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75U - 조명 모듈 - Google Patents

조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75U
KR20180000875U KR2020160005481U KR20160005481U KR20180000875U KR 20180000875 U KR20180000875 U KR 20180000875U KR 2020160005481 U KR2020160005481 U KR 2020160005481U KR 20160005481 U KR20160005481 U KR 20160005481U KR 20180000875 U KR20180000875 U KR 201800008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ing
illumination
user
illu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희
Original Assignee
전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희 filed Critical 전은희
Priority to KR2020160005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875U/ko
Publication of KR20180000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05B37/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공기 진동을 감지하여 온/오프가 가능한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모듈{LAMP MODULE}
본 고안은 조명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공기 진동을 감지하여 온/오프가 가능한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 기구는 그 동작 또는 점멸이 사람의 제어에 의해 수동으로 실시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 기구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이 지저분한 경우에 스위치를 통해 조명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누구나 생각하는 손이 아닌 입으로 바람을 불어 이를 통하여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아날로그적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조명 모듈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특허 공개 10-2009-0053212
본 고안의 목적은, 손이 아닌 사용자의 공기 진동을 감지하여 온/오프가 가능한 조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거치부에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모바일에 내장된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음악에 근거하여 다양한 조명의 변화가 수행될 수 있는 조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은,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마이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부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는 사용자의 모바일과 블루투스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 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3단계로 구분하고, 이러한 진동의 크기를 근거로 조명의 밝기를 3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는,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 상기 led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led 조명 및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부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 및 외부 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 모듈을 온/오프시킬때 손이 아닌 사용자의 공기 진동을 감지하여 작동을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거치부에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모바일에 내장된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음악에 근거하여 다양한 조명의 변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단순한 조명이 아닌 사용자의 아날로그적 감성을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모듈(100)은 조명부(10) 및 거치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와 거치부(20)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명부(10)는 다양한 종류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11), led 조명(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2) 및 led 조명(11) 및 배터리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조명부(10)는 마이크 센서(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 센서(14)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조명부(1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마이크 센서(14)를 향하여 바람을 불면 (예를 들어, 호롱불을 끄는 것처럼 바람을 불면), 마이크 센서(14)는 이러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감지하고 이를 증폭하여 공기 진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제어부(13)로 전송하고, 제어부(13)는 공기 진동의 유무에 따라 led 조명(11)의 온/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조명부(1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 센서(14)는 조명부(10)의 하측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의 공기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조명부(10)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홀(15)이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더 나아가, 마이크 센서(14)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3단계로 구분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 센서(14)가 진동의 크기를 3단계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공기의 진동 크기를 근거하여 led 조명(11)의 밝기를 3단계로 제어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조명부(10)는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부(16)를 더 포함하여 일반적인 스위치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추가적으로 조명부(10) 하측에는 (내부 혹은 외부에는) 자성을 구비하는 물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조명부(10) 자체만 후술되는 거치부(20) 없이 냉장고라던지 금속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거치부(20)는 조명부(10)가 결합되어 거치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거치부(20)는 스피커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부(21)는 사용자의 모바일과 블루투스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명 모듈(100)만 가지도고 사용자의 모바일에 내장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부(20)에는 외부 충전 모듈(30)(예를 들어, 충전기 혹은 플러그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홈(22)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조명부(10)가 거치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충전 모듈(30)이 커넥터홈(22)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는 경우 배터리부(12)가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23)도 거치부(2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스피커부(21)에서 발생되는 음원의 크기(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led 조명(11)의 밝기가 제어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음악에 맞추어 다양한 조명의 변화를 감상할 수 도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마이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부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는 사용자의 모바일과 블루투스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3단계로 구분하고, 이러한 진동의 크기를 근거로 조명의 밝기를 3단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
    상기 led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led 조명 및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부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 및 외부 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
KR2020160005481U 2016-09-21 2016-09-21 조명 모듈 KR201800008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81U KR20180000875U (ko) 2016-09-21 2016-09-21 조명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81U KR20180000875U (ko) 2016-09-21 2016-09-21 조명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75U true KR20180000875U (ko) 2018-03-29

Family

ID=6180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81U KR20180000875U (ko) 2016-09-21 2016-09-21 조명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87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3212A1 (en) 2006-05-31 2009-02-26 Astellas Pharma Inc. Humanized anti-human osteopontin antibod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3212A1 (en) 2006-05-31 2009-02-26 Astellas Pharma Inc. Humanized anti-human osteopontin anti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772B2 (en) Flameless candle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US8947043B2 (en) Light with integrated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KR101588579B1 (ko)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
US20150292731A1 (en) Telescopically Actuated Audible Lantern
US6505951B1 (en) Wall-mountable, battery-operated light-emitting device
KR20210153005A (ko) 블루투스 스피커 조명
JP2008193189A (ja) 照明付音声再生装置、及び照明付音声再生システム
JP2006351360A (ja) センサー内蔵型電子キャンドル
KR101800971B1 (ko) 멀티캠핑랜턴
KR20180000875U (ko) 조명 모듈
JP6026623B1 (ja) Ledを装置したカバーを装着したカラオケマイク
CN210688040U (zh) 太阳能照明装置
CN209806134U (zh) 一种手势传感控制的灯具
JP2017092860A (ja) Ledを装置したカバーを装着したカラオケマイク
KR101421115B1 (ko) 군사용 랜턴
KR101174397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방송용 실내 스피커
KR101892810B1 (ko) 다기능 트레이
KR102543432B1 (ko) 사용성이 향상된 직 간접 led 랜턴
KR101597132B1 (ko) 스피커 겸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4026557U (zh) 无线控制的灯转接头
KR20130007104U (ko) 배터리 상태표시 무선마이크
US20150030176A1 (en) Earphone
US20160334095A1 (en) Light accessory using microphone stand/clamp
KR101324834B1 (ko)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101943583B1 (ko) 조명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