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68Y1 -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 Google Patents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68Y1
KR200483068Y1 KR2020150006483U KR20150006483U KR200483068Y1 KR 200483068 Y1 KR200483068 Y1 KR 200483068Y1 KR 2020150006483 U KR2020150006483 U KR 2020150006483U KR 20150006483 U KR20150006483 U KR 20150006483U KR 200483068 Y1 KR200483068 Y1 KR 200483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able
water
pneumatic ejector
grenad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이계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이계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이계림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2020150006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척이 가능한 수상 팽창형 장비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그레네이드에 관한 것 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반원형 개체가 상호 대응 구비되어 원형 기둥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의 하단에 연결부(50)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장공(111)이 형성되는 한 편 하단에 만곡 돌출부(119)가 구비된 그립부(110)가 상기 연결부(50)의 하단에 구비된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부(20)의 내부면에 공압 발출기(201)가 연결된 팽창형 장구(200)가 구비되고, 상기 장공(111)에는 공압 발출기(201)와 연결된 노즐 선(250)이 통과 구비되고, 상기 공압 발출기(201)와 대응된 노즐 선(250)의 일측면에 구비된 당김부(259)와, 상기 공압 발출기(201) 내부에 트리거(2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이 종래에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다.
따라서 다양한 팽창형 장구를 호완할 수 있는 한 편, 투척을 통한 장구 전달 혹은 사용에 필요한 구성을 단순화 함으로써 용이한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목표 지점에 팽창형 장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Grenade housing of inflatable device to water surface}
본 고안은 투척이 가능한 수상 팽창형 장비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그레네이드에 관한 것 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손을 이용하여 투척하는 그레네이드의 사정거리를 증가시키는 한 편, 다양한 팽창형 장비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그레네이드 하우징과 그 결합에 관한 것이다.
수상에서 익수자가 발생할 경우 팽창식 구명 장구를 익수자에게 던지도록 함으로써 익수자가 직접 구명 장구를 잡고 구조를 기다리는 방법이 종래에 널리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구난 상황일 때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가장 빨리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는데, 이러한 장점에는 정확히 구명 장구를 익수자가 받을 수 없는 단점 역시 수반하는 특징이 있었다.
수상 구난 상황일 때 익수자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종종 구명 장구를 사람의 힘으로 던져서 익수자의 근처로 가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구명 장구를 투척할 때 바람, 파력 등과 같은 여러 기상 조건에도 맞물려 있으므로 익수자를 구조하기 위해 반복된 구명장구의 투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 편, 구명 장구를 투척하는 것 이외에도 국내의 공무 집단(예 : 해양 경찰청)이 수상에서 발생하는 불법 행위를 근절하고자 할 때 초동 조치로써 수발형 팽창식 장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선박 속은 선원을 구속하고자 할 때 팽창형 그물 등을 사용하는 경우 역시 필요하다.
팽창형 그물에 관련된 예시 문헌으로써 중국 공개 실용공보 CN204047609호로 게시된 삼각 부양형 튜브 프레임이 구비된 깊은 물 그물 케이지를 참조할 수 있다.
당해 문헌은 깊은 물에 그물 케이지가 떠 있도록 할 수 있는 튜브 프레임과 그물을 포함하고, 유동성 튜브 프레임은 삼각형 부동 튜브 윤곽 테두리가 세 가지 부동 튜브를 접속함으로써 형성되고, 리브 부동 튜브 보강과 비슷한 형태로 삼각형 부동 튜브 윤곽 테두리의 센터 부동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팽창형 장비에 그물 등을 탑재한 장비를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케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를 원거리에서 실시될 수 있게 하는 장비의 구비가 필요한 특징이 있다.
한 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필요한 요건을 만족할 수 있는 종래의 문헌 중에서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15-0057525호 게시된 투척식 익수자 구명 장치가 존재한다.
당해 기술은 내부 공동을 가지는 봉 형상의 몸체부로서, 상기 내부 공동에 가스가 저장된 가스 저장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및 가스가 빠진 구명 튜브가 격납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익수자 구명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는, 투척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가스 저장부가 구명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도록 하는 지연 격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문헌상에서 기재되지 않았지만 이상과 같은 투척 장치의 구비는 익수자를 구조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당해 장치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다소 복잡한 구성요소가 구비되며, 익수자를 구조할 때 정확한 지점으로 익수자에게 구명 장구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고, 구명 장구 이외의 팽창형 장구를 사용할 때 그 용적과 발출되는 방향, 장치의 형상을 유지하는 뚜껑이 단일 일체형인 점을 고려할 때 재 사용과 사용 호완을 위해서 필요 이상의 노력이 필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써, 다양한 팽창형 장구를 호완할 수 있는 한 편, 투척을 통한 장구 전달 혹은 사용에 필요한 구성을 단순화 함으로써 용이한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목표 지점에 팽창형 장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얻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반원형 개체가 상호 대응 구비되어 원형 기둥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 상기 프레임부(20)를 지탱하도록 상기 프레임부(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연결부(50), 상기 연결부(50)의 하단에 그립부(110)가 구비된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구성한다.
상술한 장치의 구성에 의해 상기 대응된 프레임부(20)의 내부면에 공압 발출기(201)가 연결된 팽창형 장구(200)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장공(111)으로 공압 발출기(201)와 연결된 노즐 선(250)이 통과 구비된다.
이때, 공압 발출기(201)는 팽창형 장구를 펼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압 발출기(201)와 대응된 노즐 선(250)의 일측면에 구비된 당김부(259)를 사용자가 직접 당김으로써 다양한 팽창형 장구(200)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바를 더욱 상세히 서술했을 때, 팽창형 장구(200)의 대표적인 예시는 팽창 구명조끼(291), 팽창 발출형 네트(292)가 상기 프레임부(20)의 내부면에 탑재될 수 있고, 상술한 팽창 구명조끼(291), 팽창 발출형 네트(292)와 같은 팽창형 장구(200) 이외에도 구명환, 보트 등과 같은 다양한 팽창형 장구(200)를 운용케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현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50)와 연결이 되는 프레임부(2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수 요철(301)이 동등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0)의 상면에는 상기 수 요철(301)과 동등한 수와 간격으로 암 요철(302)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멀리 투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그립부(110)의 하단에는 만곡 돌출부(119)가 구비됨으로써 보다 멀리 장치를 투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통해 본 고안이 종라에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팽창형 장구를 호완할 수 있는 한 편, 투척을 통한 장구 전달 혹은 사용에 필요한 구성을 단순화 함으로써 용이한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목표 지점에 팽창형 장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의 외형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 요철(301)과 암 요철(302)의 결합 예시와, 프레임부(20)의 발출 형태를 도시한 분해 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 구명조끼(291)가 삽입된 그레네이드를 발출한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 발출형 네트(292)가 삽입된 그레네이드를 발출한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를 투발하여 팽창 발출형 네트(292)가 실시되는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를 투발하여 팽창 구명조끼(291)가 실시되는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이하, 본 고안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개체가 상호 대응 구비되어 원형 기둥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 상기 프레임부(20)를 지탱하도록 상기 프레임부(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연결부(50), 상기 연결부(50)의 하단에 그립부(110)가 구비된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구성한다.
상술한 장치의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이 바람직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도록 도 3 내지 4와 같이 상기 대응된 프레임부(20)의 내부면에 공압 발출기(201)가 연결된 팽창형 장구(200)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장공(111)에 공압 발출기(201)와 연결된 노즐 선(250)이 통과 구비되며, 이를 실시했을 때 도 5 내지 도 6과 같은 실시예의 형태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압 발출기(201)는 팽창형 장구를 펼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압 발출기(201)와 대응된 노즐 선(250)의 일측면에 구비된 당김부(259)를 사용자가 직접 당김으로써 다양한 팽창형 장구(200)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상기 공압 발출기(201)의 내부에는 트리거(270)가 구비되도록 하는데, 상기 트리거(270)는 당김부(259)를 통해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당김부(259)가 구비된 노즐 선(250)과 대응된 일측면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 발출기(201)의 일측면에 봄베(209)가 구비됨으로써 압축 공기를 이용한 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상과 같은 요소는 팽창형 장구(200)의 재 사용 및 장치의 유지 및 점검에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당김부(259)를 당겼을 때 상기 팽창형 장구(200)에 공기를 주입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바를 더욱 상세히 서술했을 때, 도 3내지 도 5와 같이 팽창형 장구(200)의 대표적인 예시는 팽창 구명조끼(291), 팽창 발출형 네트(292)가 상기 프레임부(20)의 내부면에 탑재될 수 있고, 상술한 팽창 구명조끼(291), 팽창 발출형 네트(292)와 같은 팽창형 장구(200) 이외에도 구명환, 보트 등과 같은 다양한 팽창형 장구(200)를 운용케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목표물을 향해 장치를 정확한 방향으로 투발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는 무게를 실을 수 있도록 도금강, 스테인레스강, 코팅강을 재질로 하여 제조되거나 혹은 내부에 무게 추(59)가 구비되는 형태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데, 상기 연결부(50)에 무게를 부여함으로써 장치의 중심단에 무게가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게 중심은 프레임부(20)의 내부에 구비된 팽창형 장구(200)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중심단에 무게를 더욱 집중케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단에 집중된 무게는 사용자가 장치를 목표물에 투발 시 장치의 회전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가 회전하며 목표물을 향해 날아갔을 때 풍력에 의한 저항으로 인해 목표물과 상이한 곳으로 팽창형 장구(200)가 발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장치를 손으로 투발했을 때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모멘트에 의한 질량 관성을 장치의 끝 부분으로 향하도록 했을 때 보다 익수자 혹은 목표물이 피격 당했을 경우 그 피해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물에 도달한 프레임부(20)는 연결부(50)가 연결된 면과 대응된 측(상단)이 펴지도록 함으로써 팽창형 장구(200)가 발출 시 받는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20)의 파손을 억제함으로써 장치의 반복 사용뿐만 아니라 팽창형 장구(200)의 발출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현을 가능케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50)와 연결이 되는 프레임부(2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수 요철(301)이 동등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0)의 상면에는 상기 수 요철(301)과 동등한 수와 간격으로 암 요철(302)이 구비된다.
상술한 수 요철(301)을 암 요철(302)에 삽입한 후 프레임부(20)를 70도 내지 110도 회동하면 연결부(50)와 프레임부(20)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20)의 하부면이 먼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 편, 각 프레임부(20)의 분리 단면에는 다수의 조인트(22)가 구비되어 있고, 상술한 조인트(22)는 프레임부(20)의 결합을 보다 확실히 잡아줌으로써 연결부(50)와 결합했을 때 상기 프레임부(20)를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 요철(302)의 하부에는 상기 수 요철(301)을 회동할 수 있도록 요철 통공(309)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요철 통공(309)은 수 요철(301)이 연결부(5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상기 프레임부(20)의 상단에는 벨트 홀더(21)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 홀더(21)에는 종이, 수용성 수지와 같은 수용성 필름(25)이 도포되어 있는데, 프레임부(20)가 수상에 이르게 되면, 상기 수용성 필름(25)이 녹으면서 수상에서 팽창형 장구(200)가 상단부터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상기 프레임부(20)는 연결부(50)와의 용이한 결합과 더불어 회수에도 용이할 수 있도록 하단 일측면에 연결 끈(29)이 대응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멀리 투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그립부(110)의 하단에는 만곡 돌출부(119)가 구비되어 있다.
만곡 돌출부(119)는 상기 그립부(110)의 하단이 돌출 만곡되어 구비된 형상인데, 사용자가 장치를 투발할 때 장치가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함으로써 더욱 큰 힘을 받아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의 구비로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바 실용신안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하는데, 그 실시범위는 당업자가 극히 유사한 범위에 한하여 자명한 수준의 개선을 행할 수 있는 정도에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0 : 프레임부 21 : 벨트 홀더
22 : 조인트 25 : 수용성 필름
29 : 연결 끈 50 : 연결부
59 : 무게 추 110 : 그립부
111 : 장공 119 : 만곡 돌출부
200 : 팽창형 장구 201 : 공압 발출기
209 : 봄베 250 : 노즐 선
259 : 당김부 270 : 트리거
291 : 팽창 구명조끼 292 : 팽창 발출형 네트
301 : 수 요철 302 : 암 요철
309 : 요철 통공

Claims (6)

  1. 반원형 개체가 상호 대응 구비되어 원형 기둥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와, 내부에 무게 추(59)가 구비된 연결부(50)가 상기 프레임부(20)의 하단에 구비되고, 내주면에 장공(111)이 형성되는 한 편 하단에 만곡 돌출부(119)가 구비된 그립부(110)가 상기 연결부(50)의 하단에 구비된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부(50)와 연결이 되는 프레임부(2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수 요철(301)이 동등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0)의 상면에는 상기 수 요철(301)과 동등한 수와 간격으로 암 요철(302)이 더 구비되며,
    상기 암 요철(302)의 하부에는 상기 수 요철(301)을 회동할 수 있도록 요철 통공(30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는 도금강, 스테인레스강, 코팅강을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25)이 도포된 벨트 홀더(21)가 상기 프레임부(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6.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20)의 내부면에 공압 발출기(201)가 연결된 팽창형 장구(200)가 구비되고,
    상기 장공(111)에는 공압 발출기(201)와 연결된 노즐 선(250)이 통과 구비되고,
    상기 공압 발출기(201)와 대응된 노즐 선(250)의 일측면에 구비된 당김부(259)와,
    상기 공압 발출기(201) 내부에 트리거(2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KR2020150006483U 2015-10-02 2015-10-02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KR200483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83U KR200483068Y1 (ko) 2015-10-02 2015-10-02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83U KR200483068Y1 (ko) 2015-10-02 2015-10-02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68Y1 true KR200483068Y1 (ko) 2017-03-30

Family

ID=5849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483U KR200483068Y1 (ko) 2015-10-02 2015-10-02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87B1 (ko) 2019-04-25 2020-06-08 김민주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KR20210102532A (ko) * 2020-02-11 2021-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력 발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335U (ja) * 1994-08-29 1995-03-14 株式会社三友金属 水難救助器具
KR101323748B1 (ko) * 2012-06-25 2013-10-31 주식회사 콘텐츠파크 투척용 구명장치
US20150166155A1 (en) * 2013-12-17 2015-06-18 STARJET Technologies Co., Ltd Short-range lifebuoy launc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335U (ja) * 1994-08-29 1995-03-14 株式会社三友金属 水難救助器具
KR101323748B1 (ko) * 2012-06-25 2013-10-31 주식회사 콘텐츠파크 투척용 구명장치
US20150166155A1 (en) * 2013-12-17 2015-06-18 STARJET Technologies Co., Ltd Short-range lifebuoy launch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87B1 (ko) 2019-04-25 2020-06-08 김민주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KR20210102532A (ko) * 2020-02-11 2021-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력 발생 장치
KR102365177B1 (ko) 2020-02-11 2022-02-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부력 발생 장치
US11383805B2 (en) 2020-02-11 2022-07-12 Hyundai Motor Company Buoyancy generato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015B2 (en) Low cost rescue launcher system
KR101538888B1 (ko) 구명 튜브 발사 장치
KR200483068Y1 (ko) 수상 팽창형 장비의 그레네이드 하우징
US8869782B2 (en) Inflatable life preserver and associated delivery system
US9415847B2 (en) Man-overboard rescue and retrieval system
US9449475B2 (en) Emergency location device
US7305981B1 (en) Anti-riot device
CN110435849A (zh) 小型救援无人机
CN107585277A (zh) 一种落水救生网枪
CN105903136A (zh) 一种消防救援装置
KR101489311B1 (ko)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US9975614B2 (en) Person-in-the-water rescue and retrieval system
KR200411573Y1 (ko) 수난 인명구조기
KR102120587B1 (ko)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CN105214232A (zh) 溺水者生存呼吸、水面报警器
KR101128373B1 (ko) 구명기구 겸 비행 놀이기구
US11148772B2 (en) Flotation device launching system
US20160129978A1 (en) Emergency Flotation Device
CN204996014U (zh) 溺水者生存呼吸、水面报警器
US20140196707A1 (en) Multiple toy rocket launching system
KR101653495B1 (ko)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20200070564A (ko) 해양 수상 안전장치
CN215972044U (zh) 一种具有救生功能的潜水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