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02Y1 -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02Y1
KR200484302Y1 KR2020120009827U KR20120009827U KR200484302Y1 KR 200484302 Y1 KR200484302 Y1 KR 200484302Y1 KR 2020120009827 U KR2020120009827 U KR 2020120009827U KR 20120009827 U KR20120009827 U KR 20120009827U KR 200484302 Y1 KR200484302 Y1 KR 200484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wire
housing
wo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686U (ko
Inventor
곽상영
최선규
진봉건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to KR2020120009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0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02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애자가 삽입 안착되는 애자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차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애자하우징; 및 애자방호공간과 연통되어 애자에 고정되는 가공전선이 삽입 안착되는 전선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애자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선하우징; 을 포함하고, 애자하우징에는, 가공전선이 삽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전선하우징에는, 가공전선이 전선방호공간에 안착되도록 제1절개부와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INSULATOR COVER FOR LIVE LINE WORK TYPE ON OVER HEAD DISTRIBUTION LINE}
본 고안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자에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와, 애자를 완전 방호하여 절연 상태로 만들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고,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며, 기계적 강도가 보장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또는 완금)에 현수애자를 설치하여 가공전선을 지지하고, 핀애자 또는 LP애자(Line post type insulator)를 설치하여 가공전선이 상호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핀애자 또는 LP애자에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는 바인드선으로 애자와 가공전선을 감아서 고정시킬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7925호 (2007. 01. 26. 등록, 발명의 명칭 :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에 게시되어 있다.
또한, 핀애자 또는 LP애자에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는 바인드선을 사용하지 않고 바인드 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Bind Less Line Post Cover)를 씌워서 가공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2308호 (2003. 02. 03. 등록, 발명의 명칭 : 배전선로의 전선지지용 애자캡) 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57호 (2009. 10. 14. 등록, 고안의 명칭 :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에 게시되어 있다.
이때, 가공배전선로에서 활선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핀애자 또는 LP애자로 작업자나 작업 장비의 접근이 수시로 이루어짐에 따라 충분한 절연 특성과 기계적 강도가 보장된 절연덮개를 사용하여 애자에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와, 애자를 방호하여 안전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절연덮개는 외국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배전설비의 변천에 따라 가공전선이 결합되는 충전부와 애자에서 완전 방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고,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며, 기계적 강도가 보장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애자가 삽입 안착되는 애자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차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애자하우징; 및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애자에 고정되는 가공전선이 삽입 안착되는 전선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선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애자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삽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상기 전선방호공간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절개부와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애자에 상기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가 삽입 안착되는 충전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과 상기 전선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상기 전선방호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제1절개부가 연장 형성되는 충전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하우징에는,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상기 충전방호공간에 연통되는 연결공간;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제1절개부에 삽입 이동되는 상기 가공전선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 또는 상기 충전하우징에 구비되는 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애자하우징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 또는 상기 전선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전선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하우징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고정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관과 상기 전선하우징이 끼움 결합되는 방호관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도록 상기 전선하우징과 끼움 결합되는 제1전선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선덮개는,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전선관부; 상기 고정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호전선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걸림방호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호전선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방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가공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되어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도록 상기 전선하우징과 끼움 결합되는 제2전선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전선덮개는,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고, 일측에 제1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1관부; 상기 고정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3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3걸림방호부;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도록 상기 제1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관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2관부; 및 상기 제3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4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걸림방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전선덮개는, 상기 제1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공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단계조정부가 구비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관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단계조정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단계조정부가 구비되는 제2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애자에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와, 애자를 완전 방호하여 절연 상태로 만들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고,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며, 기계적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핀애자는 물론 LP애자를 완전 방호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애자 주변의 가공전선을 완전 방호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호관과 애자덮개를 안정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덮개와 애자덮개를 안정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와 방호관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전선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와 제1전선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전선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전선덮개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와 제2전선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애자하우징(10)과, 전선하우징(20)을 포함한다.
애자하우징(10)은 애자(100)가 삽입 안착되는 애자방호공간(11)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차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애자하우징(10)에는 제1절개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개부(13)는 애자(100)에 고정되는 가공전선(200)이 삽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절개부(13)는 애자방호공간(11)이 노출되도록 애자하우징(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절개부(13)의 자유단부에는 가공전선(2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애자하우징(10)의 하단부를 향해 제1절개부(13)의 폭을 확장하여 제1확장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절개부(13)는 공지된 절단기로 애자하우징(10)을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가공전선(200)의 삽입에 따라 애자하우징(10)이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애자하우징(10)에는 변형방지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17)는 애자하우징(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애자(100)를 애자방호공간(11)에 삽입하거나, 활선 작업에서 작업자나 작업 장비가 애자(100) 또는 가공전선(200)에 접근할 때, 애자하우징(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애자하우징(1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애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전선하우징(20)은 애자방호공간(11)과 연통되어 애자(100)에 고정되는 가공전선(200)이 삽입 안착되는 전선방호공간(21)을 형성하도록 애자하우징(1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전선하우징(20)에는 가공전선(200)이 전선방호공간(21)에 안착되도록 제1절개부(13)와 연통되는 제2절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개부(23)는 제1절개부(13)와 연통되어 전선방호공간(21)이 노출되도록 전선하우징(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절개부(23)의 자유단부에는 가공전선(2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선하우징(20)의 측단부를 향해 제2절개부(23)의 폭을 확장하여 제2확장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절개부(23)는 공지된 절단기로 전선하우징(20)을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가공전선(200)의 삽입에 따라 전선하우징(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하우징(20)에는 고정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7)는 전선하우징(20)의 둘레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고정부(27)는 전선하우징(20)과 방호관 커넥터(70)의 끼움 결합에서 방호관 커넥터(70)에 걸림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전선하우징(20)과 제1전선덮개(80)의 끼움 결합에서 제1전선덮개(80)에 걸림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선하우징(20)과 제2전선덮개(90)의 끼움 결합에서 제2전선덮개(90)에 걸림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자(100)를 애자하우징(10)의 애자방호공간(11)에 삽입함에 따라 가공전선(200)은 제1절개부(13)를 따라 이동되어 제2절개부(23)를 거쳐 전선하우징(20)의 전선방호공간(21)에 삽입 안착됨으로써, 애자(100)와 가공전선(200)을 완전 방호할 수 있다.
이때, 애자하우징(10)에는 애자(100)에 가공전선(200)을 고정시키는 충전부(300)가 수용되어 애자(100)와 가공전선(200)은 물론 충전부(300)를 완전 방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부(300)는 가공전선(200)이 지지되도록 애자(100)의 단부에 구비되는 충전바디부(310)와, 가공전선(200)을 애자(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충전바디부(310)와 가공전선(200)에 권취되는 충전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연장부(330)는 바인드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인드로 이루어진 충전연장부(330)는 공지된 다양한 권취 구조를 통해 충전바디부(310)와 가공전선(200)에 권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날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40)는 애자하우징(10)의 제1절개부(13)에 삽입 이동되는 가공전선(200)에 의해 애자하우징(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애자하우징(10)의 제1절개부(13)에 대응하여 애자하우징(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0)는 애자하우징(10)에서 이격되도록 애자하우징(10) 또는 전선하우징(20)에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50)는 작업자가 파지함으로써, 애자(100)를 애자하우징(10)의 애자방호공간(11)에 삽입할 때, 작업자가 애자(100) 또는 가공전선(2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전선(200)이 제1절개부(13)를 따라 삽입 이동될 때, 가공전선(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가공전선(200)이 전선하우징(20)의 전선방호공간(21)에 안정되게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애자하우징(10)과, 전선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의 애자하우징(10)과, 전선하우징(20)과, 손잡이(50)의 구성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의 애자하우징(10)과, 전선하우징(20)과, 손잡이(5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절개부(23)는 가공전선(20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애자하우징(10)의 하부를 향해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충전하우징(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하우징(30)은 애자(100)에 가공전선(200)을 고정시키는 충전부(300)가 삽입 안착되는 충전방호공간(31)을 형성하도록 애자하우징(10)과 전선하우징(20) 사이에서 애자방호공간(11)과 전선방호공간(21)에 연통된다. 이때, 충전하우징(30)에는 상술한 제1절개부(13)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충전하우징(30)에는 날개부(4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300)는 애자(100)의 단부에 가공전선(200)이 지지되도록 애자(100)의 단부를 감싸 고정되는 충전바디부(310)와, 충전바디부(310)에서 연장되어 가공전선(200)을 감싸 고정되는 충전연장부(330)와, 충전바디부(310)와 충전연장부(330)를 각각 애자(100)와 가공전선(200)에 고정시키는 충전고정부(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고정부(350)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충전바디부(310)와 충전연장부(330)를 각각 애자(100)와 가공전선(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하우징(30)에는 연결공간(33)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공간(33)은 애자방호공간(11)과 충전방호공간(31)에 연통된다. 연결공간(33)은 애자(100)를 애자방호공간(11)에 삽입할 때, 충전부(3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충전부(300)에 의해 애자하우징(10)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충전하우징(30)에 연결공간(33)이 형성됨에 따라 제1절개부(13)와 제1확장부(15)는 충전하우징(30)에 구비된다. 또한, 충전하우징(30)에 연결공간(33)이 형성됨에 따라 날개부(40)는 제1절개부(13)에 대응하여 충전하우징(30)에 구비된다.
또한, 손잡이(50)는 애자하우징(10)에서 이격되도록 애자하우징(10) 또는 전선하우징(20) 또는 충전하우징(3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자(100)를 애자하우징(10)의 애자방호공간(11)에 삽입함에 따라 충전부(300)의 충전고정부(350)는 애자방호공간(11)에 수용되고, 가공전선(200)은 제1절개부(13)를 따라 이동되어 제2절개부(23)를 거쳐 전선하우징(20)의 전선방호공간(21)에 삽입 안착되며, 충전부(300)의 충전연장부(330)와 충전고정부(350)는 충전하우징(30)의 연결공간을 거쳐 충전하우징(30)의 충전방호공간(31)에 삽입됨에 따라 애자(100)와 가공전선(200)은 물론 충전부(300)를 완전 방호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부(300)의 충전바디부(310)와 충전연장부(330) 그리고 충전고정부(350)는 애자방호공간(11)과 충전방호공간(31)에 안착됨으로써, 애자하우징(10)과 충전하우징(30)에 간섭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방호관(60) 또는 방호관 커넥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관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와 방호관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방호관(60)은 전선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한다. 방호관(60)은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관부(61)와, 방호관부(61)의 단부에 구비되어 방호관 커넥터(70)에 걸림 결합되는 방호관걸림부(63)로 구성된다.
방호관 커넥터(70)는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관(60)과 전선하우징(20)이 끼움 결합된다. 방호관 커넥터(70)는 방호관(60)을 전선하우징(20)에 지지시킴으로써, 방호관(60)과 전선하우징(20) 사이에서 가공전선(20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호관 커넥터(70)는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커넥팅부(71)와, 전선하우징(20)의 고정부(27)와 걸림 결합되도록 방호커넥팅부(7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방호걸림부(72)와, 방호관(60)의 방호관걸림부(63)와 걸림 결합되도록 방호커넥팅부(7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방호걸림부(7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호관 커넥터(70)는 방호커넥팅부(7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호커넥팅부(71)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호가이드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호커넥팅부(71)에는 가공전선(200)이 삽입되도록 방호절개부(77)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제1전선덮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전선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와 제1전선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제1전선덮개(80)는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도록 전선하우징(20)과 끼움 결합된다.
제1전선덮개(80)는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전선관부(81)와, 전선하우징(20)의 고정부(27)에 걸림 결합되는 제1걸림부(86)가 형성되도록 방호전선관부(8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걸림방호부(85)와, 인접한 다른 제1전선덮개(80)의 제1걸림방호부(85)에 형성된 제1걸림부(86)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88)가 형성되도록 방호전선관부(8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방호부(8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선덮개(80)는 방호전선관부(8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호전선관부(8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전선관가이드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관가이드부(82)에는 가공전선(200)이 삽입되도록 전선관절개부(8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선관가이드부(82)에는 가공전선(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요철부(84)가 형성됨으로써, 방호전선관부(81)의 뒤틀림을 방지함은 물론 가공전선(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는 제2전선덮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전선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과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전선덮개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와 제2전선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2전선덮개(90)는 가공전선(200)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되어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도록 전선하우징(20)과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제2전선덮개(90)는 제1관부(91)와, 제3걸림방호부(93)와, 제2관부(95)와, 제4걸림방호부(97)를 포함한다.
제1관부(91)는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한다. 여기서, 제1관부(91)의 일측에는 제1이탈방지부(94)가 구비된다.
제3걸림방호부(93)는 전선하우징(20)과 끼움 결합되도록 제1관부(91)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3걸림방호부(93)에는 전선하우징(20)의 고정부(27)와 걸림 결합되는 제3걸림부(93a)가 형성됨으로써, 전선하우징(20)과 제3걸림방호부(93)가 끼움 결합될 때, 제1관부(91)를 전선하우징(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관부(95)는 가공전선(200)을 감싸 방호하도록 제1관부(9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1관부(91)는 제2관부(95)에 삽입되고, 제2관부(95)가 제1관부(9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관부(95)가 제1관부(91)에 삽입되고, 제2관부(95)가 제1관부(9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관부(95)의 일측에는 제2관부(95)가 제1관부(91)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이탈방지부(94)와 걸림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98)가 구비된다.
제4걸림방호부(97)는 인접한 다른 제3걸림방호부(93)와 끼움 결합되도록 제2관부(95)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4걸림방호부(97)에는 인접한 다른 제3걸림방호부(93)의 제3걸림부(93a)와 걸림 결합되는 제4걸림부(97a)가 형성됨으로써, 두 개의 제2전선덮개(90)를 상호 연결할 때, 일측의 제2전선덮개(90)와 타측의 제2전선덮개(90)를 상호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전선덮개(90)는 제1가이드부(92)와, 제2가이드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92)는 제1관부(9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관부(91)에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92)에는 가공전선(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단계조정부(9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92)에는 가공전선(200)이 삽입되도록 제3절개부(92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96)는 제2관부(9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관부(95)에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2가이드부(96)에는 제2관부(95)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단계조정부(92a)에 걸림 결합되는 제2단계조정부(96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부(96)에는 가공전선(200)이 삽입되도록 제4절개부(96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계조정부(92a)와 제2단계조정부(96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 구비됨으로써, 제1관부(91)와 제2관부(95)의 뒤틀림을 방지함은 물론 가공전선(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조정부(92a)와 제2단계조정부(96a)가 제2관부(95)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걸림 결합됨으로써, 제2관부(95)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전선덮개(90)는 제2관부(95)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변경로부(90a)와, 제2관부(95)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가변경로부(90a)에 삽입되어 가변경로부(90a)를 따라 이동되는 가변돌부(9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가변경로부(90a)가 제2관부(95)에 구비되는 경우, 가변돌부(90b)는 제1관부(91)에 구비된다. 한편, 가변경로부(90a)가 제1관부(91)에 구비되는 경우, 가변돌부(90b)는 제2관부(95)에 구비된다.
가변돌부(90b)가 가변경로부(90a)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관부(95)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에 따르면, 애자(100)에 가공전선(200)을 고정시키는 충전부(300)와, 애자(100)를 완전 방호하여 절연 상태로 만들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고,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며, 기계적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애자하우징 11: 애자방호공간
13: 제1절개부 15: 제1확장부
17: 변형방지부 20: 전선하우징
21: 전선방호공간 23: 제2절개부
25: 제2확장부 27: 고정부
30: 충전하우징 31: 충전방호공간
33: 연결공간 40: 날개부
50: 손잡이 60: 방호관
61: 방호관부 63: 방호관걸림부
70: 방호관커넥터 71: 방호커넥팅부
72: 제1방호걸림부 74: 제2방호걸림부
75: 방호가이드부 77: 방호절개부
80: 제1전선덮개 81: 방호전선관부
82: 전선관가이드부 83: 전선관절개부
84: 요철부 85: 제1걸림방호부
86: 제1걸림부 87: 제2걸림방호부
88: 제2걸림부 90: 제2전선덮개
91: 제1관부 92: 제1가이드부
92a: 제1단계조정부 92b: 제3절개부
93: 제3걸림방호부 93a: 제3걸림부
94: 제1이탈방지부 95: 제2관부
96: 제2가이드부 96a: 제2단계조정부
96b: 제4절개부 97: 제4걸림방호부
97a: 제4걸림부 98: 제2이탈방지부
90a: 가변경로부 90b: 가변돌부
100: 애자 200: 가공전선
300: 충전부 310: 충전바디부
330: 충전연장부 350: 충전고정부

Claims (13)

  1. 애자가 삽입 안착되는 애자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차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애자하우징; 및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애자에 고정되는 가공전선이 삽입 안착되는 전선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선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애자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삽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상기 전선방호공간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절개부와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애자에 상기 가공전선을 고정시키는 충전부가 삽입 안착되는 충전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과 상기 전선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상기 전선방호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제1절개부가 연장 형성되는 충전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하우징에는,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상기 충전방호공간에 연통되는 연결공간;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에 삽입 이동되는 상기 가공전선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 또는 상기 충전하우징에 구비되는 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5. 애자가 삽입 안착되는 애자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차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애자하우징;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애자에 고정되는 가공전선이 삽입 안착되는 전선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선하우징; 및
    상기 애자하우징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 또는 상기 전선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애자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삽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상기 전선방호공간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절개부와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6.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7.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하우징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고정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8. 애자가 삽입 안착되는 애자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차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애자하우징;
    상기 애자방호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애자에 고정되는 가공전선이 삽입 안착되는 전선방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애자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선하우징; 및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관과 상기 전선하우징이 끼움 결합되는 방호관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애자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삽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하우징에는, 상기 가공전선이 상기 전선방호공간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절개부와 연통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도록 상기 전선하우징과 끼움 결합되는 제1전선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덮개는,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는 방호전선관부;
    상기 고정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호전선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걸림방호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호전선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방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되어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도록 상기 전선하우징과 끼움 결합되는 제2전선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선덮개는,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고, 일측에 제1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1관부;
    상기 고정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3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3걸림방호부;
    상기 가공전선을 감싸 방호하도록 상기 제1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관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2관부; 및
    상기 제3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4걸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걸림방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선덮개는,
    상기 제1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공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단계조정부가 구비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관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단계조정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단계조정부가 구비되는 제2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2020120009827U 2012-10-30 2012-10-30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200484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27U KR200484302Y1 (ko) 2012-10-30 2012-10-30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27U KR200484302Y1 (ko) 2012-10-30 2012-10-30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86U KR20140002686U (ko) 2014-05-09
KR200484302Y1 true KR200484302Y1 (ko) 2017-08-23

Family

ID=5244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827U KR200484302Y1 (ko) 2012-10-30 2012-10-30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29B1 (ko) * 2018-05-31 2020-12-23 한국전력공사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KR102038423B1 (ko) * 2019-03-13 2019-10-30 이현숙 활선작업용 애자 덮개를 갖춘 가공 배전선로
CN112466581B (zh) * 2020-11-19 2022-09-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桓台县供电公司 一种架空输电线路盘型绝缘子防污防爆保护装置
WO2023069925A1 (en) * 2021-10-18 2023-04-27 Hubbell Incorporated Wildlife guard assemblies for line post insula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697Y1 (ko) * 1996-03-02 1999-06-15 오광석 통풍식 잠바선 보호덮개
KR200339034Y1 (ko) * 2003-10-08 2004-01-16 한국전력공사 애자 방호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97B1 (ko) * 2008-11-26 2011-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697Y1 (ko) * 1996-03-02 1999-06-15 오광석 통풍식 잠바선 보호덮개
KR200339034Y1 (ko) * 2003-10-08 2004-01-16 한국전력공사 애자 방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86U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02Y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US10618477B2 (en) Wire harness with wire and protective material
US9734935B2 (en) Wire harness
US9385469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WO2015098836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導電路挿通方法
KR102344312B1 (ko)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US20100200263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tool-less installation of power cables
KR100866318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JP6132711B2 (ja) 挿通用治具及び挿通方法
JP5349509B2 (ja) 縁線接続方法
JP2018126031A (ja) 防護管移動補助具
KR20170103302A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US10249982B2 (en) Power supply device
JP2017079504A (ja) ワイヤハーネス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US6558184B1 (en) Connector of the insulation-perforating type for a suspended electrical system
KR101371665B1 (ko) 콜게이트튜브 삽입 부재
KR20170096361A (ko) 차량용 와이어 하니스 프로텍터
KR102417171B1 (ko) 케이블 고정구조
KR102423627B1 (ko) 절연 안전 튜브
JP629470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複合海底電力ケーブルの端末構造
KR20130062721A (ko) 컷 아웃스위치 교체용 인하연결장치
CN219958697U (zh) 新型高空绝缘罩
KR101143539B1 (ko)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KR101769961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