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58Y1 -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58Y1
KR200483858Y1 KR2020150003983U KR20150003983U KR200483858Y1 KR 200483858 Y1 KR200483858 Y1 KR 200483858Y1 KR 2020150003983 U KR2020150003983 U KR 2020150003983U KR 20150003983 U KR20150003983 U KR 20150003983U KR 200483858 Y1 KR200483858 Y1 KR 200483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torage tank
washing water
milk storag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467U (ko
Inventor
유경곤
Original Assignee
(주)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경 filed Critical (주)유경
Priority to KR2020150003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5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유 냉각기의 내벽면 세척에 사용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유 냉각기의 내벽면의 전방위(全方位)를 향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 토출(吐出)수단을 구비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우유 냉각탱크 내부의 전방위를 향하여 토출되게 함과 아울러 우유 냉각탱크의 내벽 전체를 빈틈 없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Cleaning Appratus for Milk Cooler}
본 고안은 우유 냉각기의 내벽면 세척에 사용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유 냉각기의 내벽면의 전방위(全方位)를 향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 토출(吐出)수단을 갖는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목정에서 집유(集乳)된 원유(原乳)를 목장으로부터 각 우유가공회사를 통해 출하하기 까지에는, 우유의 변질을 막기위하여 우유냉각기의 우유냉각탱크에 담아서 운반 및 보관하고 있으며, 우유를 출하후에는 우유냉각탱크의 내부를 세척함과 동시에 살균 및 소독후 다시 집유된 새로운 우유를 담아 저장함은 익히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에 우유냉각탱크의 내부를 세척함에는 작업자들이 직접 우유냉각탱크에 속으로 들어가 세척을 하는 수작업 세척으로 인하여, 세척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낭비 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세척작업에 사람의 투입은 오히려 탱크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는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 시키고자 개발된 것으로 도 4 표시와 같은 자동 세척장치가 있다. 도 4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우유냉각기의 우유탱크에 대한 자동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세척장치(10)는 우유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우유냉각기(1) 우유저장탱크(2)의 천장을 관통하여 우유저장탱크(2)내부의 상단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게 설치된 고압세척수 공급관(12)의 하단에 관 형상의 세척수 토출노즐(14)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상기 고압 세척수 공급관(12)에는 우유저장탱크(2)의 외부에 배치된 세척수펌프(16)로부터 연장된 세척수 공급호스(18)를 연결하여 고압의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였다. 도면부호20은 교반기를, V1,V2는 각각 냉온수공급밸브를, V3는 배유(排乳)밸브를, V4는 배수밸브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세척장치(10)의 세척작용을 보면, 우유저장탱크(2)의 내부를 세척하고자 세척수펌프(16)로부터 발생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고압 공급호스(18)를 통하여 세척수 토출노즐(14)쪽으로 공급되고, 이때 토출노즐(14)을 통과하게 되는 매우 강한 분출압이 고압수 공급관(12)에 회전되게 지지된 토출노즐(14)에 작용되는 순간 토출노즐(14)은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우유저장탱크(2)의 내부를 향하여 세척수를 강하게 토출시킴으로써 탱크(2)의 내벽면은 강하게 토출되는 고압 세척수에 의하여 깨끗히 세척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세척장치(10) 또한 도 4로부터 확인되는바와 같이, 우유의 위생 처리상 우유속에 잠기지 않도록 하고자 저장탱크(2)에 저장되는 우유의 수위 이내로 넘어오지 않도록 해야 만 하기 때문에 우유저장탱크(2)내부의 상부쪽으로 만 위치될수 밖에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고, 여기에 더하여 세척수 토출 노즐(14)은 탱크(2)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 분출시 도4의 표시와 같이 우유저장탱크(2)내부의 상부 일부로만 분출되고 있다.
이러한 분출은 결과적으로 우유저장탱크(2)내부의 상부 일부만을 세척하는 것으로 끝나게 되어, 종래의 우유저장탱크(2)의 내부 청소를 사람이 직접적으로 수작업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시간 절약차원이나 혹은 위생적인 차원에서는 더 나은 점은 있을지 모르겠으나, 수작업에 세척에 비하여 탱크내부의 고른 세척작업이 실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유냉각 탱크 내부를 청소함에 있어 신속하게 하면서도 탱크부 전체를 골고루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유 저장용 냉각탱크 내부의 전방위를 향하여 세척수 토출이 실행되게 하여 우유 냉각탱크의 내벽 전체를 빈틈 없이 골고루 세척할 수 있게 한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는, 원유(原乳)를 저장하는 우유 저장탱크의 내부로 개구되는 수평관부를 구비하여 상기 우유 저장탱크의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서 세척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 고압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의 내부로 압송되게 하는 세척수 공급관체; 상기 세척수 공급관체와 연락되는 관 형상을 이루어 상기 수평관부의 개구 단부에 상기 수평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관체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게 하는 노즐관체; 상기 노즐관체의 전후, 좌우로 설치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 내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공들을 포함하는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체의 양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를 이루고, 이 폐쇄단부(122a,122b)에 형성된 상기 토출공(123)은 상기 폐쇄단부(122a,122b)의 어느일측 모서리를 따라 절개(Slit)된 형태로 형성된 토출공(123a)과 상기 폐쇄단부(122a,122b)의 단면부(端面部)에 대략 ㄷ자형태를 이루며 인접된 좌,우벽부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토출공(123b)으로 구성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 내부 전방위(全方位)로 토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압의 세척수를 우유 냉각탱크 내부의 전방위를 향하여 토출되게 한 효과가 있고, 또한 이 효과로 인하여 우유 냉각탱크의 내벽 전체를 빈틈 없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장치가 적용된 우유 냉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고압 세척장치의 A부위 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세척장치가 적용된 우유냉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표시에서, 도 4에서 이미 밝힌 우유 냉각기(1), 우유 저장탱크(2), 세척수 펌프(16), 저장된 우유가 응고되지 않게 저어주는 교반기(20) 및 밸브 (V1,V2,V3,V4)등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도1과 함께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시 도1 내지 도3으로 돌아가서, 본 고안에 따른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100)는, 각 목장으로부터 집유된 원유(原乳)를 저장하는 우유 저장탱크(2)의 내부로 관통설치된 중공상(Hollow)의 고압 세척수 공급관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압세척수 공급관체(110)의 우유저장탱크(2)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단부로는 세척수 펌프(16)로부터 연장되는 세척수 공급호스(18)가 수밀적으로 결합되어 우유 저장탱크(2)내부로 연장된 수직관부(112) 및 이 수직관부(112) 로부터 연장되는 수평관부(114)쪽으로는 세척수 펌프(16)로부터 발생되는 고압의 세척수가 유동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수평관부(114)는 토출용 노즐관체(120)를 우유 저장탱크(2)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게하여 세척수의 분출을 우유 저장탱크(2)의 전방위로 골고루 분출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노즐관체(120)는 세척수 공급관체(110)와 같은 내부가 빈 중공상의 관 형상이며, 도3의 표시와 같이, 노즐관체(120)는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22)의 내부로 세척수 공급관체(110)의 수평관부(114)의 단부에 회전되게 지지하되, 세척수 공급관체(110)의 단부 양측에 형성된 통공(114-1,114-2)을 통하여 노즐관체(120)의 내부와 연락되게 결합됨에 의해, 세척수 공급관체(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가 노즐관체(120)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어지게 하였다. 세척수 공급관체(110)와 노즐관체(120)의 결합부는 패킹부재(116)에 의하여 수밀성을 유지되게 하면서 노즐관체(120)가 세척수 공급관체(110)에 회전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세척수 공급관체(110)의 수평관부(114)의 단부는 폐쇄되어 세척수 공급관체(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는 오직 통공들(114-1,114-2)을 통하여 노즐관체(120)로만 유동되게 된다. 이러한 수압이 작용되는 노즐관체(120)는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를 이루고, 또한 이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에 각각 토출공(123)이 형성되어 있어서, 노즐관체(120)의 내부로 강하게 작용되는 수압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를 좌우로 미는 형태로 가압하면서 토출공(123)을 통하여 분출되기 때문에 노즐관체(120)는 이때 상호 대칭적으로 작용되는 수압으로 세척수 공급관체(110)를 축받이로 하여 회전하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토출하게 된다.
삭제
본 고안의 노즐관체(120)는 도 1의 표시와 같이, 세척수 공급관체(110)의 수평관부(114)로부터 수직으로 위치되어 회전되므로, 노즐관체(120)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에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토출공(123) 및 도2,3에서 보아 노즐관체(120)의 좌우벽부에 일자형으로 길게 절개(切開)된 복수개의 토출공들(125a,125b)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고압의 세척수는, 도1의 화살표 방향 표시와 같이, 우유 저장탱크(2)내벽부의 전방위를 향하여 골고루 토출되어 우유 저장탱크(2)의 내벽부 전체를 골고루 청소하게 되는 유리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에 절개된 형태로 각각 형성된 토출공(123)은 도 2의 표시와 같이, 두개의 토출공들(123a,123b)이 한조를 이루어 형성된 것인데, 하나의 토출공(123a)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반면, 다른 하나의 토출공(123b)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의 단면부(端面部)에 대략 ㄷ자형태를 이루며 인접된 좌,우벽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절개되어 있어, 고압의 세척수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두개의 토출공들(123a,123b)에 의하여 더 전방위를 향하여 토출되게 하는 도움을 주게되는데, 특히 폐쇄단부(122a,122b)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된 모서리 토출공(123a)과 길게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토출공(123b)는 더 전방위(全方位)로 분출되게 하여 우유저장 탱크(2)의 내벽에 대한 고른 세척작업을 하는데 일조를 하게 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의 세척장치는, 집유된 원유를 일시적으로 신선하게 저장하는 우유 냉각기가 있다고 하면 모두 적용하여 우유 냉각탱크의 내부를 우유 변질 없이 신선도 유지에 맞는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유용성을 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 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 : 우유 냉각기
2 : 우유 저장탱크
16 : 세척수 펌프
100 :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110 : 고압 세척수 공급관체
112 :수직관부
114 : 수평관부
120 : 수직 노즐관체
123 : 토출공

Claims (2)

  1. 원유(原乳)를 저장하는 우유 저장탱크의 내부로 개구되는 수평관부를 구비하여 상기 우유 저장탱크의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서 세척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 고압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의 내부로 압송되게 하는 세척수 공급관체; 상기 세척수 공급관체와 연락되는 관 형상을 이루어 상기 수평관부의 개구 단부에 상기 수평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관체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게 하는 노즐관체; 상기 노즐관체의 전후, 좌우로 설치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 내부 로 토출시키는 토출공들을 포함하는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체의 양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폐쇄단부(122a,122b)를 이루고, 이 폐쇄단부(122a,122b)에 형성된 상기 토출공(123)은 상기 폐쇄단부(122a,122b)의 어느일측 모서리를 따라 절개(Slit)된 형태로 형성된 토출공(123a)과 상기 폐쇄단부(122a,122b)의 단면부(端面部)에 대략 ㄷ자형태를 이루며 인접된 좌,우벽부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토출공(123b)으로 구성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상기 우유 저장탱크 내부 전방위(全方位)로 토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2. 삭제
KR2020150003983U 2015-06-17 2015-06-17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KR200483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83U KR200483858Y1 (ko) 2015-06-17 2015-06-17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83U KR200483858Y1 (ko) 2015-06-17 2015-06-17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67U KR20160004467U (ko) 2016-12-28
KR200483858Y1 true KR200483858Y1 (ko) 2017-07-05

Family

ID=5770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983U KR200483858Y1 (ko) 2015-06-17 2015-06-17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082B1 (ko) * 2020-12-18 2023-07-27 류옥란 원유의 신선도 유지 운반을 위한 격일 보관 냉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020Y1 (ko) * 2001-05-16 2001-10-15 이권호 우유냉각통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8013B2 (ja) * 1992-03-11 1999-04-05 住友建機株式会社 タンク内部洗浄法
KR0122265Y1 (ko) * 1996-06-14 1998-08-17 배순훈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분사장치
KR100360331B1 (ko) * 1999-06-18 2002-11-13 한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유 냉각통의 내부 세척용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020Y1 (ko) * 2001-05-16 2001-10-15 이권호 우유냉각통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67U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097B2 (en) Multi-purpose water tank
DE102010038422A1 (de) Bodenreinigungsgerät
KR101686377B1 (ko) 해조류 세척장치
KR200483858Y1 (ko) 우유 냉각기용 세척장치
US3981315A (en) Stirring apparatus for a liquid tank
US10022754B2 (en) Filling machine and method for intermediate cleaning of a filling machine
WO2016075644A1 (en) Washing agent dispensing device and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this device
JP6142414B2 (ja) 食器洗浄機用ノズル及び食器洗浄機
KR20160093122A (ko) 자동 야채세척기
KR100991817B1 (ko) 곡물 및 야채 복합형 세척기
JP4781036B2 (ja) シャワークーラント装置
EP2695555A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des Milchsystems bei Kaffeevollautomaten
JP2018187602A (ja) 洗浄ラック
KR101090136B1 (ko) 자동 세미 장치
JP2006272195A (ja) 容器内部の洗浄方法
DE712920C (de) Wasch- und Spuelmaschine fuer Geschirr o. dgl.
JP2016165241A (ja) 洗浄槽装置
JP5327527B2 (ja) 搾乳用バケット洗浄装置及び接続構造
JP6227344B2 (ja) 流体の供給の切替装置および切替方法、並びに、高圧噴射撹拌装置
JP4912177B2 (ja) 受乳装置の洗浄方法及び洗浄機構
CN107695059B (zh) 水箱清洗装置
KR20170000849A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튜브 탈지 시스템 및 탈지 방법
JP7288244B2 (ja) 浴槽洗浄装置
JP2018202367A (ja) 超音波洗浄装置
CN211100355U (zh) 一种五金配件打磨用废料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