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43Y1 - 타이 걸이 - Google Patents

타이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43Y1
KR200482743Y1 KR2020140008894U KR20140008894U KR200482743Y1 KR 200482743 Y1 KR200482743 Y1 KR 200482743Y1 KR 2020140008894 U KR2020140008894 U KR 2020140008894U KR 20140008894 U KR20140008894 U KR 20140008894U KR 200482743 Y1 KR200482743 Y1 KR 200482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fixing
hook
pres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009U (ko
Inventor
김영신
Original Assignee
신장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장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장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8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4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74Necktie holders ; Belt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8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two or more similar garments, e.g. constructed to connect to, or support, a similar 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3/00Apparel apparatus
    • Y10S223/01Tie hanger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타이 걸이는 일측에 걸림 부재를 갖는 다수의 고정 부재,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걸이 부재,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 그리고 회전 부재에 결합되어 걸이 부재의 걸쳐지는 타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 걸이{Tie Rack}
본 고안은 타이 걸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타이를 지지 고정할 수 있는 타이 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장 도어의 내면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수의 타이 걸이가 구비되어 있다. 타이 걸이는 가구 회사들이 직접 제조하여 설치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타이 걸이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회사의 제품을 납품받아 옷장에 결합하여 판매하고 있다.
등록실용 0467297호는 "넥타이 걸이가 부설된 벽결이 거울"을 개시하고 있다. 그 구성을 보면, 거울, 거울 아래의 보관함, 다수의 걸이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레일부, 보관함, 보관함 받침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등록실용 0467297호를 포함하는 종래기술들은 타이 걸이를 옷장 등에 결합할 때, 나사못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데, 그 결과 타이 걸이를 조립하고 나면 그 위치를 변경시키기가 쉽지 않다. 특히, 사용자마다 키가 달라, 타이 걸이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사용하는데 불편이 있다.
또한, 옷장을 열고 닫을 때 걸어놓은 타이가 흔들리거나, 타이 걸이에서 빠져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고,
둘째, 걸려진 타이를 고정할 수 있으며,
셋째, 옷장뿐 아니라 현관장 등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타이 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타이 걸이는 고정 부재, 걸이 부재, 회전 부재,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다수일 수 있고, 일측에 걸림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걸이 부재는 고정 부재에 결합되며, 타이를 걸 수 있게 다수의 걸이편과 누름편을 쌍으로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회전 부재에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타이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에서, 고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부재는 판 스프링에 탄성 밀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에서, 고정 부재는 대향하는 2개의 판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부재는 대향하며 2개의 판 스프링에 탄성 밀착하는 4개의 평면부를 구비할 수 있고, 회전 방향으로 평면부 사이에 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에서, 지지 부재는 걸이 부재를 축으로 하여 축회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는 다수의 관통공을 갖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 부재는 돌출 형상으로 구성되어, 관통공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타이 걸이에 의하면, 결합 플레이트의 관통공에 결합하는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타이 걸이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타이 걸이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타이 걸이에 의하면, 지지 부재로 타이의 늘어진 하측 부분을 지지 고정할 수 있어, 타이가 걸이 부재에서 흔들리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타이 걸이에 의하면,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 타이 걸이를 설치할 수 있어, 옷장뿐 아니라 현관장 등에도 손쉽게 타이 걸이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제1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제2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제3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타이 걸이는 결합 플레이트(100), 고정 부재(200), 걸이 부재(300), 회전 부재(400), 지지 부재(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00)는 옷장, 현관장 등의 벽면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 부재(200)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하나의 플레이트(100)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다수의 플레이트(11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각 플레이트(110)는 다수의 관통공(120)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공(120)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관통공(120)을 X자형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 경우 관통공(120)의 하측 관통부, 즉 좌하측 관통부 또는 우하측 관통부에 고정 부재(2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200)는 외형을 케이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 부재(200)의 일측은 결합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걸이 부재(300)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200)는 회전 부재(400)를 회전시키는 회전 지지부를 내장할 수 있다.
걸이 부재(300)는 지지축(310), 걸이편(321), 누름편(323)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지지축(310)은 양 단부가 고정 부재(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걸이편(321)은 지지축(310)에 결합할 수 있다. 누름편(323)은 지지축(310)에 결합하되, 걸이편(321)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누름편(321)은 걸이편(321)의 상측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걸이편(321)에 걸리는 타이를 상측에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회전 부재(400)는 일측이 고정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 부재(500)에 결합된다. 회전 부재(400)는 결합 플레이트(100)의 전면에서 하방, 측방, 상방으로 연속적 또는 계단식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회전 부재(400)에 결합되어, 회전 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타이의 늘어진 하측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타이가 걸이편(321)에 결려 아래로 늘어져 있는 경우, 지지 부재(50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결합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밀착시키면, 타이가 결합 플레이트(100)와 지지 부재(500) 사이에 끼이게 되고, 그 결과 타이가 결합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00)는 결합 플레이트(100)에 삽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20)을 가질 수 있다. 관통공(120)은 일정한 간격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고정 부재(200)의 결합 위치를 정하기가 쉽고 결합하는 것도 용이할 수 있다.
고정 부재(200)는 케이스(210), 걸림 부재(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박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케이스(2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 즉 돌출부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케이스(210)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케이스(210)가 상하로 2개의 걸림 부재(220)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걸림 부재(220)는 결합 플레이트(100)의 X자형 관통공(120)에 삽입된다. 관통공(120)을 X자 형상으로 구성하면, 삽입되는 걸림 부재(220)는 관통공(120) 하부의 좌측 관통부 또는 우측 관통부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걸림 부재(220)가 관통공(120)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걸림 부재(220)를 원형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폭이 증가하는 삼각뿔, 함몰 고리를 갖는 직육면체, 고리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관통공(120)을 X자형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00)는 케이스(210), 걸림 부재(220), 결합홈(223), 커버(225), 결합봉(227), 판 스프링(230), 판스프링 고정부(235), 삽입홈(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삼각, 사각 등 다양한 외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일측이 개방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여러 구성요소를 내장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케이스(210)의 외측, 즉 결합 플레이트(100)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결합홈(223)은 케이스(210)의 내측 또는 폭방향 측면에 형성할 수 있는데,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223)은 다수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도 3은 5개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커버(225)는 케이스(210)의 개방 일측에 결합되어, 케이스(210)를 밀폐한다.
결합봉(227)은 커버(225)의 내측 면에 다수 구비할 수 있다. 결합봉(227)은 결합홈(223)에 삽입되며, 이를 통해 커버(225)가 케이스(210)에 결합할 수 있다.
판 스프링(230)은 케이스(210)의 내부에 고정된다. 판 스프링(230)은 회전 부재(400)의 외측면을 탄성 가압하며, 이를 통해 회전 부재(400)를 소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판 스프링(230)은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도 3과 같이 2개를 소정 간격 이격시켜 대향 설치할 수도 있다.
판스프링 고정부(235)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판 스프링(230)을 내장 고정할 수 있다. 판스프링 고정부(235)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휘어지고 양단에 일자(ㅡ) 형태의 홈을 갖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부의 외향 굴곡은판 스프링(230)이 회전 부재(400)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가압될 때 외측으로 휘어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홈(240)은 걸이 부재(300)의 양 단부를 삽입하여 걸이 부재(300)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삽입홈(240)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각을 갖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삽입홈(240)을 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내부면에 걸림턱 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이 부재(3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이 부재(300)는 지지축(310)의 양 단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삽입봉(320)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봉(320)은 삽입홈(240)에 삽입 고정된다. 삽입봉(320)은 삽입홈(2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회전 부재(400)는 ㄱ자 형상의 축부를 가지며, 축부의 일측 폭방향 외면에 평면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평면부(410)는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수를 형성할 경우 그 수에 대응되게 회전 부재(400)가 소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부재(400)를 대칭되는 4개의 평면부(410)와 그 사이의 곡면부(420)로 구성하면, 회전 부재(400)는 회전하면서 90도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부재(400)는 축부의 타측에 지지 부재(50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동작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 부재(300)는 고정 부재(200)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 부재(400)는 고정 부재(20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 부재(400)에 결합된 지지 부재(500)는 고정 부재(20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하방, 측방,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회전 부재(400)의 외면에 형성되는 평면부의 수에 따라 고정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회전 부재(400)가 4개의 평면부를 가지고 있어, 회전 부재(400)가 90도 간격으로 고정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제1 상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판 스프링(230a,230b)과 4개의 평면부(410)를 구비하는 타이 걸이에서, 지지 부재(50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놓으면, 4개의 평면부(410) 중 좌우측 평면부가 2개의 판 스프링(230a,230b)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회전 부재(400)가 고정되고, 그 결과 지지 부재(500)도 위치 고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제2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00)를 측방으로 예를들어 45도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400)도 회전하고, 그 결과 곡면부(420)가 2개의 판 스프링(230a,230b)을 탄성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판 스프링(230a,230b)의 가압에 의해 회전 부재(400)는 하방 또는 측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곡면부(420)가 2개의 판 스프링(230a,230b) 사이에 정확하게 대칭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하방 또는 측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지 않을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어느 한쪽으로 힘을 받는다. 이와 같이, 곡면부(420)가 판 스프링(230a,230b)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상태는, 회전 부재(400) 또는 지지 부재(500)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로 본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 걸이의 제3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00)를 측방으로 더 회전시켜 예를들어 90도까지 회전시키면, 4개의 평면부(410) 중 좌우측 평면부가 2개의 판 스프링(230a,230b)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평면부(410)가 판 스프링(230a,230b)에 밀착되므로, 회전 부재(400)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회전 부재(400)는 고정되고, 회전 부재(400)에 고정된 지지 부재(500)도 위치 고정된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행하는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결합 플레이트 110 : 플레이트
120 : 관통공 200 : 고정 부재
210 : 케이스 220 : 걸림 부재
223 : 결합홈 225 : 커버
227 : 결합봉 230,230a,230b : 판 스프링
235 : 판스프링 고정부 240 : 삽입홈
300 : 걸이 부재 310 : 지지축
321 : 걸이편 323 : 누름편
320 : 삽입봉 400 : 회전 부재
410 : 평면부 420 : 곡면부
500 : 지지 부재

Claims (5)

  1. 타이 걸이에 있어서,
    다수의 X형 관통공을 갖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X형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출 형상의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대향하는 2개의 판 스프링을 구비하며, 삽입홈을 구비하고, 수평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 부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봉을 양 단부에 구비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수직되게 결합하는 걸이편, 상기 걸이편의 상측에 상기 걸이편에 대향하여 상기 걸이편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편에 걸리는 타이를 상측에서 지지 고정하는 누름편을 구비하는 걸이 부재;
    상기 한쌍의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2개의 판 스프링에 탄성 밀착하는 4개의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사이에 4개의 곡면부를 갖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어 결합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상하로 회전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 걸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8894U 2014-12-03 2014-12-03 타이 걸이 KR200482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94U KR200482743Y1 (ko) 2014-12-03 2014-12-03 타이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94U KR200482743Y1 (ko) 2014-12-03 2014-12-03 타이 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09U KR20160002009U (ko) 2016-06-13
KR200482743Y1 true KR200482743Y1 (ko) 2017-03-09

Family

ID=5613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894U KR200482743Y1 (ko) 2014-12-03 2014-12-03 타이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07Y1 (ko) * 2020-05-26 2022-06-10 주식회사 모던라이프 부착형 도마걸이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17Y1 (ko) * 2011-10-12 2013-04-26 주식회사 영일산업 접이식 다용도 걸이장치
JP2013158568A (ja) * 2012-02-07 2013-08-19 Kawaguchi Giken Inc 掛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723Y1 (ko) * 1989-05-03 1991-08-31 김장현 넥타이 걸이대
KR200160979Y1 (ko) * 1997-03-31 1999-11-15 박승부 걸이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17Y1 (ko) * 2011-10-12 2013-04-26 주식회사 영일산업 접이식 다용도 걸이장치
JP2013158568A (ja) * 2012-02-07 2013-08-19 Kawaguchi Giken Inc 掛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09U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64101A1 (en) Multiple Purpose Handbag Hanger
US9498058B2 (en) Closet storage assemblies, connectors, brackets and systems
US20160340952A1 (en) Sliding door with magnetic support
CA2846740C (en) Collapsible hat rack
KR200482743Y1 (ko) 타이 걸이
US9347170B2 (en) Collapsible clothes hanging and drying apparatus
JP7055332B2 (ja) ハンガー装置
US3508664A (en) Pants rack
KR200490006Y1 (ko) 식기건조대의 측면판과 행거부재 조립구조
KR20100003169U (ko) 슬라이딩 고리를 가진 행거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20160088742A (ko) 조립식 가구 세트
JP6322307B2 (ja) カーテンレー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カーテンレール
KR101953989B1 (ko) 스탠드형 옷걸이
KR101740931B1 (ko) 액자형 다용도 옷걸이
JP3220752U (ja) 物干し補助具
JPS62161399A (ja) 主としてベランダ等に好適する物干し用竿掛け具
CN111088672A (zh) 一种晾衣杆
US9854907B2 (en) Pivotable support for clothing articles
KR101656578B1 (ko) 편측 걸이가 가능한 빨래행거
JPH0225347Y2 (ko)
JP6179091B2 (ja) 物干し装置
JP2000245610A (ja) スライド式ハンガーホルダ装置
KR102018949B1 (ko) 다단 선반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