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35Y1 -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35Y1
KR200482335Y1 KR2020140008874U KR20140008874U KR200482335Y1 KR 200482335 Y1 KR200482335 Y1 KR 200482335Y1 KR 2020140008874 U KR2020140008874 U KR 2020140008874U KR 20140008874 U KR20140008874 U KR 20140008874U KR 200482335 Y1 KR200482335 Y1 KR 200482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discharge port
temperatur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003U (ko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유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철 filed Critical 유성철
Priority to KR2020140008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3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규모의 업소에서 소비자에게 일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되, 온수의 배출과 동시에 히터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온수의 양을 증가시켜 소비자의 불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15)이 형성되고 전면에 냉수 토출구(11)와 온수 토출구(12)가 설치된 케이스(10)와; 수용 공간(15)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내부의 히터(25)로 가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며 온수 토출구(12)가 연결된 온수탱크(20)와;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냉수 토출구(11) 또는 온수 탱크(20)로 공급하는 물공급부(3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온수 탱크(20)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와 냉수 토출구(11) 또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40)와; 케이스(1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토출량과 온수 온도를 설정하여 컨트롤 박스(40)에 입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51)과,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표시되는 온수 온도 표시부(52)를 구비된 전면 패널(50);을 포함하고, 히터(25)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온수가 출수됨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having preheating function}
본 고안은 소규모의 업소에서 소비자에게 일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수 탱크의 하부에 히터를 설치하고, 온수 탱크의 유입량과 유출량을 동일하게 조절하면서, 온수의 배출 또는 온수 탱크로의 물의 유입과 동시에 히터에 의한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온수의 양을 증가시켜 적은 부피로도 많은 양의 온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 식당, 커피숍 등의 업소에는 소비자에게 일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워터디스펜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워터디스펜서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담아 가열하는 온수탱크와, 케이스 외부에 설치되어 온수탱크의 물이 토출구를 통해 출수되도록 하는 온수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일 예로 상기한 구성에 따른 종래 워터디스펜서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51825호(온수기용 배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온수밸브콕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온수밸브콕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온수밸브콕을 통해 온수탱크의 물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1회 공급량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온수를 받아야 하며, 자칫 급수받는 컵에 온수가 넘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에 취약하며, 식당, 커피숍 등의 업소의 특성상 바쁜 시간대에 손님이 몰리므로 온수급수의 지연으로 생산성은 물론 영업이익에 차질이 발생한다.
특히, 종래의 워터디스펜서는 온수 탱크에 저장된 온수가 배출되어 온수 탱크의 수위가 일정 이하인 경우에만 외부로부터 온수 탱크로 물이 공급되고 그 이후에 히터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히터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동안에는 온수의 공급이 중단되고, 그로 인해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온수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물론,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온수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는 온수 탱크를 크게 할 수 있으나, 커피숍 등의 업소에 설치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는 크기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 즉,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경우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온수의 양이 많지 않으며, 실제로 현재 사용중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그 양이 대략 1~2 리터에 불과하고, 그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워터디스펜서는 온수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냉수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별도의 냉수기 또는 정수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워터디스펜서 외에 추가로 냉수기를 더 설치함에 따라 설치 비용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물론,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워터디스펜서도 개발되어 있으나, 그 크기가 온수 전용에 비해 크고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경우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고, 제한된 크기의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로는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온수의 양이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20-1999-0004471 U KR 10-2001-0063575 A KR 10-0851825 B1 KR 10-2010-0057440 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온수 탱크 내부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온수의 배출 또는 온수 탱크로의 물의 유입과 동시에 히터에 의한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수가 배출된 후 온도의 변화가 생기면 히터를 이용하여 온수를 가열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온수의 양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냉수 토출구 또는 온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과 동일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온수 탱크 내부의 수위와 수온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크기가 작더라도 소비자가 원하는 양의 온수를 충분히 제공하여 온수 공급 중단에 따른 소비자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냉수 토출구와 온수 토출구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내부에 설치된 히터로 가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며 상기 온수 토출구가 중간 부분에 연결된 온수탱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냉수 토출구 또는 상기 온수 탱크로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 탱크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와 상기 냉수 토출구 또는 온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토출량과 온수 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에 입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과, 상기 온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표시되는 온수 온도 표시부를 구비된 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온수 토출구를 통해 온수가 출수됨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는 상기 온수 탱크의 하부측에 가열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온수 탱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냉수 밸브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온수 탱크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냉수 토출구 또는 온수 토출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양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치하도록 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수량 및 수압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감압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와 온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 탱크의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는 상기 온수 탱크에 구비된 온수 센서가 감지한 온수의 실제 온도에 비해 2~3℃ 낮은 온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첫째, 본 고안에 의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는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급수량을 냉수 토출구 또는 온수 토출구를 통해 항상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온수의 토출 또는 온수탱크로의 물의 유입과 동시에 히터가 작동되어 온수 탱크내의 물을 예열시키게 되므로 더 많은 양의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둘째, 히터의 가열부가 온수 탱크의 바닥 부분에 위치되어 온수 탱크의 하부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빠르게 가열하여 온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셋째, 온수 외에 냉수도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냉수기가 필요하지 않고 급수관의 물이 냉수 토출구로 직접 공급되어 별도의 저장탱크가 없어도 되며,
넷째, 제1수위감지센서와 제2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온수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켜서 업소에서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요부인 물 공급부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조직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15)이 형성되고 전면에 냉수 토출구(11)와 온수 토출구(12)가 설치된 케이스(10)와; 상기 수용 공간(15)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내부에 설치된 히터(25)로 예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며 상기 온수 토출구(12)가 중간 부분에 연결된 온수탱크(20)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연결된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냉수 토출구(11) 또는 상기 온수 탱크(20)로 공급하는 물공급부(3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 탱크(20)에서 예열되는 물의 온도와 상기 냉수 토출구(11) 또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4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의 토출량과 온수 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40)에 입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51)과,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표시되는 온수 온도 표시부(52)를 구비된 전면 패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히터(25)는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온수가 출수되거나 또는 온수 탱크(20)에 물이 유입되는 것과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온수 탱크(20) 내의 물을 예열 내지 가열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온수 탱크(20)의 하부측,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 탱크(20)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20% 이하의 높이에 가열부(26)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의 예열이라 함은 온수 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온도 변화가 없이도 물이 가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제품들은 온수 탱크 내부의 온도가 변화되어야지만 물이 가열되었는데, 본 고안은 온수 탱크에서 온수가 출수되거나 온수 탱크로 물이 유입되어는 것이 감지되면 수온의 변화와 무관하게 히터가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물 공급부(30)는, 상기 냉수 토출구(11)로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와, 상기 온수 탱크(2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서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 또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냉수 토출구(11) 또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양과 상기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치하도록 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수량 및 수압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감압 밸브(33)와, 상기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와 온수 탱크(20)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 탱크(20)의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냉수 토출구(11) 및 온수 토출구(12)의 후방에 상기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 및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냉수 밸브 또는 온수 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수 밸브 및 온수 밸브는 상기 컨트롤 박스(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52)는 상기 온수 탱크(20)의 중간 부분, 구체적으로 온수가 배출되는 부분 근처에 설치된 온수 센서(23)가 감지한 온수의 실제 온도에 비해 2~3℃ 낮은 온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온수 탱크(20)의 온수가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동안 어느 정도 냉각되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의 실제 온도와 거의 동일한 온도가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52)에 표시되어, 소비자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는 온수 탱크 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온수 탱크 내의 온수 온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더욱 많은 양의 온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는 외부의 급수관을 케이스 후방에 위치한 감압 밸브에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워터디스펜서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0)에 구비된 전면 패널(50)의 조작 버튼(51)을 눌러 급수를 시작하면, 컨트롤 박스(40)가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에 개방 신호를 보내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된 물이 감압 밸브(33)와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를 거쳐 온수 탱크(20)에 공급되도록 하다. 상기 컨트롤 박스(40)는 온수 탱크(20)의 수위가 대략 80~90% 정도가 되면, 상기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에 차단 신호를 보내 온수 공급을 중단한다. 여기서 컨트롤 박스(40)는 상기 온수 탱크(20)에 구비된 히터(25)에 작동신호를 조작 버튼(51)을 눌러 급수가 시작되는 시점 또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가 열리는 시점 중에 빠른 시점에 보내서 물의 예열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온수 탱크(20) 내부의 온수 온도가 설정 온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온수 탱크(20)에 설치된 온도 센서(23)가 컨트롤 박스(40)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40)는 히터(25)에 작동 중지 신호를 보냄으로써 온수 가열을 중단하게 된다.
이후, 소비자가 온수를 얻기 위하여 케이스(10)에 구비된 전면 패널(50)의 조작 버튼(51)을 누르게 되면,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가 개방되어 급수관(33)의 물이 온수 탱크(20)로 공급되고, 상기 온수 탱크(20)의 온수가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일정량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감압 밸브(33)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과 상기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통해 온수 탱크(2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동일해지도록 물 공급량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온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온수 탱크(20) 내부의 히터(25)가 작동되어 온수 탱크(20)로 유입된 물을 예열하게 되고, 예열된 물은 대류에 의해 온수 탱크(2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온수 탱크(20)의 물은 상층의 고온부와 하층의 저온부로 구분되고, 고온부의 물이 상기 온수 토출구(1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온수의 토출과 동시에 히터(25)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5~6리터 이상의 온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소비자가 냉수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50)의 조작 버튼(51)을 누르게 되면,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가 개방되어 급수관(33)을 통해 공급된 외부의 물이 케이스(10)에 설치된 냉수 토출구(11)를 통해 일정량 토출된다.
한편, 상기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 및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의 전방에 설치된 감압 밸브(33)는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동시에 상기 냉수 토출구(11) 또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과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일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가 고압으로 토출되지 않게 되고 온수 탱크(20) 내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물론, 도 1에서는 전면 패널이 있어서 여기서 버튼의 조작으로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 제어 밸브(예, 정수기에 사용되는 수도꼭지)가 사용되어 수동으로 온수 내지 냉수가 배출될 수도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케이스
11...냉수 토출구
12...온수 토출구
15...수용 공간
20...온수 탱크
25...히터
30..물 공급부
31...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32...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33...감압 밸브
34...체크 밸브
35...급수관
40...컨트롤 박스
50...전면 패널
51...조작 버튼
52...온수 온도 표시부

Claims (5)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냉수 토출구(11)와 온수 토출구(12)가 설치되고, 전방 상측에는 온수 또는 냉수의 토출량과 온수 온도를 설정하여 히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40)에 입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51)과,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표시되는 온수 온도 표시부(52)를 구비된 전면 패널(50)을 포함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내부에 설치된 히터(25)로 예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며 상기 온수 토출구(12) 및 온수 센서(23)가 중간부분에 연결되는 온수탱크(20)와;
    상기 온수탱크(20)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20% 이하의 높이에 가열부(26)가 설치되는 히터(25)와,
    상기 냉수 토출구(11)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와, 상기 온수 탱크(2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서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냉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1) 또는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냉수 토출구(11) 또는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양과 상기 급수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치하도록 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수량 및 수압이 달라지도록 구성된 감압 밸브(33) 및 상기 물 공급부(30)는 상기 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32)와 온수 탱크(20)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 탱크(20)의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34)를 포함하는 물공급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25)는 물의 온도와 무관하게 상기 온수 토출구(12)를 통해 온수가 출수되는 시점과 온수 탱크(2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빠른 시점이 작동되되,
    상기 온수 탱크(20)의 물은 상층의 고온부와 하층의 저온부로 구분되고, 상기 물 공급부(30)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20)의 하층의 저온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히터의 가열부(26)에 의해 예열되며, 예열된 물은 대류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20)의 상층의 고온부로 이동하고 상층에 위치한 고온부의 물이 온수 토출구(12)로 토출됨으로써, 온수의 토출과 동시에 상기 히터(25)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5-6 리터의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52)는 상기 온수 탱크(20)에 구비된 온수 센서(23)가 감지한 온수의 실제 온도에 비해 2~3℃ 낮은 온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8874U 2014-12-03 2014-12-03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KR200482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74U KR200482335Y1 (ko) 2014-12-03 2014-12-03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74U KR200482335Y1 (ko) 2014-12-03 2014-12-03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03U KR20160002003U (ko) 2016-06-13
KR200482335Y1 true KR200482335Y1 (ko) 2017-01-11

Family

ID=5613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874U KR200482335Y1 (ko) 2014-12-03 2014-12-03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3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759A (ja) * 2009-11-18 2011-06-02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JP2011168288A (ja) * 2010-02-17 2011-09-01 Nesutaa:Kk 冷水機
KR101371980B1 (ko) * 2007-10-22 2014-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 가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71A (ko) 1997-06-28 1999-01-15 김영환 비동기 전송 모드망과의 서비스를 위한 티티에이의 클럭 복구장치
KR20010063575A (ko) 1999-12-22 2001-07-09 한금희 냉,온수기의 물 공급장치
KR20070113911A (ko) * 2006-05-26 2007-11-29 안현중 생수기
KR100851825B1 (ko) 2008-02-12 2008-08-12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온수기용 배수장치
KR101105320B1 (ko) 2008-11-21 2012-01-18 (주)예네 온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80B1 (ko) * 2007-10-22 2014-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 가열 장치
JP2011106759A (ja) * 2009-11-18 2011-06-02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JP2011168288A (ja) * 2010-02-17 2011-09-01 Nesutaa:Kk 冷水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03U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800B1 (ko) 음료 공급장치
US20180080682A1 (en) Fluid heating system and instant fluid heating device
CN202785607U (zh) 饮料分配系统和饮料分配器
US10563909B2 (en) Refrigerator with a quick fill dispenser
KR102357243B1 (ko) 심미적으로 세련된 다용도 통 디스펜서
US7974527B1 (en) Hot liquid dispenser
US8636174B1 (en) On-demand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dispenser and method
US9327956B2 (en) Water dispenser with bag in a box unit
CN105078239B (zh) 浓缩咖啡机
US10941978B2 (en) Refrigerator fluid dispenser with dispensed volume calculation
EP3951290A1 (en) Refrigerator and brew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EP3475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one or more liquids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KR200482335Y1 (ko) 예열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KR200482336Y1 (ko) 예열 및 가열 조절 기능을 구비한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CN105342459A (zh) 饮水设备及其定量水供应装置
JP2007183869A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制御装置
JP200701570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206414159U (zh) 一种具有抽水功能的饮水机
KR20120075994A (ko)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KR200480286Y1 (ko)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EP2789575B1 (en) A water dispenser with bag in a box unit
JP2017081600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6276938B2 (ja) 箱に入った袋のユニットを有するウォーターディスペンサ
GB2457282A (en) Domestic appliance
KR101077645B1 (ko) 소형자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