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09Y1 - 라벨지 - Google Patents

라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09Y1
KR200483909Y1 KR2020150005577U KR20150005577U KR200483909Y1 KR 200483909 Y1 KR200483909 Y1 KR 200483909Y1 KR 2020150005577 U KR2020150005577 U KR 2020150005577U KR 20150005577 U KR20150005577 U KR 20150005577U KR 200483909 Y1 KR200483909 Y1 KR 200483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bel
edge
printing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763U (ko
Inventor
조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프린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프린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프린팅
Priority to KR2020150005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0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Abstract

본 고안은 라벨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라벨지는 상면에 인쇄되는 부분이 노출되는 인쇄지와; 상기 인쇄지의 하면 전체에 형성되는 접착층와; 상기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인쇄지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 전체가 상기 인쇄지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이형지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지는 미리 절단된 분리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라벨과; 복수의 상기 라벨이 인접하게 위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라벨띠와; 상기 인쇄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라벨띠와 상기 라벨띠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점착제층에서 점착제가 누설되는 경우에도 노출되는 상기 이형지에 의하여 인쇄기의 롤러에 부착되지 못하므로 인쇄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간부와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인쇄된 라벨을 상기 이형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라벨지{LABEL SHEET}
본 고안은 라벨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인쇄기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도, 인쇄기에 걸리는 경우가 없이 인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인쇄된 라벨을 박리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라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지는 구체적으로, 상품명·상표·상호 등을 표시하여 상품에 붙인 표나 인쇄물을 말하며 물류를 관리하기 위한 물류관리라벨, 카세트테이프 또는 비디오테이프에 부착하는 미디어라벨, 노트 또는 다이어리 관리와 서류를 관리하기 위한 견출라벨, 특별 사항 등의 표시와 같이 시각적 효과를 위한 칼라라벨, 세련된 라벨을 출력하기 위한 투명라벨, 사진 도는 그림의 인쇄를 위한 포토라벨 및 포토스티커 등과 같이 그 용도가 다양하다.
이러한 라벨지는 다수의 라벨을 분리 배열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쇄의 편리성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 즉 A4 사이즈 등으로 형성되는 바, 종래기술에 따른 라벨지는 상부면에 인쇄를 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인쇄지와, 상기 인쇄지 하부면에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이형지로 구성된다.
상기 이형지의 상부면에는 점착제(또는 접착제)가 부착되지 않도록 한쪽 면에 코팅 처리되어 진다.
이러한 종래의 라벨지는 인쇄지에 필요한 주소를 인쇄한 뒤, 인쇄지를 이형지에서 떼어내어 우편봉투에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그림이나 문구를 인쇄한 후에 필요한 용도 즉 견출 용도, 제품 표시 용도, 상표 부착 용도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인쇄지의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와 이형지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이형지에서 상기 인쇄지를 떼어내는 작업이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라벨지구조(등록번호 20-0287728, 문헌2)"가 제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라벨지구조"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벨지구조"에 의한 라벨지(100)는 코팅 처리된 이형지(40)의 한쪽 면에 점착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30)의 타면에 인쇄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40)의 크기를 상기 인쇄지(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인쇄지(20)의 둘레면에 형성된 가장자리부분 중의 하나에 상기 이형지(40)의 가장자리부분이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08-0027697호(2008.03.28. 공개) 문헌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0861호(2005.11.09. 공고) 문헌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7728호(2002.09.05.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라벨지(100)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지(20)와 상기 이형지(40)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30)에서 점착제가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고, 이렇게 흘러나오는 점착제는 인쇄과정에서 인쇄기에 고장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라벨지(100)는 인쇄된 각각의 라벨을 상기 인쇄지(20)에서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기에서 인쇄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인쇄된 라벨을 상기 이형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라벨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라벨지는 상면에 인쇄되는 부분이 노출되는 인쇄지와; 상기 인쇄지의 하면 전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인쇄지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 전체가 상기 인쇄지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이형지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지는 미리 절단된 분리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라벨과; 복수의 상기 라벨이 인접하게 위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라벨띠와; 상기 인쇄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라벨띠와 상기 라벨띠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부와 인접하는 상기 가장자리부는 분리선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중간부와 일치되는 박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부에는 분리선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점착제층에서 점착제가 누설되는 경우에도 노출되는 상기 이형지에 의하여 인쇄기의 롤러에 부착되지 못하므로 인쇄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간부와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인쇄된 라벨을 상기 이형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라벨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벨지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벨지의 정면도.
도 4는 인쇄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박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라벨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벨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라벨지를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라벨지는 인쇄지(20)와 접착층(30)과 이형지(40)로 구성된다.
상기 인쇄지(20)는 상면에 인쇄되는 부분이 노출되는 평판 형상이 종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30)은 상기 인쇄지(20)의 하면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40)는 상기 접착층(30)에 의하여 상기 인쇄지(2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데, 상부면은 코팅 처리가 되어 있어서, 상기 접착층(3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형지(40)는 상기 인쇄지(20)의 전체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40)가 상기 인쇄지(20)의 하부면에 부착되면, 상기 이형지(40)는 상기 인쇄지(20)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라벨지(10)가 A4 용지인 경우에, 노출되는 상기 이형지(40)의 폭은 0.2mm~5mm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 인쇄과정에서 상기 접착층(30)이 밀리면서 외부로 토출이 되어도, 상기 인쇄지(20)와 노출되는 상기 이형지(40)가 접하는 모서리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토출되는 점착제가 개인용 인쇄기의 롤러에 부착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착제의 누출에 의한 인쇄기의 고장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지(20)에는 분리선(90)에 의하여 라벨, 라벨띠, 중간부 및 박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리선(90)은 상기 인쇄지(20)만 절단되고,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형지(40)는 절단되지 않아서, 상기 인쇄지(20)에서는 표시가 되지만, 상기 이형지(40)에는 표시가 되지 않는 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선(90)에 의하여 상기 인쇄지(20)는 라벨(21), 라벨띠(25), 중간부(51), 박리부(53) 및 가장자리부(55)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21)은 사면이 분리선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부면에는 주소나 문양이나 기호가 인쇄되어 상기 라벨지(10)에서 떼어내어서 편지봉투나 필요한 부분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라벨띠(25)는 상기 라벨(21)이 서로 접하면서 일렬을 이루는 부분을 칭한다. 상기 중간부(51)는 상기 라벨띠(25)와 상기 라벨띠(25)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를 칭하고, 상기 가장자리부(55)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부분을 칭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박리부(53)는 상기 중간부(51)와 인접하는 상기 가장자리부(55)는 분리선(90)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부(51)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라벨지(100)의 사용상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박리부(53)를 파지하고 박리하면, 상기 중간부(51) 전체가 박리하게 된다. 도 5와 도 6에 음영으로 처리한 부분은 은폐되었던 상기 이형지(40)가 노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부(51)가 박리되면,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라벨(25)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라벨지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라벨지, 20: 인쇄지,
21: 라벨, 25: 라벨띠,
30: 접착층, 40: 이형지,
51: 중간부, 53: 박리부,
55: 가장자리부

Claims (5)

  1. 상면에 인쇄되는 부분이 노출되는 인쇄지와; 상기 인쇄지의 하면 전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인쇄지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 전체가 상기 인쇄지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이형지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지는 미리 절단된 분리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라벨과; 복수의 상기 라벨이 인접하게 위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라벨띠와; 상기 인쇄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및 상기 라벨띠와 상기 라벨띠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부와 인접하는 상기 가장자리부는 분리선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중간부와 일치되는 박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에는 분리선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지




KR2020150005577U 2015-08-20 2015-08-20 라벨지 KR200483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77U KR200483909Y1 (ko) 2015-08-20 2015-08-20 라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77U KR200483909Y1 (ko) 2015-08-20 2015-08-20 라벨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63U KR20170000763U (ko) 2017-03-02
KR200483909Y1 true KR200483909Y1 (ko) 2017-07-10

Family

ID=5841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577U KR200483909Y1 (ko) 2015-08-20 2015-08-20 라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66A1 (ko) * 2018-05-14 2019-11-21 (주)디비텍 점착킬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착라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28Y1 (ko) 2002-05-31 2002-09-05 현대프린텍 주식회사 라벨지구조
KR100473604B1 (ko) 2002-06-26 2005-03-10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20080027697A (ko) 2006-09-25 2008-03-28 정용기 라벨지 및 라벨지 제조방법
KR101000727B1 (ko) * 2008-03-07 2010-12-14 김용길 접착시트 제조물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20006586U (ko) * 2011-03-16 2012-09-26 박면수 투명 또는 반투명 점착성 견출지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66A1 (ko) * 2018-05-14 2019-11-21 (주)디비텍 점착킬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착라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63U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408B2 (en) Label assembly for applying a label to electronic devices
US20210056869A1 (en) Perforated, combined receipt and label roll
US7857353B2 (en) Index label assembly
JP5400959B2 (ja) ラベルアセンブリ及び使用方法
US71401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label portion from a label assembly onto an object
KR200483909Y1 (ko) 라벨지
WO2013052188A2 (en) Label assembly
CN104067332B (zh) 标签组件及其使用方法
US20060059747A1 (en) Adhesive poster boar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CA2751933A1 (en) Retail shelf edge label media sheet
JP6224192B2 (ja) 文字ポイントマーキング線を有する貼付材
JP5628697B2 (ja) ラベル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00030519A (ko)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 및 그 제조방법
JP6819137B2 (ja) 配送伝票
US20150371563A1 (en) Supplemental Label
JP2005156941A (ja) ラベル連続体。
GB2280659A (en) Adhesive labels
US20220114921A1 (en) Diy badge talker
CN207966290U (zh) 一种多层书式标签
KR101192247B1 (ko) 인쇄용 라벨지
US11373556B1 (en) Shipping label with perimeter adhesive
JP2007217149A (ja) 裏巻きロール状印刷用紙およびその仮止め方法
KR200287728Y1 (ko) 라벨지구조
JP2005215202A (ja) 台紙なしラベル連続体。
US7910189B2 (en) Photo sheet assembly with removable adhesive por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