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37Y1 - 고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37Y1
KR200483337Y1 KR2020150003590U KR20150003590U KR200483337Y1 KR 200483337 Y1 KR200483337 Y1 KR 200483337Y1 KR 2020150003590 U KR2020150003590 U KR 2020150003590U KR 20150003590 U KR20150003590 U KR 20150003590U KR 200483337 Y1 KR200483337 Y1 KR 200483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ole
equipment
pawl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79U (ko
Inventor
박재관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3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3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고정용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폴(pole)에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장비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비 브라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폴의 기결정된 높이에 상기 장비를 고정하는 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폴에 밀착되는 폴 밀착부가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정용 장치{FIXING APPARATUS}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폴(pole)에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라 함은 셀 내에서 휴대 단말기의 전파를 중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지국은 주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어서 휴대 단말기 전파를 중계한다. 따라서 셀 단위로 기지국이 존재하며, 이런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와 교환국 사이에 인터페이스 기능 이외에도 착발신 신호 송출, 통화 채널 지정, 통화 채널 감시 등을 셀 단위로 제어한다.
또한, 현재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시스템으로, 주파수 부하를 줄이고, 통화 품질까지 향상시키는 소형 기지국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지국 시스템은 소규모 지역에서 집중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소형 기지국 설치에 따라서 건물 내나 가정에서 소형 기지국 설치가 가능해 짐으로써, 음영 지역도 해소하고, 한층 고도화된 네트워크 및 컨버전스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이러한 소형 기지국은 전주와 같은 폴 형상에 고정 장치를 통해 고정된다. 종래의 고정 장치의 경우에는 폴을 고리형상으로 둘러싸는 폴 브라켓 및 기지국과 같은 장비에 부착되는 유니트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유니트 브라켓을 장비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 용접이 필요하다.
또한, 폴 브라켓은 고리 형상이기 때문에 폴의 형상 및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폴 브라켓의 형상도 그에 대응하여 별도로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폴에 대한 적용성이 저하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406호(2006.05.22)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폴에 고정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고정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단순한 구성으로도 폴에 고정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고정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별도 용접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결합할 필요 없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고정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폴(pole)에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장비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비 브라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폴의 기결정된 높이에 상기 장비를 고정하는 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폴에 밀착되는 폴 밀착부가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폴 밀착부는 상기 장비 브라켓 또는 상기 폴 브라켓의 본체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폴 밀착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일부 제거되어 상기 폴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 브라켓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T자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비 브라켓의 상기 장비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비 걸림부는 상기 장비 브라켓의 몸체 측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비 브라켓에는 상기 장비에 걸려서 상기 장비를 이동시키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비 브라켓 및 폴 브라켓 각각에 폴에 밀착되는 폴 밀착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폴에 고정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고정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폴 밀착부에 폴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형상을 계단 형상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폴 브라켓 측에 T자 홀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작업 중에 부품을 조립하지 않고 미리 조립된 상태로 고정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조립된 상태로 고정 작업을 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부품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장비 브라켓의 측면부 측에 장비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등을 통해 장비를 결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장비 브라켓과 장비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가 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 및 폴 브라켓이 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 및 폴 브라켓이 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 및 폴 브라켓이 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장치를 폴에 고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장치(1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500)가 폴(5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폴(pole)에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100)는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비 브라켓(110)은 그 일측이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500)와 결합되어, 기지국 장비(500)가 폴(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폴 브라켓(120)은 폴(50)을 사이에 두고 장비 브라켓(110)과 결합하여 폴(50)의 기결정된 높이에 장비(5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용 장치(100)에 포함되는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1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비 브라켓(110)은 몸체(111), 몸체(111)의 양 측부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 형상의 측면부(112), 몸체(111)의 상하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 1 폴 밀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란, 장비 브라켓(110) 등의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기 결정된 각도를 의미하며, 이하 사용되는 “소정 각도”의 표현에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기 결정된 각도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소정 각도”가 90도(수직)인 경우, 제 1 폴 밀착부(113) 및 제 2 폴 밀착부(122)에 폴(50)이 밀착될 때, 제 1 폴 밀착부(113)와 제 2 폴 밀착부(122)로부터의 가압력이 폴(50)에 손실없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소정 각도”가 0도 초과 90도 미만(예각) 또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둔각)인 경우, 제 1 폴 밀착부(113) 및 제 2 폴 밀착부(122)에 폴(50)이 밀착될 때, 제 1 폴 밀착부(113) 및 제 2 폴 밀착부(122)가 갖는 예각 또는 둔각에 의한 완충 기능에 의해 몸체(111)가 탄성 지지되며 밀착될 수 있다.
장비 브라켓(110) 전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장비(500)를 고정 유지하기 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장비 브라켓(11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몸체(111), 측면부(112) 및 제 1 폴 밀착부(113)는 일체로 형성되며, 하나의 판 형상으로부터 몸체(111)를 기준으로 측면부(112)와 제 1 폴 밀착부(113)을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구부리는 방식으로 장비 브라켓(110)을 형성할 수 있다.
장비 브라켓(110)의 몸체(111)와 측면부(112)는 장비(500)의 적어도 일부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12)에는 후크 형상의 장비 걸림부(112a)가 형성되어 장비(500)의 일측을 장비 걸림부(112a)에 거는 방식으로 장비(500)와 장비 브라켓(110)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장비(500)와 장비 브라켓(110) 간을 결합하기 위하여 용접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장비(500)를 장비 브라켓(110)과 결합할 수 있다.
몸체(111)를 기준으로 측면부(112)와 제 1 폴 밀착부(113)는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측면부(112)는 장비(500) 측으로 돌출되며, 제 1 폴 밀착부(113)는 폴(50) 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일 수 있다. 제 1 폴 밀착부(113)는 몸체(111)의 상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 1 폴 밀착부(113)가 몸체(11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111)의 중간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폴 밀착부(113)는 그 내측으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폴(5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3a)를 이루는 접촉면(113b)는 폴(50)에 밀착되어, 접촉면(113b)와 폴(50) 간의 마찰에 의해서 장비(500)를 폴(50)에 고정할 수 있다. 접촉면(113b)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폴(50)이 수용부(113a) 내에 수용되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 밀착부(113) 중 상측에 있는 제 1 폴 밀착부(113)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삽입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삽입홀(114)는 장비(500)에 걸려서 장비(500)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미도시됨)가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몸체(111)에는 결합부재(도 4의 20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삽입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 삽입공(115)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고, 결합부재(200)에 결합되는 조임부재(210)를 이용하여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 간의 간격을 좁혀서 폴(50)과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통해 장비(500)가 폴(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 브라켓(1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폴 브라켓(120)은 몸체(121), 몸체(121)의 상하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 2 폴 밀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폴 브라켓(120)도 장비 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몸체(121) 및 제 2 폴 밀착부(122)는 일체로 형성되며, 하나의 판 형상으로부터 몸체(121)를 기준으로 제 2 폴 밀착부(122)를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구부리는 방식으로 폴 브라켓(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폴 밀착부(122)는 몸체(121)의 상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2 폴 밀착부(122)가 몸체(12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121)의 중간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폴 밀착부(122)는 그 내측으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폴(5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2a)를 이루는 접촉면(122b)는 폴(50)에 밀착되어, 접촉면(122b)와 폴(50) 간의 마찰에 의해서 장비(500)를 폴(50)에 고정할 수 있다. 접촉면(122b)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폴(50)이 수용부(122a) 내에 수용되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121)에는 장비 브라켓(110)의 결합부재 삽입공(115)에 대응하는 결합부재 삽입공(1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적어도 일부의 결합부재 삽입공(123) 대신 T자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T자 홀(124)은 장비 브라켓(110)에 연결된 결합부재(200)가 반대측에 조임부재(210)가 결합된 상태로 폴 브라켓(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자 홀(124)를 이용한 구체적인 설치 및 고정 방식은 후술한다. T자 홀(124)은 결합부재 삽입공(123)의 일부 대신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부재 삽입공(123) 전부를 대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이 폴(5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은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같은 결합부재(200)를 통해 폴(5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50)의 양측에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을 관통하도록 결합부재(200)를 형성하고 너트와 같은 조임부재(210)를 이용하여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 간의 간격을 좁혀서 폴(50)에 각각의 접촉면(113b, 122b)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면(113b, 122b)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해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폴(50)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이 폴(5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이 결합부재(200) 및 조임부재(210)에 의해 폴(50)에 고정되는 것은 앞선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접촉면(113c, 122c)이 계단 형상 대신 V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도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의 수용부(113a, 122a) 내로 폴(50)의 일부가 수용되어 폴(5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폴(50)에 대해서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이 폴(5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이 결합부재(200) 및 조임부재(210)에 의해 폴(50)에 고정되는 것은 앞선 실시예들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접촉면(113d, 122d)이 U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도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의 수용부(113a, 122a) 내로 폴(50)의 일부가 수용되어 폴(5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폴(50)에 대해서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장치(100)를 폴(50)에 고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용 장치(100)의 장비 브라켓(110) 및 폴 브라켓(1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재 삽입공(115, 123)에 결합부재(200)를 삽입하고, 결합부재(200)의 양측에 조임부재(21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임부재(210)의 조임 정도를 너무 타이트하게 조이는 것 보다는 여유롭게 조이는 것이 후에 폴(50)에 고정용 장치(100)를 고정하는데에 적합할 수 있다.
장비 브라켓(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재 삽입공(115)에 다른 결합부재(200)를 삽입하고, 결합부재(200)의 양측에 조임부재(210)를 결합할 수 있다. 장비 브라켓(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재 삽입공(115)에 대응되는 폴 브라켓(120)의 위치에는 T자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폴(50)에 고정용 장치(100)를 결합하기 전에는 T자 홀(124) 내에 결합부재(200)가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의 타측을 개방하여 폴(50)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그리고,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폴(50)을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장비 브라켓(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재 삽입공(115)에 삽입된 결합부재(200)를 T자 홀(124)을 통해 폴 브라켓(120)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200)의 폴 브라켓(120) 측에도 조임부재(2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T자 홀(124)이 아닌 결합부재 삽입공(123)의 경우에는 결합부재(200)가 삽입될 수 없다. T자 홀(124)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재(200)에 조임부재(21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폴 브라켓(120)에 결합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폴(50)에 고정용 장치(100)를 고정하는 동안 결합부재(200), 조임부재(210) 등의 각종 부품을 꺼내서 조립할 필요 없이 모든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 폴(50)에 고정용 장치(100)를 고정하는 작업을 할 수 있어서,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부품 낙하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T자 홀(124)을 통해 결합부재(200)가 폴 브라켓(120)의 타측과 결합되면, 조임부재(210)를 조절하여 장비 브라켓(110)과 폴 브라켓(120)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정용 장치(100)가 폴(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500)를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한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고정용 장치(100)를 폴(50)에 고정하는 동안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500)가 장비 브라켓(11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 폴
100 : 고정용 장치
110 : 장비 브라켓
111 : 몸체
112 : 측면부
112a : 장비 걸림부
113 : 제 1 폴 밀착부
113a : 수용부
113b, 113c, 113d : 접촉면
114 : 와이어 삽입홀
115 : 결합부재 삽입공
120 : 폴 브라켓
121 : 몸체
122 : 제 2 폴 밀착부
122a : 수용부
122b, 122c, 122d : 접촉면
123 : 결합부재 삽입공
124 : T자 홀
500 :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Claims (11)

  1.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폴(pole)에 고정하는 고정용 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장비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비 브라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폴의 기결정된 높이에 상기 장비를 고정하는 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비 브라켓 및 상기 폴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폴에 밀착되는 폴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 브라켓에는 T자 홀(hole)이 형성되고,
    상기 T자 홀에 조임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결합부재를 삽입 및 이탈 하여, 상기 폴을 상기 폴 브라켓과 상기 장비 브라켓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폴 브라켓과 상기 장비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고정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 밀착부는 상기 장비 브라켓 또는 상기 폴 브라켓의 본체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돌출된 형상인, 고정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 밀착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일부 제거되어 상기 폴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 브라켓의 상기 장비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비 걸림부는 상기 장비 브라켓의 몸체 측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 브라켓에는 상기 장비에 걸려서 상기 장비를 이동시키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용 장치.

  11. 삭제
KR2020150003590U 2015-06-04 2015-06-04 고정용 장치 KR200483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90U KR200483337Y1 (ko) 2015-06-04 2015-06-04 고정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90U KR200483337Y1 (ko) 2015-06-04 2015-06-04 고정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79U KR20160004279U (ko) 2016-12-14
KR200483337Y1 true KR200483337Y1 (ko) 2017-04-28

Family

ID=5757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90U KR200483337Y1 (ko) 2015-06-04 2015-06-04 고정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1438A (zh) * 2017-02-21 2017-06-13 安徽中瑞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器防护座
KR102263926B1 (ko) * 2020-09-25 2021-06-1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강성보강 가로등의 cctv 제어 분전반 착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419A (ja) * 2000-12-25 2002-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の取付構造
JP2012175790A (ja) * 2011-02-21 2012-09-10 Panasonic Corp 固定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36B1 (ko) 2002-08-21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101517775B1 (ko) * 2013-07-16 2015-05-07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419A (ja) * 2000-12-25 2002-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の取付構造
JP2012175790A (ja) * 2011-02-21 2012-09-10 Panasonic Corp 固定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79U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105B2 (en) Low-PIM angle adapters and cable hanger assemblies
KR200483337Y1 (ko) 고정용 장치
KR101963813B1 (ko) 지지 채널 조립체용 플랜지
US10541469B2 (en) Antenna for motor vehicles and assembling method
US20210194114A1 (en) Combination external vehicle antenna housing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60071728A (ko)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US11326666B2 (en) Low-PIM rod receiver angle adapters and cable hanger assemblies
WO1999021736A1 (en) Wire holding clip for trim panel
KR101880252B1 (ko) 안테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테나와 안테나 고정 장치 및 튜너 고정 장치
US20030022616A1 (en) Air vent
US20040129826A1 (en) Simplified interconnect for center of wide body aircraft
EP3235056B1 (en) Filter bracket mount for existing antenna pole mount
JP2020065249A (ja) 車両用アンテナモジュール{Antenna module for a vehicle}
CN112889184A (zh) 基站天线装置及其适配器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US10763907B2 (en) Card holder apparatus for installing phone card
US20070194601A1 (en) Carrier plate with trim receivers
KR101457650B1 (ko) 공용 케이블 고정밴드
US11708918B1 (en) Grip enhancing low-PIM cable tie anchor
US20180231177A1 (en) Remote Radio Head Mounting
US7552901B2 (en) Rapid exchange system for testing wireless networks
CN217823999U (zh) 线缆定位组件
CN210468640U (zh) 线缆卡夹及天线
EP3944412A1 (en) Mounting device and base station antenna system
KR10223948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