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405B1 -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405B1
KR100319405B1 KR1019980038855A KR19980038855A KR100319405B1 KR 100319405 B1 KR100319405 B1 KR 100319405B1 KR 1019980038855 A KR1019980038855 A KR 1019980038855A KR 19980038855 A KR19980038855 A KR 19980038855A KR 100319405 B1 KR100319405 B1 KR 10031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pring
vacuum interrupter
cam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04A (ko
Inventor
신양섭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3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4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반의 깊이를 축소시킬 수 있게 하고 수동조작홀을 크게 뚫지 않아도 되며, 특히 수동장전시 자동장전을 위한 모터의 동력이 자동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링장전장치는 투입스프링(31)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회전식 수동조작핸들(33)을 연결할 수 있고 모터(36)로 구동되는 구동기어(38)에 의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장전조작축(35)와, 이 장전조작축(45)으로 구동되는 래치트(43)와 장전캠(45), 장전캠(45)의 편심위치에 링크된 크랭크아암(46), 크랭크아암(46)의 단부와 투입스프링(31)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의 부분이 피봇지지된 장전레버(47), 스프링장전 종료시점에서 신장된 투입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트(43)가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그 장전캠(45)을 걸게 되는 투입래치(48)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또는 이와같은 조작반을 가지는 고압기기에 적용됨으로써 조작자에 대한 안전성 및 보호등급을 높이고,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본 발명은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전반용 진공차단기의 핵심부품인 진공인터럽터의 접점을 투입시키고 또 사고전류시 트립시키도록 조작되는 조작메커니즘에 있어서 그 접점의 순간적인 개폐에 필요한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는 예를 들면 개폐를 주목적으로 하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선로의 단선이나 단락 또는 과전압이나 과부하 등 이상 상태에서 흐르는 사고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배전반은 물론 그 후단에 접속되는 부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진공속에서 상호 접촉분리되도록 움직일 수 있는 주회로 접점을 가지며, 그 접점을 투입시켜서 부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하고 사고발생시 접점을 트립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진공의 우수한 절연성능과 소호작용을 이용, 고속도 및 고빈도의 개폐가 가능하고 높은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등 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보유한다. 이러한 진공차단기 등에 있어서, 접점의 투입과 트립시간은 가능한 짧은 시간에 이뤄져야 한다. 투입 및 트립 시간이 길어지면 아크가 심하게 발생되어 접점이 용착될 수 있고, 부하기기가 높은 사고전류에 장시간 노출되어 파손되는 등의 사고가 예견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회로 접점을 투입 및 트립시키기 위한 조작메커니즘은 통상 강력한 스프링의 탄력으로 순간조작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배전반용 진공차단기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용 진공차단기에는 전원과 부하측 고정단자(1,2)에 각각 접속분리될 수 있는 접속단자(4,5)가 취부되어 있고 이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접점(7,8)을 갖는 진공인터럽터(6)가 내장되어 있는 주회로반(3)과, 진공인터럽터(6)의 가동측 접점(8)을 움직여서 고정측 접점(7)에 대해 투입 및 트립시키기 위한 조작메커니즘을 장착한 조작반(9), 그리고 주회로반(3)과 조작반(9)을 탑재하여 이송조작되는 이송대차(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진공인터럽터(6)의 가동측 접점(8)을 상하로 움직여서 고정측 접점(7)에 투입 및 트립시키기 위한 조작메커니즘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에 함께 도시한 바와 같이 강한 탄력을 보유하는 투입스프링(11)과 트립스프링(12), 투입스프링(11)의 복원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투입캠(13), 이 투입캠(13)을 지지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는 브래킷(14), 투입캠(13)에 연동되어 접점(9)을 투입시키는 투입레버(15), 트립스프링(12)의 복원력으로 당겨져 접점(9)을 트립시키도록 작동되는 트립레버(16),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한 투입캠(13)의 투입방향 회전과 브래킷(14)의 트립방향 회전이동을 각각 저지할 수 있는 래치기구, 그리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스프링장전용 기구로서, 전술한 투입캠과 동축으로 결합된 래치트(ratchet; 17), 이 래치트를 간헐적으로 각각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수동장전용 아암(18)과 자동장전용 아암(19) 및 각 아암에 설치된 포올(pawl; 20,21), 자동장전용 아암(19)을 구동하는 모터(22), 그리고 전술한 래치기구를 각각 해제시킬 수 있게 설치된 수동용 투입버튼(23)과 트립버튼(24) 및 자동용 솔레노이드기구(도시생략됨) 등을 장착하였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25는 장전조작홀이며, 26은 장전조작홀(25)을 통해 수동장전용 아암(18)에 연결하여 장전조작할 수 있게 된 별도의 수동조작핸들이다. 그리고 부호 27은 이송대차를 이송조작할 수 있는 이송조작축이다. 즉, 모터(22)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장전용 아암(19)을 선형으로 왕복동시키거나 또는 장전조작홀(25)을 통해 수동조작핸들(26)을 끼워서 위아래로 움직여 수동장전용 아암(18)을 선회시키면, 각 아암에 붙어 있는 포울(20,21)에 의해 래치트(17)가 간헐적으로 회전되면서 투입스프링(12)을 점진적으로 신장되어지는 구성이다.
한편, 진공차단기는 일반적으로 3.3kV급 이상의 고압에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여기에는 큰 기계적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조작메커니즘이 요구되므로, 그 조작메커니즘을 장착하는 조작반은 가급적 조작자의 손이나 이물질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제작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장전장치에 의하면, 수동조작핸들의 충분한 상하조작을 위하여는 조작홀을 크게 뚫어야 하므로 위험 소지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 장전용 기구를 포함한 조작메커니즘에 있어서는, 전술한 투입캠과 래치트 등이 조작반의 깊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으므로 반 깊이를 줄이는데 장애가 된다. 이 때문에 이송대차의 이송거리가 크게 확보되어야 하고 이를 수용하도록 배전반 큐비클 역시 깊게 설계되어야 한다. 만약, 배전반의 깊이를 축소시키기 위하여 진공차단기의 전면커버 부위를 배전반 큐비클 외부로 노출시킬 경우 상기한 조작홀 때문에 고압용 배전반으로서의 보호등급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되는, 바꿔말하여 소형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종래의 스프링장전장치는 수동장전을 위한 아암과 자동장전을 위한 아암이 래치트에 같이 연결된 구조이므로 수동장전중 자동장전을 위한 모터가 조작자의 실수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조작자의 수동조작핸들이 그 조작부에 끼이어 기계고장 내지 조작자가 다치는 사고가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반의 깊이를 축소시킬 수 있게 하고 또한 수동조작홀을 크게 뚫지 않아도 되도록 회전식 수동조작핸들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장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장전 도중에 자동조작을 위한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기계고장 내지 조작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수동조작핸들을 삽입하면 자동장전을 위한 모터의 동력이 자동분리되는 구조의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장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배전반용 진공차단기의 측면 일부를 절제하여 그 내부를 보이고, 거기에 적용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진공차단기의 조작반 일부를 절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진공차단기의 조작반에 장착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을 스프링 장전용 수동조작 핸들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장전구동축과 그 주변부품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장전구동축과 그 주변부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장전구동축과 장전래치트휠과의 연결상태를 축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을 스프링이 장전해지된 상태로 나타낸 입면도.
도 7b는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용 조작메커니즘을 스프링이 장전된 상태로 나타낸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투입스프링 32 : 트립스프링
33 : 수동조작핸들 35 : 장전조작축
38 : 구동기어 39 : 푸시핀
40 : 스프링 41 : 스톱볼
42 : 포올 43 : 래치트
45 : 장전캠 46 : 크랭크아암
47 : 장전레버 48 : 투입래치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는,
탄력을 보유하도록 신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있고, 이 스프링부재를 신장시킨 후 복원시킬 때 발생되는 탄력을 이용하여 진공인터럽터의 주회로 접점을 투입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회전식 수동조작핸들을 연결하여 회전조작할 수 있게 지지된 장전조작축과,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장전조작축 주위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기어부재와, 이 구동기어부재와 장전조작축을 구속시켜 함께 회전되게 하고 상기한 수동조작핸들이 연결되면 구속해제되어 공회전되게 하는 동력분리수단, 그리고 그 장전조작축의 회전으로 상기한 스프링부재를 신장시키는 신장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장전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진공차단기의 조작반에 장착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을 스프링 장전용 수동조작 핸들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장전구동축과 그 주변부품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장전구동축과 그 주변부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장전구동축과 장전래치트휠과의 연결상태를 축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을 스프링이 장전해지된 상태로 나타낸 입면도,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용 조작메커니즘을 스프링이 장전된 상태로 나타낸 입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부호 전술한 조작반의 후면부를 이루거나 그 후면부 내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 지지판, 31은 투입스프링(closing spring), 32은 트립스프링(tripping spring)이다. 투입스프링(31)을 신장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으로서는, 외부에서 회전식 수동조작핸들(33)을 연결하여 회전조작할 수 있게 홀더(34)에 지지된 장전조작축(35),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6), 장전조작축(35) 주위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36)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37)을 통해 구동되는 스프로킷(sprocket)을 사용한 구동기어(38), 이 구동기어(38)와 장전조작축(35)을 구속시켜 함께 회전되게 하고 수동조작핸들(33)이 연결되면 구속해제되어 공회전되게 하는 동력분리수단으로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푸시핀(39)과 스프링(40) 및 스톱볼(41), 그리고 그 장전조작축(35)의 회전으로 상기한 스프링부재를 신장시키는 신장수단으로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전조작축(35) 후단에 편심연결된 포올(42), 이 포올(42)의 연동에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래치트(43), 래치트(43)를 지지하는 주축(44)에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 장전캠(45), 장전캠(45)의 편심위치에 링크된 크랭크아암(46), 양단이 크랭크아암(46)의 단부와 상기한 투입스프링(31)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의 부분이 피봇지지된 장전레버(47), 스프링장전 종료시점에서 신장된 투입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트(43)가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그 장전캠(45)을 걸게 되는 투입래치(48)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지지판(30) 하단부에는 진공인터럽터의 주회로 접점중 가동접점의 투입 및 트립을 위한 접점구동축(49)이 있는데, 상기 신장된 투입스프링(31)의 탄력으로 접점구동축(49)을 구동하여 접점을 투입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투입버튼으로조작되는 투입스위치(KS), 그리고 투입스위치(KS)에 의하여 상기한 장전캠(45)을 걸고 있는 투입래치(48)를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 투입솔레노이드(OU), 상기한 장전레버(47)에 설치된 투입핀(51), 이 투입핀(51)에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그 장전레버(47)와 동축에 피봇지지된 투입캠(52), 접점구동축(49)과 연결된 투입레버(50), 그리고 투입캠(52)과 투입레버(50)를 연결하는 투입링크(53)가 구비되고, 또한 투입동작후 상기한 트립스프링(32)을 신장시켜서 사고전류시 점접트립동작에 대기시는 수단으로서 투입스프링(31)의 복원시 운동하는 투입레버(50)에 의해 신장될 수 있게 그 트립스프링(32)을 투입레버(50)와 연결하고, 그리고 투입후 신장된 트립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레버(50)가 반대로 작동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걸게 되는 트립래치(54), 그리고 트립버튼으로 조작되는 트립스위치(SS) 및 트립스위치(SS)에 의하여 상기한 투입레버(50)를 걸고 있는 트립래치(54)를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 트립솔레노이드(OI)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작메커니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인 스프링장전부분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장전조작축(35)은 스프링(40)과 푸시핀(39)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35a)와, 구동기어(38)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홈부(35a)를 관통하는 소공(35b)을 가지고 있다. 푸시핀(39)은 장전조작축(35)의 홈부(35a)에 스프링(40)과 함께 삽입되어 전술한 수동조작핸들(33) 단부에 의해 눌릴 수 있고, 그 이동에 따라 소공(35b)에 삽입되는 스톱볼(41)을 출몰시킬 수 있는 경사부(39a)를 가지고 있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푸시핀(39)은 평상시 스톱볼(41)을 경사부(39a) 위쪽으로 위치시키도록 놓이고, 수동조작을 위해 장전조작축(35)의 홈부(35a)에 수동조작핸들(33)의 단부가 끼우면, 그 수동조작핸들(33)의 단부에 눌려서 스톱볼(41)을 경사부(39a) 아래쪽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수동조작핸들(33)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스톱볼(41)에 의하여 장전조작축(35)과 구동기어(38)가 상호 구속되어져 전술한 모터(36)에 의한 자동장전이 가능하게 되며, 수동조작핸들(33)을 끼워 조작할 때는 스톱볼(41)에 의해 상호 구속되지 않으므로 동력은 차단되고 수동으로만 조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홀더(34)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장전조작축(35)의 후단에는 도 6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포올(42)이 편심연결되어 있고, 이 포올(42)은 홀더(34)에 스프링(56)과 함께 설치된 가압핀(57)에 의해 항상 래치트(43)와 맞물리도록 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장전장치에 의하여 전술한 투입스프링(31)이 장전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수동장전 이외의 평상시의 상태를 보인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장전조작축(35)의 소공(35b)에 삽입된 스톱볼(41)이 홈부(35a)에 삽입된 푸시핀(39)의 경사부(39a) 위쪽에 높이 위치하여 그 주위에 결합된 구동기어(38)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꼭 끼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로는 그 스톱볼(41)에 의하여 장전조작축(35)과 구동기어(38)가 상호 구속되므로 전술한 모터를 구동하여 자동장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수동조작핸들(33)을 장전조작축(35)에 끼워 연결하면, 푸시핀(39)이 그 끼워지는 수동조작핸들(33) 단부에 눌리게 되고, 그러면 스톱볼(41)은 그 경사부(39a)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38)가 헐거워져서 공회전하게 되는 동력이 차단된 상태로 되며, 수동으로만 장전조작축(3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장전조작축(35)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되면, 도 6과 같이 그 후단에 편심연결된 포올(42)이 래치트(43)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래치트(43)가 회전함에 따라 장전캠(45)도 함께 회전된다. 도 7a는 진공인터럽터의 주회로가 단로되고 그 주회로 접점(60)이 트립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7b는 상기와 같이 래치트(43)와 장전캠(45)이 회전된 장전조작 종료시점의 상태를 보인다. 물론, 도 7b의 상태에서도 여전히 진공인터럽터의 주회로는 단로되고 그 주회로 접점(58)은 트립된 상태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트(43) 및 장전캠(45)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아암(46) 및 장전레버(47)가 연동되어 투입스프링(31)이 점차적으로 신장된다. 스프링장전중에는 또다른 포올(58)에 의하여 래치트(43)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스프링장전 종료시점에서 신장된 투입스프링(31)은 장전캠(45)과 크랭크아암(46)의 연결부위가 사점을 넘으므로 래치트(43)를 시계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나, 장전캠(45)이 투입래치(48)에 걸려서 그 회전이 저지된다. 래치트(43)는 이때부터 더 이상 무리하게 회전조작되지 않도록 장전조작축(35)으로 편심회전되는 포올(55)과 이물림하지 않도록 배려된 것이다.
스프링장전조작이 이후에는, 진공차단기의 주회로를 전원측 회로에 삽입되도록 이송하고 전술한 투입버튼을 눌러서 그 주회로 접점을 투입하게 되는데, 도 7b와 같은 투입대기 상태에서 투입버튼에 의해 투입스위치(KS)가 조작되면, 투입솔레노이드(OU)의 코일이 여자되어 투입래치(48)를 당기게 되고, 투입래치(48)는 걸고 있던 장전캠(45)을 놓아주게 된다. 그러면 신장된 투입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해 장전레버(47)와 래치트(43) 및 장전캠(45)이 순간적으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장전레버(47)에 설치된 투입핀(51)에 투입캠(52)과 투입링크(53) 및 투입레버(50)가 연동되어 접점(60)이 투입되어진다. 이와 거의 동시에 투입레버(50)에 의하여 트립스프링(32)이 장전되고 그 복원이 트립래치(53)에 저지되어 트립대기상태로 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트립버튼으로 조작되는 트립스위치(SS)에 의해 트립솔레노이트(OI)의 코일이 여자되면 그 트립래치(53)가 해제되어 접점(60)이 트립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 실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으로 스프링장전시 동력이 차단되어지므로 기계고장이나 사고를 당할 염려가 없게 되며, 특히 조작반 전면에는 회전식 수동핸들을 축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원형구멍을 뚫어주면 되고, 또한 스프링장전을 위한 큰 직경의 전술한 래치트등의 회전반경이 조작반의 측면을 향하므로, 그만큼 조작반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또는 이와같은 조작반을 가지는 고압기기에 적용됨으로써 조작자에 대한 안전성 및 보호등급을 높이고,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3)

  1. 탄력을 보유하도록 신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있고, 이 스프링부재를 신장시킨 후 복원시킬 때 발생되는 탄력을 이용하여 진공인터럽터의 주회로 접점을 투입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회전식 수동조작핸들을 연결하여 회전조작할 수 있게 지지된 장전조작축과,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장전조작축 주위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기어부재와, 이 구동기어부재와 장전조작축을 구속시켜 함께 회전되게 하고 상기한 수동조작핸들이 연결되면 구속해제되어 공회전되게 하는 동력분리수단, 그리고 그 장전조작축의 회전으로 상기한 스프링부재를 신장시키는 신장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분리수단이, 상기한 장전조작축에 그 단부로 개구되는 홈부와 상기한 구동기어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그 홈부로 관통하는 소공을 형성하고, 그 소공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볼과, 홈부에 상기한 수동조작핸들 단부에 눌리도록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이동에 따라 스톱볼을 출몰시키도록 받쳐주는 경사부를 가지는 푸시핀, 그리고 이 푸시핀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출몰하는 스톱볼에 의하여 구동기어를 구속 또는 해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장수단이 상기한 장전조작축과 나란한 별도의 주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트와, 장전조작축 후단에 편심결합되어 그 회전조작에 따라 래치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포올과, 래치트와 동축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 투입캠과, 이 투입캠의 편심위치에 연결되는 크랭크아암과, 이 크랭크아암과 상기한 스프링부재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그 스프링부재를 잡아당기도록 피봇지지된 장전레버와, 신장된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래치트가 더 이상 그 신장키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투입캠을 걸어서 저지하는 해제가능한 투입래치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KR1019980038855A 1998-09-19 1998-09-19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KR10031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855A KR100319405B1 (ko) 1998-09-19 1998-09-19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855A KR100319405B1 (ko) 1998-09-19 1998-09-19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04A KR20000020304A (ko) 2000-04-15
KR100319405B1 true KR100319405B1 (ko) 2002-02-19

Family

ID=1955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855A KR100319405B1 (ko) 1998-09-19 1998-09-19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80B1 (ko) * 2002-09-30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EP3188207A1 (en) 2015-12-28 2017-07-05 LSIS Co., Ltd.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80B1 (ko) * 2002-09-30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EP3188207A1 (en) 2015-12-28 2017-07-05 LSIS Co., Ltd.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US10176948B2 (en) 2015-12-28 2019-01-08 Lsis Co., Ltd.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04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4940A1 (en) Withdraw-in and withdraw-out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KR100890754B1 (ko) 기중 차단기용 투입작동 가능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기중차단기
ES2653181T3 (es) Motor de dispositivo de carga por muelle en un disyuntor de circuito de aire
CN201327804Y (zh) 用于能量存储机构的联锁组件
WO2007126234A1 (en) Automatic reset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N114334525B (zh) 旋转式隔离开关
KR100319405B1 (ko) 진공인터럽터용 조작메커니즘의 스프링 장전장치
KR101144585B1 (ko) 소형 회로차단기의 트립 경보 장치
US3980977A (en) Spiral operating mechanism for high voltage switch
CN216902655U (zh) 一种脱扣装置和隔离开关
KR100849173B1 (ko) 누전차단기용 레버 복귀 장치
KR100574895B1 (ko) 배선용 차단기
JP2007110823A (ja) 真空遮断器
KR200411539Y1 (ko) 진공차단기
JP3619948B2 (ja) 電気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ES2366027T3 (es) Aparato de interbloqueo de un mecanismo de desconexión por baja tensión en avance de fase para un motor de arranque manual.
CN217655812U (zh) 旋转式隔离开关
KR102091533B1 (ko) 회로차단기
CN201527942U (zh) 紧急分闸断路器装置
CN213025989U (zh) 断路器用漏电显示机构
JP2000509197A (ja) モジュール形付属装置の機械的なロックアウト機構
CN217983182U (zh) 一种隔离开关
CN215578421U (zh) 一种断路器的锁止装置
KR200398043Y1 (ko) 마그네틱 트립 디바이스
CN208157344U (zh) 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