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61Y1 -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61Y1
KR200482161Y1 KR2020120005052U KR20120005052U KR200482161Y1 KR 200482161 Y1 KR200482161 Y1 KR 200482161Y1 KR 2020120005052 U KR2020120005052 U KR 2020120005052U KR 20120005052 U KR20120005052 U KR 20120005052U KR 200482161 Y1 KR200482161 Y1 KR 200482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vable contact
lever
contact end
clo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325U (ko
Inventor
김응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5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6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01H73/045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가동접촉단을 구비하는 개폐레버;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레버; 및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 시 상기 가동접촉단과 접촉하는 고정접촉단을 구비하는 고정접촉부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과부하 또는 단락 등의 이상 상태에 대해 회로를 차단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장치이다. 즉, 전기회로에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차단기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사무실, 백화점 등 전력이 많이 필요한 공간에서, 차단기의 전원 스위치가 소형 분전반 내에 밀도 높게 내장되어 한 곳에서 여러 전원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차단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ON 상태에서의 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OFF 상태에서의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1)는 핸들(10), 상기 핸들과 결합되어 있는 핸들 지지대(11), 연결부(20), 체결부(30), 고정접촉부(60), 및 상기 체결부(30)가 삽입되는 가동접촉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핸들 지지대(11)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1핀(21)과 상기 체결부(3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2핀(22)을 포함한다. 제 1핀(21)과 제 2핀(22)은 상기 연결부(20) 상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잠금레버(50)는 상기 핸들(10)의 회전 지점을 결정하고, 메인스프링(40)과 연결된다.
상기 가동접촉부(70)의 일측에 위치하는 가동접촉단(71)과 상기 고정접촉부(60)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접촉단(61)은 서로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다.
핸들지지대(11) 또는 핸들(10)에 스프링(미도시) 일단이 연결되고, 체결부(30) 또는 가동접촉부(70)에 스프링 타단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핸들(10)을 작동하면 상기 가동접촉부(70)가 상기 스프링의 인장력에 따라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전원의 ON/OFF가 결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10)을 일 예로 도 1에서 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가동접촉부(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접촉단(71)은 상기 고정접촉단(61)과 접촉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10)을 일 예로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가동접촉부(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접촉단(71)은 상기 고정접촉단(61)에서 이격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에 의하면, 연결부와 핸들 지지대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1핀과, 연결부와 체결부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2핀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제 1핀과 제 2핀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핸들을 OFF 상태에 놓이게 작동하였으나 차단기는 여전히 ON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 및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오작동이 발생하여 차단기를 수리할 때, 회로 내에 고전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위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기를 작동시, 상기 차단기의 차단 상태가 유지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단기는, 가동접촉단을 구비하는 개폐레버;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레버; 및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 시 상기 가동접촉단과 접촉하는 고정접촉단을 구비하는 고정접촉부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제안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차단기 개폐레버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개폐장치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동접촉부와 연결되는 제 1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차단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차단기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ON 상태에서의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OFF 상태에서의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개폐레버의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레버의 분해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는 차단기가 ON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6은 잠금 레버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7은 차단기가 OFF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은 잠금 레버가 개폐레버를 잠근 상태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100)는, 프레임(110)과, 개폐레버(200)와, 상기 개폐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레버(500)와, 상기 개폐레버(200)와 접촉할 수 있는 고정접촉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레버(20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손잡이 형태로 구성되는 핸들(230), 상기 핸들(230)의 하측에 연결되는 체결부(220) 및 상기 체결부(220)의 하측에 연결되는 가동접촉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230), 체결부(220) 및 상기 가동접촉부(210)는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0)은 상기 체결부(220)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110)과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프레임(110)에 형성된 회전축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부(210)는 가동접촉단(21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접촉부(600)는 고정접촉단(610)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접촉단(211)과 상기 고정접촉단(61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접촉이 가능하다. 상기 잠금레버(500)는, 차단기의 ON 상태 및 OFF 상태에서 상기 개페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차단기(100)는, 상기 개폐레버(200)와 연결되는 제 1 탄성부재(300)와, 상기 잠금레버(500)와 연결되는 제 2 탄성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부재(300) 및 제 2 탄성부재(40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탄성부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제 1 탄성부재(300)는 가동접촉단(211)이 고정접촉단(610)과 접촉되도록 상기 개폐레버(20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탄성부재(300)는 상기 가동접촉부(210)를 당긴다.
상기 제 2 탄성부재(400)는 상기 잠금레버(500)가 상기 핸들(230)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 2 탄성부재(400)는 상기 잠금레버(500)로 미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차단기(100)를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단기(100)의 ON 상태에서, 사용자는 잠금레버(500)를 핸들(230)로부터 분리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즉, 상기 잠금레버(500)를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제 2 탄성부재(400)는 수축된다. 그 다음,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개폐레버(2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가동접촉단(211)과 고정접촉단(610)이 이격되고, 차단기(100)의 전원은 OFF 상태가 된다. 즉, 개폐레버의 일측 단부에 가동접촉단(211)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단(211)이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어, 상기 고정접촉단(610)에 이격된다.
상기 차단기(100)의 전원 OFF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상기 잠금레버(500)의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잠금레버(500)는 상기 제2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500)는 상기 개폐레버(200)의 핸들(230) 측에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개폐레버(200)는 상기 잠금레버(500)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어, 차단기(100)의 전원 OFF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차단기 전원을 OFF에서 ON 상태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잠금레버(500)를 도 8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개폐레버(20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레버(200)는 상기 제 1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가동접촉단(211)이 상기 고정접촉단(610)에 접촉하여 차단기(100)의 전원이 ON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잠금레버(500)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잠금레버(500)는 상기 제 2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500)는 상기 개폐레버(200)의 핸들(230) 측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레버의 일측에 가동접촉단이 배치됨에 따라 가동접촉단이 개폐레버와 함께 회전되므로, 개폐레버의 조작 시 차단기의 전원 ON 상태 또는 OFF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핸들이 제 1핀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가동접촉부가 제 2핀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핀 간의 유격에 의해, 가동접촉부가 핸들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가동접촉단을 구비하는 개폐레버가 단일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축 역할을 하는 핀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원가가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폐레버가 제 1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음에 따라서, 차단기의 ON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차단기 200: 개폐레버
300: 제 1 탄성부재 400: 제 2 탄성부재
500: 잠금레버 600: 고정접촉부

Claims (3)

  1. 가동접촉단을 구비하는 개폐레버;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레버;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 시 상기 가동접촉단과 접촉하는 고정접촉단을 구비하는 고정접촉부;
    상기 개폐레버에 연결되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잠금레버에 연결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레버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가동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접촉부에 상기 가동접촉단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레버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접촉단과 상기 고정접촉단이 접속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를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핸들을 향햐여 회전되도록 상기 잠금레버를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개폐레버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동접촉단이 상기 고정접촉단에 접촉하고,
    상기 개폐레버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동접촉단이 상기 고정접촉단과 이격되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핸들과 결합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잠금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폐레버가 회전가능하고,
    상기 잠금레버의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핸들에 결합되는 차단기.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5052U 2012-06-14 2012-06-14 차단기 KR200482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052U KR200482161Y1 (ko) 2012-06-14 2012-06-14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052U KR200482161Y1 (ko) 2012-06-14 2012-06-14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25U KR20130007325U (ko) 2013-12-24
KR200482161Y1 true KR200482161Y1 (ko) 2016-12-22

Family

ID=5371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052U KR200482161Y1 (ko) 2012-06-14 2012-06-14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61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2545B2 (ja) * 2009-11-24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25U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74321A1 (zh) 断路器操作机构
JP2015122152A (ja)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20120119856A1 (en) Multi-phase medium voltage contactor
US20200020499A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200482161Y1 (ko) 차단기
JP2015002012A (ja) 接点装置及び回路遮断器
EP2204826B1 (en)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2081698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2067391B1 (ko) 배선용 차단기
US98122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WO2022017078A1 (zh) 一种远程分闸机构及旋转开关
US10002736B2 (en) Double make double break interrupter module with independent blades
CA2894939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ink assembly therefor
JP5217019B2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CN107004542B (zh) 电气开关设备以及用于其上的杆轴卡持组件
KR101098227B1 (ko) 급속반전 기구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
KR101926043B1 (ko) 기중 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KR101759596B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CN219677177U (zh) 介电测试开关及断路器
JP5217020B2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KR200466276Y1 (ko) 회로 차단기의 트립 장치
JP2021077557A (ja) 引外し装置及び回路遮断器
US20150162147A1 (en) Accessory device having integrally formed plunger
KR10181047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메커니즘 연결 구조
KR101698814B1 (ko)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