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136B1 - 자동 세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136B1
KR101090136B1 KR1020110045386A KR20110045386A KR101090136B1 KR 101090136 B1 KR101090136 B1 KR 101090136B1 KR 1020110045386 A KR1020110045386 A KR 1020110045386A KR 20110045386 A KR20110045386 A KR 20110045386A KR 101090136 B1 KR101090136 B1 KR 10109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rice
clean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득
Original Assignee
(주)진우에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에프테크 filed Critical (주)진우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11004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정조에 투입된 쌀이 유입될 수 있는 합류부, 상기 합류부에 유입된 상기 쌀이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토출관, 저수조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인 세정관, 그리고 상기 합류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합류부 내부로 유입된 쌀을 압송하도록 상기 합류부 내부로 상기 세정수를 내뿜는 크기가 서로 다른 토출 구멍들을 가지는 토출 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세미 장치{automatic rice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세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사 전에 쌀을 깨끗이 씻는 세미(洗米)작업을 실시한다. 세미 작업은 보통 쌀이 담긴 용기에 일정량의 물을 부은 상태에서 취사자가 쌀을 씻게 된다.
급식소 등의 대량의 쌀을 씻는 경우 취사자가 직접 씻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급식소 등에서는 자동 세미 장치를 이용하여 쌀을 씻게 된다.
종래의 자동 세미 장치의 경우, 세정수가 수용되는 저수 탱크, 쌀이 투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세정 탱크, 그리고 세정수와 쌀이 유입되어 순환하는 순환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순환관의 한쪽 끝은 세정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세정 탱크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한다.
세정 탱크의 쌀은 순환관으로 유입되고, 이때 쌀은 저수 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와 함께 순환관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순환관을 따라 이동한 쌀은 다른 쪽 끝을 통하여 세정 탱크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쌀을 세정하게 된다.
순환관을 따라 이동하는 쌀이 순환관의 다른 쪽 끝을 통하여 세정 탱크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쌀이 세정 탱크의 중앙으로만 배출된다. 이때 쌀들이 서로 마찰되면서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세정 탱크 중앙에 있는 쌀들만 마찰되면서 씻기나, 세정 탱크의 둘레면에 부착된 쌀들은 마찰되지 않아 원활히 씻기지 않았다.
이에 따라 세정 탱크의 중앙에 있는 쌀들은 원활하게 씻겨지나, 세정 탱크의 둘레면에 붙어 있는 쌀들은 씻겨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로 쌀을 씻는 자동 세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정 중에 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 세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미 장치는, 세정조에 투입된 쌀이 유입될 수 있는 합류부, 상기 합류부에 유입된 상기 쌀이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토출관, 저수조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인 세정관, 그리고 상기 합류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합류부 내부로 유입된 쌀을 압송하도록 상기 합류부 내부로 상기 세정수를 내뿜는 토출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세미 장치는, 상기 세정관 끝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 내부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 구멍을 갖는 세정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조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의 끝이 위치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타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합류부가 연결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세정관의 끝이 연결되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관의 끝은 상기 제2 부분의 상단과 하단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에 상기 세정관의 끝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세미 장치는, 상기 합류부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세정수 공급관, 상기 세정수 공급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합류부로 펌핑하는 제1 펌프, 그리고 상기 세정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로 펌핑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노즐부는, 상기 합류부와 상기 세정수 공급관 사이에 위치한 한 쌍의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합류부 내부로 돌출되어 있고 끝 단부가 상기 합류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관과 근접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를 내뿜는 크기가 서로 다른 토출 구멍들을 가지는 토출 노즐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 노즐부에는 토출 구멍들이 허니콤 형태로 배열된다. 허니콤 형태로 배열된 토출 구멍들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토출 구멍을 통해 합류부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 압력과 속도가 다르다. 이에 따라 합류부 내부로 세정수가 세차게(와류)게 유입된다. 토출 노즐부에 의하여 세정수가 합류부 내부로 내뿜어지고, 내뿜어진 세정수와 세정조에서 유입되는 세정수와 쌀이 입체적으로 접촉되어 쌀의 세정 효율이 향상되며, 쌀이 뭉그러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합류부 내부로 유입된 쌀과 세정수가 토출 노즐부의 토출 구멍에서 내뿜어지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휩쓸려 이동하게 되면서 쌀의 손상을 최소화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관을 통해 세정조 내부로 분사되는 세정수는 세정조의 중심을 향하여 분사된다. 세정조의 중심을 향해 분사되는 세정수와 토출관에서 쏟아지는 쌀과 세정수가 세정조 내부에서 입체적으로 만나게 된다. 입체적으로 만나는 세정수와 쌀은 세정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관을 통해 세정수가 세정조 중심을 향해 분사되면서 세정조의 내부 둘레면에 쌀이 붙지 않는다. 이에 따라 쌀의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정조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다. 세정수가 세정조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흐르면 세정조 내부에는 와류가 발생한다. 와류 발생에 의하여 토출관을 통해 쏟아지는 쌀과 세정수가 세정조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와 접촉되어 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구멍이 제2 부분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세정관과 세정조의 연결할 때, 상관선(intersecting line)을 쉽게 구할 수 있어 세정조와 세정관의 결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수 공급관에 장착된 제1 펌프와 세정관에 장착된 제2 펌프의 펌핑력에 의하여 저수조에 수용된 세정수가 세정조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펌프를 사용하게 되면 세정조, 합류부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압력이 낮아지는 세정수는 쌀의 파손을 최소화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세미 장치를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합류부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IV-IV선을 따라 합류부를 잘라 토출 노즐부를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VI-VI 선을 따라 세정조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세정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Ⅷ-Ⅷ선을 따라 세정조를 잘라 세정 노즐을 바라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미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세미 장치를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미 장치(1)는, 본체부(10), 저수조(20), 세정조(30), 합류부(40), 토출관(50), 그리고 세정수 공급부(6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자동 세미 장치(1)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 수직 및 수평 프레임(도시하지 않음)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의 외측에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패널(11)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들 중 어느 한 패널은 경첩(도시하지 않음)으로 수평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경첩으로 연결된 패널은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여 열고 닫힘이 가능하다. 열고 닫히는 패널은 도어 역할을 한다.
본체부(10)의 저면에는 바닥면에 구르는 바퀴(12)가 장착되어 있다. 바퀴(12)에 의하여 자동 세미 장치(1)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저면에는 자동 세미 장치(1)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조절 장치(13)의 일측은 본체부(10)의 프레임에 타측은 바닥면에 접촉되어 있다. 수평 조절 장치(13)는 나사 방식으로 형성되어 나사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하여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수평 조절 장치(13)는 생략될 수 있다.
저수조(20)는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수조(20) 내부에는 쌀을 세정하는 세정수가 수용될 수 있다. 저수조(2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저수조(20)의 개방된 부분에는 열고 닫힘이 가능한 덮개(21)가 장착되어 있다. 저수조(20)에는 세정수 유입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유입관을 통하여 저수조(20) 내부로 세정수를 채울 수 있다. 그러나 세정수 유입관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히팅 장치는 생략될 수 있다.
저수조(20)의 바닥면에는 내부에 채워진 세정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 밸브(도시하지 않음)들이 장착되어 있다.
세정조(30)는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세정조(30)가 배치된 본체부(10)의 타측 상면에는 넘침 방지 턱(14)이 형성되어 있다. 넘침 방지 턱(14)은 세정조(30)에서 넘친 세정수가 바닥면으로 흐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넘침 방지 턱(14) 부분에는 세정조(30)에서 넘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부는 별도의 용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수부로 유입된 세정수는 별도의 용기에 수거될 수 있다.
세정조(30)는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정조(30)의 제1 부분(31)은 본체부(10)의 상면에서 본체부(10) 내부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부분(31)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일측은 본체부(10)의 상면 부분에 위치한다. 제1 부분(3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통이 아닐 수 있다. 제1 부분(3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내부로 쌀이 투입될 수 있다.
세정조(30)의 제2 부분(32)은 제1 부분(3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진다. 제2 부분(32)을 정면에서 본 단면 모양은 원뿔 모양이다.
원뿔 모양의 제2 부분(32)은 경사면(321)과 수직면(3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부분(32)의 꼭지점 부분에는 배출 구멍(322b)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면(322)은 원뿔 모양의 제2 부분(32)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위치한다. 수직면(3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322a)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면(322)의 중앙에 위치한 장착 구멍(322a)은 중앙 부분에서 일측으로 치우칠 수도 있다.
내부로 투입된 쌀은 제2 부분(32)에서 모이며, 모인 쌀은 배출 구멍(322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정조(30)는 내식성이 강하고, 녹이 슬지 않고 약품에도 부식하지 않는 스테인레스강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정조(30)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고하면, 합류부(40)는 제2 부분(32)의 배출 구멍(322b)에 장착되어 있다. 합류부(40)는 3 웨이 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는 비어 있으며, 내부를 외부로 연결하는 3개의 구멍(41, 42, 43)을 갖는다. 합류부(40)의 가운데 부분에는 제1 구멍(41)이 형성되고, 제1 구멍(4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2 구멍(42)이, 타측에는 제3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합류부(40)의 가운데 부분 즉, 제1 구멍(41) 부분은 배출 구멍(322b)을 통하여 세정조(30)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정조(30)의 제2 부분(32)에 있는 쌀은 제1 구멍(41)을 통하여 합류부(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토출관(50)은 합류부(40) 내부로 유입된 쌀을 다시 세정조(30) 내부로 공급한다. 토출관(50)의 한쪽 끝은 세정조(30)의 개방된 일측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토출관(50)의 다른 쪽 끝은 합류부(40)의 일측 즉 제2 구멍(42)에 연결되어 있다.
토출관(50)은 제1 관(51) 및 제2 관(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관(51)의 한 쪽 끝은 본체부(10)의 상면에 위치하고, 다른 쪽 끝은 합류부(4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관(52)은 본체부(10) 상면에 위치하여, 한쪽 끝이 세정조(30)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쪽 끝은 제1 관(51)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1 관(51)과 제2 관(52) 사이에는 제2 관(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조인트(53)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조인트(53)의 한 쪽은 제1 관(51)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제2 관(5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관(52)과 회전 조인트(53) 사이에는 회전체(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위치하여 제2 관(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제2 관(52)은 회전 조인트(53)에 의하여 제1 관(5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조인트(53)는 생략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60)는, 저수조(20)에 수용된 세정수를 세정조(30)로 공급하는 것으로, 세정수 공급관(61) 및 세정관(62)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세정수 공급관(61)은 저수조(20)에 수용된 세정수를 합류부(40)로 공급하다. 세정수 공급관(61)의 한쪽 끝은 합류부(40)의 다른 쪽 끝 즉, 제3 구멍(43)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저수조(20)의 배출 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관(61)에는 저수조(20)에 수용된 세정수를 압송하는 제1 펌프(611)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펌프(611)의 펌핑력에 의하여 저수조(20)의 세정수는 합류부(40) 내부로 유입되어 세정조(30)에서 유입되는 쌀과 합류한다. 아울러, 합류부(40)에서 세정수와 합류된 쌀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 압력에 의하여 토출관(50)을 따라 세정수와 함께 이동한다. 토출관(50)을 따라 이동한 쌀과 세정수는 토출관(50)의 한쪽 끝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세정수와 쌀은 세정조(30)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합류부(40)에서 쌀과 세정수가 합류될 때 쌀의 세정과 쌀의 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합류부(40)의 제3 구멍(43)과 세정수 공급관(61) 사이에는 토출 노즐부(612)가 장착되어 있다.
토출 노즐부(612)는 한 쌍의 플랜지(612a, 612b) 및 토출 노즐 몸체(612c)를 포함한다.
한 쌍의 플랜지(612a, 612b) 중 제1 플랜지(612a)는 세정수 공급관()에 나사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플랜지(612b)는 합류부(40)의 제3 구멍(43)에 나사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 플랜지(612a)와 제2 플랜지(612b) 또한, 제1 플랜지(612a)에서 돌출된 결합부(612a-1)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나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플랜지(612a)와 제2 플랜지(612b)의 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토출 노즐 몸체(612c)는 제2 플랜지(612b)에서 합류부(40)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토출 노즐 몸체(612c)의 끝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류부(40)의 제1 구멍(41)을 정의하고 있는 하부를 통하여 제2 구멍(42) 부분에 위치한다.
토출 노즐 몸체(612c)에는 세정수를 내뿜는 토출 구멍(612d, 612e)들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 구멍(612d, 612e)들의 직경은 서로 다르다.
토출 구멍(612d, 612e)이 형성된 토출 노즐 몸체(612c)의 끝 부분이 제2 구멍(42)에 위치하므로 제1 구멍(41)을 통하여 합류부(40) 내부로 유입된 쌀은 토출 구멍(612d, 612e)에서 내뿜어지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제2 구멍(42)쪽으로 휩쓸려 이동하게 된다.
한편, 뭉개지지 않은 쌀 한 톨의 크기가 대략적으로 가로 4.5MM 세로 2.5MM 정도이다. 이에 따라 쌀이 토출 구멍(612d, 612e)을 통하여 세정수 공급관(6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출 구멍(612d, 612e)들의 직경은 2MM 내지 2.5MM 일 수 있다. 토출 구멍(612d, 612e)이 쌀의 크기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 쌀은 토출 구멍(612d, 612e)을 통하여 세정수 공급관(6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직경이 다른 토출 구멍(612d, 612e)들은 허니콤 형태로 배열된다. 허니콤 형태로 배열된 토출 구멍(612d, 612e)들 중 직경이 큰 토출 구멍(612d)들은 토출 노즐 몸체(612c)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직경이 작은 토출 구멍(612e)은 직경이 큰 토출 구멍(612d)으로부터 떨어져있다.
토출 구멍(612d, 612e)들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토출 구멍(612d, 612e)을 통해 합류부(40) 내부로 내뿜어지는 세정수의 유입 압력과 속도가 다르다. 이에 따라 합류부(40) 내부로 세정수가 세차게(와류)게 유입된다. 즉, 직경이 서로 다른 토출 구멍(612d, 612e)을 통해 세정수가 합류부(40) 내부로 입체적으로 유입되어 합류부(40) 내부로 유입된 쌀과 접촉한다.
합류부(40)에서 쌀이 세정수와 만나면 쌀은 세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정수와 쌀이 토출관(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마찰되어 쌀은 세정이 이루어진다.
즉, 합류부(40)의 세정수와 쌀이 입체적으로 접촉되어 쌀의 세정 효율이 향상되며, 쌀의 뭉그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토출관(50)을 따라 이동한 세정수와 쌀은 토출관(50)의 한쪽 끝을 통하여 세정조(30) 내부로 쏟아진다. 세정조(30) 내부로 쏟아진 쌀과 세정수는 세정조(30)에 투입되어 있는 쌀 들과 마찰이 이루어져 쌀은 다시 세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쌀이 어느 정도 세정 되면 제2 관(52)은 회전 조인트(53)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세정조(30)를 벗어날 수 있다. 회전한 제2 관(52)의 한쪽 끝은 본체부(10)의 일측에 마련된 용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된 쌀은 용기로 수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세정관(62)은 세정조(30)에 수용된 세정수를 세정조(30) 내부로 바로 유입시킨다. 세정관(62)의 한쪽 끝은 세정조(30)의 장착 구멍(322a)에 연결되어 있다. 세정관(62)은 세정조(30)의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장착 구멍(322a)이 제2 부분(32)의 수직면(322)에 형성되어 세정관(62)과 세정조(30)의 연결할 때, 상관선(intersecting line)을 쉽게 구할 수 있어 세정조(30)와 세정관(62)의 결합이 용이하다. 세정조(30)와 세정관(62)은 용접 따위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관선은 두 개 이상의 입체가 만나서 이루는 입체를 상관체(intersecting body)라하며, 상관체에서 입체가 만난 경계선을 말한다.
이에 따라서 장착 구멍(322a)에 연결된 세정관(62)을 수직면(322)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관(62)을 통해 세정조(30)의 제2 부분(32) 내부로 세정수는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분사되는 세정수는 세정조(30)의 중심을 향하여 분사된다.
세정조(30)의 중심을 향해 분사되는 세정수와 토출관(50)에서 쏟아지는 쌀과 세정수, 그리고 세정조(30) 내부에 있는 쌀들이 입체적으로 만나게 된다. 이때, 세정조(30)의 내부면에 붙어 있는 쌀 들은 자연스럽게 내부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세정조(30) 내부에서 입체적으로 만나는 세정수와 쌀은 세정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관(62)은 장착 구멍(322a)에 장착될 때 세정관(62)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정조(30)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흐르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32)이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세정수가 세정조(30)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흐르면 세정조(30) 내부에는 와류가 발생한다. 와류 발생에 의하여 토출관(50)을 통해 쏟아지는 쌀과 세정수가 세정조(30)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와 접촉되어 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세정조(30)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세정조(30)의 내부에 있는 쌀과 세정수는 배출 구멍(322b)을 통하여 합류부(40)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세정관(62)을 통해 세정수가 세정조(30) 중심을 향해 분사되면서 세정조(30)의 내부 둘레면에 쌀이 붙지 않는다. 이에 따라 쌀의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관(62)의 한쪽 끝에는 세정 노즐(622)이 장착되어 있으며, 세정 노즐(622)에는 세정 구멍(62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 구멍(622a)들은 그 직경이 다르거나 동일할 수 있다. 세정 구멍(622a)들은 일반적인 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세정조(30)에 있는 쌀이 세정관(6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세정 구멍(622a)을 통하여 세정관(62) 내부로 세정조(30)에 있는 쌀이 유입되지 않도록 유입 방지 망(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 공급관(61)에 장착된 제1 펌프(611)와 세정관(62)에 장착된 제2 펌프(621)의 펌핑력에 의하여 저수조(20)에 수용된 세정수가 세정조(3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펌프의 압력에 의하여 세정수가 세정조(30)로 유입되므로 세정조(30)에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압력이 낮아지는 세정수는 쌀과 접촉되면서 쌀의 파손을 최소화 한다.
한편, 본체부(10)의 패널(11)에는 제1 펌프(611) 및 제2 펌프(6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70)가 장착되어 있다. 쌀의 종류와 쌀의 상태에 따라 컨트롤러(70)를 이용하여 제1 펌프(611) 및 제2 펌프(621)의 펌핑력을 조절하여 쌀을 세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자동 세미 장치
10: 본체부
11: 패널 12: 바퀴 13: 수평 조절 장치 14: 넘침 방지 턱
20: 저수조
21: 덮개
30: 세정조
31: 제1 부분 32: 제2 부분 321: 경사면 322: 수직면 322a: 장착 구멍 322b: 배출 구멍
40: 합류부
41: 제1 구멍 42: 제2 구멍 43: 제3 구멍
50: 토출관
51: 제1 관 52: 제2 관 53: 회전 조인트
60: 세정수 공급부
61: 세정수 공급관 611: 제1 펌프 612: 토출 노즐부 612a, 612b: 플랜지 612c: 토출 노즐 몸체 612d, 612e: 토출 구멍
62: 세정관 621: 제2 펌프 622: 세정 노즐 622a: 세정 구멍
70: 컨트롤러

Claims (7)

  1.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쌀이 투입될 수 있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에 투입된 상기 쌀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합류부,
    일측이 세정수가 저장된 저수조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합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를 상기 합류부 내부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관,
    상기 세정수 공급관과 마주하여 일측이 상기 합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세정조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는 토출관,
    상기 합류부와 상기 세정수 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합류부 내부로 상기 세정수를 내뿜는 토출 노즐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세정조의 하부측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인 세정관
    을 포함하며,
    상기 합류부 내부로 유입된 상기 쌀은 상기 토출 노즐부에서 상기 합류부 내부로 뿜어지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세정수와 함께 상기 토출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쌀은 상기 토출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정이 이루어지는
    자동 세미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세정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 내부로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 구멍을 갖는 세정 노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 구멍에서 분사되는 상기 세정수는 상기 세정조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쌀에 접촉되어 상기 쌀을 세정하는
    자동 세미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세정조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의 타측이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타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합류부가 연결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세정관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자동 세미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세정관의 타측은 상기 제2 부분의 상단과 하단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자동 세미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과 하단의 가운데 부분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에 상기 세정관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자동 세미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세정수 공급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합류부로 펌핑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세정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로 펌핑하는 제2 펌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세미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토출 노즐부는,
    상기 합류부와 상기 세정수 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가 관통된 한 쌍의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합류부 내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끝 단부가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근접되어 있으며, 상기 끝 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를 상기 토출관 내부로 내뿜는 크기가 서로 다른 토출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토출 노즐 몸체
    를 포함하는
    자동 세미 장치.
KR1020110045386A 2011-05-13 2011-05-13 자동 세미 장치 KR10109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86A KR101090136B1 (ko) 2011-05-13 2011-05-13 자동 세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86A KR101090136B1 (ko) 2011-05-13 2011-05-13 자동 세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136B1 true KR101090136B1 (ko) 2011-12-06

Family

ID=4550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386A KR101090136B1 (ko) 2011-05-13 2011-05-13 자동 세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015B1 (ko) * 2016-01-14 2016-10-31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세미기
KR200488767Y1 (ko) 2016-12-29 2019-03-15 주식회사 가온테크 세미기의 펌프 작동 스위치 겸용 급수 밸브장치
KR20190036874A (ko) * 2017-09-28 2019-04-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쌀 자동세척 밥솥 및 이를 이용하여 쌀을 취사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52B1 (ko) 2009-04-10 2009-09-25 (주)현대엠테크 무노즐 디지털 전자동 세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52B1 (ko) 2009-04-10 2009-09-25 (주)현대엠테크 무노즐 디지털 전자동 세미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015B1 (ko) * 2016-01-14 2016-10-31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세미기
KR200488767Y1 (ko) 2016-12-29 2019-03-15 주식회사 가온테크 세미기의 펌프 작동 스위치 겸용 급수 밸브장치
KR20190036874A (ko) * 2017-09-28 2019-04-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쌀 자동세척 밥솥 및 이를 이용하여 쌀을 취사하는 방법
KR102002570B1 (ko) 2017-09-28 2019-10-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쌀 자동세척 밥솥 및 이를 이용하여 쌀을 취사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65483Y (zh) 具有空心搅拌器的洗衣机
US5924433A (en) Gas injection plastic molding applied to a dishwasher tub
KR101090136B1 (ko) 자동 세미 장치
CN212760189U (zh) 一种易清洁的储水箱
CN208510944U (zh) 无线拖地机用水箱
JP4717866B2 (ja) 食器洗い機
CN208355382U (zh) 清洗机及其喷淋冲洗装置
CN206761587U (zh) 一种喷淋组件、物料清洗装置及烹饪器具
CN215828463U (zh) 一种高效软化水处理装置
JP2019098260A (ja) 洗浄器
CN208455769U (zh) 马桶清洁剂定量释放装置
CN111449597A (zh) 一种蒸汽洗碗机
KR102632696B1 (ko) 나노버블장치
CN109972716A (zh) 一种坐便器
KR102616395B1 (ko) 식기세척기용 나노버블장치
KR102616399B1 (ko) 나노버블 식기세척기
CN217393233U (zh) 一种基坑植筋用孔壁冲洗装置
CN108328581A (zh) 臭氧发生机构和清洗装置
CN204245101U (zh) 一种洗笋机
CN212394847U (zh) 一种蒸汽洗碗机
CN211881667U (zh) 一种智能化自动喂料装置
CN214826832U (zh) 一种螺旋输送式化粪池清掏装置
CN215745357U (zh) 一种用于血浆袋清洗机的喷头
CN107904869A (zh) 一种进水盒及全自动洗衣机
JP7205759B2 (ja) 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