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84Y1 -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84Y1
KR200484384Y1 KR2020160000118U KR20160000118U KR200484384Y1 KR 200484384 Y1 KR200484384 Y1 KR 200484384Y1 KR 2020160000118 U KR2020160000118 U KR 2020160000118U KR 20160000118 U KR20160000118 U KR 20160000118U KR 200484384 Y1 KR200484384 Y1 KR 200484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le
support
cosmetic
makeup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577U (ko
Inventor
김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0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8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복수의 수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홈은 화장품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홈 및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은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화장 도구의 지지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Cosmetic applicator and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 시 화장 도구를 화장품 용기에 간편하게 끼워둘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인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색조 화장품은, 팔레트에 마련되는 수납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팔레트에는 복수 개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서로 다른 색조 화장품이 수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팔레트 내에 수납되어 있는 브러시 또는 별도로 마련한 브러시 등의 화장 도구를 이용하여, 팔레트에 수납된 색조 화장품을 얼굴 등의 피부로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화장을 하는 과정에서 색조 화장품용 브러시를 내려 놓고 다른 화장을 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브러시를 팔레트 내의 수납 공간에 놓을 수 있다.
그런데 팔레트 내의 수납 공간은, 브러시가 인입된 상태에서도 뚜껑이 문제 없이 닫힐 수 있도록 충분히 함몰된 형태를 가지므로, 브러시가 팔레트 내 수납 공간에 놓이면, 사용자가 다시 브러시를 파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이는 팔레트 내의 수납 공간의 깊이가 일반적으로 브러시를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을 정도로 마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시를 팔레트 내의 수납 공간에 넣지 않고 다른 곳에 내려둘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브러시를 떨어뜨려 브러시가 파손되거나 화장품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는 브러시가 분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팔레트에 브러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마련하는 경우에 있어서, 브러시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고안이 시급하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 용기에 화장 도구가 임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화장 도구는 관통공에 끼워지되 빠지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장 도구를 잠시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 도구가 관통공에 끼워져 편리하게 보관되도록 한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형성된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가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점점 두꺼워지다가 다시 점점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이 두꺼워지는 정도보다 상기 제2 면이 두꺼워지는 정도가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곡면이고, 상기 지지대가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상기 제1 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2 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2 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복수의 수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홈은, 화장품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홈; 및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상기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화장 도구의 지지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홈 상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마개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는 상기 제2 홈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스프링 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제2 홈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는,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홈을 덮을 때 가압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는, 화장 도구를 잠시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 도구가 화장품 용기에 마련된 관통공에 임시로 끼워져 있도록 하여 화장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화장 도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지지대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장품 용기에 도 1의 화장 도구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화장품 용기에 도 1의 화장 도구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도 1의 화장 도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화장품 용기의 Ⅰ-Ⅰ' 방향 단면도이고,
도 10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도 8의 화장품 용기에 도 1의 화장 도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 도구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00)는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복수의 도포부(180, 190), 상기 도포부(180, 190)를 상기 지지대(110)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캡(160, 17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도포부(180, 190)는 소정량의 화장품을 묻혀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로, 화장용 솜(180) 및 브러시(19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용 솜(180)은 상기 지지대(11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그 반대편 단부에는 상기 브러시(190)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가 복수이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사상은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어떠한 화장 도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의 예로서 브러시나 솜이 구비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사상은 화장품을 묻혀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도포부를 구비한 화장 도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가 하나의 브러시와 하나의 화장용 솜을 구비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사상은 지지대의 양 단에 이종의 도포부가 구비되는 경우 뿐 아니라 동종의 도포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캡(160, 170)은 상기 지지대(110)의 끝과 상기 복수의 도포부(180, 190)의 끝을 함께 둘러싸 연결한다. 상기 복수의 고정 캡(160, 170)은 솜 고정 캡(160) 및 브러시 고정 캡(170)을 포함한다. 상기 솜 고정 캡(160)은 상기 화장용 솜(180)의 끝과 상기 지지대(110)의 일단을 함께 둘러싸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고정 캡(170)은 상기 지지대(110)의 반대단과 상기 브러시(190)의 끝을 함께 둘러싸 고정한다.
다만, 상기 복수의 고정 캡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복수의 도포부는 다른 형태로 지지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상기 도포부(180, 190)를 지지하는 막대이다. 상기 지지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점점 두꺼워졌다가 점점 가늘어진다. 상기 지지대(110)는 중간쯤에서 가장 두꺼울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화장 도구(100)를 화장대나 테이블과 같은 평평한 면 상에 놓았을 때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평평한 면에 닿고 두께가 가늘어지게 형성된 단부가 평평한 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 좌우방향을 대체적으로 길이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하방향을 대체적으로 두께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과 각각 수직한 방향을 대체적으로 폭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길이방향은 정확하게는 상기 화장 도구(100)의 양 단부가 동일한 높이에 있을 때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고 도 2에서 상기 화장 도구(100)가 약간 기울어져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은 도 2의 좌우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진 방향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대(110)의 외면은 대체적인 곡면이며, 제1 면(111) 및 상기 제1 면(111)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 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면(112)은 상기 제1 면(111)보다 더 불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대(110)의 제2 면(112)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지지대(110)의 제1 면(111)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보다 크다.
상기 지지대(110)는 전체적으로 넓적하게 눌린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대(110)의 종단면 형상은 대체적으로 타원 형상에 가까울 수 있다. 여기서 종단면 형상은 상기 두께방향과 상기 폭방향에 모두 나란한 평면에서의 모양을 말한다. 그리고 횡단면 형상은 상기 두께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모두 나란한 평면에서의 모양을 말한다.
상기 지지대(110)의 폭 길이가 가장 큰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111)과 상기 제2 면(112)이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면(111)과 상기 제2 면(112)은 돌출된 정도가 상이하므로 상기 지지대(110)의 종단면 형상은 완전한 하나의 타원 형상은 아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대(110)의 상기 제1 면(111)보다 상기 제2 면(112)이 더 돌출된 형태이면 상기 지지대의 종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은 물론 비대칭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2에서 상기 화장 도구(100)는 제2 면(112)이 바닥(G)을 향하고 상기 제1 면(111)이 위를 향하도록 놓여있다. 여기서 바닥(G)은 화장대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일 수 있다. 상기 제2 면(112)이 상기 제1 면(111)보다 더 불룩한 형상이므로 도 2에서 상기 지지대(110)의 제2 면(112)의 곡률은 대체적으로 상기 제1 면(111)의 곡률보다 더 크다.
상기 지지대(110)에서 상기 제2 면(112)이 가장 불룩한 부분은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110)의 두께가 가장 두꺼워지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0)의 두께가 가장 두꺼워지는 부분에서 상기 제2 면(112)의 곡률은 상기 제1 면(111)의 곡률보다 크다. 이때 상기 제2 면(112)의 곡률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 중 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면(11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면(112)의 곡률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 모두에 대해서 상기 제1 면(111)의 곡률보다 클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도 2와 같이 상기 화장솜(180) 쪽 단부가 바닥(G)에 닿고 상기 브러시(190) 쪽 단부가 바닥(G)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화장 도구(100)를 바닥(G)에 놓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바닥(G)에서 이격된 쪽의 지지대(110)를 잡아 상기 화장 도구(1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서와 반대로 화장솜(180) 쪽 단부가 바닥(G)에서 이격되도록 바닥(G)에 놓고 다시 집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도포부(180, 190)가 바닥(G)에 닿지 않도록 바닥(G)에 놓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10)의 중간에서 제2 면(112)이 가장 불룩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면(112)이 가장 불룩한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브러시(190)와 상기 화장 솜(180)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보다 더 바닥(G)에 잘 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화장 도구(100)를 구멍이 형성된 거치대에 삽입하면 상기 화장 도구(100)가 비스듬하게 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집기 편리하다. 이는 후술한다.
상기 지지대(110)의 폭 방향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대(110)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대(110)의 두께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도 2와 같이 화장 도구(100)를 바닥(G)에 놓았을 때 화장 도구(100)가 굴러가지 않고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대(110)의 폭방향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아도 좋다.
예를 들어, 변형예에 따른 지지대(110')는 폭 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도 있다.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지지대(11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x 축은 폭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두께방향을 나타낸다. 도 3의 C는 변형예에 따른 지지대(110')의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가장 긴 선과 두께방향으로 가장 긴 선이 교차하는 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의 지지대(110')는 폭 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이때에도 두께방향으로 제2 면(112)이 돌출되는 정도(ℓ2)는 제1 면(111)이 돌출되는 정도(ℓ1)보다 크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복수의 수납 홈(220, 230)이 형성된 용기 본체(21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210)는 두께가 있는 대체적인 사각형 판이다.
상기 복수의 수납 홈(220)은, 화장품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홈(220) 및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 있는 제2 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220)은 상기 용기 본체(210) 상에서 기결정된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되며,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220)이 형성된 용기 본체(210)는 팔레트형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제1 홈(220)은 화장품이 담길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홈(220)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230)은 화장 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210) 상에서 기결정된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홈(230)의 저면에 관통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40)에는 화장 도구를 꽂아 거치할 수 있다. 거치되는 화장 도구가 관통공(240)에서 걸리도록 상기 관통공(240)의 크기는 상기 화장 도구의 지지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화장 도구의 단부는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홈(230)은 도 1의 화장 도구(100)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홈(230)의 깊이는 상기 화장 도구(100)의 지지대(11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 정도이거나 그보다 더 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홈(23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240)에 상기 화장 도구(10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화장 도구(100)가 도 4의 화장품 용기(200)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관통공(240)은 대체적인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관통공(240)의 크기는 상기 화장 도구(100)의 지지대(11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통과하지 않고 상기 화장 도구(100)의 도포부(180, 190)는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관통공(240)은 타원형의 단축 방향 길이가 상기 화장 도구(100)의 지지대(11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화장 도구(100)는 상기 관통공(240)에 걸려 상기 화장품 용기(200)에 거치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240)과 상기 화장 도구의 지지대(110)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상기 화장 도구(100)는 비스듬한 자세로 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화장 도구(100)를 집을 수 있다.
다만, 상기 관통공(240)의 모양은 타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장 도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는 원형, 다각형, 별형 기타 비정형의 모양일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화장품 용기에 도 1의 화장 도구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는 도 4의 화장품 용기에 커버(290)와 마개(250)가 더 구비된 것이다. 용기 본체(210), 제1 홈(220), 제2 홈(230), 관통공(240)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상세한 구성은 상술하였다.
상기 커버(290)는 상기 용기 본체(210) 상면을 모두 덮는다. 상기 커버(290)가 상기 용기 본체(210)를 덮으면 상기 제1 홈(220)에 수납되는 화장품이 보호되며 이물질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90)와 상기 마개(250)에 의해 상기 제2 홈(230)에 수납되는 화장 도구가 보호되며 이물질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커버(290)의 일단부는 상기 용기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커버는 슬라이드 방식이나 후크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커버가 단일 부재이나 커버는 상기 제1 홈(220)을 덮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2 홈(230)을 덮는 제2 커버로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250)는 힌지(260)에 의해 상기 제2 홈(23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240)을 개폐한다. 상기 마개(250)는 상기 관통공(240)보다 크게 형성된 대체적인 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관통공(240)과 상기 마개(250)는 상기 제2 홈(230)에 수납되는 화장 도구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중첩되지 않도록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화장 도구(100)를 화장품 용기(300)에 거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상기 마개(250)를 열고 관통공(240)에 상기 화장 도구(100)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 도구(100)를 상기 화장품 용기(300)에 수납하고자 할 때 상기 마개(250)를 닫아 상기 관통공(240)을 막은 후 상기 화장 도구(100)를 상기 제2 홈(230)에 넣고 상기 커버(290)를 닫으면 된다.
도 8은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도 1의 화장 도구(100)가 수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Ⅰ-Ⅰ' 방향 단면도이고, 도 10은 화장품 용기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는 상기 마개(2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61, 262, 26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29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마개(250)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화장 도구(100)를 상기 제2 홈(230)의 저면으로부터 밀어올릴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커버(290)를 열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화장 도구(100)가 약간 들어올려지므로 화장 도구(100)를 집기 편리하다. 반면 도 10에서와 같이 커버(29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홈(230)에 수납된 상기 화장 도구(100)가 상기 마개(250)를 상기 관통공(240) 쪽(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마개(2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탄성부재는 스프링 부(262)가 힌지(260)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262)의 한쪽 끝이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210)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261) 및 상기 스프링 부(262)의 다른쪽 끝이 연장되어 상기 마개(250)에 고정되는 마개 고정부(26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개(250)가 열리는 정도는 상기 본체 고정부(261)와 상기 마개 고정부(263) 사이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본체 고정부(261)와 상기 마개 고정부(263) 사이의 각도는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탄성부재(216, 262, 263)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마개를 열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화장 도구 200, 300: 화장품 용기
210: 용기 본체 220: 제1 홈
230: 제2 홈 240: 관통공
250: 마개 290: 커버

Claims (10)

  1.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형성된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가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점점 두꺼워지다가 다시 점점 가늘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을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이 돌출되는 정도보다 상기 제2 면이 돌출되는 정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각각 곡면이고,
    상기 지지대가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상기 제1 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2 면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2 면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5. 복수의 수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홈은,
    화장품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홈; 및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 도구는,
    상기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형성된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가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점점 두꺼워지다가 다시 점점 가늘어지며,
    상기 제2 홈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화장 도구의 지지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제2 홈 상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복수의 수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홈은,
    화장품이 수납될 수 있는 제1 홈; 및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 도구는,
    상기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형성된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가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점점 두꺼워지다가 다시 점점 가늘어지며,
    상기 제2 홈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상기 화장 도구의 지지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관통공에 상기 화장 도구가 삽입되어 걸린 상태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마개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제2 홈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스프링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적어도 상기 제2 홈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홈을 덮을 때 가압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60000118U 2016-01-07 2016-01-07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0484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18U KR200484384Y1 (ko) 2016-01-07 2016-01-07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18U KR200484384Y1 (ko) 2016-01-07 2016-01-07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77U KR20170002577U (ko) 2017-07-17
KR200484384Y1 true KR200484384Y1 (ko) 2017-08-31

Family

ID=5939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18U KR200484384Y1 (ko) 2016-01-07 2016-01-07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8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13B2 (ja) * 1990-09-29 2000-07-10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KR200476011Y1 (ko) * 2013-08-30 2015-01-28 주식회사 보승코퍼레이션 화장용 브러시 거치대
KR101515386B1 (ko) * 2013-12-17 2015-05-04 (주)유니팩 코리아 화장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13U (ja) * 1998-12-25 1999-09-0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中入れフィルム及び化粧料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13B2 (ja) * 1990-09-29 2000-07-10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KR200476011Y1 (ko) * 2013-08-30 2015-01-28 주식회사 보승코퍼레이션 화장용 브러시 거치대
KR101515386B1 (ko) * 2013-12-17 2015-05-04 (주)유니팩 코리아 화장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77U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760B2 (en) Container retaining device
JP6546894B2 (ja) 化粧スタンプ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JP2020526315A (ja) 化粧品容器
KR10047941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3142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84384Y1 (ko) 화장 도구 및 화장품 용기
JP6045641B1 (ja) 化粧容器
JP5558913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425540Y1 (ko) 아이새도우 화장품 용기
KR200405094Y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707232B1 (ko) 두 개의 브러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
CN108698737A (zh) 容器
KR20220050262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172560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48748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1779828B1 (ko)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하는 화장품용기
KR101436940B1 (ko) 슬립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케이스
JPH0121607Y2 (ko)
KR100646255B1 (ko) 화장품 용기
JP6275570B2 (ja) ブラシ器具付きキャップ
KR101320822B1 (ko) 큐빅 콤팩트 색조 화장품 용기
KR102164385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