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65Y1 - 복층형 책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복층형 책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65Y1
KR200481365Y1 KR2020160000887U KR20160000887U KR200481365Y1 KR 200481365 Y1 KR200481365 Y1 KR 200481365Y1 KR 2020160000887 U KR2020160000887 U KR 2020160000887U KR 20160000887 U KR20160000887 U KR 20160000887U KR 200481365 Y1 KR200481365 Y1 KR 200481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ling
coupled
space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온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온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온에프씨
Priority to KR2020160000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복층형 책장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복층형 책장 구조물은,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로 구획된 전방 고정 프레임과, 전방 고정 프레임의 좌측을 밀폐하는 좌측 밀폐부와, 전방 고정 프레임의 우측을 밀폐하는 우측 밀폐부와, 좌측 밀폐부와 우측 밀폐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후방을 밀폐하는 후방 밀폐부와, 좌측 밀폐부와 우측 밀폐부와 후방 밀폐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바닥을 밀폐하는 하부 밀폐부와,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를 밀폐된 공간으로 마련하는 중앙 밀폐부와, 상부 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밀폐부가 구비된 본체; 하부 공간부에 마련되는 책꽂이; 상부 공간부에 마련되는 개방 휴게실; 및 본체에 마련되어 상부 공간부로 사용자가 승강하도록 가이드 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좌측 밀폐부와 우측 밀폐부와 후방 밀폐부와 상부 밀폐부는 복수의 판 사이에 공간을 갖는 이중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층형 책장 구조물{MULTI-SPACER TYPE BOOKSHELF STRUCTURE}
본 고안은, 복층형 책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책을 진열함과 아울러 휴식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책장은 책이나 액자 등을 진열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물건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정면이 개구 된 직육면체 형태의 책장에 선반을 여러 층으로 구비하여 각 선반에 책 등을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전의 책장은 일률적인 구조로 배치되거나 사용되고 있다. 이를 개선한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442호(2016.01.27) "다용도 독서 가구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는 하부에 독서 모듈이 마련되고 상부에 복수의 책장이 마련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독서 모듈의 상부를 책장의 설치 장소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책장에 꽂힌 책이 떨어지는 경우 독서 모듈에 있는 사용자가 책에 맞아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또한 높은 곳에 배치된 책을 찾는 어려움이 있고, 찾아낸 책을 빼내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0249호(주식회사 메니아가구클릭) 2011. 01. 10.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책을 진열함과 아울러 휴식 공간으로 사용하되 안정성과 편리성을 더 향상시킨 복층형 책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로 구획된 전방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좌측을 밀폐하는 좌측 밀폐부와,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우측을 밀폐하는 우측 밀폐부와, 상기 좌측 밀폐부와 상기 우측 밀폐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후방을 밀폐하는 후방 밀폐부와, 상기 좌측 밀폐부와 상기 우측 밀폐부와 상기 후방 밀폐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바닥을 밀폐하는 하부 밀폐부와, 상기 상부 공간부와 상기 하부 공간부를 밀폐된 공간으로 마련하는 중앙 밀폐부와, 상기 상부 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밀폐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하부 공간부에 마련되는 책꽂이; 상기 상부 공간부에 마련되는 개방 휴게실;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로 사용자가 승강하도록 가이드 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밀폐부와 상기 우측 밀폐부와 상기 후방 밀폐부와 상기 상부 밀폐부는 복수의 판 사이에 공간을 갖는 이중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밀폐부는,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에 내측에 일측부가 결합 되는 내부 좌측판; 상기 내측 좌측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 및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외측과 상기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좌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밀폐부는,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일측부가 결합 되는 내부 우측판; 상기 내부 우측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 및 상기 전방 프레임의 외측과 상기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우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밀폐부는, 상기 내부 좌측판과 상기 내부 우측판의 후방 가장자리에 결합 되는 내부 후방판; 상기 내부 후방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 및 상기 외부 좌측판과 상기 외부 우측판의 후방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후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밀폐부는,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과 상기 내부 좌측판과 상기 내부 우측판과 상기 내부 후방판에 각각 결합 되는 내부 상판; 상기 내부 상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상판 고정로드; 및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과 상기 외부 좌측판과 상기 외부 우측판과 상기 외부 후방판과 상기 복수의 상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 휴게실은, 상기 중앙 밀폐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 상기 내부 후방판에 마련되는 조명; 상기 내부 후방판에 마련되는 독서대; 및 상기 중앙 밀폐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부의 내부에는 서적을 포함하는 보관물이 보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책꽂이를 본체의 하부에 배치하고 개방 휴게실을 본체의 상부에 마련하여 책의 낙하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책꽂이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책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고, 편리하게 책을 꽂거나 뺄 수 있다.
나아가 개방 휴게실이 이중 구조로 마련되어 소음이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방 휴게실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 된 위치에 있어 시야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책장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책장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책장 구조물(1)은, 상부 공간부(111)와 하부 공간부(112)로 구획된 본체(100)와, 하부 공간부(112)에 마련되는 책꽂이(200)와, 상부 공간부(111)에 마련되는 개방 휴게실(300)과, 본체(100)에 마련되어 상부 공간부(111)로 사용자가 승강하도록 가이드 하는 사다리(4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과,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좌측을 밀폐하는 좌측 밀폐부(120)와,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우측을 밀폐하는 우측 밀폐부(130)와, 좌측 밀폐부(120)와 상기 우측 밀폐부(130)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후방을 밀폐하는 후방 밀폐부(140)와, 좌측 밀폐부(120)와 우측 밀폐부(130)와 후방 밀폐부(140)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바닥을 밀폐하는 하부 밀폐부(150)와, 상부 공간부(111)와 하부 공간부(112)를 밀폐된 공간으로 마련하는 중앙 밀폐부(160)와, 상부 공간부(11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밀폐부(17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전방 고정 프레임(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공간부(111)와 하부 공간부(112)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공간부(111)에는 도 1에 도시된 개방 휴게실(300)이 마련되고, 하부 공간부(112)에는 책꽂이(20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하부 공간부(112)에 책꽂이(200)가 마련되어 책의 낙하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상부 공간부(111)에 개방 휴게실(300)이 마련되어 개방 휴게실(300)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 된 위치에 있으므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전방 고정 프레임(110)은 목재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0)의 좌측 밀폐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개방된 좌측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좌측 밀폐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좌측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내부 좌측판(121)과, 내부 좌측판(121)에 결합 되는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122)와, 전방 고정 프레임(110)과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122)에 결합 되는 외부 좌측판(123)을 포함한다.
좌측 밀폐부(120)의 내부 좌측판(121)은,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좌측 영역 내벽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좌측 밀폐부(120)의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122)는 내부 좌측판(121)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어 내부 좌측판(121)과 외부 좌측판(123)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한다. 그 결과 본 실시 예는 좌측 밀폐부(120)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이중 구조를 가지므로 개방 휴게실(300)로 전달되는 소음 등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좌측 밀폐부(120)의 외부 좌측판(123)은,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좌측 영역 외벽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본체(100)의 우측 밀폐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개방된 우측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우측 밀폐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우측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내부 우측판(131)과, 내부 우측판(131)에 결합 되는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132)와, 전방 고정 프레임(110)과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132)에 결합 되는 외부 우측판(133)을 포함한다.
우측 밀폐부(130)의 내부 우측판(131)은,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우측 영역 내벽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우측 밀폐부(130)의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132)는 내부 우측판(131)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어 내부 우측판(131)과 외부 우측판(133)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한다. 그 결과 본 실시 예는 우측 밀폐부(130)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이중 구조를 가지므로 개방 휴게실(300)로 전달되는 소음 등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우측 밀폐부(130)의 외부 우측판(133)은,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우측 영역 외벽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본체(100)의 후방 밀폐부(140)는, 하부 공간부(112)의 개방된 후방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후방 밀폐부(140)는, 내부 좌측판(121)과 내부 우측판(131)의 후방 가장자리에 결합 되는 내부 후방판(141)과, 내부 후방판(141)에 결합 되는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142)와, 외부 좌측판(123)과 외부 우측판(133)의 후방 가장자리와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142)에 결합 되는 외부 후방판(143)을 포함한다.
후방 밀폐부(140)의 내부 후방판(141)은, 못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내부 좌측판(121)과 내부 우측판(131)에 결합 될 수 있다.
후방 밀폐부(140)의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142)와 외부 후방판(143)도 못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부 밀폐부(150)는, 하부 공간부(112)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 밀폐부(150)는,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하단부와 좌측 밀폐부(120)와 우측 밀폐부(130)와 후방 밀폐부(140)의 하단부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는 하부 상판(151)과, 하부 상판(151)의 저면부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는 하부판(152)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중앙 밀폐부(160)는,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좌측 밀폐부(120)와 우측 밀폐부(130)와 후방 밀폐부(140)에 결합 되어 상부 공간부(111)와 하부 공간부(112)를 상하 방향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앙 밀폐부(160)는, 하부 상판(151)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는 복수의 중앙 고정로드(161)와, 복수의 중앙 고정로드(161)의 상면과 내부 좌측판(121)과 내부 우측판(131)과 내부 후방판(141)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는 중앙 하판(162)과, 중앙 하판(162)의 상면과 내부 좌측판(121)과 내부 우측판(131)과 내부 후방판(141)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 되는 중앙 상판(163)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상부 밀폐부(170)는, 상부 공간부(111)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밀폐부(170)는, 전방 고정 프레임(110)과 내부 좌측판(121)과 내부 우측판(131)과 내부 후방판(141)에 못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각각 결합 되는 내부 상판(171)과, 내부 상판(171)에 결합 되는 복수의 상판 고정로드(172)와, 전방 고정 프레임(110)과 외부 좌측판(123)과 외부 우측판(133)과 외부 후방판(143)과 복수의 상판 고정로드(172)에 결합 되는 외부 상판(173)을 포함한다.
책꽂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하부 영역인 하부 공간부(112)에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책꽂이(200)는 하부 공간부(112)에 끼워진 후 못이나 볼트 등으로 전방 고정 프레임(110)에 결합 될 수 있다.
개방 휴게실(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정 프레임(110)의 상부 영역인 상부 공간부(111)에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개방 휴게실(300)의 전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어 사다리(400)를 타고 개방 휴게실(300)의 내부로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개방 휴게실(300)은, 중앙 밀폐부(160)의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310)와, 내부 후방판(141)에 마련되는 조명(320)과, 내부 후방판(141)에 마련되는 독서대(330)와, 중앙 밀폐부(16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 가이드(340)를 포함한다.
사다리(400)의 상측부는, 개방 휴게실(300)의 입구에 지지 될 수 있고, 그 하측부는 바닥에 지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책꽂이를 본체의 하부에 배치하고 개방 휴게실을 본체의 상부에 마련하여 책의 낙하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책꽂이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책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고, 편리하게 책을 꽂거나 뺄 수 있다.
나아가 개방 휴게실이 이중 구조로 마련되어 소음이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방 휴게실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 된 위치에 있어 시야를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복층형 책장 구조물
100 : 본체 110 : 전방 고정 프레임
111 : 상부 공간부 112 : 하부 공간부
120 : 좌측 밀폐부 121 : 내부 좌측판
122 : 좌측판 고정로드 123 : 외부 좌측판
130 : 우측 밀폐부 131 : 내부 우측판
132 : 우측판 고정로드 133 : 외부 우측판
140 : 후방 밀폐부 141 : 내부 후방판
142 : 후방판 고정로드 143 : 외부 후방판
150 : 하부 밀폐부 151 : 하부 상판
152 : 하부판 160 : 중앙 밀폐부
161 : 중앙 고정로드 162 : 중앙 하판
163 : 중앙 상판 170 : 상부 밀폐부
171 : 내부 상판 172 : 상판 고정로드
173 : 외부 상판 200 : 책꽂이
300 : 개방 휴게실 310 : 매트
320 : 조명 330 : 독서대
340 : 전방 가이드 400 : 사다리

Claims (7)

  1.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로 구획된 전방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좌측을 밀폐하는 좌측 밀폐부와,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우측을 밀폐하는 우측 밀폐부와, 상기 좌측 밀폐부와 상기 우측 밀폐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후방을 밀폐하는 후방 밀폐부와, 상기 좌측 밀폐부와 상기 우측 밀폐부와 상기 후방 밀폐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의 바닥을 밀폐하는 하부 밀폐부와, 상기 상부 공간부와 상기 하부 공간부를 밀폐된 공간으로 마련하는 중앙 밀폐부와, 상기 상부 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밀폐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하부 공간부에 마련되는 책꽂이;
    상기 상부 공간부에 마련되는 개방 휴게실;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로 사용자가 승강하도록 가이드 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밀폐부와 상기 우측 밀폐부와 상기 후방 밀폐부와 상기 상부 밀폐부는 복수의 판 사이에 공간을 갖는 이중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개방 휴게실은, 상기 중앙 밀폐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매트와, 상기 후방 밀폐부의 내부 후방판에 마련되는 조명과, 상기 내부 후방판에 마련되는 독서대와, 상기 중앙 밀폐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휴게실의 전방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밀폐부는,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에 내측에 일측부가 결합 되는 내부 좌측판;
    상기 내부 좌측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 및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외측과 상기 복수의 좌측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좌측판을 포함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밀폐부는,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일측부가 결합 되는 내부 우측판;
    상기 내부 우측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 및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의 외측과 상기 복수의 우측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우측판을 포함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후방 밀폐부는,
    상기 내부 좌측판과 상기 내부 우측판의 후방 가장자리에 결합 되는 내부 후방판;
    상기 내부 후방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 및
    상기 외부 좌측판과 상기 외부 우측판의 후방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후방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후방판을 포함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밀폐부는,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과 상기 내부 좌측판과 상기 내부 우측판과 상기 내부 후방판에 각각 결합 되는 내부 상판;
    상기 내부 상판에 결합 되는 복수의 상판 고정로드; 및
    상기 전방 고정 프레임과 상기 외부 좌측판과 상기 외부 우측판과 상기 외부 후방판과 상기 복수의 상판 고정로드에 결합 되는 외부 상판을 포함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부의 내부에는 서적을 포함하는 보관물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책장 구조물.
KR2020160000887U 2016-02-19 2016-02-19 복층형 책장 구조물 KR200481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87U KR200481365Y1 (ko) 2016-02-19 2016-02-19 복층형 책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87U KR200481365Y1 (ko) 2016-02-19 2016-02-19 복층형 책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65Y1 true KR200481365Y1 (ko) 2016-09-30

Family

ID=5704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87U KR200481365Y1 (ko) 2016-02-19 2016-02-19 복층형 책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6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249A (ko) 2009-06-26 2011-01-03 하이퍼테크주식회사 사출 성형물 가공용 금형장치
KR200478573Y1 (ko) * 2015-07-20 2015-10-21 주식회사 아트온에프씨 모듈 타입의 독서용 가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249A (ko) 2009-06-26 2011-01-03 하이퍼테크주식회사 사출 성형물 가공용 금형장치
KR200478573Y1 (ko) * 2015-07-20 2015-10-21 주식회사 아트온에프씨 모듈 타입의 독서용 가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1640A1 (en) Accessible Cabinetry System
KR20110032782A (ko) 다기능 진열장
KR200481365Y1 (ko) 복층형 책장 구조물
US4319795A (en) Flat file
KR200488508Y1 (ko) 애완동물 놀이용 미로 구조를 갖는 테이블
US2723894A (en) Kitchen sink cabinet
JP2021164896A (ja) テーブル
US20070108878A1 (en) Sectional cabinet
KR101400418B1 (ko) 수장고용 수납장
US2884297A (en) Hat storage rack
US1102060A (en) Sanitary cheese-case.
KR101006694B1 (ko) 청소도구함
KR200454654Y1 (ko)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KR200480284Y1 (ko) 조립식 수납장
JP2015181755A (ja) 組立式家具
JP7044287B1 (ja) 収納ユニット
JPH0549516A (ja) キヤビネツト
CN217161590U (zh) 一种可抽拉岛柜
KR102582319B1 (ko)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JPH10155577A (ja) 机と収納庫の組合せ家具
US20220312962A1 (en) Double Sided Armoire Assembly
JP3159241U (ja) 薄型小仏壇
JP7476019B2 (ja) キャビネット
CN109077481A (zh) 一种便于放杂志的书架
KR102172503B1 (ko) 가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