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39B1 -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 Google Patents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539B1
KR101143539B1 KR1020110007827A KR20110007827A KR101143539B1 KR 101143539 B1 KR101143539 B1 KR 101143539B1 KR 1020110007827 A KR1020110007827 A KR 1020110007827A KR 20110007827 A KR20110007827 A KR 20110007827A KR 101143539 B1 KR101143539 B1 KR 10114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ulator
inlet
type single
inser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0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265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는 애자본체(2) 및 애자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애자지지구(3)를 구비하는 인입용 애자(1)로서, 상기 애자본체(2)는 양측에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상단에 제1,2 전선노출부(6, 7)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하단에 전선(17)이 삽입되는 인입구(8, 8')와 전선(17)이 인출되는 인출구(9, 9')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구(8, 8')로 인입된 상기 전선(17)을 상기 제1,2 전선노출부(6, 7)로 인출하기 위한 인입통로(10, 10')가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1,2 전선노출부(6, 7)로 인출된 상기 전선(17)을 상기 인출구(9, 9')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통로(11, 11')가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내부에서 상기 인입통로(10, 10')의 맞은편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The insert type insulator for single-phase two wire low voltage distribution system and band used to thereon}
본 발명은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드용 전선과 별도의 공구 없이 인입선의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바인드되는 전선의 굴곡부분이 태양열에 의해 자연열화되어 전선의 피복의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DV전선 삽입형 단상 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인입선의 바인딩에 사용되는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V전선(polyvinyl chloride insulated drop wire, 인입용 비닐절연전선)은 전주에서 가옥 또는 기타 건축물 측으로 인입 가설하는 데 사용되는 전선으로, 각 심이 선명하게 착색되어 있어 배선이 용이하고, 피복의 내후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상 2선식 인입용 애자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종래에는 인입선용 인류 애자에 인입선용 DV전선(17)을 노출식으로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괘선홈(19, 19')에 감긴 전선의 굴곡부분이 태양열에 의해 자연열화 되고, 전선 피복의 절연이 파괴되어 주상이나 가옥측의 작업자가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고 전선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입선용 DV전선을 가설하기 위해서, 인입용 애자의 양측 괘선홈(19, 19')에 DV전선을 감은 다음 별도의 바인드용 전선으로 DV전선(17)을 바인딩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공구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더욱이, 별도의 바인드용 전선으로 바인딩 후 바인드용 전선을 절단하는 공정을 필요로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절단된 바인드용 전선이 작업공간을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떨어져서 보행자를 위험에 노출시키고, 작업장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용 애자와 이에 사용되는 밴드를 통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DV전선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노출된 DV전선을 커버로 보호하여 전선이 자연열화에 의한 절연파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는 애자본체 및 애자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애자지지구를 구비하는 인입용 애자로서, 상기 애자본체는 양측에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연결부의 상단에 제1,2 전선노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연결부의 하단에 전선이 삽입되는 인입구와 전선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구로 인입된 상기 전선을 상기 제1,2 전선노출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입통로가 상기 제1,2 연결부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1,2 전선노출부로 인출된 상기 전선을 상기 인출구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통로가 상기 제1,2 연결부의 내부에서 상기 인입통로의 맞은편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2 연결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인입통로와 인출통로는 상기 제1,2 연결부의 중심축에 대해 20도 내지 35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선노출부를 감싸는 제1 커버와 상기 제2 전선노출부를 감싸는 제2 커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전선노출부의 곡률반경과 상기 제1,2 커버의 내측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상기 제1 전선노출부와 상기 제2 전선노출부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2 커버의 하부에 체결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2 전선노출부는 상기 제1,2 커버의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결합수단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에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는 전선의 인입구와 인출구, 인입통로와 인출통로, 및 제1 전선노출부와 제2 전선노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바인드용 전선과 별도의 공구 없이 인입 전선의 가설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전선노출부를 커버로 보호함으로써, 바인딩(binding)되는 전선의 굴곡부분이 태양열에 의해 자연열화되어 전선의 피복의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감전사고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며,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인입용 애자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의 제1 연결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를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에 결합되는 제1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의 제1 연결부(4)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를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는 애자본체(2)와 애자지지구(3)로 구성된다. 애자지지구(3)는 애자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인입용 애자(1)를 전주에 연결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의 애자본체(2)는 애자본체(2)의 양측에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를 구비한다. 제1 전선노출부(6)가 제1 연결부(4)의 상단에 형성되고, 제2 전선노출부가 제2 연결부(5)의 상단에 형성된다. 또한, 전선(17)을 인입하기 위한 제1 연결부의 인입구(8)와 전선(17)을 인출하기 위한 제1 연결부의 인출구(9)가 제1 연결부(4)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의 인입구(8')와 인출구(9')가 제2 연결부(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4)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구(8)로 인입되는 전선(17)을 제1 전선노출부(6)로 인출하기 위한 인입통로(10)가 제1 연결부(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부(4)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전선노출부(6)로 인출되는 전선(17)을 제1 연결부(4)의 하단에 형성된 인출구(9)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통로(11)가 인입통로(10)와 마주하여 제1 연결부(4)의 내부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5)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구(8')로 인입되는 전선(17)을 제2 전선노출부(6)로 인출하기 위한 인입통로(10')가 제2 연결부(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5)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전선노출부(7)로 인출되는 전선(17)을 제2 연결부(5)의 하단에 형성된 인출구(9')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통로(11')가 인입통로(10')와 마주하여 제2 연결부(5)의 내부에 형성된다. 인입구(8, 8')와 인출구(9, 9')는 작업자가 초기에 전선(17)을 인입시키는 구멍이 인입구(8, 8')가 되고, 2개의 구멍중 초기에 전선(17)이 인입되지 않는 구멍이 인출구(9, 9')가 된다. 마찬가지로, 인입통로(10, 10')와 인출통로(11, 11')는 작업자가 초기에 전선(17)을 인입시켜 인입구(8, 8')로부터 제1,2 전선노출부(6, 7)로 전선(17)이 인출되는 통로가 인입통로(10, 10')가 되고, 2개의 마주하는 통로중 전선(17)이 초기에 인입되지 않는 통로가 인출통로(11, 11')가 된다. 이러한, 인입구, 인출구, 인입통로, 인출통로, 제1 전선노출부, 및 제2 전선노출부에 의해 작업자는 전주로부터 가옥이나 건물에 전선을 인입하기 위한 가설작업을 별도의 바인드선과 작업도구 없이 수행할 수 있고, 작업시간과 비용을 단출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4)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통로(10)와 인출통로(11)는 제1 연결부의 중심축(12)에 대해 20도 내지 35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연결부(4)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연결부(5)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통로(10')와 인출통로(11')가 제2 연결부의 중심축(12')에 대해 20도 내지 35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통로(10, 10')와 인출통로(11, 11')의 형성각도에 따라, DV전선(17)이 인입구(8, 8')를 통해 인입통로(10, 10')로 쉽게 인입되어 제1, 2 전선노출부(4,5)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2 전선노출부(4, 5)로부터 인입되는 DV전선(17)이 인출통로(11, 11')로 인입되어 인출구(9, 9')로 쉽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인입통로(10, 10')와 인출통로(11, 11')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됨에 따라, 전선(17)이 가옥측으로 가설된 전선(17)의 장력에 의해 인입용 애자(1)로부터 미끄러져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에 결합되는 제1 커버(13)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는 제1 연결부(4)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전선노출부(6)를 감싸기 위한, 제1 커버(13)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5)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전선노출부(7)를 감싸기 위한, 제2 커버(14)를 구비할 수 있다. 별도의 공구 없이 DV전선(17)을 가설하기 위해 제1,2 전선노출부(6, 7)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전선노출부(6, 7)는 태양열 등에 의한 자연열화현상을 유발하여 전선 피복을 절연파괴시켜 단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태양열에 의한 자연열화현상을 방지하고, 단전사고를 예방하며, 빗물이나 각종 이물질로부터 DV전선(17)을 보호하기 위해 제1,2 커버(13, 14)가 제1,2 전선노출부(6, 7)에 각각 결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에 결합되는 커버(13, 14)는 인입용 애자(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2 전선노출부(6, 7)의 곡률반경과 제1,2 커버(13, 14)의 내측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동일한 곡률반경을 구비함으로써, 제1,2 커버(13, 14)를 제1,2 전선노출부(6, 7)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DV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2 커버(13, 14)의 체결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2 커버(13, 14)를 제1,2 전선노출부(6, 7)에 각각 결합하기 위해, 제1 커버(13)의 내측 하부에 체결수단(15)이 구비된다. 게다가, 제1 전선노출부(6)의 상부에 제1 커버의 체결수단(15)에 대응하는 결합수단(16)(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수단(16)과 체결수단(15)의 결합으로 제1 커버(13)가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전선노출부(6)에 체결된다. 제1 커버(13)가 제1 전선노출부(6)에 체결되는 방식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체결방식, 예를 들어 스냅연결, 슬라이딩연결, 강제끼움연결 등의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커버(14)의 내측 하부에 제2 커버의 체결수단(15')이 구비되고, 제2 전선노출부(7)의 상부에 제2 커버의 체결수단(15')에 대응하는 결합수단(16')이 형성되며, 이들의 결합으로 제2 커버(14)가 제2 전선노출부(7)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1)의 인입구(8, 8')에 인입된 전선(17)과 인출구(9, 9')로 인출된 전선을 별도의 도구 사용 없이 바인딩 하기 위해서, 전선(17)을 클램핑할 수 있는 밴드(18)가 체결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밴드(18)는 절연체 고무성분을 함유한 재질로 형성되어 전선(17)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을 구비하여 전선(17)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인입용 애자, 2 : 애자본체,
3 : 애자지지구, 4 : 제1 연결부,
5 : 제2 연결부, 6 : 제1 전선노출부,
7 : 제2 전선노출부, 8 : 인입구,
8' : 인입구, 9 : 인출구,
9' : 인출구, 10 : 인입통로,
10' : 인입통로, 11 : 인출통로,
11' : 인출통로, 12 : 중심축,
12' : 중심축, 13 : 제1 커버,
14 : 제2 커버, 15 : 체결수단,
15' : 체결수단, 16 : 결합수단,
16' : 결합수단, 17 : 전선,
18 : 밴드, 19 : 패선홈,
19' : 패선홈.

Claims (6)

  1. 애자본체(2) 및 애자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애자지지구(3)를 구비하는 인입용 애자(1)로서,
    상기 애자본체(2)는 양측에 제1 연결부(4)와 제2 연결부(5)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상단에 제1,2 전선노출부(6, 7)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하단에 전선(17)이 삽입되는 인입구(8, 8')와 전선(17)이 인출되는 인출구(9, 9')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구(8, 8')로 인입된 상기 전선(17)을 상기 제1,2 전선노출부(6, 7)로 인출하기 위한 인입통로(10, 10')가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1,2 전선노출부(6, 7)로 인출된 상기 전선(17)을 상기 인출구(9, 9')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통로(11, 11')가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내부에서 상기 인입통로(10, 10')의 맞은편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연결부(4, 5)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인입통로(10, 10')와 인출통로(11, 11')는 상기 제1,2 연결부(4, 5)의 중심축(12, 12')에 대해 20도 내지 35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노출부(6)를 감싸는 제1 커버(13)와 상기 제2 전선노출부(7)를 감싸는 제2 커버(1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전선노출부(6, 7)의 곡률반경과 상기 제1,2 커버(13, 14)의 내측의 곡률반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13)와 제2 커버(14)를 상기 제1 전선노출부(6)와 상기 제2 전선노출부(7)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2 커버(13, 14)의 하부에 체결수단(15, 1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2 전선노출부(6, 7)는 상기 제1,2 커버의 체결수단(15, 15')에 대응하는 결합수단(16, 16')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입용 애자(1)에 사용되는 밴드.
KR1020110007827A 2011-01-26 2011-01-26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KR10114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27A KR101143539B1 (ko) 2011-01-26 2011-01-26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27A KR101143539B1 (ko) 2011-01-26 2011-01-26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539B1 true KR101143539B1 (ko) 2012-05-09

Family

ID=4627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827A KR101143539B1 (ko) 2011-01-26 2011-01-26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5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03Y1 (ko) 2001-07-04 2001-11-16 신창호 인입애자
KR200251102Y1 (ko) 2001-07-04 2001-11-16 신창호 인입애자
KR200412783Y1 (ko) 2005-11-28 2006-03-31 최병화 단상 2선식인입선용 인류애자(pv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03Y1 (ko) 2001-07-04 2001-11-16 신창호 인입애자
KR200251102Y1 (ko) 2001-07-04 2001-11-16 신창호 인입애자
KR200412783Y1 (ko) 2005-11-28 2006-03-31 최병화 단상 2선식인입선용 인류애자(pv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4775B (zh) 一种用于电缆线接地祼露处的防护装置及防水、防潮处理机构
CN207517408U (zh) 一种无钢芯绝缘导线防断装置
KR20180135394A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20080003670U (ko)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
WO2014204907A1 (en) Conductor spool and optical fiber / electrical composite cable with conductor spool assembly
KR101143539B1 (ko) 디브이전선 삽입형 단상2선식 인입용 애자 및 이에 사용되는 밴드
CN203166206U (zh) 用于电缆线接地祼露处的防护装置及防水、防潮处理机构
KR102344312B1 (ko)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KR20140002686U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애자덮개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CN106207530A (zh) 一种10kv变压器台区成套引线装置
US10310203B2 (en) Grounding structure of optical fiber cable
KR101800025B1 (ko) 광복합 전력 케이블용 광 접속함
KR102526897B1 (ko) 절연 안전 튜브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KR101216748B1 (ko) 광유니트 도체중심 삽입형 광복합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CN216069881U (zh) 一种抗拉防断的汽车线束
KR20180020809A (ko) 절연 랙크
KR20240018963A (ko) 케이블 슬리브장치
KR101033535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의 활선분기고리용 안전장치
CN205790455U (zh) 变电站龙门架opgw光缆的防雷连接器
KR100464239B1 (ko) 케이블 보호커버
KR20080003519U (ko) 케이블 보호용 튜브
KR20130110310A (ko) 전력 케이블 말단 절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