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49Y1 -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49Y1
KR200483949Y1 KR2020150006466U KR20150006466U KR200483949Y1 KR 200483949 Y1 KR200483949 Y1 KR 200483949Y1 KR 2020150006466 U KR2020150006466 U KR 2020150006466U KR 20150006466 U KR20150006466 U KR 20150006466U KR 200483949 Y1 KR200483949 Y1 KR 200483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system
switch
torch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247U (ko
Inventor
정중태
정의석
김경호
성창제
오민환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주)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주)
Priority to KR2020150006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4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12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parts of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43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싱글 케이블과 연결되며, 토치 신호의 인가시 회전되는 소형 모터(140)를 구비하여 회전 여부에 따라 용접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휴대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는, 용접시스템의 싱글케이블(300)과 연결되는 커넥터(110); 용접시스템의 작동시 설정값, 측정값, 발생 오류 및 대응방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 용접시스템에 토치 신호를 인가하는 토치작동스위치(130);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켰을 때 미리 설정된 전류 및 전압값에 대응되는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140); 용접시스템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신호가 발생될 때 발광되는 밸브작동확인소자(150); 용접시스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모터(140)의 및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를 제어하고,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접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미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7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Apparatus for checking of digital weilding system and check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제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고정 및 오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는 용접 작업시 용접 거리 및 작업 분량이 많기 때문에 CO2 용접 시스템을 많이 사용한다.
도 1은 CO2 용접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용접 시스템은 전원 및 CO2 가스를 공급하면서 와이어 송급 모터(140)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용접기(1)와, 용접기(1)에 싱글 케이블(2)을 통해 연결되어 용접기(1)에서 공급되는 전원 및 CO2 가스를 토치(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와이어 송급 모터(140)(미도시)를 구비하여 와이어를 송급할 수 있는 와이어 송급장치(3)와, 와이어 송급장치(3)로부터 공급받은 전원, CO2 가스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토치(4)로 이루어진다.
한편, 용접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중에 용접기(1)나 와이어 송급장치(3) 등의 고장 여부를 수시로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송급장치와 시편 부재를 휴대하여 직접 용접을 수행함으로서 문제점과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무거운 송급장치와 시편 부재를 휴대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작업 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9431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싱글 케이블과 연결되며, 토치 신호의 인가시 회전되는 소형 모터(140)를 구비하여 회전 여부에 따라 용접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휴대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는, 용접시스템의 싱글케이블(300)과 연결되는 커넥터(110); 용접시스템의 작동시 설정값, 측정값, 발생 오류 및 대응방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 용접시스템에 토치 신호를 인가하는 토치작동스위치(130);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켰을 때 미리 설정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140); 용접시스템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신호가 발생될 때 발광되는 밸브작동확인소자(150); 용접시스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모터(140)의 및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를 제어하고,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접시스템에 토치 작동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미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70); 를 포함한다.
용접시스템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조절노브(180); 용접시스템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조절하는 전압조절노브(190); 를 더 포함한다.
용접시스템의 용접모드 또는 가우징모드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210); 용접시스템의 크레이터 유/무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은, 용접시스템의 와이어 인칭을 위한 인칭스위치(230); 를 더 포함한다.
용접시스템의 싱글케이블(300)과 연결되는 커넥터(110); 용접시스템의 작동시 설정값, 측정값, 발생 오류 및 대응방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 용접시스템에 토치 신호를 인가하는 토치작동스위치(130);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켰을 때 미리 설정된 세팅전압값에 대응되는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140); 용접시스템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신호가 발생될 때 발광되는 밸브작동확인소자(150); 용접시스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모터(140)의 및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를 제어하고,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접시스템에 미리 설정된 전류 및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미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170) 온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2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싱글케이블(300) 또는 상기 용접시스템의 메인부 손상을 점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온 하였을 때, 상기 모터(140)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가 발광하지 않거나,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전압 측정값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싱글케이블(300), 상기 제어부(미도시) 또는 상기 용접 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 손상을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의 정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싱글케이블(300)의 핀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는 커넥터(110), 디스플레이(120), 토치작동스위치(130), 모터(140), 밸브작동확인소자(150), 제어부(미도시), 전원스위치(170), 전류조절노브(180), 전압조절노브(190), 모드선택스위치(210),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 및 인칭스위치(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110)는 용접시스템의 싱글케이블(300)과 연결되는 소켓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C, D, E, F, G, H 및 I핀 으로 총 9개의 핀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용접시스템은 일반적인 디지털 CO2 용접시스템으로서, 용접기, 와이어송급장치 및 토치로 구성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는 상기 와이어송급장치 대신 상기 싱글케이블(300)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후술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용접시스템의 작동시 설정값, 측정값, 발생 오류 및 대응방법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인 LCD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40)는 후술할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켜졌을 때 후술할 상기 전류조절노브(180) 및 상기 전압조절노브(19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류 및 전압값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가 켜지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용접시스템으로 토치 작동 신호를 보내고, 상기 용접시스템의 메인부는 다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어 상기 모터(14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용접시스템의 메인부는 상기 용접시스템을 총괄하는 메인 보드 즉, 제어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모터(140)는 상기 전류조절노브(180) 및 상기 전압조절노브(19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며, 상기 전류조절노브(180) 및 상기 전압조절노브(190)로 전류 또는 전압값을 변경하게 되면 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용접시스템의 메인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용접을 직접 하지 않고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는 상기 용접시스템에 토치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로, 온/오프 작동의 확인이 편리한 토글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로서, 후술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용접시스템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신호가 발생될 때 발광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용접시스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모터(140)의 및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를 제어하는 메인보드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의 작동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류 및 전압값이 상기 모터(140)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전류 및 전압값과, 실제로 측정된 전류 및 전압값이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원스위치(17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를 켜고 끄기 위한 스위치로 본 고안의 디지털 용접 시스템 작동 확인 장치의 전체 전원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상기 전류조절노브(180)는 상기 용접시스템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스위치이고, 상기 전압조절노브(190)는 상기 용접시스템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이러한 상기 전류조절노브(180) 및 상기 전압조절노브(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20) 밑에 배치되며, 회전에 의해 값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10)는 용접시스템의 용접모드 또는 가우징모드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상기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는 용접시스템의 크레이터 유/무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10)가 용접모드로 눌러졌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CO2'라고 표시가 되고, 가우징모드로 눌러 졌을 때에는 '가우징'이라고 표시가 된다.
또한, 상기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가 크레이터 유/무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유' 또는 '무' 로 표시가 된다.
한편, 상기 인칭스위치(230)는 상기 용접시스템의 와이어 인칭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와이어 인칭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다음은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원스위치(170)를 켠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12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싱글케이블(300) 또는 상기 용접시스템의 메인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싱글케이블(300)의 C핀 또는 D핀을 확인하며, 상기 싱글케이블(300)에 문제가 없을 경우 상기 용접시스템의 메인부를 점검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온 하게 되면, 상기 모터(140)가 미리 설정된 전류에 부합하는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가 점등하게 되고, 전압의 실측값이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모터(140)가 회전하지 않거나,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가 점등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실측값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싱글케이블(300)의 I핀 단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퓨즈 단선 및 상기 용접 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 손상 여부를 점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류조절노브(180)를 조작하여 전류의 설정값을 변경될 시 상기 모터(140)의 회전 속도가 전류값에 대응하여 변경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
여기에서 전류값이 커질수록 상기 모터(140)의 회전 속도는 증가하게 되어야 정상이며, 상기 모터(140)의 회전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용접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 손상 여부를 점검한다.
이후 상기 전압조절노브(190) 역시 조작하여 전압의 설정값을 변경할 때 상기 모터(140)의 속도가 상기 전압값에 대응하여 변경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140)의 회전 속도가 변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용접 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 손상 여부를 점검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10)를 용접모드와 가우징모드로 각각 조작했을 때에 상기 용접시스템의 모드가 정상적으로 변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용접모드일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CO2라고 표시가 되며, 상기 용접시스템의 용접모드용 LED가 점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우징모드일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가우징'이라고 표시가 되며, 상기 용접시스템의 가우징모드용 LED가 점등된다.
다음으로, 상기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를 조작했을 때에 크레이터유/무 상태가 정상적으로 변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가 크레이터유로 조작되었을때 상기 디스플레이(120)에는 '유'로 표시가 되고, 상기 용접시스템의 크레이터유 LED가 점등된다.
반대로 상기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가 크레이터무로 조작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120)에는 '무'로 표시가 되고, 상기 용접시스템의 크레이터무 LED가 점등된다.
만약, 크레이트유/무 LED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시스템의 고장을 점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시스템 작동 확인 장치는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싱글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토치스위치의 온 시 회전되는 모터(140)를 구비하여 회전 여부에 따라 용접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거운 용접기와 시편부재를 들고 다닐 필요 없으므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커넥터, 120 : 디스플레이
130 : 토치작동스위치, 140 : 모터
150 : 밸브작동확인소자
170 : 전원스위치 180 : 전류조절노브
190 : 전압조절노브 210 : 모드선택스위치
220 : 크레이터선택스위치 230 : 인칭스위치

Claims (5)

  1. 용접시스템의 싱글케이블(300)과 연결되는 커넥터(110);
    용접시스템의 작동시 설정값, 측정값, 발생 오류 및 대응방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
    용접시스템에 토치 신호를 인가하는 토치작동스위치(130);
    용접시스템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조절노브(180);
    용접시스템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조절하는 전압조절노브(190);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를 켰을 때 미리 설정된 전류값에 대응되는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전류조절노브(180) 및 상기 전압조절노브(190)를 조절함에 따라 그 회전속도가 변화되는 모터(140);
    용접시스템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신호가 발생될 때 발광되는 밸브작동확인소자(150);
    용접시스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 상기 모터(140) 및 상기 밸브작동확인소자(150)를 제어하고, 상기 토치작동스위치(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접시스템에 토치 작동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용접시스템의 용접모드 또는 가우징모드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210);
    용접시스템의 크레이터 유/무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크레이터선택스위치(2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용접시스템의 와이어 인칭을 위한 인칭스위치(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시스템의 작동 확인 장치.
  5. 삭제
KR2020150006466U 2015-10-01 2015-10-01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KR200483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66U KR200483949Y1 (ko) 2015-10-01 2015-10-01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66U KR200483949Y1 (ko) 2015-10-01 2015-10-01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47U KR20170001247U (ko) 2017-04-11
KR200483949Y1 true KR200483949Y1 (ko) 2017-07-11

Family

ID=5860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466U KR200483949Y1 (ko) 2015-10-01 2015-10-01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49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909B1 (ko) * 1998-07-09 2000-12-15 추호석 가우징 및 saw용접 겸용 자동 용접기
KR101098874B1 (ko) * 2009-12-22 2011-12-2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시스템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20049431A (ko) 2010-11-08 2012-05-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시스템
KR101230431B1 (ko) * 2011-01-11 2013-03-11 주식회사 디와이전기 이산화탄소 용접기의 피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34083A (ko) * 2012-05-30 2013-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피더용 휴대형 점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47U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610B2 (en) Voltage sensing wire feeder with weld procedure memories
US20150158109A1 (en) Torch for electric arc welding or plasma cutting system
US99020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welding process
MX2014011491A (es) Sistema y método para determinar el acoplamiento y la polaridad de un electrodo de soldadura.
CN108326478B (zh) 用于在焊接式焊炬中指示排程的方法和系统
US20210283724A1 (en) Smart manifolds for welding-type systems
US7098425B2 (en) Universal wire feeder
CN108311820B (zh) 用于选择焊接式焊炬中的焊接排程的方法和系统
CN104837590A (zh) 用于指示焊炬上功率的装置和方法
US20240157462A1 (en) Gas surge prevention using improved flow regulators in welding-type systems
KR200483949Y1 (ko) 디지털 용접 시스템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시스템 고장 검출 방법
KR200485291Y1 (ko) 범용 디지털 와이어 송급장치를 갖춘 co2 용접장치
KR20140006212U (ko) 가우징 용접기의 절전장치
KR101467205B1 (ko) 용접기 피더 제어 장치
KR101098874B1 (ko) 용접 시스템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475059Y1 (ko) 콘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EP3110588A1 (en) Torch for electric arc welding or plasma cutting system
KR20130134083A (ko) 와이어 피더용 휴대형 점검 장치
US20190168331A1 (en) Torch for heat processing, power source apparatus, wire feed apparatus, and heat processing system
EP3878590A1 (en) Smart regulators for welding-type systems
JP6583958B2 (ja) 溶接用電源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228546B1 (ko) 3상입력전원에 따른 전원 스위칭 제어장치
CN113000983A (zh) 电弧焊接机器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