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97Y1 - 바닥 배수판 - Google Patents
바닥 배수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097Y1 KR200482097Y1 KR2020160002742U KR20160002742U KR200482097Y1 KR 200482097 Y1 KR200482097 Y1 KR 200482097Y1 KR 2020160002742 U KR2020160002742 U KR 2020160002742U KR 20160002742 U KR20160002742 U KR 20160002742U KR 200482097 Y1 KR200482097 Y1 KR 2004820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ing column
- floor
- boundary
- reinforcing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 판 형태의 합성수지재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개방된 요홈부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하향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전후좌우 격자형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을 이루는 요홈부 상면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몸체의 경계부위 강성을 보강해주는 보강돌기로 구성한 바닥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원하는 부위에서 자유롭게 꺾임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바닥과 벽체의 경계부위에 적용되기 적당하도록 함을 물론 지지기둥과 몸체 사이의 강성을 보강하여 몸체의 꺾임시 지지기둥과의 경계부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누수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바닥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부위에서 자유롭게 꺾임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바닥과 벽체의 경계부위에 적용되기 적당하도록 함을 물론 지지기둥과 몸체 사이의 강성을 보강하여 몸체의 꺾임시 지지기둥과의 경계부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누수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바닥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의 지하층의 경우 건축물에 형성되는 크랙을 통해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바, 이러한 지하수를 소정의 집수정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시설 중 하나로 기초 콘크리트와 바닥 콘크리트 사이에 연접형태로 바닥 배수판을 설치하여 반영구적인 배수유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바닥 배수판은 통상 사각 판 형태의 몸체에 상부가 개방된 요홈부를 이루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하향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닥 배수판 다수개를 기초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 그대로 시공하거나, 바닥 배수판끼리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며, 바닥배수판의 위쪽에 시멘트 몰탈 또는 바닥콘크리트를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건축물의 지하층 측벽에서도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배수할 수할 수 있도록 측면 배수판을 건축물의 지하층 측벽에 시공해주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측벽과 바닥의 경계부위에서도 측벽과 바닥부를 서로 연결해줄 수 있도록 시공되어야 하는데, 측벽과 바닥부위를 서로 연결해줄 수 있는 전용 부재가 없어 통상 측벽과 바닥부위를 서로 연결해주도록 바닥 배수판을 직각 방향으로 꺾어 시공하고, 측벽부위의 바닥 배수판 상부로 측벽 배수판을 덮어 마감해주는 형태로 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배닥 배수판은 지지기둥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거나, 등록실용신안 제 20-0380424 호와 같이 지지기둥이 일자로 배치되더라도 강성 보강을 위해 지지기둥의 요홈부 사이에 보강연결홈과 같은 보강구조를 갖게 되므로 바닥 배수판을 직각방향으로 꺾을 때 원활하게 꺾어지지 않으며, 칼로 절단하여 억지로 꺾어 시공하기도 하지만 칼로 절단해주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위험하며, 바닥 배수판을 칼로 절단하여 꺾어주더라도 그 꺾임 부위로 누수가 발생되어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하는 부위에서 자유롭게 꺾임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바닥과 벽체의 경계부위에 적용되기 적당하도록 함을 물론 지지기둥과 몸체 사이의 강성을 보강하여 몸체의 꺾임시 지지기둥과의 경계부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누수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바닥 배수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사각 판 형태의 합성수지재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개방된 요홈부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하향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전후좌우 격자형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을 이루는 요홈부 상면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몸체의 경계부위 강성을 보강해주는 보강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돌기는, 인접한 다른 보강돌기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꺾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돌기의 외측단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측단부보다 상기 지지기둥의 중심부로부터 더 외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의 중앙에는 꺾임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전체에 연속되게 "V"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몸체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전후좌우 나란하게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몸체와 지지기둥의 경계부위에 보강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므로 보강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자유롭게 꺾임이 이루어질 수 있어 건축물의 지하층 벽체와 바닥부위의 경계부에 시공하기 유리해지는 것이며, 몸체의 꺾임시 보강돌기에 의해 몸체와 지지기둥의 경계부위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아 방수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보강돌기 사이의 공간부 중앙부에 몸체 전체에 연속되게 "V"홈을 형성해주게 되면 몸체를 꺾기 위해 힘을 줄 때 "V"홈 부위가 꺾이게 되어 꺾임부위가 일정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정확한 수치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꺾임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시공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꺾임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시공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무장갑용 속장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꺾임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시공 상태도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사각 판 형태의 합성수지재 몸체(10)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개방된 요홈부(21)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다수의 지지기둥(20)이 하향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지기둥(20)은 전후좌우 격자형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20)을 이루는 요홈부(21) 상면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보강돌기(30)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기둥(20)과 몸체(10)의 경계부위 강성을 보강해주도록 구성된다.
이때, 보강돌기(30)는 인접한 다른 보강돌기(30)와의 사이에 공간부(40)를 두고 형성되어 이러한 공간부(40)를 통해 꺾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공간부(40)는 꺾임이 이루어지는 부위이므로 그 폭이 너무 넓지 않도록 구성해야 하며, 지지기둥(20) 지름이 1/2보다는 좁은 폭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돌기(30)의 외측단부는 지지기둥(20)의 외측단부보다 지지기둥(20)의 중심부로부터 더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몸체(10)의 꺾임시 발생되는 응력이 지지기둥(20)과 몸체(10)의 경계부위에 미치지 않도록 구성해주게 된다.
아울러, 보강돌기(30)는 그 위쪽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요홈부(21)의 테두리 부위에서 중간중간이 비도록 군데군데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지지기둥(20) 자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20)을 각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 지지기둥(20)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지지기둥(20)은 콘크리트의 타설시 채워짐 특성과 배수 특성을 모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 또는 직경이 좁아지거나 작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건축물의 지하층 벽체와 바닥의 경계부위에 시공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몸체(10) 양쪽을 손으로 잡고 지지기둥(20)이 외측을 향하도록 원하는 부위를 꺾어주게 되면 그 힘에 의해 보강돌기(30)와 보강돌기(30) 사이의 공간부(40)가 자연스럽게 꺾이게 되며, 몸체(10)가 직각방향으로 꺾인 상태에서 이를 건축물의 지하층 벽체와 바닥의 경계부위에 위치시키고 바닥부에는 일반적인 바닥 배수판을 연이어 나란하게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주면 되고, 벽체측에서는 벽체 배수판을 바닥 배수판 위쪽을 덮도록 시공해주면 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보강돌기(30)와 보강돌기(30)의 사이의 공간부(40)가 몸체(10) 전체에서 인라인을 이루게 되므로 작업자의 힘만으로도 손쉽게 원하는 부위가 직각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보강돌기의 외측단부가 지지기둥(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지지기둥의 외측단부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므로 몸체(10)가 직각방향으로 꺾일 때 발생되는 힘이 보강돌기(30)에서 끊겨 몸체(10)와 지지기둥(20)의 경계부위까지 미치지 못하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지지기둥(20)과 몸체(10)의 경계부위가 터져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몸체(10)를 꺾어줄 때 보강돌기(30)와 보강돌기(30) 사이의 공간부(40)가 안내역할을 하게 되어 직각방향으로 몸체(10)를 꺾어주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림작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직각방향으로 꺾임된 다수의 지지기둥(20)이 건축물 지하층의 벽체와 바닥의 기초 콘크리트와 각각 접촉되어 반영구적인 유로를 형성해주게 되며, 그 꺾임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아 신뢰성있는 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건축물 지하층의 벽체와 바닥 사이의 경계부위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지만 이를 바닥면 전체에 적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보강돌기(30)와 보강돌기(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0)는 아무리 좁게 형성해주더라도 몸체(10)를 직각방향으로 꺾어줄 때 보강돌기(30)와 보강돌기(30)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좁게 형성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이 공간부(40)가 어느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면 몸체(10)를 꺾어줄 때 그 꺾임 부위가 직선이 되지 못하여 정확하게 꺾이지 않고 틀어질 염려가 있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40)의 중앙에는 꺾임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몸체(10) 전체에 연속되게 "V"홈(41)을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몸체(10)를 꺾어줄 때 "V"홈(41) 부위에 꺾임시 발생되는 응력이 집중되어 "V"홈(41) 부위를 따라 꺾이게 되므로 몸체(10)를 꺾어줄 때 직선방향으로 꺾임이 이루어져 몸체(10)가 틀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꺾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직각방향으로 꺾인 바닥 배수판을 시공할 때 항상 정확한 수치로 정확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몸체 20 : 지지기둥
21 : 요홈부 30 : 보강돌기
40 : 공간부 41 : "V"홈
21 : 요홈부 30 : 보강돌기
40 : 공간부 41 : "V"홈
Claims (4)
- 사각 판 형태의 합성수지재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개방된 요홈부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하향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전후좌우 격자형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 주위에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해주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바닥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지지기둥을 이루는 요홈부 상면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몸체의 경계부위 강성을 보강해주도록 구성되면서 인접한 다른 보강돌기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꺾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보강돌기의 외측단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측단부보다 상기 지지기둥의 중심부로부터 더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꺾임시 발생되는 응력이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몸체의 경계부위에 미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판.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중앙에는 꺾임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전체에 연속되게 "V"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742U KR200482097Y1 (ko) | 2016-05-19 | 2016-05-19 | 바닥 배수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742U KR200482097Y1 (ko) | 2016-05-19 | 2016-05-19 | 바닥 배수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2097Y1 true KR200482097Y1 (ko) | 2016-12-14 |
Family
ID=5757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742U KR200482097Y1 (ko) | 2016-05-19 | 2016-05-19 | 바닥 배수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097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424Y1 (ko) | 2005-01-14 | 2005-03-31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
KR200398326Y1 (ko) * | 2005-07-27 | 2005-10-12 | 덕창건업 주식회사 | 롤타입 배수판 |
-
2016
- 2016-05-19 KR KR2020160002742U patent/KR20048209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424Y1 (ko) | 2005-01-14 | 2005-03-31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
KR200398326Y1 (ko) * | 2005-07-27 | 2005-10-12 | 덕창건업 주식회사 | 롤타입 배수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05062B1 (en) | Showerdrain with insert | |
KR101000820B1 (ko) | 지수판 및 상기 지수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641050B1 (ko) | 바닥용 배수판 | |
KR200482097Y1 (ko) | 바닥 배수판 | |
CN203160528U (zh) | 一种预制混凝土槽形板 | |
KR20130106061A (ko) | 슬래브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867890B1 (ko) | 방수성이 우수한 자재 인양 오픈 박스 | |
KR101883035B1 (ko) | 바닥용 배수판 | |
KR102150402B1 (ko) | 지하 건축구조물의 배수로용 관로 트렌치 | |
KR101881075B1 (ko) |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
CN106193442A (zh) | 楼板用混凝土板以及楼板 | |
KR101208411B1 (ko) |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 |
KR200408429Y1 (ko) | 건축용 방수턱 거푸집 | |
KR20090073805A (ko) |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구조체 | |
KR101357005B1 (ko) | 배관 구조가 개선된 슬래브 데크 시스템 | |
JP6532708B2 (ja) | コンクリート用ボイド部材 | |
KR101551897B1 (ko) |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 |
KR20150059918A (ko) | 지중압입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통로 구조물 | |
KR102304465B1 (ko) | 단열재가 구성된 지붕의 시공구조 | |
KR102108626B1 (ko) | 착탈형 지지브라켓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0953989B1 (ko) |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 |
KR101078782B1 (ko) |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KR100883798B1 (ko) | 집수정 | |
JP2011052499A (ja) | 浴室ユニットの床構造及び床施工方法 | |
KR101859538B1 (ko) |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