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33Y1 -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33Y1
KR200482633Y1 KR2020150004456U KR20150004456U KR200482633Y1 KR 200482633 Y1 KR200482633 Y1 KR 200482633Y1 KR 2020150004456 U KR2020150004456 U KR 2020150004456U KR 20150004456 U KR20150004456 U KR 20150004456U KR 200482633 Y1 KR200482633 Y1 KR 200482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obes
pair
biodegradable suture
inser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48U (ko
Inventor
정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옵틱스
Priority to KR2020150004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3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72Apparatus for restoration of tear 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 및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의 양 단부에 각각 일 단부가 고정되고, 누관을 따라 강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한 쌍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Lacrimal stent intubation device}
본 고안은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증, 외상 또는 폐색 등의 원인에 의해 협착 또는 폐쇄된 누관을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누액 배출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의 코측에 위치한 눈물점(1, 1')에서부터 비강(8)측 출구(7)까지 누액 배출계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눈물점(1, 1')에서 시작되는 누관들(3, 3')은 코눈물관(5)에서 합류된다. 이러한 누액 배출계에 의하여, 눈물샘(9)에서 생성된 눈물은 눈 속에 있는 이물질을 씻어낸 후, 누관들(3, 3')을 거쳐 코눈물관(5)에서 합류된 후, 누관 출구(7)를 거쳐 비강(8) 속으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염증, 외상 및 폐색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하여 누액 배출계가 협착 또는 폐색될 경우, 눈물이 비강 내로 배출되지 못하고 눈에 고인 다음, 눈 밖으로 흘러 내리게 되는데, 이를 누액 배출계의 협착 및 폐색에 의한 유루증이라 한다.
이러한 유루증은 눈에 고인 눈물을 항상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력장애, 누낭염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누액 배출계가 협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이를 조기에 치료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유루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의 실리콘 튜브(103)와, 이 튜브(103)의 양단에 각각 억지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프로브(101, 102)로 이루어지는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100)가 사용되어 왔고, 그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로브(101, 102)는 상기 눈물점(1, 1')으로 각각 삽입되어 누관들(3, 3') 및 코눈물관(5)의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비강(8)측 출구(7)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프로브(101, 102)가 삽입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브(101, 10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실리콘 튜브(103) 역시 누관들(3, 3') 및 코눈물관(5)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 튜브(103)로부터 상기 한 쌍의 프로브(101, 102)를 절단하여 상기 프로브(101, 102)만 제거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 튜브(103)는 누액 배출계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삽입되어 있는 상기 실리콘 튜브(103)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누액 배출계가 유지됨으로써, 협착 등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이용할 경우, 누관 내에 실리콘 튜브를 삽입한 후, 대략 3 내지 6개월 후, 삽입되어 있는 실리콘 튜브를 제거하기 위한 재수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소아의 경우, 실리콘 튜브의 제거가 아주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는 환자의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에서는, 실리콘 튜브(103)와 한 쌍의 프로브(101, 102)가 실리콘 튜브(103)의 양 단부 내측으로 각각의 프로브(101, 102)의 일 단부가 억지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는 튜브의 내측으로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조되는 프로브의 단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경우, 이들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상기 프로브들(101, 102)을 잡아 당기는 중에 상기 프로브들(101, 102)이 실리콘 튜브(103)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미 삽입 중이던 실리콘 튜브(103)를 제거한 후, 새로운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처음부터 수술을 다시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3182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의 사용 상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리콘 튜브의 제거를 위한 재수술이 필요 없는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누관 내에 삽입되는 튜브와 이를 안내하기 위한 프로브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한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는,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 및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의 양 단부에 각각 일 단부가 고정되고, 누관을 따라 강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한 쌍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는 "생분해성 봉합사"("흡수성 봉합사"로도 지칭됨)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유연한 튜브 형상의 구조체를 지칭하고, 복수의 생분해성 봉합사 필라멘트들이 브레이딩되거나 꼬이거나, 직조되어 제조되는 멀티필라멘트 형태 또는 모노필라멘트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복합사는 조직 내로의 도입 후에 일정 시간 후 분해되고 신체에 의해 흡수되는 봉합사를 지칭한다. 다양한 생체 흡수성 봉합사는, 예를 들어,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이하 "PDO"라고도 함), 폴리악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그 공중합체에 의하여 제조되고, 수술용 봉합사라고 널리 불리며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의 양 단부는 각각의 상기 프로브의 일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을 갖는 프로브의 일 단부 내측으로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의 일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사용 중에도 언제나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는, 상기 한 쌍의 프로브의 각각의 타 단부에는 올리브 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브 팁으로 인해 프로브 삽입측 선단과 인체 조직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는, 종래의 실리콘 튜브를 대체하여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실리콘 튜브의 제거를 위한 재수술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는,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와 한 쌍의 프로브 사이의 견고한 결합 구조로 인하여 시술 중 프로브가 이탈할 염려 없이 언제든지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누액 배출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와,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프로브(201, 202)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는 폐색된 환자의 누관 내에 삽입되어 새로운 누관 배출계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굵기와 길이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는 수술 후 3개월 내지 6개월 내에 인체 조직에 흡수되는 PDO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프로브(201, 202)는 환자의 눈물점(1, 1'; 도 1 참조)으로부터 루관들(3, 3') 및 코눈물관(5)을 따라 누관 출구(7)로 돌출, 즉 비강(8) 내측까지 삽입되어, 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의 누관 내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누관 내로 강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누관을 따라 강제 삽입되면서 어느 정도 휘어지는 상기 한 쌍의 프로브(201, 202)는, 비강(8)으로 빠져나오면서 원래 형상으로 탄성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로브(201, 202)가 누관 내측으로 삽입될 때 그 선단과 접촉하는 환자의 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프로브(201, 202)의 삽입측 단부에는 올리브 형상의 팁(201a, 20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로브(201, 202)의 길이는 누액 배출계의 총 연장 길이 등을 고려하여, 대략 8 내지 12c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와 한 쌍의 프로브(201, 202)의 직경은 대략적으로 0.4 내지 0.7mm 범위 내에서 거의 비슷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프로브(201, 202)의 올리브 팁(201a, 202a) 부분은 그 직경이 대략적으로 0.55 내지 0.85mm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와 한 쌍의 프로브(201, 202) 사이의 고정 결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확대 부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프로브(201, 202)의 일 단부 내측으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의 양 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힘을 가하여 꽉 조이는 방식 등으로, 한 쌍의 프로브와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물론, 이러한 방식의 결합 구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의 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한 쌍의 프로브가 중공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 파이프 타입 또는, 솔리드 타입이면서 일 단부에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튜브(103)의 내측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재질로 제조된 프로브의 선단이 억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프로브를 외측으로 잡아 당길 경우, 프로브가 이탈하여 실리콘 튜브의 누관 내 삽입을 가이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지만, 본 고안의 위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프로브와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 간의 결합 구조, 즉 종래와는 반대로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강성의 재질로 제조된 프로브의 내측으로 봉합사 튜브의 일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 구조는, 사용 중 프로브의 이탈 방지가 충분히 담보될 수 있는 수준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환자의 비측 눈물점(1: 도 1 참조)으로, 프로브(201)의 올리브 팁(201a)이 형성된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프로브(201)는 곡선 모양인 누관(3) 및 코눈물관(5)의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비강(8) 내측까지 강제 삽입된다. 이때, 프로브(201)와 고정 결합된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가 일체로 삽입된다. 비강(8) 측으로 어느 정도 프로브(201)가 빠져 나온 후, 포셉(F) 이나 집게 등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비강 외측 방향으로 상기 프로브(201)를 잡아 당기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가 누관 내에 적절히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프로브(201)와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의 연결 부위를 절단하여 상기 프로브(201)를 제거하면,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203)만이 누관 내에 유지되어 폐쇄 또는 협착된 장애를 치료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반대편 눈물점(1')을 통하여 또 다른 프로브(202)의 선단부를 누관(3')으로 삽입하는 것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200 :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
201, 202 : 프로브
201a, 202a : 올리브 팁
203 :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

Claims (3)

  1.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 및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의 양 단부에 각각 일 단부가 고정되고, 누관을 따라 강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한 쌍의 프로브;
    를 포함하는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튜브의 양 단부는 각각의 상기 프로브의 일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로브의 각각의 타 단부에는 올리브 팁이 형성되어 있는 누관 스텐트 삽입장치.
KR2020150004456U 2015-07-02 2015-07-02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KR200482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56U KR200482633Y1 (ko) 2015-07-02 2015-07-02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56U KR200482633Y1 (ko) 2015-07-02 2015-07-02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48U KR20170000148U (ko) 2017-01-11
KR200482633Y1 true KR200482633Y1 (ko) 2017-04-05

Family

ID=5779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56U KR200482633Y1 (ko) 2015-07-02 2015-07-02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117A (ko) 2017-12-19 2019-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눈물관 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생분해성고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실리콘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050A (ja) 2006-04-27 2010-01-07 シェノイ,ナルマダ,アール. 身体通路の疾病を治療又は予防する組成物及び方法
US9119905B2 (en) 2007-01-19 2015-09-01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8420A4 (en) * 2000-03-14 2009-09-02 Nakagawa Akio TUBE FOR LACRIMO-NASAL CHANNEL AND INSTRUMENT FOR RESTAURANT INTERVENTION ON THIS CHANNEL
KR20060031825A (ko) 2006-02-28 2006-04-13 김대홍 루관 치료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050A (ja) 2006-04-27 2010-01-07 シェノイ,ナルマダ,アール. 身体通路の疾病を治療又は予防する組成物及び方法
US9119905B2 (en) 2007-01-19 2015-09-01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117A (ko) 2017-12-19 2019-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눈물관 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생분해성고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실리콘관
WO2019124954A1 (ko) * 2017-12-19 2019-06-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눈물관 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생분해성고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실리콘관
KR101999233B1 (ko) * 2017-12-19 2019-09-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눈물관 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생분해성고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실리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48U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3188A (en) Lacrimal silicone stent with very large diameter segment insertable transnasally
RU2469685C1 (ru) Наружный концевой пластиковый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введения/удаления
WO2017006684A1 (ja) 内視鏡用レンズ清掃具
CN103327882B (zh) 子宫镜检查系统
US8235932B2 (en) Side-by-side lacrimal intubation threader and method
US8287602B2 (en) Urinary stent
CN104042299A (zh) 具有机械拆卸的闭塞装置递送系统
KR200482640Y1 (ko)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EP3366236A1 (en) Ligation device
JP2010000269A (ja) 内視鏡
JP2007313290A (ja) 涙道治療用具
CN106028908A (zh) 制造铰接眼科手术探针
KR20150144954A (ko) 트로카
KR200482633Y1 (ko) 누관 스텐트 삽입 장치
WO2013111435A1 (ja) 涙道チューブ
JP5360650B2 (ja) 涙道治療用具
RU2387421C1 (ru) Способ биканаликулярного дренирования слезоотводящих путей
Yalaz et al. Lacrimal intubation with the Ritleng system in recurrent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in children
CN109350180A (zh) 支架状取栓器
JP2001327525A (ja) 涙道再形成手術に用いる鼻涙管チューブおよび鼻涙管チューブ器具
CN109984864B (zh) 用于分支血管的支架
KR102204175B1 (ko)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RU2706381C1 (ru) Способ силиконовой интубации слезоотводящих путей
WO2015052852A1 (ja) 血管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cto病変の貫通方法
KR20200002173U (ko) 눈물샘 막힘 스텐트 삽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