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908B1 -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908B1
KR100295908B1 KR1019980035259A KR19980035259A KR100295908B1 KR 100295908 B1 KR100295908 B1 KR 100295908B1 KR 1019980035259 A KR1019980035259 A KR 1019980035259A KR 19980035259 A KR19980035259 A KR 19980035259A KR 100295908 B1 KR100295908 B1 KR 10029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spring
spur gear
charg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384A (ko
Inventor
탁성준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3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9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작축(28)이 제1 스퍼어 기어(27)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수동차징시 조작자가 전면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모터의 동력전달을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SPRING OF HIGH-TENSION INSTRUMENT}
본 발명은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차징조작을 장치의 전면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 개폐기, RMU등과 같은 고압 전기기기는 전기의 통전, 단락을 위하여 기계적인 조작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계적인 조작장치는 전기기기의 특성상 순간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므로, 스프링의 복원력이 이용되고 있다. 즉, 스프링을 수동과 자동의 두가지 방법으로 차아징 시킬 수 있는 장치는 수동차아징시 전동모터축이 동시에 회전되어서 모터에 악영향을 주므로 수동조작시 수동조작축과 전동모터축의 연결을 끊어주는 특별한 기구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스프링 차아징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아징 장치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아징 장치는 워엄(1)의 일측에 캠(2)이 설치되어 있고, 그 캠(2)의 접촉면을 따라 구르는 롤러(3)가 일측에 설치된 레버(4)가 고정핀(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레버(4)의 타단부에는 차징스프링(6)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워엄(1)의 하측에는 구동모터(7)가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모터(7)의모터축 단부에는 구동베벨기어(8)가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베벨기어(8)와 상기 워엄(1)의 사이에는 구동베벨기어(8)에 기어결합되는 종동베벨기어(9)와 상기 워엄(1)에 기어결합되는 워엄휘일(10)이 설치된 조작축(11)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조작축(11)의 전단부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스프링(1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아징 장치는 자동과 수동의 두가지 방법으로 차아징을 실시한다.
자동차징은 구동모터(7)가 정회전하면 구동베벨기어(8)과 종동베벨기어(9)가 회전을 하고, 조작축(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워엄휘일(10)에 결합된 워엄(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워엄(1)에 설치된 캠(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버(4)에 설치된 롤러(3)가 롤링하게 되는데, 이때 도 2와 같이 레버(4)가 고정핀(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단부에 연결된 차징스프링(6)이 차징 된다.
수동차징시에는 측면에서 조작봉(14)을 조작축(11)의 결합부(12)에 결합하고,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조작축(11)이 스프링(13)에 탄지되면서 후방으로 약간 밀려서 구동베벨기어(8)와 종동베벨기어(9)를 일정거리(L) 이격시킨 다음, 조작봉(1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모터(7)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차징 스프링(6)이 차징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는 수동조작시 장치의 측면에서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고, 고가인 구동베벨기어와 종동베벨기어를 이용하여 동력전달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의 절감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서 자동 및 수동차징조작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적합한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자동 차징 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 수동 차징 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자동차징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수동차징동작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레버 23 : 차징스프링
24 : 롤러 25 : 캠
27 : 제1 스퍼어 기어 28 : 조작축
29 : 제2 스퍼어 기어 30 : 제1 스프로켓
31 : 클러치 스프링 32 : 제2 스프로켓
33 : 체인 34 : 모터
상기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의 일단부에 차징스프링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에는 캠이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캠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퍼어 기어에 고정되어 있고, 그 제1 스퍼어 기어의 하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조작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조작축 상에는 상기 제1 스퍼어 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제2 스퍼어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축의 후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제1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1 스프로켓과 상기 조작축 사이에는 동력을 연결 또는 끊어주기 위한 클러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프로켓의 일측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제2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프로켓과 제2 스프로켓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프로켓은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설치 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는 고정핀(21)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22)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차징스프링(23)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22)의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24)에 접촉되도록 캠(2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캠(25)은 고정핀(26)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퍼어 기어(27)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퍼어 기어(27)의 하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조작축(28)이 설치되어 있고, 그 조작축(28) 상에는 상기 제1 스퍼어 기어(27)에 기어결합되도록 제2 스퍼어 기어(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축(28)의 후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제1 스프로켓(30)이 결합되어 있고, 그 제1 스프로켓(30)과 상기 제2 스퍼어 기어(29)의 사이에는 동력을 연결 또는 끊어주기 위한 클러치 스프링(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프로켓(30)과 일정거리를 두고 제2 스프로켓(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프로켓(30)과 제2 스프로켓(32)은 체인(33)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프로켓(32)은 모터(34)의 모터축(미도시)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프로켓(30)과 조작축(28)의 동력전달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축(28)에 있는 스프링 삽입부(28a)와 제1 스프로켓(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부(30a)의 외경이 클러치 스프링(31)의 양단부 내경보다 약간 크게 제작된 상태에서 각각의 스프링 삽입부(28a)(30a)에 클러치 스프링(31)을 삽입시킴과 아울러 조작축(28)의 전단부가 제1 스프로켓(30)의 결합공(30b)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스프로켓(30)의 후방으로 돌출된 조작축(28)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28b)에 스냅 링(미도시)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스프링(31)은 제1 스프로켓(3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5는 수동조작시 사용되는 조작봉이 결합되는 결합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에서의 차징동작을 도6a와 도6b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징시에는 모터(34)가 회전하여 제2 스프로켓(32)과 체인(33)으로 연결된 제1 스프로켓(30)을 회전시키면, 제1 스프로켓(3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클러치 스프링(31)이 도 8a와 같이 제1 스프로켓(30)의 스프링 삽입부(30a)와 조작축(28)의 스프링 삽입부(28a)를 조이면서 잡게 되어 조작축(2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조작축(28)의 제2 스퍼어 기어(29)에 기어결합되어 있는 제1 스퍼어 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25)이 레버(22)에 설치된 롤러(24)를 누르게 되어, 레버(22)가 고정핀(2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차징스프링(23)을 상측으로 당겨서 차징하게 된다.
수동차징시에는 조작자가 전면에서 조작봉(40)을 조작축(28)의 결합부(35)에 결합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축(28)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긴 클러치 스프링(31)의 내경이 도 8b와 같이 확대되면서 조작축(28)과 제1 스프로켓(30)의 동력전달상태를 끊어준 상태에서 제2 스퍼어 기어(29)에 기어결합된 제1 스퍼어 기어(2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캠(25)이 레버(22)에 설치된 롤러(24)를누르게 되어, 레버(22)가 고정핀(2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차징스프링(23)을 상측으로 당겨서 차징하게 된다.
즉, 수동차징시 모터(34)로 연결되는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모터(34)의 회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는 조작축이 제1 스퍼어 기어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수동차징시 조작자가 전면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모터의 동력전달을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고가의 베벨기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의 일단부에 차징스프링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 설치된 롤러에는 캠이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캠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퍼어 기어에 고정되어 있고, 그 제1 스퍼어 기어의 하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조작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조작축 상에는 상기 제1 스퍼어 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제2 스퍼어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축의 후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제1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1 스프로켓과 상기 조작축 사이에는 동력을 연결 또는 끊어주기 위한 클러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프로켓의 일측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제2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프로켓과 제2 스프로켓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프로켓은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설치 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은 제1 스프로켓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기기기의 스프링 차징 장치.
KR1019980035259A 1998-08-28 1998-08-28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KR10029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259A KR100295908B1 (ko) 1998-08-28 1998-08-28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259A KR100295908B1 (ko) 1998-08-28 1998-08-28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84A KR20000015384A (ko) 2000-03-15
KR100295908B1 true KR100295908B1 (ko) 2001-08-07

Family

ID=1954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259A KR100295908B1 (ko) 1998-08-28 1998-08-28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02A1 (ko) * 2019-11-13 2021-05-20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04B1 (ko) * 2006-06-07 2006-08-29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용 배전박스의 스프링차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02A1 (ko) * 2019-11-13 2021-05-20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 차단기
KR20210058089A (ko) * 2019-11-13 2021-05-24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 차단기
KR102285035B1 (ko) * 2019-11-13 2021-08-02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 차단기
EP4060712A4 (en) * 2019-11-13 2023-03-15 Ls Electric Co., Ltd.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84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42798U (zh) 电动底盘车
RU2416848C1 (ru) Вы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ключателя и выключатель, имеющий д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616404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박스의 스프링차징장치
CN109830826B (zh) 一种旋转接通式新能源汽车充电桩
RU2525864C2 (ru) Трехпозиционный привод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1777445A (zh) 电磁离合式驱动装置
KR100295908B1 (ko) 고압전기기기의스프링차징장치
CN111193135B (zh) 一种可增大夹紧力的插座
JP2002209312A (ja) 気中遮断器
EP0417015B1 (fr) Mécanisme de commande d'un interrupteur multipolaire à haute tension
CN109546567A (zh) 一种便携式中置柜接地装置
CN212907611U (zh) 一种应用于自动重合闸的单模数宽度执行器
CN215496525U (zh) 一种电气开关柜内的接地刀的传动机构
CN215377351U (zh) 一种微型断路器电操手柄复位装置
KR200326645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스위치 구동장치
CN209497176U (zh) 一种便携式中置柜接地装置
KR100311532B1 (ko)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장치
CN110223889A (zh) 小型断路器分合闸驱动装置
EP3188207B1 (en)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CN108520834A (zh) 一种高压开关用手动操纵三工位机构
KR100479672B1 (ko) 진공차단기의 차징 장치
CN215578422U (zh) 一种用于断路器的脱扣装置
CN216120029U (zh) 刀闸开关机构及电力设备
KR101914871B1 (ko) 가스절연개폐기용 단로기의 구동장치
KR100327447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