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06Y1 -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06Y1
KR200482206Y1 KR2020150002285U KR20150002285U KR200482206Y1 KR 200482206 Y1 KR200482206 Y1 KR 200482206Y1 KR 2020150002285 U KR2020150002285 U KR 2020150002285U KR 20150002285 U KR20150002285 U KR 20150002285U KR 200482206 Y1 KR200482206 Y1 KR 200482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lock
hole
lead scre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609U (ko
Inventor
김찬봉
김선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5000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0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66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movable along a solid connecting rod
    • A61B17/6475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movable along a solid connecting rod the connecting rod being threa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Abstract

본 고안은 골신장술의 시술 시 두 골편의 상대적 위치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각의 플레이트가 골신장기의 블록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레이트와 골신장부를 별도의 수술 없이 제거할 수 있는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는,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리드스크류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관통구멍과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튜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일부가 끼워지는 걸쇠를 구비한 고정블록과, 튜브의 타측에 설치되며 튜브와 함께 회전하면서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 운동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일부가 끼워지는 걸쇠를 구비한 이동블록과, 고정블록에 구비한 걸쇠의 구속에 의해서 고정블록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골편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이동블록에 구비한 걸쇠의 구속에 의해서 이동블록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골편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PLATE SEPARATE TYPE BONE DISTRATOR}
본 고안은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골신장술의 시술 시 두 골편의 상대적 위치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각의 플레이트가 골신장기의 블록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레이트와 골신장부를 별도의 수술 없이 제거할 수 있는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골신장술(Distraction osteogenesis)은 골절 시 골단(Epiphysis)에 생기는 치유가골(Healing callus)의 점진적인 신장을 통하여 골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수술 방법으로 골편(Bone fragment or Bone segment)의 점진적인 견인력에 의하여 피부, 근육, 인대, 연골, 혈관, 신경의 조직을 형성한다. 골신장술은 골절단술에 비해 점진적인 치료효과를 시술 후 예측이 정확하며, 연조직과 동반 신장되기 때문에 시술 후 안정성과 회귀성향 예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 골신장술은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과 같이 안면골의 기형교정에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한편, 골신장술에 사용되는 골신장기는 골절의 양 측면에서 하나의 골편에 대하여 다른 골편의 거리 및 회전 각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골절부위에 걸쳐있는 메커니즘(Mechanism)과 함께 피부를 통과하여 골편에 고정된 핀(Pin) 또는 골스크루(Bone screw)를 포함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6121호 골신장기는 제1 골판(Bone plate), 제2 골판, 제1 골판 및 제2 골판을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작동 스크루(Activation screw)의 회전에 의하여 제2 골판을 제1 골판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하우징부재(Housing member)는 제1 골판과 결합되어 있고, 제2 하우징부재는 작동 스크루를 수용하고 있다. 제1 하우징부재와 제2 하우징부재는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골신장기에 의한 시술에 있어서는, 제1 골판 및 제2 골판을 골스크루의 체결에 의하여 하악골(Mandible, 아래턱뼈)에 고정하여 상대 위치를 결정한 후, 골스크루의 체결을 풀고 골절단을 실시한다. 골절단이 완료되면, 제1 골판과 제2 골판은 하악골에 앞서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에 골스크루를 다시 식립(Insertion)해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악골의 구조상 앞서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을 찾아서 골스크루를 체결하는 과정은 시술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제1 골판과 제2 골판은 골신장기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골신장 치료가 완료되면 별도의 수술로 각각의 골판과 골신장기를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술을 할 경우 많은 위험이 따르고, 골신장기의 제거가 늦어지면 피부 괴사 및 염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골신장기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골신장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골신장 치료가 완료되면 별도의 수술 없이 플레이트와 골신장부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리드스크류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관통구멍과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와,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튜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일부가 끼워지는 걸쇠를 구비한 고정블록과, 튜브의 타측에 설치되며 튜브와 함께 회전하면서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 운동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일부가 끼워지는 걸쇠를 구비한 이동블록과, 고정블록에 구비한 걸쇠의 구속에 의해서 고정블록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골편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이동블록에 구비한 걸쇠의 구속에 의해서 이동블록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골편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블록과 이동블록은, 튜브가 통과하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슬롯과, 슬롯의 개방된 단부와 교차되도록 관통구멍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블록부재와, 튜브의 관통구멍에 설치되고 리드스크류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와 연결되고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끼워지는 목부와, 목부와 연결되고 슬롯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는 연장부로 구성된 걸쇠를 포함하고, 이동블록의 걸쇠는, 리드스크류의 나사부와 결합되어 나선 운동하도록 헤드부의 관통구멍에 나사부를 구비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튜브는 외주면에 고정블록이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튜브의 타단에는 튜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장착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리드스크류의 타단에 시술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로드가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로드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 설치된 커플링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는, 각각의 플레이트가 골신장기의 블록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골신장 치료가 완료되면 각각의 플레이트는 환자의 시술 부위에 남겨둔 채 별도의 수술 없이 블록을 포함하는 골신장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수술해서 제거할 경우 발생되는 위험 및 시술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로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골신장술의 시술 시 두 골편의 상대적 위치와 회전 각도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골신장술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익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과 고정블록 및 이동블록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써, 도 6(a)는 이동블록에 제2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이동블록으로부터 제2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100)는, 리드스크류(Lead screw : 10), 고정블록(Fixed block : 20), 이동블록(Moved block : 30)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Plate : 40, 50)를 구비한다.
리드스크류(10)는 외주면에 나사부(11)가 형성된 회전하는 축으로써, 일측에는 소경부(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대경부(14)를 구비한다. 단턱(13)은 소경부(12)의 말단에 형성되며, 소경부(12)의 직경보다 크고 나사부(11)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15)은 대경부(14)의 말단에 구비하고, 대경부(14)의 직경보다 크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튜브(16)는 리드스크류(1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통구멍(16a)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이다. 가이드 슬롯(16b)은 튜브(16)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구멍(16a)과 연결된다. 스토퍼(16c)는 튜브(16)의 일측 외주면에 구비한다. 손잡이(17)는 튜브(16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튜브(16)의 타측에 고정된다. 즉, 손잡이(17)의 일단이 튜브(16)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6a)에 끼워져 장착된다. 또한, 손잡이(17)는 중심에 리드스크류(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7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육각머리(17b)를 구비한다. 캡(18)은 리드스크류(10)의 단턱(13)에 결합되며, 튜브(16)와 고정블록(20)이 리드스크류(10)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블록(20)은 튜브(16)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블록부재(21)와 걸쇠(25)로 구성된다. 블록부재(21)는 튜브(16)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멍(22)이 형성된다. 슬롯(23)은 관통구멍(22)과 간격을 두고 블록부재(2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슬롯(23)의 개방된 단부가 블록부재(21)의 왼쪽에 위치한다. 가이드 홈(24)은 슬롯(23)의 개방된 단부와 교차되도록 블록부재(21)의 일단에 관통구멍(22)과 연통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걸쇠(25)는 블록부재(21)의 가이드 홈(24)에 끼워지도록 리드스크류(10)와 튜브(16)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헤드부(26)와 목부(27) 및 연장부(28)로 구성된다. 헤드부(26)는 중심에 관통구멍(26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26a)으로 리드스크류(10)의 일측이 삽입된다. 즉, 헤드부(26)의 관통구멍(26a)으로 리드스크류(10)의 단턱(13)이 형성된 소경부(12)를 삽입하고, 헤드부(26)의 외주면에 튜브(16)를 설치해서 사용한다. 목부(27)는 헤드부(26)에서 연장되며, 튜브(16)에 구비한 가이드 슬롯(16b)에 끼워진다. 연장부(28)는 목부(27)에 연결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걸쇠(25)의 헤드부(26)가 회전하면, 가이드 슬롯(16b)에 장착된 목부(27)가 회전하면서 튜브(16)가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걸쇠(25)가 리드스크류(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블록부재(21)의 슬롯(23)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블록(30)은 튜브(16)의 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블록부재(31)과 걸쇠(35)로 구성된다. 블록부재(31)는 튜브(16)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멍(32)이 형성된다. 슬롯(33)은 관통구멍(32)과 간격을 두고 블록부재(3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슬롯(33)의 개방된 단부가 블록부재(31)의 왼쪽에 위치한다. 가이드 홈(34)은 슬롯(33)의 개방된 단부와 교차되도록 블록부재(31)의 일단에 관통구멍(32)과 연통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걸쇠(35)는 블록부재(31)의 가이드 홈(34)에 끼워지도록 리드스크류(10)와 튜브(16)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헤드부(36)와 목부(37) 및 연장부(38)로 구성된다. 헤드부(36)는 중심에 관통구멍(36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36a)으로 리드스크류(10)의 일측이 삽입된다. 즉, 헤드부(36)의 관통구멍(36a)으로 리드스크류(10)의 단턱(13)이 형성된 소경부(12)를 삽입하고, 헤드부(36)의 외주면에 튜브(16)를 설치해서 사용한다. 목부(37)는 헤드부(36)에서 연장되며, 튜브(16)에 구비한 가이드 슬롯(16b)에 끼워진다. 연장부(38)는 목부(37)에 연결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걸쇠(35)의 헤드부(36)가 회전하면, 가이드 슬롯(16b)에 장착된 목부(37)가 회전하면서 튜브(16)가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걸쇠(35)가 리드스크류(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블록부재(31)의 슬롯(33)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블록(30)은 리드스크류(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즉, 가이드 홈(34)에 끼워진 걸쇠(35)가 블록부재(31)를 리드스크류(1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압하기 때문에 가이드 홈(34)의 측면이 일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블록(20)의 블록부재(21)는 이동블록(30)의 블록부재(31)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지만, 걸쇠(25)가 설치되는 가이드 홈(24)의 측면이 개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100)는, 고정블록(20)의 슬롯(23)과 이동블록(30)의 슬롯(33)에 각각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40)와 제2 플레이트(50)를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50)는 제1 플레이트(40)에 대하여 이동되어 제1 플레이트(4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50)는 골 신장시 발생되는 압축 강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생체에 적합 다양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40)는 고정블록(20)을 구성하는 블록부재(21)의 슬롯(23)에 끼워지는 중심부(41)가 형성되고, 중심부(41)의 양측에 각각 연장된 면에 볼트구멍(42)을 구비한다. 노치(43)는 중심부(41)의 말단 즉, 슬롯(23)의 벽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고, 슬롯(23)에 장착된 제1 플레이트(4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제2 플레이트(50)는 이동블록(30)을 구성하는 블록부재(31)의 슬롯(33)에 끼워지는 중심부(51)가 형성되고, 중심부(51)의 양측에 각각 연장된 면에 볼트구멍(52)을 구비한다. 노치(53)는 중심부(51)의 말단 즉, 슬롯(33)의 벽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고, 슬롯(33)에 장착된 제2 플레이트(5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50)의 각각의 볼트구멍(42, 52)은 양측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볼트구멍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50)의 중심부(41, 51)의 양측에 각각 연장된 면의 모양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골신장기(100)는 리드스크류(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 60)를 구비한다. 유니버설 조인트(60)는 제1 조인트요크(Joint yoke : 61), 제2 조인트요크(62), 제1 및 제2 조인트요크(61, 62)에 연결되어 있는 십자축(Cross shaft : 63)으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십자축(63)은 블록(Blodck : 63a), 제1 피봇(Pivot : 63b), 제2 피봇(63c)과 제3 피봇(63d)으로 구성된다. 십자축(63)의 블록(63a)은 제1 및 제2 조인트요크(61, 6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피봇(63b)은 제1 조인트요크(6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제1 조인트요크(61)와 블록(63a)을 결합된다. 제2 피봇(63c)과 제3 피봇(63d)은 제2 조인트요크(6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제2 조인트요크(62)와 블록(63a)을 결합된다. 제1 부시(64)와 제2 부시(65)는 제1 조인트요크(61)와 제2 조인트요크(62)의 외면에 각각 끼워져 장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드(70)는 유니버설 조인트(60)의 말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 설치된 제1 및 제2 커플링(71, 7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로드(70)를 탄성 변형이 가능한 코일 스프링으로 제작할 경우 시술자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리드스크류(10)를 정확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커플링(72)의 선단에는 시술자가 공구, 예를 들어 육각 복스 스패너(Hexagon box spanner)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머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에 대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40)는 중심부(41)가 블록부재(21)의 슬롯(23)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블록(20)에 구비한 걸쇠(25)에 구속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50)는 중심부(51)가 블록부재(31)의 슬롯(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블록(30)에 구비한 걸쇠(35)에 구속된다. 즉, 슬롯(33)에 장착된 제2 플레이트(50)가 블록부재(31)와 분리되지 않도록 슬롯(33)의 개방된 단부를 걸쇠(35)의 연장부(38)가 차단한다. 시술자는 제1 플레이트(40)에 대하여 제2 플레이트(5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시술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50)의 각각의 볼트구멍(42, 52)을 통하여 골스크루를 예를 들면,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체결하여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5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50)가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로드(70)의 제2 커플링(72)에 구비한 육각머리를 육각 복스 스패너에 의하여 회전시키면, 로드(70)와 함께 유니버설 조인트(60), 리드스크류(10)가 회전된다. 유니버설 조인트(60)는 관절운동에 의하여 리드스크류(10)의 중심축과 로드(70)의 중심축 사이에서 발생되는 편각, 편심과 리드스크류(10)의 유동을 허용한다. 이때, 리드스크류(10)의 외주면에 설치된 튜브(16)는 회전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리드스크류(10)가 회전되면, 이동블록(30)의 걸쇠(35)가 리드스크류(10)와 나선 운동하면서 리드스크류(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걸쇠(35)의 헤드부(36)의 나사부가 형성된 관통구멍(36a)이 리드스크류(10)의 나사부(11)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이동블록(30)과 함께 제2 플레이트(50)가 이동한다.
다음으로 골신장술의 치료가 완료되면, 튜브(16) 또는 튜브(16)의 말단에 고정된 손잡이(17)를 회전시킨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6)가 회전하면 튜브(16)의 가이드 슬롯(16b)에 삽입된 걸쇠(35)의 목부(36)가 리드스크류(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헤드부(3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때, 연장부(38)는 블록부재(31)의 가이드 홈(34)을 따라 이동해서 최대한 회전하면, 블록부재(31)의 슬롯(32)이 개방된다. 동시에 고정블록(20)을 구성하는 걸쇠(25)의 목부(26)가 리드스크류(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헤드부(26)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때, 연장부(28)는 블록부재(21)의 가이드 홈(24)을 따라 이동해서 최대한 회전하면, 블록부재(21)의 슬롯(22)이 개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는, 튜브를 회전하면 고정 및 이동블록의 각각의 걸쇠가 회전해서 개방된 슬롯으로부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분리한다. 즉, 골신장 치료가 완료되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환자의 시술 부위에 남겨두고, 골신장기는 별도의 수술 없이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수술시 발생하는 위험이나 골신장기를 늦게 제거할 경우 발생하는 피부 과사 및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골신장기 10 : 축
20 : 고정블록 30 : 이동블록
40 : 제1 플레이트 50 : 제2 플레이트
60 : 유니버설 조인트 70 : 로드

Claims (6)

  1.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리드스크류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관통구멍과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일부가 끼워지는 걸쇠를 구비한 고정블록과,
    상기 튜브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나선 운동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일부가 끼워지는 걸쇠를 구비한 이동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구비한 상기 걸쇠의 구속에 의해서 상기 고정블록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골편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한 상기 걸쇠의 구속에 의해서 상기 이동블록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골편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튜브가 통과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의 개방된 단부와 교차되도록 상기 관통구멍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블록부재와,
    상기 튜브의 관통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의 가이드 슬롯에 끼워지는 목부와, 상기 목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롯의 개방된 단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홈 방향으로 움직이는 연장부로 구성된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블록의 걸쇠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나사부와 결합되어 나선 운동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관통구멍에 나사부를 구비한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주면에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단에는 상기 튜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장착된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단에 시술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로드가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된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커플링이 설치된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KR2020150002285U 2015-04-09 2015-04-09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KR200482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85U KR200482206Y1 (ko) 2015-04-09 2015-04-09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85U KR200482206Y1 (ko) 2015-04-09 2015-04-09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09U KR20160003609U (ko) 2016-10-19
KR200482206Y1 true KR200482206Y1 (ko) 2016-12-29

Family

ID=5723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285U KR200482206Y1 (ko) 2015-04-09 2015-04-09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06B1 (ko) * 2017-10-20 2020-05-08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 신장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5368A1 (en) 1999-09-13 2002-03-21 Brian Schumacher Bone distractor with shaft extension
JP2007513720A (ja) 2004-08-24 2007-05-31 ウォルター・ロレンツ・サージ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ラチェット機構を持つ骨伸延器
KR101391404B1 (ko) 2013-02-12 2014-05-13 이종호 골신장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0622B2 (ja) * 2009-09-24 2015-04-30 ジンテ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着脱式あぶみ骨底を有するディス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5368A1 (en) 1999-09-13 2002-03-21 Brian Schumacher Bone distractor with shaft extension
JP2007513720A (ja) 2004-08-24 2007-05-31 ウォルター・ロレンツ・サージ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ラチェット機構を持つ骨伸延器
KR101391404B1 (ko) 2013-02-12 2014-05-13 이종호 골신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09U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404B1 (ko) 골신장기
US10806499B2 (en) Universal orthopedic clamp
KR100477282B1 (ko) 공간프레임
US9211149B2 (en) Surgical apparatus
US6010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rnal fixation of small bones
BRPI0615212A2 (pt) instrumento de instalaÇço, dispositivo para ajustar, comprimir, e/ou fixar fragmentos de ossos, mÉtodo para seletivamente conferir forÇa a um parafuso, e, dispositivo para conferir uma forÇa a um parafuso
NO176261B (no) Utvendig fikseringsanordning med styrbar dempning
US20080311542A1 (en)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WO2011121512A2 (en) External system for stabilisation and distraction of curved bony surfaces
US20080009871A1 (en) Bone Plate Clamp
JP2013516205A (ja) ほぼ継続的に骸骨延長をするため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口腔内骸骨延長装置及びその使用
EP3302322A1 (en) Dynamic foot plate
EP1844721A1 (en) All-purpose external fixator for orthopedic uses
KR200467239Y1 (ko) 골신장기
WO2006126033A1 (en) Device for covered screwing of broken and shortened bones
KR200482206Y1 (ko)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US5203783A (en) Osteosynthetic fixation and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US9622782B1 (en) Curved alveolar bone distractor
JPH04319348A (ja) 外科用高速レンチ
EP4066754B1 (en) Surgical guiding device for bone perforation during osteosynthesis processes, especially for coronoid fractures of the ulna
US8784420B2 (en) Surgical instruments for cutting elongated elements and methods of use
KR101270535B1 (ko) 골신장기
WO2022027085A1 (en) An orthopaedic compression and distraction device and method
RU2779002C1 (ru) Кост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дистрактор для животных
RU22824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ри переломах шейки бедренной 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