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74Y1 -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74Y1
KR200483374Y1 KR2020150003058U KR20150003058U KR200483374Y1 KR 200483374 Y1 KR200483374 Y1 KR 200483374Y1 KR 2020150003058 U KR2020150003058 U KR 2020150003058U KR 20150003058 U KR20150003058 U KR 20150003058U KR 200483374 Y1 KR200483374 Y1 KR 200483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llumination
acoustic
control box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003U (ko
Inventor
이용경
Original Assignee
이용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경 filed Critical 이용경
Priority to KR2020150003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7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래방에 구비되는 조명부, 스피커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음원출력기와, 상기 음원출력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와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음향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앰프 및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조명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복수의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에 음성신호를 입력시켜 상기 앰프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유니트 신호발생기와, 상기 앰프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기와,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는 상기 터치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감지제어기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볼륨조절기에 의해 상기 앰프를 통한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노래방의 조명기기, 스피커 등 전자기기를 사용자마다의 특성이나 취향에 맞도록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ELECTRIC DEVICE CONTROL SYSTEM FOR KARAOKE}
본 고안은 노래방에 구비되는 조명부, 스피커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및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11), 복수의 조명기기(12, 13, 14) 등의 전자기기들이 구비된다.
이들 전자기기는 대개 운영자가 메인제어부(15)에 세팅해 놓은 바에 따라 출력이 일정한 패턴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스피커(11)의 경우에는 메인제어부(15)측 앰프에 의해 볼륨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있으므로 선곡된 반주음악의 음향이나 마이크(16)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일정하게 조절된 바에 따라 스피커(11)를 통해 출력된다.
조명기기(12, 13, 14)의 경우에도 선곡된 반주음악에 따라 각기 메인제어부(15)에서 정해진 패턴에 따라 일률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마다 제각기 다른 음성이나 성량을 가진 관계로 기 설정된 스피커(11)의 출력과 밸런스(Balance)가 매칭(Matching)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때로는 크게 때로는 작게 출력되는 언밸런스(Unbalance)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조명기기(12, 13, 14)의 경우에도 반주음악에 따라 항상 일정한 패턴으로 자동 조작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의해 극적 효과를 더할 수 있는 재미를 가질 수 없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래방에서 조명기기, 스피커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자마다의 특성이나 취향에 맞도록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원출력기와, 상기 음원출력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와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음향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앰프 및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조명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복수의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에 음성신호를 입력시켜 상기 앰프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유니트 신호발생기와, 상기 앰프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기와,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는 상기 터치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감지제어기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볼륨조절기에 의해 상기 앰프를 통한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는 상기 음원출력기의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1 조명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감지제어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조명기기는 상기 제1 조명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조명기기와, 상기 제2 조명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조명기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는 상기 복수의 조명기기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조명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가 상기 음원출력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소리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가 상기 터치감지제어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조명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도록 설정된 조명프로그램점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기기는 상기 조명프로그램점멸기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조명기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원출력기와, 상기 음원출력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와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음향신호 및 상기 마이크의 음성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앰프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조명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복수의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앰프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기와,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된 사용자용 콘트롤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는 상기 터치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감지제어기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볼륨조절기에 의해 상기 앰프를 통한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마이크를 잡는 행위를 통해 상기 마이크에 구비된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는 볼륨조절기를 통해 스피커의 음향 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노래방 기기들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손쉽게 조절하여 즐길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마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의 음향제어를 위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의 조명제어를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피커(11)와 복수의 조명부(12, 13, 14)를 포함하며, 선택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음원출력기(15),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앰프(17)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음성출력을 위한 마이크(2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스위치(27)와 볼륨조절기(28)가 구비되며, 내장된 터치센서(도 3의 2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제 마이크 손잡이(29-1)도 구비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마이크(26)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유니트 신호발생기(26-1)도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스위치(27), 볼륨조절기(28) 및 터치센서(29-2)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부속된 스피커(11)와 복수의 조명기기(12, 13, 14)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이크(26)는 이들 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제어기로서도 기능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한 조명스위치(27), 볼륨조절기(28) 및 터치센서(29-2)는 마이크(26)와 별도로 제공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사용자용 이동식 콘트롤박스(도면 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출력기(1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와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음향조명콘트롤박스(30)는 터치감지제어기(31)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마이크(26)의 터치센서(29-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바에 따라 앰프(17)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선곡에 따라 음원출력기(15)로부터 음원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감지제어기(31)는 기 설정된 음량으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되(#1), 사용자가 마이크(26)를 잡음으로써 손잡이(도 2의 29-1)를 통해 터치센서(29-2)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마이크(26) 측 볼륨조절기(28)에 의해 조절된 음량으로 앰프(17)의 출력 음향신호가 조절된다(#2).
따라서, 마이크(26)를 잡은 사용자는 볼륨조절기(28)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음량으로 조절된 출력음향으로 노래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마이크(26)를 통해 노래하는 음성은 유니트 신호발생기(26-1)에 의해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음향조명콘트롤박스(30) 내 터치감지제어기(31)로 입력되고, 이는 그대로 앰프(17)를 통해 스피커(11)로 출력된다(유니트 출력).
한편, 음향조명콘트롤박스(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출력기(15)로부터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소리신호제어기(32)와, 터치감지제어기(31)와 소리신호제어기(3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조명(12, 13)을 제어하기 위한 소리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33)를 더 구비한다.
소리신호제어기(32)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30)의 고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소리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33)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30)가 음원출력기(15)로부터 음원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신호제어기(32)에 의해 음향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경우 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1(12)을 온(on) 제어한다(#1). 즉, 사용자에 의해 노래가 선곡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조명 1(12)이 온 된다.
그리고, 마이크(26) 측의 터치센서(29-2)의 감지신호가 터치감지제어기(31)에 수신되는 경우, 소리터치 양방향 제어기(33)는 조명 2(13)를 온 제어한다(#2). 즉, 사용자가 마이크(26)를 잡는 경우 자동적으로 조명 2(13)가 온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하고 마이크를 잡는 경우 조명 1(12)과 조명 2(13)가 온 된다.
나아가, 소리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33)는 터치감지제어기(31)와 소리신호제어기(32)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별도의 조명 3(14)을 점멸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조명프로그램점멸기(4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조명프로그램점멸기(40)는 마이크(26) 측 조명스위치(27)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노래 선곡으로 반주가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마이크(27)를 잡고 노래를 부르는 중간에 조명스위치(27)를 누름으로써 특별한 조명, 즉 조명프로그램점멸기(40)의 동작으로 그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조명 3(14)이 온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명스위치(27), 볼륨조절기(28) 및 터치센서(29-2)가 마이크(26)에 제공되지 않고 이와 별도로 제공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사용자용 이동식 콘트롤박스(도면 미도시)에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노래 선곡 후 마이크(26)를 잡고 노래를 부르는 도중에 필요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용 콘트롤박스를 터치한 상태에서 볼륨조절기(28)와 조명스위치(27)를 조작함으로써 음향효과 및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된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1: 스피커 12, 13, 14: 조명부
15: 음원출력기 17: 앰프
26: 마이크 26-1: 유니트 신호발생기
27: 조명스위치 28: 볼륨조절기
29-1: 손잡이 29-2: 터치센서
30: 음향조명콘트롤박스 31: 터치감지제어기
32: 소리신호제어기 33: 소리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
40: 조명프로그램점멸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음원출력기와, 상기 음원출력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신호와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조명콘트롤박스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음향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앰프 및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의 조명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복수의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에 음성신호를 입력시켜 상기 앰프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유니트 신호발생기와, 상기 앰프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기와,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구비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는 상기 터치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감지제어기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볼륨조절기에 의해 상기 앰프를 통한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는
    상기 음원출력기의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1 조명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감지제어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조명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조명기기는
    상기 제1 조명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조명기기와, 상기 제2 조명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조명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복수의 조명기기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조명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음향조명콘트롤박스가 상기 음원출력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소리터치 양방향 신호제어기가 상기 터치감지제어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조명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도록 설정된 조명프로그램점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기기는
    상기 조명프로그램점멸기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조명기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4. 삭제
KR2020150003058U 2015-05-13 2015-05-13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KR200483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58U KR200483374Y1 (ko) 2015-05-13 2015-05-13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58U KR200483374Y1 (ko) 2015-05-13 2015-05-13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03U KR20160004003U (ko) 2016-11-23
KR200483374Y1 true KR200483374Y1 (ko) 2017-05-08

Family

ID=5770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58U KR200483374Y1 (ko) 2015-05-13 2015-05-13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9001A (ja) * 2004-04-20 2005-11-04 Make Softwear:Kk カラオケ用マイク付きリモコン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US20080282871A1 (en) * 2007-04-11 2008-11-20 Kuo Hsiung Chen Portable karaok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258B1 (ko) * 2009-07-28 2011-10-27 글로엔텍 주식회사 최적의 조명효과를 제공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9001A (ja) * 2004-04-20 2005-11-04 Make Softwear:Kk カラオケ用マイク付きリモコン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US20080282871A1 (en) * 2007-04-11 2008-11-20 Kuo Hsiung Chen Portable karaok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03U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952B2 (en) Sound management systems for improving workplace efficiency
US9642221B2 (en) User interface using sounds to control a lighting system
US9035165B2 (en) Control ped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ntrol pedal
ATE441467T1 (de) Audio-temposteuerungsvorrichtung
WO2005042119A3 (en) Configurable gam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vely assigning game functions to controller input devices
US9761211B2 (en) Detachable controller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ATE450926T1 (de) Automatische lautstärkenregelung
DE60123803D1 (de) System zur steuerung eines gerätes mittels sprachbefehlen
CN203689892U (zh) 视唱场所专用个人音频数据调备装置
US20110239847A1 (en) Electronic drumsticks system
KR200483374Y1 (ko) 노래방용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JP2007271296A (ja) アラー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14772A1 (en) Effect pedal
JP6720896B2 (ja) 電子楽器
SE0201434D0 (sv) Anordning för inmatning av styrsignaler
US20190289406A1 (en) Audio amplification electronic device with independent pitch and bass response adjustment
JP2019087885A (ja) 浴室用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90066799A (ko) 생리지표 대응 이퀄라이저 제어 방식 오디오 시스템
KR20160062346A (ko) 노래를 입력할 수 있는 노래방 마이크
CN204202194U (zh) 操作装置
KR101535238B1 (ko)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US20130207790A1 (en) Finger beamz
KR20180000875U (ko) 조명 모듈
US9626842B1 (en) Accessorized doorbell device
JP4884892B2 (ja) モニタスピーカ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