체인(2)에 의해 차징축(3)에 전달되어 차징축(3)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차징축(3)과 연결되어 있는 차징폴(4)이 주축(5)에 고정되어 있는 차징기어(6)의 기어치를 하나씩 밀면서 차징기어(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차징기어(6)가 회전되면 주축(5)에 고정된 차징캠(7)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차징캠(7)의 회전에 따라 차징레버(9)가 레버축(9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투입 스프링(10)을 인장시키게 되며, 상기 차징폴(4)은 차징기어(6)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축(5)이 일정각도 회전되면 투입 스프링(10)이 최대 인장상태로 인장되어 에너지가 축적되어 투입 대기상태로 되며, 이때 리미트스위치 동작편(11)이 회동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켜 모터(1)의 전원은 차단된다.
차단기의 투입신호에 의해 투입래치(12)가 해제되면 투입롤러가 투입스프링(10)의 순간적인 탄성에너지로 차징레버(9)를 밀어 차징레버(9)는 레버축(9a)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차징레버(9)에 연결된 링크기구(미도시)가 연동되어 투입레버가 개폐축(13)을 중심으로 투입위치까지 회전이동되어 투입동작이 완료되며, 동시에 트립스프링(14)이 차징되어 개로 대기상태가 된다.
도 3에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 차지 핸들(H)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모터(1)는 제어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투입 스프링(10)을 인장시키게 되지만, 별도로 수동으로 모터(1)를 회전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수동 차지 핸들(H)이다.
수동 차지 핸들(H)을 차징축(3)에 끼우고 돌리면 투입 스프링(10)이 차지된다. 이때, 차징축(3)의 홈에 수동 차지 핸들(H)의 돌기부를 끼워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 차지 작업 중에 제어전원이 들어오거나 실수로 전원을 넣게 되면 모터(1)의 회전에 의해 차징축(3)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수동 차지 핸들(H)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19405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79672호 '진공차단기의 차징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동 차지 핸들을 이용하여 개폐기구부의 스프링에 대한 차징 작업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는 진공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투입스프링 장전용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차징축; 상기 차징축의 일단에 끼워져 상기 차징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 차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차지 핸들은, 상기 차징축의 일단에 끼워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 수단이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수동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향 제한 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쐐기형 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외륜; 상기 외륜의 내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륜;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형 홈은 비대칭의 'U'자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륜의 외경은 상기 삽입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향 제한 수단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징축은 기어부와 축부로 구성되고 축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와 차징축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차징축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의하면 수동 차지 핸들을 이용하여 투입 스프링에 대한 차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전기적으로 외부(배전반)로부터 제어전원이 공급되더라도 회전방향 제한 수단에 의해 공회전이 일어나 수동 차지 핸들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개폐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 차지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지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적용되는 회전 방향 제한 수단의 사시도, 평면도,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의 작용도로서, 도 8은 수동 차지 핸들이 선제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9는 차징축이 선제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적용되는 회전 방향 제한 수단의 사시도, 평면도,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는 진공차단기 본체(미도시)에 설치되어 투입스프링(미도시)의 차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0); 상기 모터(20)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차징축(25); 상기 차징축(25)의 일단에 끼워져 상기 차징축(25)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 차지 핸들(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차지 핸들(30)은, 상기 차징축(25)의 일단에 끼워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이 구비된 삽입부(31); 상기 삽입부(31)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4); 상기 연장부(34)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수동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차단기 본체(미도시)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진공차단기 본체에는 투입스프링을 차지하기 위하여 모터(20)가 구비된다. 모터(20)에는 제어전원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모터(20)의 회전력은 차징축(25)에 전달되어 차징축(25)을 회전시키게 된다. 차징축(25)은 기어부(26)와 축부(27)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0)와 차징축(25)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의 예로 모터기어(21)와 체인(22)이 구성될 수 있다.
모터기어(21)는 모터(20)에 축연결되어 있어서 모터(20)와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하게 된다.
체인(22)은 모터(20)의 회전력을 차징축(25)에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체인(22)은 모터기어(21)와 기어부(26)를 연결한다. 이때, 모터기어(21)와 기어부(26)의 크기에 따라 회전비가 조절될 수 있다.
모터(20)에 제어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모터(20)의 회전력은 모터기어(21) 및 체인(22)을 거쳐 기어부(26)를 회전시킴으로써 차징축(25)의 축부(27)가 회전하게 된다.
축부(27)는 일자형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별다른 결합수단 없이 매끄러운 외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20)와 모터기어(21), 체인(22) 및 차징축(25)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29)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29)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모터(20)와 모터기어(21), 체인(22) 및 차징축(25)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동 차지 핸들(30)은 상기 차징축(25)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수동 차지 핸들(30)은 크게 삽입부(31)와 연장부(34) 및 손잡이부(37)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징축(25)의 일단에 끼워질 수 있다. 삽입부(31)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34)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는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34)는 상기 삽입부(31)로부터 연장되고 수직 절곡되어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손잡이부(37)는 상기 연장부(34)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수동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37)에는 손으로 쥐기 용이하도록 외주면 상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1)를 차징축(25)의 축부(27)에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부(37)를 잡고 회전을 시키면 연장부(34)에 의해 토크가 증대되면서 축부(27)를 회전시키게 된다
수동 차지 핸들(30)과 차징축(25) 사이의 동력 전달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삽입부(31) 내에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은, 수동 차지 핸들(30)을 회전시키는 경우 차징축(2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차징축(25)이 회전하는 경우 수동 차지 핸들(30)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은 외륜(41)과 내륜(44) 및 상기 외륜(41)과 내륜(44)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롤러부재(47)로 구성될 수 있다.
외륜(41)은 내주면에 비대칭의 'U'자형 홈(42)을 갖는 링으로 형성된다. 외륜(41)의 외경은 삽입부(31)의 내경과 일치하거나 억지끼움이 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륜(41)은 삽입부(3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외륜(41)의 내주면에는 쐐기형 홈(42)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홈(42)은 일측은 좁고 타측은 넓게 형성된다. 상기 쐐기형 홈(42)은 비대칭의 'U'자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재(47)가 일측의 좁은 부분에서는 끼어서 회전이 일어나지 않고, 타측의 넓은 부분에서는 자유롭게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내륜(44)은 외륜(41)의 내부에 외륜(4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45)을 갖는다. 내륜(44)을 롤러부재(47)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롤러부재(47)는 외륜(41)과 내륜(44)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재(47)는 외륜(41)의 쐐기형 홈(42)과 내륜(44) 사이에 구비된다. 롤러부재(47)는 내륜(44)의 관통홀(45)을 통해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외륜(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부재(47)가 쐐기형 홈(42)의 좁은 부분에 자리하는 경우에는 롤러부재(47)가 외륜(41)과 내부의 축(예를 들면, 축부(27)) 사이에 끼어 마찰이 발생하므로 외륜(41)의 회전이 내륜(44) 내부의 축에 그대로 전달된다. 즉, 외륜(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외륜(41)의 회전이 그대로 내륜(44) 내부의 축에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수동 차지 핸들(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을 거쳐 차징축(25)은 회전하게 된다.
만일, 내륜(44) 내부의 축(예를 들면, 축부(27)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부재(47)가 쐐기형 홈(42)의 넓은 부분에 자리하는 경우에는 롤러부재(47)가 외륜(41)과 내륜(44)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내륜(44) 내부의 축의 회전은 외륜(41)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내륜(44) 내부의 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롤러부재(47)는 공회전하게 되어 내륜(44) 내부의 축의 회전이 외륜(41)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수동 차지 핸들(30)을 이용한 작업 중에 모터(20)가 회전하여 차징축(25)이 회전하더라도 이 회전은 롤러부재(47)를 회전시킬 뿐, 외륜(41)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수동 차지 핸들(30)은 그대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은 기성제품으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에는 스프링(4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프링(49)은 상기 롤러부재(47)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스프링(49)은 쐐기형 홈(42)의 넓은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49)은 상기 롤러부재(47)를 상기 쐐기형 홈(42)의 좁은 부분으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도 7b 참조).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자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수동 차지 핸들(30)이 차징축(25)의 축부(27)에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부(31)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수동 차지 핸들(30)이 선제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9는 차징축(25)이 선제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자. 수동 차지 핸들(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방향 제한 수단(40)을 거쳐 차징축(25)은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살펴보면, 수동 차지 핸들(30)과 억지끼움된 외륜(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부재(47)가 쐐기형 홈(42)의 좁은 부분에 자리하는 경우에는 롤러부재(47)가 외륜(41)과 축부(27) 사이에 끼어 마찰이 발생하므로 외륜(41)의 회전이 축부(27)에 그대로 전달된다. 즉, 수동 차지 핸들(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수동 차지 핸들(30)의 회전이 그대로 축부(27)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자. 수동 차지 핸들(30)을 이용한 작업 중에 모터(20)가 회전하여 차징축(25)이 회전하더라고 이 회전은 롤러부재(47)를 회전시킬 뿐, 외륜(41)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수동 차지 핸들(30)은 그대로 있게 된다. 상세히 살펴보면, 축부(2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부재(47)가 쐐기형 홈(42)의 넓은 부분에 자리하는 경우에는 롤러부재(47)가 외륜(41)과 내륜(44)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축부(27)의 회전은 외륜(41)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차징축(2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롤러부재(47)는 공회전하게 되어 차징축(25)의 회전이 수동 차지 핸들(30)로 전달되지 못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에 의하면 수동 차지 핸들을 이용하여 투입 스프링에 대한 차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전기적으로 외부(배전반)로부터 제어전원이 공급되더라도 회전방향 제한 수단에 의해 공회전이 일어나 수동 차지 핸들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모터 21 모터기어
22 체인 25 차징축
26 기어부 27 축부
29 케이스 30 수동 차지 핸들
31 삽입부 34 연장부
37 손잡이부 40 회전 방향 제한 수단
41 외륜 42 쐐기형 홈
44 내륜 45 관통홀
47 롤러부재

Claims (7)

  1. 진공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투입스프링 장전용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차징축;
    상기 차징축의 일단에 끼워져 상기 차징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 차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차지 핸들은,
    상기 차징축의 일단에 끼워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 수단이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수동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향 제한 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쐐기형 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외륜;
    상기 외륜의 내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륜;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형 홈은 비대칭의 'U'자형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부재를 상기 쐐기형 홈의 좁은 부분으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제한 수단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징축은 기어부와 축부로 구성되고 축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차징축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모터기어와 상기 모터기어와 차징축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KR2020150008552U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KR200484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52U KR200484468Y1 (ko)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EP16197014.0A EP3188207B1 (en) 2015-12-28 2016-11-03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ES16197014.0T ES2686119T3 (es) 2015-12-28 2016-11-03 Aparato de carga manual para interruptor de vacío
US15/390,370 US10176948B2 (en) 2015-12-28 2016-12-23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CN201611237051.1A CN106920712A (zh) 2015-12-28 2016-12-28 用于真空断续器的手动充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52U KR200484468Y1 (ko)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32U KR20170002432U (ko) 2017-07-06
KR200484468Y1 true KR200484468Y1 (ko) 2017-09-08

Family

ID=5722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552U KR200484468Y1 (ko)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6948B2 (ko)
EP (1) EP3188207B1 (ko)
KR (1) KR200484468Y1 (ko)
CN (1) CN106920712A (ko)
ES (1) ES26861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2112B (zh) * 2020-06-23 2022-05-31 祥兴电气有限公司 一种柱上真空断路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04B1 (ko) * 2006-06-07 2006-08-29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용 배전박스의 스프링차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4635A (en) * 1958-08-11 1959-11-24 Gen Electric Electric switchgear
JPS5227787B2 (ko) * 1972-08-30 1977-07-22
DE2707582A1 (de) * 1977-02-22 1978-08-24 Farymann Diesel Rueckschlagsicherung an einer handandrehvorrichtung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JPS60110944A (ja) 1983-11-15 1985-06-17 李 英昊 スラブ糸調アクリル紡績糸と熱処理によつてスラブ糸調形態をアクリル紡績糸に付与する方法
JPS60110944U (ja) * 1983-12-28 1985-07-27 株式会社明電舎 真空しや断器
US5638929A (en) * 1995-04-06 1997-06-17 Hyundai Motor Company, Ltd. Controllable one-way clutch for a vehicle
JP3996991B2 (ja) * 1998-01-27 2007-10-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一方向クラッチ
KR100319405B1 (ko) 1998-09-19 2002-02-19 이종수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KR100601604B1 (ko) * 1999-04-29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프로젝터의 디스플레이 소자 온도 제어장치
KR100479672B1 (ko) * 2003-04-11 2005-03-31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차징 장치
JP2008131818A (ja) 2006-11-24 2008-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及び引出形遮断器の引出ハンドル
US7696447B2 (en) * 2007-06-01 2010-04-1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tored energy assembly therefor
DE102008026798B3 (de) * 2008-06-02 2009-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system für elektrische Schaltgeräte
DE102008002593A1 (de) * 2008-06-24 2009-12-31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 mit Kupplungsvorrichtung
KR101158604B1 (ko) 2009-05-21 2012-06-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DE112010004255B4 (de) * 2009-11-03 2017-11-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chalterbetätigungsmechanismus
JP5612435B2 (ja) * 2009-11-25 2014-10-22 Nskワーナー株式会社 差動制御式2方向クラッチ
KR101036989B1 (ko) 2009-12-23 2011-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접지 스위치 연동 장치
KR200473529Y1 (ko) 2010-04-07 2014-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오토-디스차지 장치
CN201896885U (zh) 2010-12-14 2011-07-13 宁波市海通汽车配件有限公司 超越离合器保持架
KR101279893B1 (ko) 2011-06-02 2013-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191159B1 (ko) 2011-06-10 2012-10-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2013135575A (ja) 2011-12-27 2013-07-08 Meiden T&D Co Ltd 引出形真空遮断器
KR101319405B1 (ko) 2013-07-05 2013-10-29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용접 대구경 강관 측정장치
KR101498686B1 (ko) 2013-10-15 2015-03-06 설연우 진공인터럽트의 투입과 개방 동작을 위한 수동 투개방 조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04B1 (ko) * 2006-06-07 2006-08-29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용 배전박스의 스프링차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86119T3 (es) 2018-10-16
EP3188207A1 (en) 2017-07-05
US10176948B2 (en) 2019-01-08
CN106920712A (zh) 2017-07-04
US20170186573A1 (en) 2017-06-29
KR20170002432U (ko) 2017-07-06
EP3188207B1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875B2 (en) Chain saw
EP2754536B1 (en) Motor system for dual voltage devices
CN103817660B (zh) 用于手持式工具机的工具附件
ES2653181T3 (es) Motor de dispositivo de carga por muelle en un disyuntor de circuito de aire
KR101604278B1 (ko) 스위치기어의 3위치 조작기
US10946502B2 (en) Power screwdriver
CN103295807B (zh) 功率开关的锁扣机构
KR200484468Y1 (ko) 진공차단기용 수동 차징 장치
EP3193418B1 (en) Draw out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WO2012126501A1 (en) Chainsaw with guide bar clamping and chain tensioning assembly
KR101769195B1 (ko) 회로 차단기
CN101657869B (zh) 用于直接驱动马达操作器的超越离合器
US9231341B2 (en) Hand-held power tool
KR100633761B1 (ko) 부하개폐기의 접점 조작장치
CN203644702U (zh) 漏电断路器的两用分合闸装置
KR100479672B1 (ko) 진공차단기의 차징 장치
US20140338941A1 (en) Hand power tool comprising a spindle lock device
KR101537713B1 (ko) 부착성을 강화시킨 차단기의 핸들 고정 장치
CN205670527U (zh) 自动重合闸断路器
KR100831389B1 (ko) 수동 및 자동겸용의 부하개폐시스템
KR100516946B1 (ko) 진공 차단기의 기계적 축세용 기어 박스 구조
KR100319405B1 (ko)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KR200456666Y1 (ko) 제한기 및 제한기가 적용된 단로기용 구동장치
KR100327449B1 (ko) 진공차단기의 자동 투입장치
CN204885065U (zh) 分合闸内传动结构和断路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