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869A -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869A
KR20160006869A KR1020140086190A KR20140086190A KR20160006869A KR 20160006869 A KR20160006869 A KR 20160006869A KR 1020140086190 A KR1020140086190 A KR 1020140086190A KR 20140086190 A KR20140086190 A KR 20140086190A KR 20160006869 A KR20160006869 A KR 2016000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chlorine dioxide
diisocyanate
curing agen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복
김종락
송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주)푸르고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주)푸르고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Priority to KR102014008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869A/ko
Publication of KR2016000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8Pads or the like for clean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65Low-molecular-weight organic substances, e.g. absorption of additives in the surface of the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살균기능을 구비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Product for Adhesive Polyureth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r the Same}
본 출원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살균기능을 구비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나 카페트 등과 같은 직물의 경우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섬유 표면에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다량의 오염물질이 달라붙을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을 떼어내기 위해서 근래에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을 활용하는 테이프 방식의 크리너가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방식의 크리너는 테이프의 점착면을 의류나 카페트 등 먼지가 붙은 부분에 접촉시켜 먼지를 제거한다.
이러한 테이프 방식의 크리너는 그 테이프가 다수 겹으로 권취되며, 오염물질이 점착된 부분 및 점착력이 떨어진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새롭게 노출된 점착력이 우수한 테이프 부분으로 다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절단된 테이프부분은 재사용될 수 없어 폐기해야 하며, 그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하며,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면이 넓은 경우 테이프의 대량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점착면에 붙은 오염물질을 물로 씻어 낸 후 물기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롤 크리너가 시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크리너는 플라스틱 몰드 위에 실리콘 또는 아크릴이 도포됨에 따라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롤 크리너는 리필 롤의 두께가 얇아 점착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시로 세척하여야 하며, 물로 씻어 반복 사용시에 실리콘 또는 아크릴의 점착력이 현저히 감소되어 오염물질의 부착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의 점성을 높이게 되면 실리콘의 유분이 피착면(특히, 의류나 카페트)에 배어 나와 물건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롤 크리너의 몸체를 이루는 플라스틱 몰드의 경우 굴곡이 있는 바닥 표면이나 침구에는 잘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굴곡진 피착면에 붙은 오염물질은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롤 크리너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므로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되어 오히려 피청소면을 오염시킬 수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2001-0000676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복 재사용 시에도 높은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굴곡진 면에도 보다 잘 밀착되며, 세균번식을 차단하고 살균기능이 구비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가 개시된다.
상기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는, 한 분자당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제 내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75중량퍼센트 이상 95중량퍼센트 이하이고, 상기 경화제 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30중량퍼센트 이상 60중량퍼센트 이하인 조성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29중량퍼센트 이상 49중량퍼센트 이하인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32 중량퍼센트 이상 52중량퍼센트 이하인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5중량퍼센트 이상 2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3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상기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의 기공에 함침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기에 혼입한 후 교반하여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를 중합반응 시키는 교반단계;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의 중합반응에 의해 조성된 폴리우레탄을 몰드주형 내부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폴리우레탄을 상기 몰드주형 내부에서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몰드주형으로부터 상기 폴리우레탄을 분리시키는 분리단계; 및 상기 몰드주형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우레탄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이산화염소 함침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교반단계 후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탈포하는 탈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함침단계는,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폴리우레탄을 이산화염소수에 담궈 폴리우레탄의 기공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함침단계는,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폴리우레탄을 이산화염소 가스가 충진된 챔버 내부에 위치시켜 폴리우레탄의 기공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높은 탄성력과 점착력을 가져, 이물질 제거에 보다 효과적이다.
둘째, 점착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져 내구성이 향상되며, 물에 씻어 재사용이 가능하여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피 접촉면에 잔상이 남지 않아 피청소면을 오히려 오염시키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넷째, 살균기능을 가진 이산화염소가 함침되므로,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피 청소면까지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로서제진용 롤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로서 제진용 롤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에 이산화염소를 함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에 이산화염소를 다른 방법으로 함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출원의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는 제진용 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나 카페트 등의 피청소면에 앉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용 롤(100)의 원통 형상의 베이스(110)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130)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는 한 분자당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이물질 제거부(130)의 점성에 영향을 주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131)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물질 제거부(100)의 탄성에 영향을 주는 경화제(133)의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제(131)내 폴리올의 함량은 75중량퍼센트 이상 95중량퍼센트 이하이고, 경화제(133) 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30중량퍼센트 이상 60중량퍼센트 이하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폴리올의 함량이 75중량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의 점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접착성 폴리우레탄(P)성형체로 이루어진 롤의 이물질 제거부(130)를 먼지, 머리카락 기타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바닥이나 의류 표면으로부터 수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으로 폴리우레탄(P)에 먼지 등이 달라붙어 점착력이 소실되는 경우에도, 중성세제나 물로 폴리우레탄(P)을 세척하면 폴리우레탄(P)에 부착된 먼지 등이 모두 제거되고 점성이 복원되어 이물질 제거부(130)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의 함량이 95중량퍼센트 이하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이 피착면에 달라붙어 오염을 일으키거나 섬유 올을 뽑아내는 등 폴리우레탄(P)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바닥이나 의류 표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이나 의류 표면으로부터 폴리우레탄(P)을 떼어내기 위해 큰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이물질 제거부(130)의 연신율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에테르폴리올 및 에스테르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에테르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을 에테르화한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에는 각종 먼지라던지 오염물이 붙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균 또한 부착 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에는 이산화염소(ClO2)가 함침되며, 함침된 이산화염소가 천천히 발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에 부착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산화염소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의 표면뿐만 아니라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와 접촉하는 피접촉면 또한 살균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131)를 이루는 폴리올은 2종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131) 내 함량이 13중량퍼센트 이상 4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1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분자량이 2500이상 5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131) 내 함량이 40중량퍼센트 이상 77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2폴리프로필렌글리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제 2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한 폴리올에 촉매, 쇄 연장제 및 가소제를 첨가제로서 첨가함에 따라 폴리우레탄(P)을 제조할 수 있다.
촉매는 주제(131)의 화합물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제(131) 내 함량이 0.2중량 퍼센트 이상 12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쇄 연장제는 후술할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쇄 연장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하여 주제(131) 내 함량이 0.1중량퍼센트 이상 13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으로서 가소제가 혼합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제(131)를 이루는 폴리올은 2종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1500이상 2500이하이고, 상기 주제(131) 내 함량이 30중량퍼센트 이상 50중량퍼센트 이하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분자량이 3500이상 5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131) 내 함량이 25중량퍼센트 이상 45중량퍼센트 이하인 폴리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폴리올에 촉매, 쇄 연장제 및 가소제를 첨가제로서 첨가함에 따라 주제(131)를 제조할 수 있다.
촉매는 주제(131)의 화합물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제(131) 내 함량이 0.2중량 퍼센트 이상 12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쇄 연장제는 후술할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쇄 연장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하여 주제(131) 내 함량이 0.5중량퍼센트 이상 1.5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으로서 가소제가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30중량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의 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먼지, 머리카락 기타 이물질이 피착된 바닥이나 의류표면과 같은 피착면에 의해 눌렸던 이물질 제거부(130)의 체적이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되어 외력의 방향을 따라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60중량퍼센트 이하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이 단단하지 않고 우수한 쿠션감을 가지므로 굴곡이 있는 바닥 표면이나 침구 의류 등에 부착된 이물질에 이물질 제거부(130)를 일일이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함 없이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133)의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주제(131)와 혼합되는 경화제(133)를 이루는 이소시아네이트는 2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병용할 수 있으며, 경화제(133) 내 함량이 29중량퍼센트 이상 49중량퍼센트 이하인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경화제(133) 내 함량이 32 중량퍼센트 이상 52중량퍼센트 이하인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을 포함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경화제(133) 내 함량이 5중량퍼센트 이상 2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3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첨가함에 따라 경화제(133)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1]
전술한 실시예 2에 따른 주제(131)와 혼합되는 경화제(133)를 이루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130)로 이용되는 폴리우레탄(P)은 전술한 주제(131)와 경화제(133)를 혼합하여 중합반응 시킴에 따라 제조됨에 따라, 피착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정도의 부착강도와 중성세제나 물로 세척하여도 반복사용 할 수 있는 풍부한 점성을 가지면서, 청소대상물과 맞닿음으로 인해 눌렸던 체적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뛰어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주제(131)와 경화제(133)의 배합비율이나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첨가량을 조절함에 따라 이물질 제거부(130)의 점성과 탄성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불에 붙은 먼지나 오염 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한 점성을 가진 이물질 제거부(130)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한 점성을 가진 이물질 제거부(130)를 제조하는 실시예에 따라 폴리우레탄(P)을 제조할 수 있다.
반면에, 의류에 붙은 먼지나 오염 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닥이나 이불에 사용하는 경우보다 약한 점성을 가진 이물질 제거부(130)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점성을 가진 이물질 제거부(130)를 제조하는 실시예에 따라 폴리우레탄(P)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양한 점성을 갖는 폴리우레탄(P)을 제조하여 이를 이물질 제거부(130)에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제거부(130)의 두께는 적어도 1mm 이상으로 형성하여, 폴리우레탄(P)이사용자로부터 인장력을 받아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굴곡이 있는 바닥 표면이나 침구 의류 등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P)은 무수한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porous)의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기공 내에 이산화염소(ClO2)가 함침될 수 있다.
상기 기공 내에 함침된 이산화염소는 사용 중에 천천히 발산되어 상기 폴리우레탄(P)과 접촉되는 대상물 및 폴리우레탄(P) 자체는 물론, 폴리우레탄(P) 주변 공간의 세균을 세균을 살균하거나, 암모니아나 유화수소, 머캡탄 및 패놀 등의 악취 원인물질의 구조를 파괴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의 일 예로서 제진용 롤로 형성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진용 롤(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이물질 제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PVC, PP, LDPE, HDPE 및 PET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0)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거나, 평면으로 형성된 후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는 전술한 접착성 폴리우레탄(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우레탄(P)으로 이루어져 점착성을 가져, 의복이나 카페트 등의 피청소면과 접촉되어 피청소면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접착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표면은 프라이머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0)와 이물질 제거부(130)의 접착강도 또는 결합강도를 이물질 제거부가 피청소면과 접착되는 강도보다 높여, 이물질 제거부(130)를 피청소면에서 떼어낼 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가 베이스(110)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P)으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부(130)는 적어도 1mm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 피청소면에 다소 굴곡이 있어도 폴리우레탄(P)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피청소면과 밀착되도록 접촉되며, 중성세제나 물에 씻어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의 폴리우레탄(P)이 이산화염소(ClO2)를 함침하고 있으므로, 상기 폴리우레탄(P)의 기공 내에 함침된 이산화염소는 사용 중에 발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을 살균하거나, 암모니아나 유화수소, 머캡탄 및 패놀 등의 악취 원인물질의 구조를 파괴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이 접촉하는 피 청소면에 서식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도 있고, 피 청소면에 부착된 악취 원인물질을 분해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폴리우레탄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상기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폴리우레탄 성형체가 제진용 롤으로 제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진용 폴리우레탄을 구비한 제진용 롤의 제조방법은 교반단계, 투입단계, 가열단계 및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교반단계에서 사용자는 주제탱크(151)내에 저장된 주제(131)와 경화제 탱크(153)내 저장된 경화제(133)를 교반기(160)에 혼입할 수 있다.
이때, 주제(131)와 경화제(133)는 전술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다.
교반기(160)에 투입된 주제(131)와 경화제(133)는 모터(16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봉(163)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봉(163)의 회전에 의하여 주제(131) 및 경화제(133)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중합반응을 일으켜 전술한 제진용 폴리우레탄 조성물(P)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이 완료된 폴리우레탄 조성물(P)은 기포를 많이 함유라고 있기 때문에 심미감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교반단계에서 발생된 기포를 적절히 제거하는 탈포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탈포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주제(131)와 경화제(133)의 중합반응에 의해 조성된 폴리우레탄 조성물(P)은 투입단계에서 몰드주형(155)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원통형상의 베이스(115)는 폴리우레탄 조성물(P)이 몰드주형(155) 내부로 투입되기 이전 몰드주형(155)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P)은 몰드주형(155)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115)외측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몰드주형(155) 내부로 투입된 폴리우레탄 조성물(P)은 30~70℃의 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경화시킬 수 있다.
폴리우레탄 조성물(P)의 경화가 완료되면, 몰드주형(155)으로부터 베이스 (110)및 베이스(115) 표면에 점착된 폴리우레탄(P)을 몰드주형(155)으로부터 탈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탈형된 폴리우레탄(P)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이산화염소 함침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함침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형된 폴리우레탄(P)을 이산화염소수(310)에 소정시간동안 담궈 상기 폴리우레탄(P)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부(130)의 기공에 이산화염소가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20) 내부에 탈형된 폴리우레탄(P)을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320)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여 이산화염소 가스가 상기 폴리우레탄(P)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부의 기공에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폴리우레탄(P)은 함침된 이산화염소의 색상인 황적색을 띌 수 있으며, 함침된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짙어질수록 그 색상의 짙기 또한 짙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물질 제거부(130)의 색상 농도의 변화로서 폴리우레탄에 잔존된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진용 롤의 교체시기를 더욱 쉽게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진용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부를 구비한 제진용 롤
110: 베이스 130: 이물질 제거부
P: 제진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131: 주제 133: 경화제
155: 몰드주형 160: 교반기
310: 이산화염소수 320: 챔버

Claims (10)

  1. 이산화염소가 함침된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는,
    한 분자당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제 내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75중량퍼센트 이상 95중량퍼센트 이하이고, 상기 경화제 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30중량퍼센트 이상 60중량퍼센트 이하인 조성을 갖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29중량퍼센트 이상 49중량퍼센트 이하인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32 중량퍼센트 이상 52중량퍼센트 이하인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5중량퍼센트 이상 2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3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는 상기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의 기공에 함침되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7.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기에 혼입한 후 교반하여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를 중합반응 시키는 교반단계;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의 중합반응에 의해 조성된 폴리우레탄을 몰드주형 내부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폴리우레탄을 상기 몰드주형 내부에서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몰드주형으로부터 상기 폴리우레탄을 분리시키는 분리단계;
    상기 몰드주형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우레탄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이산화염소 함침단계;
    를 포함하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 후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탈포하는 탈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함침단계는,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폴리우레탄을 이산화염소수에 담궈 폴리우레탄의 기공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단계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함침단계는,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폴리우레탄을 이산화염소 가스가 충진된 챔버 내부에 위치시켜 폴리우레탄의 기공에 이산화염소를 함침시키는 단계인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제조방법.
KR1020140086190A 2014-07-09 2014-07-09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6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90A KR20160006869A (ko) 2014-07-09 2014-07-09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90A KR20160006869A (ko) 2014-07-09 2014-07-09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869A true KR20160006869A (ko) 2016-01-20

Family

ID=5530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90A KR20160006869A (ko) 2014-07-09 2014-07-09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8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628B1 (ko) * 2016-05-19 2017-01-06 안편노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성형품
KR20170003782U (ko) 2016-04-26 2017-11-03 김남재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담배갑 전용 점착패드
KR102198310B1 (ko) * 2020-05-12 2021-01-04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102362642B1 (ko) * 2020-12-23 2022-02-15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용 물품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76A (ko) 2000-10-12 2001-01-05 홍만의 수도관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76A (ko) 2000-10-12 2001-01-05 홍만의 수도관 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82U (ko) 2016-04-26 2017-11-03 김남재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담배갑 전용 점착패드
KR101693628B1 (ko) * 2016-05-19 2017-01-06 안편노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성형품
KR102198310B1 (ko) * 2020-05-12 2021-01-04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폰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KR102362642B1 (ko) * 2020-12-23 2022-02-15 권혁철 이산화염소가 에폭시 또는 우레탄 수지에 함입된 휴대용 물품 부착용 바이러스 차단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6869A (ko)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DE1620777C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rk- und gegebenenfalls Schaumstoffteilchen enthaltenden Massen
CN101365358B (zh) 具有织物的鞋底和将织物附着至鞋底的方法
RU2012127291A (ru) Обработанный полимочевиноуретаном шнур для приводного ремня и ремень
US3098755A (en) Coated rubber articl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515841B2 (ja) ウレタンポリオールプレポリマー、多孔性ポリウレタン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13993A (ja) 水性分散液、及びそのシート状基材の製造のための使用方法
KR101591280B1 (ko) 리필 롤과 리필 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장착한 롤 크리너
MX2012010235A (es) Metodo para producir una capa de pelicula de un material de poliuretano de fase-separada, flexible, elastomerico, termoendurecible.
KR20070049632A (ko) 구두창 보수제 및 그것을 사용한 구두창 보수 세트
KR20160006874A (ko)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먼지 제거 패드
CN101506265A (zh) 实心非膨胀填充的弹性体模塑部件及其制备方法
DE2002754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urethanschaumstoffs
JP2015205424A (ja) 表皮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車両用内装材
US10030167B2 (en) Method for producing blade member
JP2012205665A (ja) 靴用インソール
US2996409A (en) Composite cellular structures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H0375329B2 (ko)
KR101146554B1 (ko)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천연 수세미를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US6337041B1 (en) Method for making a vulcanized elastomer capable of combining with polyurethane without use of adhesive and method of using the elastomer so made
JPS5938044A (ja) 反応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3513684A5 (ko)
KR20070079362A (ko)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품 점착 시트 및 그제조방법
JP2589250B2 (ja) 射出成形布靴の製造方法
KR200419756Y1 (ko) 먼지제거용 실리콘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