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310B1 -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310B1
KR102198310B1 KR1020200056599A KR20200056599A KR102198310B1 KR 102198310 B1 KR102198310 B1 KR 102198310B1 KR 1020200056599 A KR1020200056599 A KR 1020200056599A KR 20200056599 A KR20200056599 A KR 20200056599A KR 102198310 B1 KR102198310 B1 KR 102198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mobile phone
layer
sticker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철
Original Assignee
권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철 filed Critical 권혁철
Priority to KR102020005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52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휴대폰(10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기 휴대폰(100) 후면 상에 사용자가 주로 파지하는 부위에 부착되되, 전면에 점착제(211)가 도포되고 PVC 또는 PET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단(210); 상기 원단(210) 후면 상에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 인쇄된 칼라인쇄층(220); 및 고상 이산화염소에 정제수를 희석한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법을 통해 상기 칼라인쇄층(220) 상에 인쇄하여 혼합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층을 상온 경화시켜 형성되는, 기상의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방출하는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Sticker for blocking virus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poxy or urethane invaginated ClO2}
본 발명은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염소(ClO2)가 함입된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가 피부착 휴대폰에 부착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온난화 등 지구촌의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인류는 이제까지 대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등 신종 병원균의 무차별 공격에 노출되고 있다. 여기에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제간의 교류가 잦아지면서 전염병 감염속도는 순식간에 대륙을 넘나들고 그 감염 범위는 전지구적 차원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런 바이러스나 세균과의 전쟁시대에 일반시민 차원에서 병원균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세균·바이러스의 전파 매개체인 손을 관리하는 것이다.
물론 매스컴이나 보건당국의 꾸준한 홍보로 손씻기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실천이 잘 되지 않는 이유는 그만큼 현실적인 장애 요인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현실적으로 손을 씻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반드시 손씻는 수도시설이 근처에 있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 또 손을 씻을 수 있다손 치더라도 하루 8번씩 20초 이상 꼼꼼히 씻어야 한다는 식의 지침이라면 '결벽증 환자'가 아니고서는 실천이 어렵다. 그리고 손을 씻었다 하더라도 손잡이 등 다시 감염된 물건 등에 접촉하게 된다면 그 이전의 손씻기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진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이동 중에 있을 때다. 다른 사무실을 방문하거나 버스,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그곳의 손잡이나 기구 등은 알 수 없는 수많은 사람의 손길을 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 중에 접하게 되는 모든 장소와 물건들은 손에 의한 감염 위험성의 측면에서 가장 취약한 것이지만 현재까지는 이동 중에 수시로 손을 청결히 할 수 있는 수단이나 도구는 거의 없다.
시중에는 나와 있는 손소독제나 소독장치들은 대부분 이동성, 휴대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한 번 소독 이후에 이루어지는 세균·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없게 되어 있다. 비록 휴대용 손소독제 용기가 나와는 있으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고 별도로 핸드백과 같은 가방에 넣어야 가지고 다닐 수 있다.
결국 휴대용 소독제 등을 별도로 구비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소독제를 개발하는 것이 보다 나은 해결책일 수 있다.
특허문헌 0001에는 내부에 수용부(11)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고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21)를 갖는 바이러스차단체(20)를 포함하고, 일면에 제1접착제(31)가 도포되고 이면에 제2접착제(32)가 도포되며 상기 제2접착제(32)에 이형지(33)가 부착되어 상기 제1접착제(31)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제(32)의 이형지(33)를 제거한 후 제2접착제(33)를 스마폰과 같은 휴대물품(101)에 부착하여 상기 몸체(10)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부착시키는 부착체(30)와; 상기 몸체(10)의 표면 둘레부를 따라 천공되어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된 바이러스차단체(20)의 이산화염소(21)가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구멍(4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0001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정 비용과 고가 부품을 사용하여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0001은 이산화염소를 사용함에 있어 이산화염소 자체를 분말형이나 액체형으로 제조한 것을 개시하고 있어서, 휘발성이 강한 이산화염소의 제품 사용기간이 극히 제한적이고 오랜 기간 바이러스 차단 효과를 가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4370호 (발명의 명칭 :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거나 밀착되어 사용되는 휴대물품에 부착되어 휴대물품에 달라붙은 바이러스 유해균이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고,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고, 휘발성이 강한 이산화염소의 제품 사용기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휴대폰(100)에 부착되는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로서, 상기 휴대폰(100) 후면 상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에 부착되되, 전면에 점착제(211)가 도포되고 PVC, PET 및 SPG(유포지) 중 어느 하나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 상에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홀로그램 필름(215)을 포함하는 원단(210); 상기 원단(210) 후면 상에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 인쇄된 칼라인쇄층(220); 및 고상 이산화염소에 정제수를 희석하여 고상 이산화염소를 20 내지 30%를 함유한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법을 통해 상기 칼라인쇄층(220) 상에 인쇄하여 혼합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층을 상온 경화시켜 형성되는, 기상의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방출하는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은,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2:8 ~ 3:7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스티커형으로 구비되어 휴대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쉽고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휴대폰과 같은 휴대물품에 달라붙은 바이러스 유해균이 호흡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폭시 또는 우레탄을 주성분으로 된 이산화염소 방출층의 표면에 크랙 형성을 방지하고 외관상 깔끔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고, 휘발성이 강한 이산화염소의 제품 사용기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심미적 기능성을 향상시킨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가 휴대폰(100)상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의 기상의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의 실물사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2)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2)의 실물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가 휴대폰(100)상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휴대폰(100) 후면 상에 부착되되, 사용자가 주로 파지하는 부위인 휴대폰(100) 후면의 중단 및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ClO2)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를 포함함으로써 바이러스 차단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그 전면에 점착제(211)가 도포되고 PVC 또는 PET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단(210); 상기 원단(210) 후면 상에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 인쇄된 칼라인쇄층(220); 및 고상 이산화염소에 정제수를 희석한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법을 통해 상기 칼라인쇄층(220) 상에 인쇄하여 혼합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층을 상온 경화시켜 형성되는, 기상의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방출하는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혼합된 혼합물에는 일정량의 경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을 형성시킬 때 상기 혼합층을 상온에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상기 혼합물은 경화되기 전에 액상의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면 불안정한 이산화염소 가스가 과다 방출되므로 경화된 이산화염소 방출층(230) 표면에 크랙이나 홀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용어 "상온"이라 함은 특별히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20 내지 30 ℃ 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은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2:8 ~ 3:7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희석물은 고상 이산화염소를 약 20 내지 30%를 함유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가 2:8 ~ 3:7 범주를 벗어나게 되면, 경도가 저하되거나 바이러스 차단 능력이 감소한다. 예를 들면,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가 4:6인 경우, 희석물의 함량이 증가하여 경화된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은 표면에 크랙이 형성되어 반투명해질 수 있어서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가 1:9 인 경우, 기상의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이 약 0.001 ppm 미만으로 급감하여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차단, 퇴치 능력이 미흡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에 있어,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2:8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화시킨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을 포함하는 경우, 기상의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에 있어,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3:7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화시킨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을 포함하는 경우, 기상의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산화염소의 방출량 측정 방법은 실내온도 23 ~ 26 ℃, 상대습도 23 ~ 24 %로 유지되는 측정실에서 이산화염소 측정기(기종: GASTIGER 2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2:8 ~ 3:7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화시킨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을 포함함에 따라, 기상 이산화염소 방출량이 0.02 ~ 0.03 ppm 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상 이산화염소 방출량은 바이러스 차단 기능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양이다. 또한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온에서 최소 30일 이상 0.02 ~ 0.03 ppm의 기상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술한 에폭시 수지 대신에 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휴대폰(100)에 부착되는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기 휴대폰(100) 후면 상에 사용자가 주로 파지하는 부위에 부착되되, 전면에 점착제(211)가 도포되고 PVC 또는 PET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단(210); 상기 원단(210) 후면 상에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 인쇄된 칼라인쇄층(220); 및 고상 이산화염소에 정제수를 희석한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법을 통해 상기 칼라인쇄층(220) 상에 인쇄하여 혼합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층을 상온 경화시켜 형성되는, 기상의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방출하는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에 있어, 상기 원단(210)은 PVC, PET 및 SPG(유포지) 중 어느 하나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 상에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홀로그램 필름(2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PVC, PET는 투명한 재질이고, SPG(유포지)는 PP 합성지로서 불투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는 휴대폰 부착 이전에 PET 투명 재질 또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는 이형필름(10)에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10) 상에는 상술한 점착제(211), 홀로그램 필름(215), 칼라인쇄층(220) 및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이 순차로 형성된다.
여기서 홀로그램 필름(215)은, PVC, PET 및 SPG(유포지) 중 어느 하나 재질로 이루어진 홀로그램기재(212); 상기 홀로그램기재(212) 상에 형성되는 홀로그램엠보싱층(213); 및 상기 홀로그램엠보싱층(213) 상에 형성되는 광반사층(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광반사층(214)는 소정의 굴절율을 가지며, 예컨대 1.6 이상의 굴절율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의 실물사진이다. 도 8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1)는 홀로그램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심미적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2)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보는 바와 같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2)는 이산화염소 방출층(230) 상에 형성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홀로그램박층(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2)의 실물사진이다. 도 10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2)는 홀로그램 무늬와 홀로그램 박층 무늬가 서로 융합되어 조명 하에서 심미감(審美感)과 미려(美麗)함을 표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이형필름
100 : 휴대폰
200, 201, 202 :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210 : 원단
211 : 점착제
212 : 홀로그램기재
213 : 홀로그램엠보싱층
214 : 광반사층
215 : 홀로그램 필름
220 : 칼라인쇄층
230 : 이산화염소 방출층
240 : 홀로그램박층

Claims (3)

  1. 휴대폰(100)에 부착되는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는 상기 휴대폰(100) 후면 상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에 부착되되,
    전면에 점착제(211)가 도포되고 PVC, PET 및 SPG(유포지) 중 어느 하나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 상에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홀로그램 필름(215)을 포함하는 원단(210);
    상기 원단(210) 후면 상에 다양한 캐릭터 형상이 인쇄된 칼라인쇄층(220); 및
    고상 이산화염소에 정제수를 희석하여 고상 이산화염소를 20 내지 30%를 함유한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법을 통해 상기 칼라인쇄층(220) 상에 인쇄하여 혼합층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층을 상온 경화시켜 형성되는, 기상의 이산화염소를 일정량 방출하는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산화염소 방출층(230)은, 상기 희석물과 에폭시 수지를 2:8 ~ 3:7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200).
  2. 삭제
  3. 삭제
KR1020200056599A 2020-05-12 2020-05-12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102198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99A KR102198310B1 (ko) 2020-05-12 2020-05-12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99A KR102198310B1 (ko) 2020-05-12 2020-05-12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310B1 true KR102198310B1 (ko) 2021-01-04

Family

ID=7412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99A KR102198310B1 (ko) 2020-05-12 2020-05-12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26B1 (ko) 2021-02-19 2022-05-12 주식회사 실크로드코리아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 스티커
KR20230153980A (ko) 2022-01-26 2023-11-07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함입된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17B1 (ko) * 2004-10-12 2005-03-24 김삼경 탈취 및 살균을 위한 점착형 패드
KR20160006869A (ko) * 2014-07-09 2016-01-20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84370Y1 (ko) 2016-01-28 2017-08-30 황만수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17B1 (ko) * 2004-10-12 2005-03-24 김삼경 탈취 및 살균을 위한 점착형 패드
KR20160006869A (ko) * 2014-07-09 2016-01-20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84370Y1 (ko) 2016-01-28 2017-08-30 황만수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26B1 (ko) 2021-02-19 2022-05-12 주식회사 실크로드코리아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 스티커
KR20230153980A (ko) 2022-01-26 2023-11-07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함입된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10B1 (ko)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US20110155765A1 (en) Handy san systems
US6546594B1 (en) Sanitary and disposable covers for use with door knobs and door handles
KR10106964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US20150361278A1 (en) Treatment of frequently touched surfaces to improve hygiene
US20190261781A1 (en) Travel kit
WO2005115356A3 (en) Anti-microbial handle system
US20080005822A1 (en) Article for Finger
KR200484370Y1 (ko)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DE602004025032D1 (de) Tragbarer zerstäuber mit klemmbügel und dazugehöriges verfahren
USD559117S1 (en) Bottle
ATE550262T1 (de) Behälter mit externer schutzfolie
US20080110773A1 (en) Wearable devices for dispensing flowable agents
KR101393871B1 (ko)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티커
KR102362642B1 (ko)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용 물품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DE60330366D1 (de) An kunststoff anhaftende aerosolfarbzusammensetzung
KR20110003052U (ko) 입체감을 느끼는 장식용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209373479U (zh) 纳米吸附防窥膜
KR101367783B1 (ko) 손톱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102363765B1 (ko) 항균 열전사 필름
TWM498110U (zh) 保護貼結構
KR20230114962A (ko) 이산화염소가 함입된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JP3159104U (ja) マスク除菌パック
GB2436498A (en) Rear projection screen
TW201534095A (zh) 具抗菌功能之行動電話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