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70Y1 -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 Google Patents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70Y1
KR200484370Y1 KR2020160000508U KR20160000508U KR200484370Y1 KR 200484370 Y1 KR200484370 Y1 KR 200484370Y1 KR 2020160000508 U KR2020160000508 U KR 2020160000508U KR 20160000508 U KR20160000508 U KR 20160000508U KR 200484370 Y1 KR200484370 Y1 KR 200484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virus
attached
chlorine diox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804U (ko
Inventor
황만수
Original Assignee
황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만수 filed Critical 황만수
Priority to KR2020160000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7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부(11)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고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21)를 갖는 바이러스차단체(20)를 포함하고, 일면에 제1접착제(31)가 도포되고 이면에 제2접착제(32)가 도포되며 상기 제2접착제(32)에 이형지(33)가 부착되어 상기 제1접착제(31)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제(32)의 이형지(33)를 제거한 후 제2접착제(33)를 스마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부착하여 상기 몸체(10)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부착시키는 부착체(30)와; 상기 몸체(10)의 표면 둘레부를 따라 천공되어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가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구멍(4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sticker type interception tool of virus}
본 고안은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지갑과 같은 휴대물품에 간단하게 부착하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유해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는 여러 가지 세균이 서식하고 있는 바, 일상생활 중에서 공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세균을 아무런 여과없이 그대로 흡입하고 있으며, 어린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의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감기의 경우, 코나 목구멍 기관 등의 호흡기 계통에 생기는 질병으로 원인이 바이러스나 세균 또는 먼지 등의 자극, 체온 분포의 불균형, 알레르기원인 등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공기 중에 분포하고 있는 바이러스 중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나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감기를 발생하는 주된 바이러스로 대개, 재채기나 기침 등에 의해 공기 중에 분포하고 있다가 타인의 코나 입과 같은 호흡기를 통해 타인에게 유입되어 감기를 유발시키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 수단의 발달에 의해 대부분 스마트폰을 휴대하고 있는 바, 이러한 스마트폰은 통화는 물론 문자와 같은 메시지전송은 물론 각종 컨덴츠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은 현대인에게 매우 필수적인 휴대물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스마트폰을 얼굴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얼굴에 밀착시킨 상태로 스마트폰의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휴대함에 있어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거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휴대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 서식하고 있는 바이러스 유해균이 그대로 스마트폰에 달라붙게 되고 통화를 위해 스마트폰을 얼굴에 근접시킬 경우 스마트폰에 달라붙은 바이러스 유해균이 사용자의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스마트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스티커형 전자파 차단구가 이미 안출되거나 실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전자파 차단구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유해전자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달라붙은 바이러스 유해균이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528110호인 휴대용 바이러스 차단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걸이구멍이 관통된 몸체와,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넣어져 수용되고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을 갖는 바이러스차단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측에는 암벨로테잎이 더 부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바이러스차단체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측에 부착 구비되는 암벨크로테잎에 부착되는 수벨크로테잎이 더 구비되어, 상기 암벨크로테잎과 수벨크로테잎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측에 상기 수용부가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수용부가 떨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의 하부측에 통공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분말에 포함되는 이산화염소가 방출되는 미세구멍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걸이구멍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몸체를 자신의 의복 주머니 또는 모자나 가방과 같은 착용하는 물품에 걸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휴대성이 용이함은 사실이지만,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달라붙은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 유해균이 스마트폰 사용 중에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28110호(2015.06.04.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148822호(1999.03.19. 등록)
본 고안은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거나 밀착되어 사용되는 휴대물품에 부착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달라붙은 바이러스 유해균이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는,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를 갖는 바이러스차단체를 포함하고, 일면에 제1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면에 제2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제2접착제에 이형지가 부착되어 상기 제1접착제에 의해 상기 몸체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제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제2접착제를 스마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부착하여 상기 몸체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부착시키는 부착체와; 상기 몸체의 표면 둘레부를 따라 천공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의 이산화염소가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구멍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표면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개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차단하고 표면에 로고문양부가 구비되며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방부의 내측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걸림돌부와 상기 개방부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어지는 걸이홈부를 갖는 덮개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몸체는, 종이재질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스티커형으로 구비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쉽고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달라붙은 바이러스 유해균이 호흡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가 휴대물품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가 휴대물품에 부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의 덮개가 덮어지는 상태의 분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의 덮개가 덮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는, 내부에 수용부(11)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고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21)를 갖는 바이러스차단체(20)를 포함하고, 일면에 제1접착제(31)가 도포되고 이면에 제2접착제(32)가 도포되며 상기 제2접착제(32)에 이형지(33)가 부착되어 상기 제1접착제(31)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제(32)의 이형지(33)를 제거한 후 제2접착제(33)를 스마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부착하여 상기 몸체(10)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부착시키는 부착체(30)와, 상기 몸체(10)의 표면 둘레부를 따라 천공되어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가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구멍(4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형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차단체(20)는 내부에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21)가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21)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20)의 재질은 예를 들어 미세구멍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산화염소는,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28110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환경부에서 고시한 수처리제의 기준과 규격에서 살균, 소독제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먹는 물에 대한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는 중이며, 할로겐원소 함유 유기화합물이 없으며 할로겐원소 비함유 유기화합물도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 퍼듀대학(Purdue Univ.)의 연구에 의하면 과일 및 야채로부터 치명적인 유해 세균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며 탄저균, 리스테이라균, 대장균, 살모네라균을 최소 10만분의 1수준까지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러스차단체(20)가 수용된 몸체(10)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부착하면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가 상기 몸체(10)의 표면 둘레부를 따라 천공된 방출구멍(40)을 통해 방출되어 휴대물품(101)에 잔류하고 있는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균은 물론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균이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접착제(31)이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제2접착제(32)가 이면에 도포된 상기 부착체(3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종이재질 또는 쿠션을 갖는 실리콘 재질 또는 스펀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종이재질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는, 분말형, 고체형, 액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부착체(30)의 제2접착제(32)에 의해 부착된 이형지(33)를 제2접착제(32)로부터 때어낸 후 이형지(33)가 분리된 제2접착제(32)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위치되도록 하여 부착하면 상기 몸체(10)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쉽고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몸체(10)가 부착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가 상기 몸체(1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 주변의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균이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부착제(30)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몸체(10)의 표면에는 상기 수용부(11)와 연통되는 개방부(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50)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50)를 차단하고 표면에 로고문양부(61)가 구비되며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방부(50)의 내측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걸림돌부(62)와 상기 개방부(50)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어지는 걸이홈부(63)를 갖는 덮개(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방부(50)의 형상 및 상기 덮개(6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 개방부(50)에 상기 덮개(60)를 끼우는 방법은, 상기 덮개(60)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걸림돌부(62) 중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돌부(62)를 먼저 개방부(50)의 내측으로 인입한 상태에서 덮개(60)를 소정의 힘으로 개방부(50)측으로 밀어 덮개(60)를 개방부(50)에 끼우면 된다.
상기 덮개(60)에 구비되는 로고문양부(61)에 의해 덮개(60)는 물론 덮개(60)가 결합되는 몸체(10)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20)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균이 차단됨을 사용자에게 각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6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의 기능이 다할 경우, 상기 덮개(60)를 몸체(10)의 개방부(50)로부터 분리한 후 바이러스차단체(20)만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60)를 개방부(5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60)에 구비된 걸이홈부(63)에 사용자의 손톱을 끼우거나 또는 핀과 같은 도구를 끼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60)와 개방부(50)와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바이러스차단체(20)를 교체하는 작업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수용부
20 : 바이러스차단체 21 : 이산화염소
30 : 부착체 31 : 제1접착제
32 : 제2접착제 33 : 이형지
40 : 방출구멍 50 : 개방부
60 : 덮개 61 : 로고문양부
62 : 걸림돌부 63 : 걸이홈부

Claims (4)

  1. 내부에 수용부(11)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고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21)를 갖는 바이러스차단체(20)를 포함하고,
    일면에 제1접착제(31)가 도포되고 이면에 제2접착제(32)가 도포되며 상기 제2접착제(32)에 이형지(33)가 부착되어 상기 제1접착제(31)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제(32)의 이형지(33)를 제거한 후 제2접착제(33)를 스마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부착하여 상기 몸체(10)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부착시키는 부착체(30)와;
    상기 몸체(10)의 표면 둘레부를 따라 천공되어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가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구멍(4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0)의 표면에는 상기 수용부(11)와 연통되는 개방부(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50)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50)를 차단하고 표면에 로고문양부(61)가 구비되며 둘레부를 따라 상기 개방부(50)의 내측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걸림돌부(62)와 상기 개방부(50)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어지는 걸이홈부(63)를 갖는 덮개(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종이재질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는, 분말형, 고체형, 액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KR2020160000508U 2016-01-28 2016-01-28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KR200484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08U KR200484370Y1 (ko) 2016-01-28 2016-01-28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08U KR200484370Y1 (ko) 2016-01-28 2016-01-28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04U KR20170002804U (ko) 2017-08-07
KR200484370Y1 true KR200484370Y1 (ko) 2017-08-30

Family

ID=6062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08U KR200484370Y1 (ko) 2016-01-28 2016-01-28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7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310B1 (ko) 2020-05-12 2021-01-04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20210102106A (ko)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우물산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102099A (ko)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우물산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흡착제
KR20210153241A (ko) 2020-06-10 2021-12-17 서정혁 마스크 소독장치,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및 이산화염소 방출 마스크 소독장치의 제작방법
KR102362642B1 (ko) 2020-12-23 2022-02-15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용 물품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20230114962A (ko) 2022-01-26 2023-08-02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함입된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71A (ko)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클로바이오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스티커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01Y1 (ko) 1999-08-06 2000-02-15 김현옥 스티커식 방향제 케이스
JP3179685B2 (ja) 1995-10-27 2001-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車両等の走行検知方式
JP3184180B2 (ja) * 1999-04-28 2001-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Ti−Wの選択的エッチング液及びそのエッチ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22Y1 (ko) 1996-08-05 1999-06-15 종 득 신 유해전자파의 차폐용 금속박판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
JP3179685U (ja) * 2012-08-21 2012-11-15 新光株式会社 ブローチ型空気清浄器具
JP3184180U (ja) * 2013-04-05 2013-06-13 株式会社 プライス 空気浄化用具
KR20160004706A (ko) * 2014-07-04 2016-01-13 이용화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KR101528110B1 (ko) 2014-10-27 2015-06-11 황만수 휴대용 바이러스 차단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685B2 (ja) 1995-10-27 2001-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車両等の走行検知方式
JP3184180B2 (ja) * 1999-04-28 2001-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Ti−Wの選択的エッチング液及びそのエッチング方法
KR200166401Y1 (ko) 1999-08-06 2000-02-15 김현옥 스티커식 방향제 케이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106A (ko)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우물산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102099A (ko)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우물산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흡착제
KR20210102105A (ko)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우물산 식품의 선도를 유지시키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96336B1 (ko) * 2020-02-11 2021-09-01 주식회사 리우물산 식품의 선도를 유지시키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96335B1 (ko) * 2020-02-11 2021-09-01 주식회사 리우물산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흡착제
KR102300013B1 (ko) * 2020-02-11 2021-09-08 주식회사 리우물산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98310B1 (ko) 2020-05-12 2021-01-04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20210153241A (ko) 2020-06-10 2021-12-17 서정혁 마스크 소독장치,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및 이산화염소 방출 마스크 소독장치의 제작방법
KR102362642B1 (ko) 2020-12-23 2022-02-15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용 물품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20230114962A (ko) 2022-01-26 2023-08-02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함입된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20230153980A (ko) 2022-01-26 2023-11-07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함입된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04U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70Y1 (ko)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US20200329792A1 (en) Face mask having closable opening and method of reducing exposure to respiratory illness
US20190296787A1 (en) Medical device case
US9162813B2 (en) Pacifier holder and protector
US20060254591A1 (en) Personal hygiene device and method
KR20180025098A (ko)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JP2011505208A (ja) 手の接触による病原菌伝染に対する保護機能を有する咳キャッチャー
JP2012157781A (ja) 他者保護用の衛生マスク
KR102169481B1 (ko) 일체형 다목적 보호복
US9700490B2 (en) Cough containment apparatus
KR102423506B1 (ko) 마스크의 안전끈장치
AU2014235707A1 (en) Ring protection device
KR101528110B1 (ko) 휴대용 바이러스 차단구
US8353086B2 (en) Ring cling
US7726317B1 (en) Apparatus to protect a piercing
KR200484371Y1 (ko) 밴드형 바이러스 차단구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CN206413822U (zh) 一种安全帽
CN203677787U (zh) 鼻罩
KR200493260Y1 (ko) 마스크 귀걸이 고정 상의
CN207912105U (zh) 口罩
CN212118793U (zh) 一种呼吸防护装置
CA3092962A1 (en) Mask case
JP2023008270A (ja) 装着型放出装置
KR102548605B1 (ko)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