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18Y1 - 기능성 옷말이 - Google Patents

기능성 옷말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18Y1
KR200483118Y1 KR2020170000202U KR20170000202U KR200483118Y1 KR 200483118 Y1 KR200483118 Y1 KR 200483118Y1 KR 2020170000202 U KR2020170000202 U KR 2020170000202U KR 20170000202 U KR20170000202 U KR 20170000202U KR 200483118 Y1 KR200483118 Y1 KR 200483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rubber
film
ag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빈
Original Assignee
김현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빈 filed Critical 김현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는 기본적으로 필름과 결속수단으로 이루어져 매우 간단하면서도 옷말이가 틀을 유지해주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옷의 보관 및 정리가 용이하다.
또한 필름이 전체적으로 옷을 감싸 말려지기 때문에 옷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리된 옷을 흩트리지 않고도 원하는 옷을 쉽게 찾아 입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름의 외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필름과 별개로 집속수단을 더 두어 옷의 정리 및 보관을 더욱 쉽고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 간단한 구성과 최소한의 부피 및 중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적은 비용으로 위의 내용과 같은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옷말이{A functional clothing roller}
본 고안은 각종 의류를 쉽고 간편하게 보관하기 위한 의류용 옷말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필름과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구비된 폐곡선상(閉曲線狀)의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옷을 말아 보관함으로써, 보관 시 옷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쉽고 빠르게 정리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에 항균성, 방청성 등 다양한 부가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옷을 보관 및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옷말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을 정리하거나 보관하기 위하여 부피를 최소로 하면서 흐트러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공개특허 제10-2016-0026736의 '옷 포장용 롤링 띠'는 롤 형태로 말아진 옷을 간단히 포장할 수 있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옷 정리를 특정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실시할 경우 크기나 형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리 및 보관에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23430의 '의류 보관용 롤 커버'는 비닐 시트를 이용하여 옷을 롤 의 형태로 말아서 감싸주는 기능을 하여 보관 중에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나, 옷의 형태나 색상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후 및 환경의 변화가 심하거나 장시간 보관시 통기성이 부족하여 옷의 중간 부분에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이 옷 정리 및 보관을 하더라도 크기와 형태가 일정한 방법으로 손쉽게 옷을 정리 및 보관할 수 있고, 보관 시에 기후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등 세균으로부터 옷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6736호(2016.03.0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3430호(2016.03.0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옷을 정리하고 보관하는 과정에서 절차와 방법이 단순하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손쉽게 형태 및 크기가 일정하게 옷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며, 정리된 옷을 입기 위하여 고를 때 보관함의 다른 옷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예방하고, 보관 시 각종 곰팡이 등 세균으로부터 옷을 보호하여, 결과적으로 위생적인 옷을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옷말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옷말이의 보관 시 전체적인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예방하고, 대량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한 기능성 옷말이의 제공이다.
본 고안은 기능성 옷말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태는 폴리염화비닐, 고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에폭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 수지에 항산화제, 블록킹 방지제, 평활제, 염료, 안료, 방청제,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및 보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연필경도가 1 내지 3H, 90°한계 곡률 반경이 10 내지 30㎝이고, 두께 200 내지 1000 ㎛이며, 일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를 갖는 필름; 및
천연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이소부텐-이소프렌고무, 이소프렌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하이드로제네이트-니트릴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고무, 에틸렌-아크릴고무, 클로로술포네이트-폴리에틸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플로로카본 고무, 퍼플로로카본고무, 비닐-메틸-실리콘고무, 플로로실리콘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고무, 폴리에스터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 및 열가소성폴리에스터-에스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 수지에 항산화제, 블록킹 방지제, 평활제, 염료, 안료, 방청제,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및 보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섬도 150 내지 500 denier, 영률 10 내지 30 g/d이고, 신장탄성회복율이 95% 이상이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구비된 폐곡선상(閉曲線狀)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말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속수단은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필름은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내측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는 필름의 일면에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자석 재질의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기능성 옷말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가이드부와 동일한 폭방향 길이를 가지는 금속의 핸들바; 및 상기 핸들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되, 핸들바와 수직으로 구비되는 고정로드;를 포함하는 집속수단을 더 구비하는 기능성 옷말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는 기본적으로 필름과 결속수단으로 이루어져 매우 간단하면서도 옷말이가 틀을 유지해주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옷의 보관 및 정리가 용이하다.
또한 필름이 전체적으로 옷을 감싸 말려지기 때문에 옷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리된 옷을 흩트리지 않고도 원하는 옷을 쉽게 찾아 입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름의 외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필름과 별개로 집속수단을 더 구비하여 옷의 정리 및 보관을 더욱 쉽고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 간단한 구성과 최소한의 부피 및 중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적은 비용으로 위의 내용과 같은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옷말이에 의류를 말아주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 및 스토퍼고정부가 구비된 결속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에 내측가이드부(좌), 가이드부(우)가 더 부가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내측가이드부가 구비된 기능성 옷말이를 폭방향(상) 및 길이방향(하)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기능성 옷말이에 옷이 놓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6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기능성 옷말이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5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기능성 옷말이를 이용하여 의류를 말아놓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옷말이의 단면도로, 가이드부가 두 개 구비된 경우(상)와 가이드부가 하나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구가 구비된 필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속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8의 기능성 옷말이에 도 13의 집속수단이 더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기능성 옷말이가 여러 개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종횡비(aspect ratio)는 어느 하나의 면에서 장방향 길이에 대한 단방향 길이의 비를 의미한다. 즉, 도 1의 필름에서 종횡비는 l/L이다.
본 고안에서 ‘길이방향(machine direction)'은 도 1에서 ’방향으로, 필름의 생산 시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폭방향(transverse direction)’은 도 1에서 ‘방향으로 필름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한다.
대부분 정리된 옷을 고르고 착용하는 순서는 정리된 순서가 아니라 날씨, 시간, 장소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옷을 고르는 과정에서 정리된 옷들이 흐트러지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여행 및 출장 전후에 옷가방을 정리하기 위하여 대부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정리된 옷들이 흐트러지거나 옷의 부피를 줄이기 어려워 옷가방의 부피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명 연질 필름을 기재로 하여 롤 상태로 말아 일정한 크기 및 형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의류를 꺼내 입을 때에도 투명 연질 필름 기재 덕분에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단순히 말아 놓은 기재를 펴는 것만으로도 옷을 준비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여기에 필름의 일면에 자석 재질의 가이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옷이 놓이는 위치를 고정하고, 필름 중 최외곽에서 옷을 감싸는 부분을 증가시켜 외력으로부터의 옷의 구김을 방지하고, 보관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을 이용하여 옷을 말았을 때 가이드부가 위치하는 반대편에 금속의 핸들바와 고정로드를 포함하는 집속수단을 더 위치시킴으로써 외력에 따른 옷의 구김을 방지하고, 옷말이의 형태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의 핸들바와 자석 재질의 가이드부가 서로 쉽게 결속되어 여러 개의 옷말이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하다.
본 고안은 구겨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복원력이 뛰어난 합성수지를 기본 재료로 하는 필름 또는 시트를 베이스로 하며, 상기 필름 또는 시트는 항균, 방청, 방향성 등의 기능성 재료가 코팅되거나 함유된 원단을 사용하여 효과가 오래가고, 오랜 시간 재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개인의 사회활동 가운데 노출된 각종 바이러스와 기후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 등 세균의 번식을 보관 과정에서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는 일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필름;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구비된 폐곡선상(閉曲線狀)의 결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말이는 도 2 내지 4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2와 같이 보관하고자 하는 의류(1)를 필름(100) 위에 놓는다. 이때 관통홀(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의류가 관통홀을 덮지 않도록 놓는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좌측부터 순서대로 의류를 접어 의류가 상기 필름 내에 완전히 위치하도록 한다. 접는 것이 마무리되면, 도 4의 좌측과 같이 관통홀이 형성된 일단의 반대단부터 의류가 필름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필름을 말아올린다. 완전히 말아올린 필름은 관통홀에 구비된 결속수단(110)을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감아주면 옷말이가 완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필름(100)은 옷이 놓이는 기재로서, 일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120)을 가져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속수단(11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투명하여 내부의 옷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적당한 연성 및 강도를 가지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옷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는다.
상기 필름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의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고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폭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물성을 만족할 수 있는 고분자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필름은 제조 시 조성물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항산화제, 블록킹 방지제, 평활제, 염료, 안료, 방청제,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보강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성분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필름은 고분자 수지 70 내지 90 중량%에 첨가제 10 내지 3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성 범위에서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항균, 방청, 산화 방지 등 다양한 부가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필름은 크기, 두께 등 전체적인 형태 및 물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필름의 기본적인 형태는 가장 큰 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의 장축과 폭방향의 단축을 가지는 직사각형이나, 필요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단층일 수도 있으나 필름의 기계적인 물성을 높이기 위해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필름의 장축 길이와 단축 길이 또한 본 고안에서 한정치 않는다. 이는 옷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일예로 보관할 옷이 바지인 경우 상기 필름은 폭방향보다는 길이방향이 더 긴 것이 보관에 유리하다. 반대로 보관할 옷이 상의인 경우 폭방향이 더 긴 것이 접힌 옷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지 않아 보관에 유리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필름은 연필 경도가 1 내지 3H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연필경도’라는 것은 JIS K 5400에 준한 연필경도 시험에 의해 얻어진 값이고, 피측정 재료의 경도를 나타낸다. 이 연필경도 시험은 연필경도 시험의 측정 조작을 5회 반복해서, 측정 중 1회라도 상처 등의 외견 이상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 그 시험 시에 사용한 연필의 경도를 연필경도로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3H의 연필은 사용하여, 5회의 시험 조작을 행하고, 1회라도 외견 이상이 생기지 않는다면, 그 재료의 연필경도는 적어도 3H이다.
연필경도는 단층의 것뿐만 아니라, 적층체에 있어서도 적층체 표면이 있어서 단층의 것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옷말이는 필름이 상기와 같은 연필경도를 확보함에 따라 외력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방호력을 갖게 되어 필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랜 사용에도 마치 새것과 같은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옷말이는 상기 필름의 한계 곡률 반경이 10 내지 30㎝인 것이 좋다.
본 고안에서 ‘한계 곡률 반경’은 휘어진 부분만을 떼어내어 원을 만들었을 때 그 원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곡률반경이 클수록 굽은 정도가 완만하여 구부리기 어려운 것을 뜻한다.
상기 필름은 한계 곡률 반경이 상기와 같은 범위를 가짐에 따라 구부러짐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며, 옷에 구김이 발생하지 않아 추가로 다림질할 필요가 없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필름은 상기와 같은 물성을 달성하기 위해 두께 200 내지 1000 ㎛, 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인 것이 좋다.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기계적 물성이 떨어져 옷에 구김이 쉽게 발생하거나, 필름을 말기 어려워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필름을 통해 보관되는 옷은 종류 및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필름의 크기에 따라 내의류 등은 소형의 필름에 보관할 수 있으며, 겉옷이나 바지는 중간 크기의 필름에, 외투나 점퍼 등의 아우터(outer)는 대형의 필름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시 상하의 세트나 같은 종류의 옷을 여러 장 포갠 상태에서 한꺼번에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속수단(110)은 도 1과 같이 섬유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된 폐곡선상(閉曲線狀)으로 상기 필름에 구비된 관통홀(120)을 통해 필름과 결합되어 말린 의류와 필름이 풀리지 않게 결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재질 및 형태를 한정치 않는다. 일예로 재질은 의류와 필름을 결속할 때 늘어날 필요가 있으므로, 천연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이소부텐-이소프렌고무, 이소프렌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하이드로제네이트-니트릴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고무, 에틸렌-아크릴고무, 클로로술포네이트-폴리에틸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플로로카본 고무, 퍼플로로카본고무, 비닐-메틸-실리콘고무, 플로로실리콘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고무, 폴리에스터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 및 열가소성폴리에스터-에스터 등과 같이 가교점을 가져 일정 이상 늘어날 수 있으며 질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고분자 수지 이외에도 항산화제, 블록킹 방지제, 평활제, 염료, 안료, 방청제,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및 보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의 조성비를 한정하지 않으나, 고분자 수지 70 내지 90 중량%에 첨가제 10 내지 3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성 범위에서 결속수단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항균, 방청, 산화 방지 등 다양한 부가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은 섬도가 150 내지 500 데니어(denier)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에서 결속수단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필름 내부의 의류에 필요 이상의 외력을 주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영률이 10 내지 30 g/d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영률은 섬유의 역학적 성질인 초기탄성율과 동일한 뜻으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외력에 대해 신장될 때까지 필요한 힘의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영률이 큰 경우 섬유기 경직되어 있어 변형이 잘 안되고 견고한 것을 뜻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영률이 10 내지 30 g/d의 범위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결속수단을 신장시켜 옷과 필름을 쉽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외력에도 끊어지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률과 마찬가지로 상기 결속수단은 신장탄성회복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탄성회복율이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내마모성이 높아 마찰에도 결속수단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결속수단은 필요에 따라 단면의 종횡비를 한정할 수 있다. 이때 결속수단의 단면은 일반적인 섬유의 단면과 마찬가지로 결속수단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을 뜻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의류와 필름을 결속하기 위해 일정 이상 늘어나고 질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상기와 같은 재질은 대부분 회복력을 가져 결속된 필름와 필름 내부의 의류를 압박하게 된다. 이는 외력으로 작용하여 필름 내부의 의류에 자국이나 주름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결속수단의 종횡비를 일정 수치 이하로 유지하게 되면, 결속수단과 필름이 직접적으로 닿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필름에 작용하는 힘이 분산되어 의류에 구김이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속수단의 종횡비는 0.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수단이 상기와 같은 종횡비를 가질 경우 필름에 작용하는 힘이 충분히 분산되어 의류에 구김이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결속수단은 필름과 옷의 결속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111) 및 스토퍼고정부(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속수단은 일부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스토퍼를 통과하도록 위치하며, 일부는 역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스토퍼고정부를 통과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스토퍼는 일반적으로 아우터나 신발 등에 구비되며, 내부에 탄성체 및 누름부가 구비되어 형태가 변형되는 끈의 둘레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구조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스토퍼라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스토퍼고정부는 스토퍼가 결속수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있어 상기 관통홀을 결속수단이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스토퍼 및 스토퍼고정부는 형태, 재질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 재질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관통홀(120)은 도 1과 같이 필름의 일단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수단을 통과시킨 후 매듭을 지어 상기 필름과 물리적으로 쉽게 탈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관통홀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크기, 위치, 형태, 제조방법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도 1과 같이 관통공의 내부에 링 모양의 아이렛(eyelet, 121)을 더 구비하여 반복되는 사용에 따른 관통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름은 관통공이 형성된 일단과 직각인 양 끝단, 즉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양끝단에 내측가이드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는 옷말이 내부에 보관된 의류가 압력에 의해 옷말이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의 좌측과 같이 필름의 양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통해 상기 내측가이드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은 각각 내측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필름의 폭방향 단면(상)과 길이방향 단면(하)을 도시한 것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부는 상기 필름의 양 끝단에 형성되되 면 중 의류와 직접적으로 닿는 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가이드부는 상기 필름의 양 끝단에서 중심 쪽으로 일정 각도로 꺾인 형태, 즉 상기 내측가이드부와 상기 필름의 면 중 의류와 직접적으로 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銳角)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가이드부는 필름의 양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도 6과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일정 부분이 절단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내측가이드부가 연속된 형태로 구비될 경우 필름이 원형으로 말림에 따라 내측가이드부에 변형이 발생하여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내측가이드부는 재질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필름과 동일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름의 성형 또는 연신 시 적절한 성형 수단을 이용하여 필름의 양 끝단을 도 6과 같이 형성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름은 일면에 가이드부(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름에서 의류가 놓이는 위치를 결정하며, 동시에 재질을 자석으로 하거나 요철 등의 결합수단을 부여하여 사용하지 않는 여러 장의 옷말이를 보관할 때 상기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 5의 우측과 같이 상기 필름의 면 중 옷이 놓이는 면의 반대면에 폭방향으로 직접 부착되어 구비되되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단과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부는 도 5와 같이 관통공이 형성된 일단과 가까운 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관통공과의 거리를 늘려 위치시켜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필름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옷의 일단을 위치시키고 동일한 방법으로 도 9와 같이 옷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와 관통공과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필름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관통공 사이의 공간에 옷을 감싸지 않은 여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분의 공간을 통해 말아진 필름의 겉을 더 감싸줌으로써 옷의 형태안정성을 높이고 외력에 따른 구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상단과 같이 상기 필름의 동일 면에 가이드부를 둘 이상 복수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옷이 놓이는 상하단의 위치를 결정하여 옷을 좀 더 깔끔하게 말아 정리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가 상기 옷맛이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면과 같은 바(bar)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이나, 요철과 같은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가 자성을 가지거나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다른 가이드부와 결합할 수 있어 다량의 옷말이를 사용 후에도 쉽고 간편하게 정리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핸들바에도 상기 가이드부와 같이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경우, 핸들바와 가이드부를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옷과 함께 말려진 다량의 옷말이끼리 결합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 8과 같이 일면에 가이드홀(14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옷말이를 이용하여 의류를 완전히 말았을 때 상기 결속수단이 지나가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상기 결속수단이 상기 가이드홀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에 결속수단이 부자연스럽게 걸려 늘어나거나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옷말이에 집속수단이 더 구비될 때 상기 결속수단이 상기 가이드부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와 집속수단이 결합할 때 상기 결속수단에 의한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름은 보관되는 옷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기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와 같이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되 필름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필름의 내부에 위치하는 의류에 공기가 더욱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눅눅해지고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의류의 보관안정성을 더욱 높이고 착용자에게 더욱 쾌적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상기 관통공과 동일하게 위치, 형태, 제조방법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 다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는 크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직경이 10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직경이 작은 경우 통풍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보다 직경이 클 경우 내부의 의류가 상기 통기구로 일부 빠져나와 주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옷말이는 외력에 의한 옷말이의 형체 변형을 방지하고, 다수의 옷말이를 쉽게 이동 및 보관하기 위해 핸들바(210)와 고정로드(220)가 결합된 집속수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접거나 말아놓더라도 별다른 고정수단이 동반되지 않는 한은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결속수단 및 필름을 이용하여 말아놓는다 하여도 의류의 표면을 감싸는 필름이 강성을 갖는 것이 아니므로 외력에 의해 형태가 무너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리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완전히 말린 옷말이의 외측면에 상기와 같은 집속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옷말이의 형태 안정성을 높이고 외력에 의한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속수단 중 핸들바의 재질을 금속 성분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쉽게 결합하여 다량의 옷말이의 보관성 및 이동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1을 통해 상기 집속수단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집속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자석과 접착 가능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 가능한 핸들바(210) 및 일단이 상기 핸들바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핸들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21)가 구비된 고정로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집속수단은 상기와 같이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된 옷말이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2와 같이 결속된 옷말이 중 길이방향 양 끝단의 나선형 부분에 상기 고정로드의 돌출부를 삽입시켜 옷말이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집속수단 중 핸들바(210)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장(全長)이 상기 필름의 폭방향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와의 결합을 위해 자석과 결합 가능한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요철과 같은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가이드부 및 집속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옷말이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자성 등의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동일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집속수단이 직접 결합되어 다수의 옷말이가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옷말이를 보다 쉽게 보관 및 이동할 수 있으며, 외력을 통한 옷말이의 형태 변형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220)는 타단에 돌출부(221)가 구비되어 상기 옷말이의 나선형 부분에 삽입되어 옷말이와 직접 결합할 수 있으며, 외력을 통한 옷말이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로드는 외력에 변형되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것이 좋으며,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수지 중에 보관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저중량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로드는 보관 대상인 의류의 종류, 형태, 보관 개수 등에 따라 길이 및 형태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고정로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로드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로드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여 고정로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 의류
100 : 필름
110 : 결속수단
111 : 스토퍼
112 : 스토퍼고정부
120 : 관통홀
121 : 아이렛
130 : 내측가이드부
140 : 가이드부
141 : 가이드홀
150 : 통기구
200 : 집속수단
210 : 핸들바
220 : 고정로드
221 : 돌출부

Claims (5)

  1. 폴리염화비닐, 고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에폭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 수지에 항산화제, 블록킹 방지제, 평활제, 염료, 안료, 방청제,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및 보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연필경도가 1 내지 3H, 90°한계 곡률 반경이 10 내지 30㎝이고, 두께 200 내지 1,000 ㎛이며,
    일단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를 갖는 필름; 및
    천연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이소부텐-이소프렌고무, 이소프렌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하이드로제네이트-니트릴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고무, 에틸렌-아크릴고무, 클로로술포네이트-폴리에틸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플로로카본 고무, 퍼플로로카본고무, 비닐-메틸-실리콘고무, 플로로실리콘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고무, 폴리에스터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 및 열가소성폴리에스터-에스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 수지에 항산화제, 블록킹 방지제, 평활제, 염료, 안료, 방청제,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및 보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섬도 150 내지 500 denier, 영률 10 내지 30 g/d이고, 신장탄성회복율이 95% 이상이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구비된 폐곡선상(閉曲線狀)의 결속수단;
    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말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0.3 이하인 기능성 옷말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내측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기능성 옷말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일면에 폭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자석 재질의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 것인 기능성 옷말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옷말이는
    상기 가이드부와 동일한 폭방향 길이를 가지는 금속의 핸들바; 및
    상기 핸들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되, 핸들바와 수직으로 구비되는 고정로드;
    를 포함하는 집속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인 기능성 옷말이.
KR2020170000202U 2016-08-27 2017-01-11 기능성 옷말이 KR2004831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5006 2016-08-27
KR2020160005006 2016-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18Y1 true KR200483118Y1 (ko) 2017-04-06

Family

ID=5860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202U KR200483118Y1 (ko) 2016-08-27 2017-01-11 기능성 옷말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1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048B2 (ja) * 1996-07-30 2001-11-05 花王株式会社 洗濯方法および洗濯用補助具
JP3171051U (ja) * 2011-07-29 2011-10-13 株式会社 きものブレイン 着物保管袋
KR20160023430A (ko) 2014-08-22 2016-03-03 박소연 의류 보관용 롤 커버
KR20160026736A (ko) 2014-08-28 2016-03-09 박소연 옷 포장용 롤링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048B2 (ja) * 1996-07-30 2001-11-05 花王株式会社 洗濯方法および洗濯用補助具
JP3171051U (ja) * 2011-07-29 2011-10-13 株式会社 きものブレイン 着物保管袋
KR20160023430A (ko) 2014-08-22 2016-03-03 박소연 의류 보관용 롤 커버
KR20160026736A (ko) 2014-08-28 2016-03-09 박소연 옷 포장용 롤링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13B2 (en) Wrist guard
US5678245A (en) Flexible baseball glove with grooved foam padding system and polyurethane tube lacing and fasteners
CN101512065A (zh) 用于折叠衣物的衣服包装器具
CN104379409A (zh) 一种自卷曲无纺布套筒及其构造方法
US20140075656A1 (en) Protective Gear for Body
CN105682505A (zh) 服装保持设备
KR200483118Y1 (ko) 기능성 옷말이
EP3182851B1 (en) Shoulder straps for sports garments
US10358266B2 (en) Garment with draw-cord cinching system
US7779487B1 (en) Glove with soft feel and high wear resistance
JP6372961B2 (ja) サブバッグ
KR20190065889A (ko) 두루마리 필통
JP2019525779A (ja) 収納しやすい傘
US10524584B2 (en) Multilayer furniture protective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200397149Y1 (ko) 탄성스트립이 구비된 머리띠
KR200480274Y1 (ko) 줄넘기 보관용 가방
WO2019086658A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oder mehrerer kleidungsstücke
JP3202435U (ja) サブバッグ
EP1950149A1 (en) Protective case
US20230380579A1 (en) Cell phone armband with polypropylene or low friction panels inside pocket
KR102291439B1 (ko) 내부 공간이 변화되는 클럽커버
JP5337529B2 (ja) 洋服の型崩れ防止具及び洋服の型崩れ防止構造を有する鞄
US20170165557A1 (en) Protective glove having a glove tightening system
JP6277140B2 (ja) 詰襟服及びその襟芯
KR20180002534U (ko) 직물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