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13Y1 - 다용도 문구 꽂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문구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13Y1
KR200482113Y1 KR2020160001539U KR20160001539U KR200482113Y1 KR 200482113 Y1 KR200482113 Y1 KR 200482113Y1 KR 2020160001539 U KR2020160001539 U KR 2020160001539U KR 20160001539 U KR20160001539 U KR 20160001539U KR 200482113 Y1 KR200482113 Y1 KR 200482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ace
shelf
fold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현
고정수
Original Assignee
협신포장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신포장공업(주) filed Critical 협신포장공업(주)
Priority to KR2020160001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8Desk-receptacles for holding writ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문구 꽂이는, 한장의 전개도로 이루어져 접음선을 따라 접고 끼워서 완성되는 선반과 문구 꽂이로; 문구류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면(5)과; 상기 선반면(5)을 바닥에서 올려주어 테두리로 지지해 주는 앞면(11)과 접히는 면(4, 6, 7, 8)들과; 선반을 기역(ㄱ)자로 둘러 감싸고 있는 전면 꽂이 부분과 우측꽂이 면; 상기 꽂이 면을 나뉘어 지도록 기역(ㄱ)자 꽂이 통 내측에 위치하는 선반 우측면(14);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용도 문구 꽂이가 되어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문구 꽂이 {Multipurpose holder}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쉽게 접어서 제작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문구류를 깔끔하게 정리하기 유용하도록 제작된 다용도 문구 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판지 및 접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종이에 전개된 도면 상태로 제공되는 하나의 도안을 접음선을 따라 간단하게 접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장식미도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문구 꽂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각 가정과 사무실에서는 다양항 형태와 종류의 문구들을 이용한 많은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있다. 이렇게 다양한 문구류를 책상위에 가지런히 정리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와 형태의 연필 꽂이 통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기구와 가위, 자, 칼 등과 같은 문방구들을 깔끔하고 손쉽게 활용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형태로 문구정리함과 연필꽂이, 서랍들이 시판 되어져 있다. 많은 종류의 문구 정리 함은 연필 및 필기구를 꽂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사각 또는 원형의 통으로 형성 되어 있고, 여기에는 길다란 형태의 문구만이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정리함들은 플라스틱, 나무, 사기 등 무겁고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많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정리함은 떨어뜨려 깨질 수 있고 버려질 때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길다란 연필, 자, 칼과 같은 형태의 문구류 외에도 포스트잇, 쪽지, 메모장, 테이프, 스템플러 등 책상을 복잡하게하는 문구들은 상기의 정리함들에는 넣기가 어려워서 정리 없이 놓여진 상태로도 책상에서 손쉽게 손이 닿는 곳에 놓아서 책상위에는 여전히 정리 되지 못한 문구들이 있게 되며, 이렇게 길다란 형태가 아닌 문구류도 깔끔하게 정리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78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884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개된 상태로 제공되는 다용도 문구 꽂로 소재의 접음선을 따라 간단하게 접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스스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장식미도 있으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문구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기지 문구를 편리하게 종류별로 정리 할 수 있고, 다른 문구함과는 달리 문구나 메모지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이 있어 활용하거나 문구 외의 꾸미는 선반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가벼운 종이 제질로 만들어져 있어 어린이들도 재미있게 만들기 시간에 활용이 가능하며 깨지지 않는 다용도 문구 꽂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 후 이를 폐기함에 있어서도 각 부분을 용이하게 펼쳐 가지런히 정돈하여 분리수거함으로써,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다용도 문구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문구 꽂이는, 한장의 전개도로 이루어져 접음선을 따라 접고 끼워서 완성되는 선반과 문구 꽂이로, 문구류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면(5)과, 상기 선반면(5)을 바닥에서 올려주어 테두리로 지지해 주는 앞면(11)과 접히는 면(4, 6, 7, 8)들을 형성하고, 선반을 기역(ㄱ)자로 둘러 감싸고 있는 전면 꽂이 부분과 우측꽂이 면이 있어서 문구를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꽂이 면을 칸막이가 형성되도록 기역(ㄱ)자 꽂이 통 내측에 위치하는 선반 우측면(1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용도 문구 꽂이가 완성된다.
상기 다용도 문구 꽂이(100)는 전개도의 후면(3)과 좌측 벽면(10)을 이루는 후면 2 접음선(209)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고; 전면 꽂이와 앞면 프래임이 형성되도록 좌측벽면(10), 선반전면(12), 앞면 프래임(11)을 연결하는 좌측 접음선(210), 앞면 접음선(211), 내측 접음선(213)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고 끼움홈 1접음선(212)을 바깥으로 직각으로 접어 입체를 형성한다.
상기 우측 꽂이면을 형성하는 전반 우측면(14)과 우측면(16)을 이루는 우측면 2접음선(215), 끼움면 2접음선(216)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고, 우측 꽂이가 우측에 위치 하도록 우측면(16)과 앞면 프래임(11)을 나누는 접음선인 우측면1접음선(214)을 직각으로 접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우측 꽂이 부분이 고정되도록 선반 우측면에 맞다아 있는 위쪽 끼움홈(20)과 아래쪽 끼움홈(30)을 끼워 고정한다.
문구꽂이의 바닥면(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닥면(2)에 위치한 바닥면1 접음선(206)과 바닥면2접음선(207)을 각각 직각이 되도록 접고 앞면 프래임(11)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끼워 넣어 고정이 되도록 하고, 선반면(5)을 형성하기 위해서 선반면(5)을 지지하는 면들을 형성하도록 선반면1접음선(201), 선반면2접음선 (202), 선반면3접음선(203), 선반면4접음선(204)를 각각 직각이 되도록 접고 좌측 아랫면 접음선(205)을 접어서 좌측아랫면(8)이 좌측벽면(10)을 감싸고 바닥면(2)위에 위치하도록 하며, 후면(3)이 우측꽂이 면과 고정되도록 후면1접음선(208)을 직각으로 접어 우측면에 접착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문구 꽂이는, 전개된 상태로 제공되는 종이 소재의 접음선을 따라 간단하게 접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스스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장식미도 있으며,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문구 꽂이는, 흔히 이용되는 문구함의 재료인 플라스틱이나 나무 또는 사기로 제작되지 않아 가볍고 책상위에서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으며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문구 꽂이는, 골판지로 제작하여 누구나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어린 아이들도 도면에 따라 접기만 하면 예쁜 문구함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아이들이 조작능력과 성취감을 높이기 위해 활용하면 제작된 도면 한 장만을 제공하도 아이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자신이 직접 꾸미는 것도 가능하여 유치원과 학원 또는 기타 아이들에게 잠시 집중할 시간을 안전하게 제공하고자 하는 카페, 식당, 비행기, 대기실 등에서 활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문구 꽂이는, 화장대 선반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길게 제작된 화장품은 꽂이 선반에 정리가 가능하며 선반 위에는 바닥에 놓아서 사용이 가능한 크림, 팩트와 같이 놓을 수 있는 화장품 또는 거울을 놓아서 화장대 정리 활용이 가능하도록 활용이 가능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용도 문구 꽂이 및 선반의 예시도 이다.
도 2와 도 3은 다용도 문구 꽂이 및 선반의 전개도 이다.
도 4에서 도 13까지는 다용도 문구 꽂이 및 선반의 접는 방법에 대한 예시도 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문구꽂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문구꽂이(100)에서 조립이 완성된 다용도 문구꽂이의 사시도이고, 도2와 도3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문구 꽂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문구 꽂이(100)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문구류를 꽂음으로써 어수선한 책상을 정리하기 쉬우며 꽂아 놓기 어려운 물건은 선반에 올려 놓아 기존의 문구꽂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문구 꽂이는 기역(ㄱ)자 모양의 상층이 개방되어 있으며 6개의 벽면으로 외벽을 만들고 중간에 칸막이가 있어서 분리하여 문구 나 연필을 꽂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기역(ㄱ)모양의 가운데에는 선반이 되어 있어서 지우개, 메모지, 스템플러, 사진, 컵 등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물건을 올려 놓으므로 정리가 가능한 다용도 문구 꽂이(도 1)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문구 꽂이(도 1)는 선반면(5)을 중심으로 선반전면(12), 좌측벽면(10), 후면(3), 우측면(16)을 형성하여 기역(ㄱ)자 모양으로 문구를 꽂을 수 있게 되어있고, 선반우측면(14)이 문구 꽂이 부분을 내부에 분리하여 나누어서 이루어진 문구 꽂이와 선반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용도 문구 꽂이 및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문구 꽂이의 전개도는 한장으로 문구 꽂이부분과 선반면이 모두 완성 되어 접는 선을 연결하면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접는선이 하나의 면만을 이루지 않는다. 상기의 전개도(도 2, 도 3)에 후면(3)은 좌측 벽면(10)과 바닥면(2)에 연결되어있으며, 도 4와 같이 전개도에 표시된 후면2접음선(209)을 안쪽으로 접으면 도 5와 같이 표현이 되어진다.
후면2접음선(209)을 직각으로 접고 후면 꽂이와 앞면 프래임(11)이 형성되도록 좌측벽면(10), 선반전면(12), 앞면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좌측면 접음선(210), 앞면 접음선(211)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어 좌측 벽면(10)을 형성하고, 선반 전면(12)과 앞면프레임(11)이 형성되도록 내측접음선(213)은 안쪽으로 직각을 이루게 접고, 끼움홈 1접음선(212)을 바깥으로 직각으로 접으면, 앞면프레임(11)과 선반 전면(12)이 네모의 형태로 구명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꽂이의 형태는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를 형성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우측 꽂이면을 형성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반전면(12)과 앞면 프레임(11)이 완성된 전개도의 우측에 있는 우측면(16)과 선반 우측면(14)이 우측 꽂이를 형성 가능 하도록 우측면 2접음선(215), 끼움면 2접음선(216)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도록 접으면, 상기 우측면(16)과 선반 우측면(14) 접은 형태가 디귿(ㄷ)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은 형태는 도 7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도 바닥면(2)과 후면(3)을 바닥에 놓고 보았을 때 디귿(ㄷ)형태의 입체가 형성된다.
상기의 디귿(ㄷ)형태의 전개 도에 접는 방법에서 우측꽂이면 형태의 완성을 위해서는 우측면(16)과 앞면 프래임(11)을 나누는 접음선인 우측면1접음선(214)을 직각이 되도록 접으면 된다. 상기와 같이 우측면1접음선(214)을 접으면, 선반 우측면(14)이 선반 전면(12)에 연결되어 부분(13)과 맞대어 있게 되는데 이를 위쪽 끼움 홈(20)과 아래쪽 끼움 홈(30)을 끼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아래, 위의 끼움 홈을 연결하여 끼우게 되면 우측에 꽂이 부분이 선반 전면(12)과 연결되도록 고정이 되며, 상기와 같은 끼워진 선반 우측면(14)은 문구 꽂이의 칸막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접음 형태는 도 8에 예시되어 나타내었다.
상기 다용도 문구 꽂이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우측의 꽂이 부분을 형성하고 끼움홈이 완성된 전개도면의 바닥면(2)을 형성할수 있도록 바닥면 1접음선(206)을 직각으로 접고, 후면(3)과 접하여 있는 바닥면(2)의 다른쪽인 바닥면 2접음선(207)을 직각으로 접으면 상기 바닥면(2)과 접해진 끝부분인 바닥면 1접음선(206)에 의해 생긴 면을 앞면 프레임(11)안쪽 즉 선반 전면쪽(12)에 마주 보도록 끼워 넣는다. 상기와 같이 끼워 넣을 경우 바닥면(2)을 바닥에 놓고 바라 볼 경우 바닥면과 접한 부분(1)은 보이지 않고 앞면 프레임(11) 부분만 보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접는 방법은 도9와 도10에서와 같이 예시되어 보여진다.
상기와 같은 접음선을 접어 만들어진 결과를 보면 도11와 같이 보여지며 이와 선반면만을 형성하면 다용도 문구 꽂이가 구성이 완성될 수 있다.
선반면(5)을 형성하기 위해서 선반면(5)을 지지하는 면들을 형성하도록 선반면1 접음선(201), 선반면2접음선(202), 선반면3접음선(203), 선반면4접음선(204)를 각각 직각이 되도록 접고 좌측 아랫면 접음선(205)을 직각으로 접어서 좌측아랫면(8)이 좌측벽면(10)을 감싸게 되면서 상기의 선반면(5)이 세워져 바닥면(2)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기억(ㄱ)자의 문구 꽂이 안쪽에 들어가 끼워 지게 된다. 상기위 과정은 도 11, 도 12, 도13에 예시되어 표현하였다.
상기의 다용도 문구 꽂이는 후면(3)이 우측꽂이 면과 고정되도록 후면1접음선(208)을 직각으로 후면에 연결된 면(9)이 접어 우측면(16)에 접착하는 과정으로 마무리를 하게 되면 다용도 문구 꽂이(100)의 형태가 완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앞면 안쪽 부분 2 : 바닥면
3 : 후면 4 : 앞면 끼움
5 : 선반면 6 : 선반전면 끼움
7 : 선반우측면 끼움 8 : 좌측아랫면
9 : 우측면 끼움 10 : 좌측 벽면
11 : 앞면 프레임 12 : 선반 전면
13 : 선반우측면 끼움 14 : 선반 우측면
15 : 바닥면 끼움 16 : 우측면
20 : 위쪽 끼움 홈 30 : 아래쪽 끼움 홈
201 : 선반면1접음선 202 : 선반면2접음선
203 : 선반면3접음선 204 : 선반면4접음선
205 : 좌측아랫면 접음선 206 : 바닥면1접음선
207 : 바닥면2접음선 208 : 후면1접음선
209 : 후면2 접음선 210 : 좌측면 접음선
211 : 앞면 접음선 212 : 끼움홈1접음선
213 : 내측접음선 214 : 우측면1접음선
215 : 우측면2접음선 216 : 끼움면2접음선

Claims (3)

  1. 한 장의 전개도로 이루어져 접음선을 따라 접고 끼워서 완성되는 선반과 문구꽂이로;
    문구류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면(5)과;
    상기 선반면(5)을 바닥에서 올려주어 테두리로 지지해 주는 앞면(11) 및 접히는 면(4, 6, 7, 8)들과;
    선반을 기역(ㄱ)자로 둘러 감싸고 있는 전면 꽂이 부분과 우측꽂이 면;
    전면 꽂이 부분과 우측 꽂이 면을 나뉘어 지도록 기역(ㄱ)자 꽂이 통 내측에 위치하는 선반 우측면(14); 으로 구성된 다용도 문구꽂이는,
    후면(3)과 좌측 벽면(10)을 이루는 후면 2 접음선(209)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고;
    전면 꽂이와 앞면 프래임이 형성되도록 좌측벽면(10), 선반전면(12), 앞면 프래임(11)을 연결하는 좌측면 접음선(210), 앞면 접음선(211), 내측 접음선(213)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고 끼움홈 1접음선(212)을 바깥으로 직각으로 접어 입체를 형성 하며;
    우측 꽂이면을 형성하는 전반 우측면(14)과 우측면(16)을 이루는 우측면 2접음선(215), 끼움면 2접음선(216)을 안쪽으로 직각이 되게 접고;
    우측 꽂이가 우측에 위치 하도록 우측면(16)과 앞면 프래임(11)을 나누는 접음선인 우측면1접음선(214)을 직각으로 접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우측 꽂이부분이 고정되도록 선반 우측면에 맞대어 있는 위쪽 끼움홈(20)과 아래쪽 끼움홈(30)을 끼워 고정하고;
    문구꽂이의 바닥면(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닥면(2)에 위치한 바닥면1 접음선(206)과 바닥면2접음선(207)을 각각 직각이 되도록 접고 앞면 프래임(11)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끼워 넣어 고정이 되도록 하고;
    선반면(5)을 형성하기 위해서 선반면(5)을 지지하는 면들을 형성하도록 선반면1 접음선(201), 선반면2접음선(202), 선반면3접음선(203), 선반면4접음선(204)를 각각 직각이 되도록 접고 좌측 아랫면 접음선(205)을 접어서 좌측아랫면(8)이 좌측벽면(10)을 감싸고 바닥면(2)위에 위치하도록 하며;
    후면(3)이 우측꽂이 면과 고정되도록 후면1접음선(208)을 직각으로 접어 우측면에 접착하여; 완성되며,
    상기 전개도는 접을 수 있고 지지가 가능한 골판지, 하드보드지, 캔트지, 색지, 도화지, 공예지, 마분지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 다용도 문구 꽂이.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1539U 2016-03-22 2016-03-22 다용도 문구 꽂이 KR200482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39U KR200482113Y1 (ko) 2016-03-22 2016-03-22 다용도 문구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39U KR200482113Y1 (ko) 2016-03-22 2016-03-22 다용도 문구 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113Y1 true KR200482113Y1 (ko) 2016-12-16

Family

ID=5770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39U KR200482113Y1 (ko) 2016-03-22 2016-03-22 다용도 문구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1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48U (ko) * 2008-10-24 2010-05-04 박영선 수납박스
KR200454884Y1 (ko) 2011-05-23 2011-08-03 이건우 조립식 꽂이통
CN202514834U (zh) * 2011-11-14 2012-11-07 傅世华 一种组合文具盒
KR101588786B1 (ko) 2014-09-05 2016-01-2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문구함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48U (ko) * 2008-10-24 2010-05-04 박영선 수납박스
KR200454884Y1 (ko) 2011-05-23 2011-08-03 이건우 조립식 꽂이통
CN202514834U (zh) * 2011-11-14 2012-11-07 傅世华 一种组合文具盒
KR101588786B1 (ko) 2014-09-05 2016-01-2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문구함 및 그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485B2 (en) Deployable workstation
US2224530A (en) Bookstand
US3327688A (en) Desk organizer
US5460101A (en) Wall-mounted foldable desk
US5088678A (en) Multi-station easel
KR200482113Y1 (ko) 다용도 문구 꽂이
CN108068487A (zh) 用于生产笔座笔记本的方法及用该方法生产的笔记本
US2285576A (en) Bed easel construction
JP3142065U (ja) 折りたたみ式眼鏡ケース
KR200465875Y1 (ko) 사무용품 수납함
CN201245262Y (zh) 纸盒
KR101314757B1 (ko) 다용도 수납장치
US5388688A (en) Pen-case convertible into a pen-stand
JP2008536550A (ja) 側壁内に保管室を有する家具
WO2019193489A1 (en) Multifunction table
CN203662229U (zh) 新型会展桌
CN219206695U (zh) 一种可调节的纸巾盒
CN219134919U (zh) 用于纸箱的分隔结构
CN205125549U (zh) 一种伸缩折叠收纳书架
JP3243644U (ja) 筆記具支持装置
JP3235085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
CN203449649U (zh) 糖果盒制作器
CN201097839Y (zh) 带有物品箱和写字板的椅子
CN207725986U (zh) 一种适用于快速消费食品的包装结构
CN215381974U (zh) 一种可折叠式笔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