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97B1 -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97B1
KR101551897B1 KR1020140164167A KR20140164167A KR101551897B1 KR 101551897 B1 KR101551897 B1 KR 101551897B1 KR 1020140164167 A KR1020140164167 A KR 1020140164167A KR 20140164167 A KR20140164167 A KR 20140164167A KR 101551897 B1 KR101551897 B1 KR 10155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groundwater
engaging
cylindr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근
Original Assignee
지에스이앤씨(주)
채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이앤씨(주), 채수근 filed Critical 지에스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4016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이 개시된다.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사각형 형상의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윗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판부재; 및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제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사각형 형상의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재와 결합하는 하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부터 지하수를 상기 상판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의 사이로 유도하는 지하수 배수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어 상기 제1 원통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단부로부터 상단부 아래로 만입되고 상기 제2 원통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만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UNDERGROUND WATER DRAINAGE DEVIC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을 위해 굴착이 종료된 기초 시공기준면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지하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소정의 깊이로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굴착이 종료된 지면(바닥면)이 기초 시공기준면이 되며, 이 기초 시공기준면을 기준으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기초 시공기준면에 지하수가 침투, 유입되는 경우, 지하수는 지하구조물에 양압력으로 작용된다. 여기서, 지하구조물이란, 지하에 시공되는 구조물을 말하며, 이러한 지하구조물을 갖는 건축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은 지하구조물의 바닥부와 그 주변 지하수위에 의한 수두차이로 발생되어서 지하구조물을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은 지하구조물에 다음과 같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지하수에 의해 발생되는 양압력이 지하구조물의 정하중(사하중)보다 크면 지하구조물은 부상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양압력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매트(Mat)기초 또는 기초바닥슬래브 구역에 크랙이 발생되어 결국 지하구조물은 파괴된다.
또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이 지하구조물의 정하중보다 작더라도,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약화를 촉진하고, 시공접합부(조인트) 등을 통하여 지하수가 지하구조물 내측으로 침투 유입되어 균열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층이 있는 토목 및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에 대한 대책으로 지하구조물의 기초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락 앵커 등을 설치하여 양압력에 저항시키거나, 또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드레인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집수 및 배수시켜서 양압력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드레인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의 공법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460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지하층 지반을 굴착한 후 기초 시공기준면(최종 굴착면)에 별도의 트렌치를 소정 깊이로 더 굴착한 다음, 이 트렌치 내에 집수정과 연결되는 다발관과 자갈(쇄석) 등을 채우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초 시공기준면에 미리 배치된 토목섬유 및 드레인보드를 통하여 지하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트렌치 내의 다발관으로 지하수가 모여서 집수정으로 배수된 다음,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를 펌프로 강제 배수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 시스템은 다발관의 경우 원통 형상이므로 지하수가 배수되는 통수 공간이 협소하며, 이에 의해 많은 양의 지하수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다발관이 원통 형상이고 축방향으로만 개방되어 있으므로 다발관의 주변으로부터 지하수가 쉽게 유입되지 못하며, 이에 의해 통수 공간 내로 지하수를 쉽게 유입시켜 배수하는 것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통 형상을 이루는 다발관은 다발관을 향해 가해지는 높은 수직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46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많은 양의 지하수를 집수하여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고, 효과적인 지하수의 유입 및 배수가 가능하며,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적용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사각형 형상의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윗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판부재; 및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제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사각형 형상의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재와 결합하는 하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부터 지하수를 상기 상판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의 사이로 유도하는 지하수 배수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어 상기 제1 원통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단부로부터 상단부 아래로 만입되고 상기 제2 원통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만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하수 배수판의 연결을 위한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결합부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아랫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첨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상기 제2 결합부는 원통 형상의 외면에 상향 돌출되고 원통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세장형의 체결날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원통 형상의 외면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날개들에 대응하도록 원통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날개삽입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만입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세레이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원통부의 외면에 형성된 제2 세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외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원통형상으로 연장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할 때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만입부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에 의하면, 많은 양의 지하수를 집수하여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고, 효과적인 지하수의 유입 및 배수가 가능하며,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적용하여 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 연결되는 지하수 배수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와 지하수 배수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은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를 포함한다.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는 서로 결합되며, 토목 및 건축 지하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소정의 깊이로 굴착되고 그 굴착이 종료된 지면인 기초 시공기준면에 설치되어 기초 시공기준면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부재(1100)는 제1 플레이트부(1110) 및 제1 결합부(112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111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이다. 사각형 형상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1 결합부(1120)는 상판부재(1100)를 하판부재(1200)와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제1 결합부(1120)는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윗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1 결합부(1120)는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되, 원통 형상은 원통 형상의 상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결합부(1120)는 제1 원통부(1121) 및 제2 원통부(1122)를 포함한다. 제1 원통부(1121)는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윗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원통부(1122)는 제1 원통부(11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원통부(1122)는 제1 원통부(1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제1 결합부(1120)는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1120)는 제1 플레이트부(1110)의 평면에서 볼 때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좌, 우측 각각에 종방향을 따라 3열로 배열될 수 있고, 횡방향을 따라 배열된 열 수는 제한이 없다.
하판부재(1200)는 제2 플레이트부(1210), 제2 결합부(1220) 및 제3 결합부(1230)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부(121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이다. 사각형 형상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부(1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부(1220)는 하판부재(1200)를 상판부재(1100)와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제2 결합부(122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2 결합부(1220)는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되, 원통 형상은 원통 형상의 상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결합부(1220)는 제1 만입부(1221)를 포함한다. 제1 만입부(1221)는 제2 결합부(1220)의 원통 형상의 상단부로부터 아래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제1 결합부(1120)의 제2 원통부(11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1120)의 제2 원통부(1122)가 제1 만입부(12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결합부(122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제2 결합부(122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평면에서 볼 때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좌, 우측 각각에 종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될 수 있고, 횡방향을 따라 배열된 열 수는 제한이 없다.
제3 결합부(123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3 결합부(123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양측에 위치한다. 즉, 제3 결합부(123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제2 결합부(1220)의 2개의 열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열의 옆에 위치한다. 제3 결합부(1230)는 1열로 배열되며,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종방향을 따라 배열된 개수와 동일하다. 또한 제3 결합부(1230)는 제2 결합부(1220)의 직경보다 작고 제1 결합부(1120)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제3 결합부(1230)에는 지하수 배수판(1300)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 연결되는 지하수 배수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지하수 배수판(1300)은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사이로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지하수 배수판(1300)은 제3 플레이트부(1310) 및 제4 결합부(1320)를 포함한다.
제3 플레이트부(131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이다. 사각형 형상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제3 플레이트부(1310)의 사각형 형상은 제1 플레이트부(1110) 및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사각형 형상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제4 결합부(1320)는 제3 플레이트부(1310)의 윗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4 결합부(1320)는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되, 원통 형상의 상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4 결합부(1320)는 제2 만입부(1321)를 포함한다. 제2 만입부(1321)는 제4 결합부(1320)의 원통 형상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다. 이러한 제2 만입부(1321)는 제3 결합부(123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3 결합부(1230)의 상단부는 제2 만입부(132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은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서로 결합되어 기초 시공기준면에서 지하수를 배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결합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판부재(120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아랫면이 기초 시공기준면(미도시) 상에 놓이도록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의 하판부재(1200)의 위로 상판부재(1100)를 결합한다. 이때, 제1 결합부(1120)는 제2 결합부(1220)와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부(1120)의 제2 원통부(1122)는 제2 결합부(1220)의 제1 만입부(1221)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 원통부(1121)의 상단부는 제2 결합부(1220)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1120)는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좌, 우측에 각각 3열로 배열되고, 제2 결합부(1220)는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좌, 우측에 각각 2열로 배열된 경우, 2열의 제1 결합부(1120)는 2열의 제2 결합부(1220)에 결합된다. 이때,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좌, 우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나머지 1열의 제1 결합부(1120)는 제3 결합부(1230)의 위로 위치하여 제3 결합부(123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결합되면 상판부재(1100)의 제1 플레이트부(1110) 및 하판부재(1200)의 제2 플레이트부(1210)는 이격되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사이에 지하수가 지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사방은 외부로 열려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와 지하수 배수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에는 지하수 배수판(1300)이 결합되는데,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여 그 상태를 살펴보면, 지하수 배수판(1300)의 제4 결합부(1320)는 상판부재(1100)의 제1 결합부(1120)와, 하판부재(1200)의 제3 결합부(1230)와 결합된다. 즉, 하판부재(1200)의 제3 결합부(1230) 상단부는 제4 결합부(1320)의 하부 공간인 제2 만입부(1321)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판부재(1100)의 제1 결합부(1120)는 제4 결합부(1320)의 상부 공간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지하수 배수판(1300)의 제4 결합부(1320)는 하판부재(1200)의 제3 결합부(1230) 및 상판부재(1100)의 제1 결합부(1120)에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 그리고 지하수 배수판(1300)은 서로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결합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 및 이에 연결되는 지하수 배수판(1300)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지하 부분을 시공하기 위하여 굴착작업을 시행하는 바, 굴착작업이 종료된 지표면 즉, 기초 시공기준면을 고르게 정리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 시공기준면의 설계 배치 기준에 따라 토목섬유를 소정의 배열로 깔아주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토목섬유(10)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침투 유입되는 지하수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여 초기집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토목섬유(10) 상에 지하수 배수관(1000) 및 지하수 배수판(1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먼저 토목섬유(10) 상에 하판부재(1200)를 소정의 배열, 예를 들면, 하판부재(1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를 나열하고, 하판부재(1200)에 상판부재(1100)를 결합하기 전에 지하수 배수판(1300)의 외면을 토목섬유로 감싼 후 지하수 배수판(1300)을 소정의 배열, 예를 들면, 하판부재들(1200)이 나열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하수 배수판(1300)을 다수 나열하여 하판부재(1200)와 결합한다. 이러한 모습은 도 5 및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이후, 서로 결합된 하판부재(1200) 및 지하수 배수판(1300)의 위에서 상판부재(1100)를 하판부재(1200)에 결합한다.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 지하수 배수판(1300)의 결합 구조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지하수 배수판(1300) 및 지하수 배수관(1000) 위로 폴리에틸렌 필름(20)을 적층하고, 이어서 폴리에틸렌 필름(20) 위로 버림콘크리트(30)를 타설하며, 마지막으로 버림콘크리트(30) 위로 마감층(40)을 형성한다. 마감층(40)은 예를 들면, 매트 또는 슬래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하수 배수관(1000) 및 지하수 배수판(1300) 위로 버팀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후속공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지하수 배수관(1000) 및 지하수 배수판(1300)의 시공이 완료되면,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지하수 배수판(1300)에 의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사이로 유도되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형성하는 통로 내로 유입된다.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형성하는 배수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집수정(미도시)으로 배수된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 즉 십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결합되는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결합구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지하수 배수관(1000)을 기초 시공기준면에 시공할 때 설치 방향의 전환이 쉽고, 이에 의해 지하수 배수관(1000)의 시공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은 판 형태의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하여 사각형 구조의 배수관을 형성함에 따라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첫째,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는 통수공간이 크게 확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많은 양의 지하수를 집수하여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다.
둘째, 서로 결합된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측면부가 개방되므로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 주변의 지하수가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형성하는 배수 통로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효과적인 지하수의 유입 및 배수가 가능하다.
셋째, 기초 시공기준면에 설치하는 경우 하판부재(1200)의 제2 플레이트부(1210)가 지반에 밀착되므로 기초 시공기준면에 밀착 시공이 가능하고, 별도의 연결소켓 없이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20) 및 제2 결합부(1220)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가 쉽게 결합되므로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다.
넷째, 사각형 구조의 배수관 형태를 이루며,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에 형성된 돌출된 제1 결합부(1120) 및 제2 결합부(1220)가 기초 시공기준면으로부터 수직한 상태를 이루고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전체 면적에 등간격으로 배열됨에 따라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지지하므로 상판부재(1100)를 향해 가해지는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다섯째, 원형 관 형태의 종래의 배수관 보다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이에 의해 기초 시공기준면에 타설되는 버림콘크리트의 타설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예를 들면, 60mm 이하)라도 이에 관계 없이 협소한 공간에도 쉽게 적용하여 시공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2000)는 상판부재(2100)와 결합하는 하판부재(2200)의 제2 플레이트부(2210)는 아랫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첨예부(2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2000)는 하판부재(2200)를 기초 시공기준면에 설치할 때 제2 플레이트부(2210)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밀착되고, 이때 첨예부(2240)가 기초 시공기준면에 박히게 되고, 이에 의해 하판부재(2200)는 기초 시공기준면 상에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지하수를 배수하는 과정에서 지하수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유동되거나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최초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3000)은 하판부재(3200)의 제2 결합부(3220)는 원통 형상의 외면에 상향 돌출되고 원통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세장형의 체결날개들(3222)을 더 포함하고, 상판부재(3100)의 제1 결합부(3120)는 원통 형상의 외면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날개들(3222)에 대응하도록 원통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날개삽입부들(3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3000)의 상판부재(3100) 및 하판부재(3200)를 결합할 때, 제1 결합부(3120)를 제2 결합부(3220)에 결합하면 제2 결합부(3220)에 형성된 체결날개들(3222)이 제1 결합부(3120)에 형성된 날개삽입부들(3123)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갖게 되면, 제1 결합부(3120)는 제2 결합부(32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판부재(3100) 및 하판부재(3200)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4000)은 하판부재(4200)의 제2 결합부(4220)는 제1 만입부(4221)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세레이션부(4222)를 더 포함하고, 상판부재(4100)의 제1 결합부(4120)는 제2 원통부(4122)의 외면에 형성된 제2 세레이션부(4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4000)은 상판부재(4100) 및 하판부재(4200)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부(4120) 및 제2 결합부(4220)가 결합될 때 제2 결합부(4220)의 제1 만입부(4221)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세레이션부(4222)와 제1 결합부(4120)의 제2 원통부(4122) 외면에 형성된 제2 세레이션부(4123)는 서로 맞물린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지하수에 의해 제1 결합부(4120) 및 제2 결합부(42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 결합부(4120) 및 제2 결합부(4220)는 서로에 대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4120) 및 제2 결합부(4220)가 서로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5000)은 상판부재(5100)의 제1 결합부(5120)는 제1 원통부(5121)의 외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원통형상으로 연장된 커버부(5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5123)는 하판부재(5200)의 제2 결합부(5220)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결합부(5120)가 상기 제2 결합부(5220)와 결합할 때 상기 제2 결합부(5220)의 상단부를 덮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5000)은 상판부재(5100) 및 하판부재(5200)를 결합하기 위해 제1 결합부(5120) 및 제2 결합부(5220)를 결합할 때, 제1 결합부(5120)의 제1 원통부(5121)가 제2 결합부(5220)의 제1 만입부(5221) 내로 삽입되면 이와 동시에 커버부(5123)는 제2 결합부(5220)의 상단부를 덮게 된다. 이에 의해, 커버부(5123)는 제1 결합부(5120) 및 제2 결합부(5220)가 접촉하는 공간을 커버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지하수가 상판부재(5100) 및 하판부재(5200)가 형성하는 배수 통로를 지날 때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1 결합부(5120) 및 제2 결합부(5220)가 접촉된 경계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결론적으로 제1 결합부(5120) 및 제2 결합부(522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제1 결합부(5120) 및 제2 결합부(5220)가 이물질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5120) 및 제2 결합부(522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6000)은 하판부재(6200)의 제2 결합부(6220)는 제1 만입부(6221)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6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6000)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6000)은 상판부재(6100) 및 하판부재(6200)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하수가 상판부재(6100) 및 하판부재(6200)가 형성하는 배수 통로를 지날 때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가 접촉된 경계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데,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은 제2 결합부(6220)의 제1 만입부(6221) 내에 형성된 개구(6222)를 통해 제1 만입부(6221)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의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결론적으로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가 이물질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6120) 및 제2 결합부(622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1000, 2000, 3000, 4000, 5000, 6000)의 상판부재(1100, 2100, 3100, 4100, 5100, 6100) 및 하판부재(1200, 2200, 3200, 4200, 5200, 6200)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판부재(1100, 2100, 3100, 4100, 5100, 6100) 및 하판부재(1200, 2200, 3200, 4200, 5200, 6200)가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는 카본 블랙 SRF(semi-reinforcing furnace)를 첨가하여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은 흑색의 미세한 탄소 분말로서,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의 내마모성과 보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판부재(1100) 및 하판부재(1200)는, 카본 블랙 SRF 24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카본 블랙의 첨가량이 24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최소한의 경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모성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0 : 상판부재 1110 : 제1 플레이트부
1220 : 제1 결합부 1121 : 제1 원통부
1122 : 제2 원통부 1200 : 하판부재
1210 : 제2 플레이트부 1220 : 제2 결합부
1230 : 제3 결합부 1221 : 제1 만입부
1300 : 지하수 배수판 1310 : 제3 플레이트부
1320 : 제4 결합부 1321 : 제2 만입부

Claims (7)

  1.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제1 플레이트부(1110) 및 상기 사각형 형상의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1110)의 윗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를 포함하는 상판부재(1100);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제2 플레이트부(1210, 2210) 및 상기 사각형 형상의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1210, 2210)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1220, 3220, 4220, 5220)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재(1100)와 결합하는 하판부재(1200, 2200);
    상기 상판부재(1100) 및 상기 하판부재(1200, 2200)에 결합되도록 제4 결합부(1320)가 구비되고, 제4 결합부(1320)에 의해 지하수를 기초 시공기준면으로부터 상기 상판부재(1100) 및 상기 하판부재(1200, 2200)의 사이로 유도하는 지하수 배수판(1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는 하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결합부(1220, 3220, 4220, 5220)는 상단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는 제1 원통부(1121) 및 상기 제1 원통부(1121, 5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어 상기 제1 원통부(1121, 512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원통부(1122, 4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1220, 3220, 4220, 5220)는 상단부로부터 상단부 아래로 만입되고 상기 제2 원통부(1122, 41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만입부(1221, 4221, 6221)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재(1200)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아랫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12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하수 배수판(1300)의 연결을 위한 제3 결합부(1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1230)는 상기 제2 결합부(122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결합부(1120)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며;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 및 제2 결합부(1220, 3220, 4220, 5220)는, 하판부재(1200, 2200)에 상판부재(1100)를 안착시킬시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 및 제3 결합부(1230)는,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 및 제2 결합부(1220, 3220, 4220, 5220)가 맞물릴시 대응되는 끝단들이 서로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 제3 결합부(1230), 제4 결합부(1320)는, 하판부재(1200, 2200) 및 상판부재(1100)가 서로 맞물리고 지하수 배수판(1300)이 하판부재(1200, 2200) 및 상판부재(1100)에 연결될시, 제4 결합부(1320)의 상부 공간에 제1 결합부(1120, 3120, 4120, 5120)가 끼워지고, 제4 결합부(1320)의 하부 공간에 제3 결합부(1230)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2200)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2210)의 아랫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첨예부(2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3220)는 원통 형상의 외면에 상향 돌출되고 원통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세장형의 체결날개들(32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3120)는 원통 형상의 외면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날개들(3222)에 대응하도록 원통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날개삽입부들(3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4220)는 상기 제1 만입부(4221)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세레이션부(42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4120)는 상기 제2 원통부(4122)의 외면에 형성된 제2 세레이션부(4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5120)는 상기 제1 원통부(5121)의 외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원통형상으로 연장된 커버부(5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5123)는 상기 제2 결합부(5220)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5120)가 상기 제2 결합부(5220)와 결합할 때 상기 제2 결합부(5220)의 상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6220)는 상기 제1 만입부(6221)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6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KR1020140164167A 2014-11-24 2014-11-24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KR10155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67A KR101551897B1 (ko) 2014-11-24 2014-11-24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67A KR101551897B1 (ko) 2014-11-24 2014-11-24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897B1 true KR101551897B1 (ko) 2015-09-09

Family

ID=5424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167A KR101551897B1 (ko) 2014-11-24 2014-11-24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9412A (zh) * 2016-07-02 2016-10-26 天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堆载预压软基加固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319A (ja) * 1998-08-27 2000-02-29 Tokai Engei Kk 植物栽培用容器及び緑地化形成方法
KR100969552B1 (ko) * 2010-02-26 2010-07-12 정의숙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1132405B1 (ko) * 2010-04-01 2012-04-03 공지은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319A (ja) * 1998-08-27 2000-02-29 Tokai Engei Kk 植物栽培用容器及び緑地化形成方法
KR100969552B1 (ko) * 2010-02-26 2010-07-12 정의숙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1132405B1 (ko) * 2010-04-01 2012-04-03 공지은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9412A (zh) * 2016-07-02 2016-10-26 天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堆载预压软基加固的施工方法
CN106049412B (zh) * 2016-07-02 2018-06-22 天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堆载预压软基加固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2560C1 (ru) Подземная часть бетонной стены с пристенным дренажом
KR101612521B1 (ko) 변형억제 및 합벽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2912797A (zh) 一种含有降水功能的基坑支护方法
CN103741715A (zh) 一种新型地下室防水疏水施工方法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JP2009209571A (ja) 導水材および導水材の設置方法
KR101551897B1 (ko)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KR20160001719A (ko)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수평배수재의 부직포
JP6225458B2 (ja) 山留め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6854479B2 (ja) 地下構造物の液状化対策構造物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1291098B1 (ko) 영구배수용 집수정 연결장치 시공방법
KR100926694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JP6277755B2 (ja) 地盤改良工法、及び地盤改良システム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1789450B1 (ko) 겹침 말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13164Y1 (ko)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 구조체
KR101684271B1 (ko) 연약지반 배수재
JP2006328894A (ja) 地下構造体の施工方法
KR101550043B1 (ko)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판
KR20200131800A (ko)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KR100524136B1 (ko) 트렌치와 배수재를 이용한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체 및그의 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