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84Y1 -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84Y1
KR200481184Y1 KR2020160003458U KR20160003458U KR200481184Y1 KR 200481184 Y1 KR200481184 Y1 KR 200481184Y1 KR 2020160003458 U KR2020160003458 U KR 2020160003458U KR 20160003458 U KR20160003458 U KR 20160003458U KR 200481184 Y1 KR200481184 Y1 KR 200481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nit
controller
blink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승
Original Assignee
(주)유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코 filed Critical (주)유비코
Priority to KR2020160003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5B37/0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 제어기;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상기 점멸 제어기에 대한 설정 권한을 인증하고, 상기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점멸 제어기와 적외선 통신하여 도로용 조명등의 제어 설정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설정된 정보를 점멸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적외선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street lamp}
본 고안은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원거리에 설치되는 도로용 조명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차가 다니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보안등은 사람이 다니는 골목길 또는 주택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길가나 도로변과 같은 공공장소 등에는 다수개의 가로등 또는 보안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보행자를 위한 시야 확보 또는 차량 통행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었다.
특히, 보안등은 주로 야간의 안전한 통행 확보를 위해 설치되며,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점멸 제어기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로에 설치되는 조명등으로서, 차량 또는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 또는 터널등이 있을 수 있으며, 차량 또는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은 도로를 주행하거나 통행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터널등도 터널 내에 차량 통행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는 시민의 안전과 침수 등으로 인한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따라서, 이러한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를 관리하기 위해서 점멸 제어기의 시간 편차 조정 및 제어 설정 사항 등을 관리 및 조작하기 위한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멸 제어기의 원격 제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 RF 방식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점멸 제어기 또는 기간 통신망을 이용한 관제 서버에서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원격 제어 시스템이 도입되었지만, 높은 시스템 도입 비용, 점멸 제어기의 높은 단가, 설치 비용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에 도입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각종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는 저비용으로 적용 가능한 적외선 송신 제어기를 이용한 단방향 원격 제어 방식의 점멸 제어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를 설정 및 운영하기 위해 별도의 적외선 송신기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별도의 적외선 송신기는 항상 휴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별도의 적외선 송신기는 특정 운용자에 의해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수요가 많지 않아 제작 비용이 높았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송수신기는 기능 향상을 반영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 송신기는 점멸 제어기와 단방향 통신하므로, 점멸 제어기의 설정 및 동작 상태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별도의 적외선 송신기 없이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로용 조명등을 용이하게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시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하여 인증된 사용자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점멸 제어기와 사용자 단말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점멸 제어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는, (1)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 제어기, (2)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상기 점멸 제어기에 대한 설정 권한을 인증하고, 상기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점멸 제어기와 적외선 통신하여 도로용 조명등의 제어 설정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사용자 단말기에서 설정된 정보를 점멸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적외선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점멸 제어기는, (1) 사용자 단말기와 적외선 적외선 통신하는 적외선 통신부, (2)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시간에 대한 기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TC부, (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매치 코드를 기 저장된 매치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도로용 조명등을 제어하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부에서 제공되는 기준 시간 정보의 시간 편차를 보정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점멸 제어기의 동작 상태 및 설정 정보를 적외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점멸 제어부, (4) 도로용 조명등의 고유 코드 정보가 포함된 매치 코드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1)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2) 인증 서버를 통하여 점멸 제어기에 대한 설정 권한을 인증하되,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서버로부터 매치 코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부, (3) 도로용 조명등에 대한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4)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 정보를 점멸 제어기로 전송하고, 점멸 제어기의 동작 상태 및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말 제어부, (5)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된 매치 코드 및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도로용 가로등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송수신기는, (1) 점멸 제어기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2)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 신호 증폭부, (3) 증폭된 수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입력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이어잭 형태를 구비한 입력부, (4)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이어잭 형태를 구비한 출력부, (5)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신호 증폭부, (6) 증폭된 송신 신호를 상기 점멸 제어기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도로용 조명등의 점등 시간, 소등 시간, 격등 날짜 및 격등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점멸 제어기가 설치된 지역, 점등 상태, 소등 상태, 격등 시간, 격등 날짜 및 초기 점등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매치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도로용 조명등에 점등 시간, 소등 시간, 격등 날짜 및 격등 시간이 포함된 설정 정보를 요청하여 점멸 제어기의 동작 상태 및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점멸 제어부는 추출된 제어 정보가 점등 및 소등 시간 정보인 경우, 도로용 조명등의 점등 시간 및 소등 시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추출된 제어 정보가 램프 테스트 정보인 경우, 도로용 조명등의 램프가 동작여부를 테스트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의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는 점멸 제어기를 운영하기 위한 별도의 적외선 송신기 없이 도로용 조명등에 설치된 점멸 제어기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관리 및 운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관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단말기가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운영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멸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서 이용되는 적외선 통신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수신기의 수신단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수신기의 (a) 송신단의 일예, (b) 입력 신호, (c) 입력 신호의 샘플링 및 (d) 전송 신호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멸 제어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등(1)의 원격 제어 장치(10)는 점멸 제어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점멸 제어기(100)는 도로용 조명등(1)에 일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설정에 따라 도로용 조명등 램프(2)의 점멸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점멸 제어기(100)의 설정 및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을 이용하여 도로용 조명등(1)에 설치된 점멸 제어기(100)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점멸 제어기(1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전에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200)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인증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점멸 제어기(100)에 대한 운영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내부의 적외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점멸 제어기(100)와 통신하지만, 내부의 적외선 통신부(11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적외선 송수신기(3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적외선 통신부(110)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적외선 송수신기(3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이어잭 부분을 통해 연결 가능하도록 이어잭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멸 제어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멸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점멸 제어기(100)는 적외선 통신부(110), RTC부(120), 점멸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점멸 제어부(130)에 의해 점멸 제어기(100)의 설정 상태가 포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외선 통신부(110)는 송수신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 기능만 선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RTC(Real Time Clock)부(120)는 도로용 조명등(1)의 램프(2)를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서 현재 시간을 제공한다. 이때, RTC부(120)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점멸 제어기(100)의 동작 시간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점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설정에 따라 램프(2)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점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램프(2)의 설정 변경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매치 코드를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매치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멸 제어부(130)는 적외선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로부터 도로용 조명등(1)의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추출된 제어 정보에 따라 도로용 조명등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멸 제어부(130)는 추출된 제어 정보가 도로용 조명등(1)의 점등 및 소등 시간 정보라면, 해당 도로용 조명등(1)의 점등 시간 및 소등 시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추출된 제어 정보가 램프 테스트 정보라면, 해당 도로용 조명등의 램프(2)가 동작하는지 테스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도로용 조명등(1)의 고유 코드 정보가 포함된 매치 코드가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점멸 제어기(100)의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사용자 인증부(230), 단말 제어부(240), 입력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통신 방식으로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증 서버(미도시)와 Wifi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점멸 제어기(100)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는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이 실행되면서 점멸 제어기(100)가 설치된 지역, 점등 및 소등 상태, 격등 시간, 격등 날짜, 초기 점등 시간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시간 전송, 램프 테스트, 설정 전송, 설정 변경, 점등 및 소등 시간, 도움말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30)는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이 실행되면, 인증 서버(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증부(230)는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이 실행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인증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이때,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230)는 인증 서버(미도시)에서 인증이 확인되면, 인증 서버(미도시)로부터 점멸 제어기(100)의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치 코드를 수신한다.
단말 제어부(240)는 입력부(250)의 입력에 따라 점멸 제어기(100)의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부(240)는 입력부(250)의 입력으로부터 도로용 조명등(1)의 일몰 시간 이후의 점등 시간 또는 일출 시간 이후의 소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240)는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일부 도로용 조명등(1)을 소등하는 격등제를 시행하기 위해 도로용 조명등(1)의 격등이 시행되는 날짜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240)는 입력부(250)로부터 도로용 조명등 램프(2)의 점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점멸 제어기(100)로 램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부(240)는 점멸 제어기(1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점멸 제어기(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부(240)는 인증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매치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도로용 조명등(1)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이때, 수신된 도로용 조명등(1)의 상태 정보는 점등 및 소등 시간, 격등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 제어부(240)는 도로용 조명등(1)의 설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점멸 제어기(100)의 설정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도로용 조명등(1)의 점등 및 소등 시간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50)는 도로용 조명등(1)을 격등하기 위해 격등 시작 날짜 또는 시간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 및 입력부(2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저장부(260)는 인증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점멸 제어기(100)의 제어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점멸 제어기(100)과 사용자 단말기(200)의 적외선 통신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서 이용되는 적외선 통신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적외선 통신 신호의 프레임 구조는 리더 코드(Leader Code), 데이터 코드(Data Code) 및 앤드 코드(End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더 코드는 적외선 통신 시작을 알리는 코드이고, 데이터 코드는 점멸 제어기(100)의 설정 및 제어 정보이고, 앤드 코드는 적외선 통신 종료 코드이다.
더욱 상세하게 데이터 코드는 데이터 길이 정보, 매치 코드, CMD 타입 정보 또는 Chk Sum 정보를 더 포함한다.
매치 코드는 점멸 제어기의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며, 점멸 제어기(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이다. 즉, 매치 코드는 점멸 제어기(100)가 설치된 지역이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르며, 이를 인증 서버(미도시)에서 각각 관리하게 된다.
CMD 타입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어된 명령어 종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명령어 종류는 시간 설정, 램프 점등 및 소등, 설정 변경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Chk sum 정보는 데이터 코드가 에러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수신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송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적외선 송수신기(300)는 적외선 수신부(310), 수신 신호 증폭부(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송신 신호 증폭부(350), 적외선 송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부(310)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점멸 제어기(1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320)는 적외선 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킨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 증폭부(320)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330)는 수신 신호 증폭부(320)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입력한다. 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입력부(330) 및 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 가능한 이어잭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 경우 적외선 송수신기(300)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부(210)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송신 신호 증폭부(3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원거리 전송을 위한 레벨 증폭회로로서,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트랜지스터(TR1, TR2)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 단자(EAR_RIGHT, EAR_LEFT)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송신 신호 증폭부(350)는 트랜지스터(TR1, TR2)의 이미터 단자로부터,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1, TR2)의 보다 높은 레벨의 신호만 출력하며, 이때, 두 개의 출력 신호(EAR_RIGHT, EAR_LEFT)는 각각 19KHz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TR1, TR2)의 이미터 단자에서 출력된 두 개의 신호(EAR_RIGHT, EAR_LEFT)는, 도 8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8KHz 신호로 합성될 수 있다.
즉, 송신 신호 증폭부(350)는 통신 에러를 줄이기 위하여 38KHz로 변조된 적외선 신호를 점멸 제어기(100)로 송신한다.
적외선 송신부(360)는 송신 신호 증폭부(350)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원거리에 있는 점멸 제어기(10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도로용 조명등에 설치된 점멸 제어기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관리 및 운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관리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운영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 방법(9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900)은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S901),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적외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점멸 제어기로 제어 설정을 전송하는 단계(S903 내지 S904), 적외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05 내지 S90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을 통해 점멸 제어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 인증할 수 있다(단계 S901).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인증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이때,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인증 서버(미도시)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며, 이때, 도로용 조명등(1)의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치 코드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인증 서버(미도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점멸 제어기(100)의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902).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도로용 조명등(1)의 일몰 시간 이후의 점등 시간 또는 일출 시간 이후의 소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일부 도로용 조명등(1)을 소등하는 격등제를 시행하기 위해 도로용 조명등(1)의 격등이 시행되는 날짜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입력부(250)로부터 도로용 조명등 램프(2)의 점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점멸 제어기(100)로 램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적외선 통신부가 내장되어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S903).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의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03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적외선 통신부가 내장되어있다고 판단하면, 점멸 제어기(100)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904).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점멸 제어기(100)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전송할 때, 점멸 제어기(100)의 동작 시간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의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3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적외선 통신부가 내장되어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적외선 송수신기가 장착되어있는지 판단하여(단계 S905), 적외선 송수신기(300)가 장착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적외선 송수신기(300)의 장착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906).
다음으로, 단계 S905의 판단 결과, 적외선 송수신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면, 적외선 송수신기(200)에서 점멸 제어기로 제어 설정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S907). 즉, 적외선 송수신기(200)에서 단계 S905에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점멸 제어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송수신기(200)에서 점멸 제어기(100)로 설정된 제어 정보를 전송할 때, 점멸 제어기(100)의 동작 시간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의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멸 제어기(100)의 제어 방법(10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점멸 제어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점멸 제어기의 제어 방법(10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1001 내지 S1002), 점멸 제어기의 상태 변경 및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S1003), 및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004 내지 S100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적정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S1001).
먼저, 점멸 제어기(100)에서 적외선 통신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리더 코드가 수신되는지, Chk Sum 정보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에러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수신된 매치 코드가 적정한지를 확인하여 수신된 신호가 적정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점멸 제어기(100)에 기 저장된 매치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멸 제어기(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적정 신호인지를 판단하며, 적정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할 경우, 더 이상의 단계를 진행하지 않도록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001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적정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하면, 수신된 설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단계 S1002). 예를 들면, 점멸 제어기(100)에서 분석된 설정 정보가 도로용 조명등(1)의 점등 및 소등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점멸 제어기(100)에서 격등제를 실시하기 위한 도로용 조명등(1)의 소등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점멸 제어기(100)에서 분석된 제어 설정에 따라 점멸 제어기(100)의 상태 변경 및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단계 S1003). 즉, 단계 S1002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 분석 결과, 도로용 조명등(1)의 점등 및 소등 정보라면, 도로용 조명등(1)의 상태를 일몰 시간 이후의 점등 시간 또는 일출 시간 이후의 소등 시간으로 변경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점멸 제어기(100)에서 도로용 조명등(1)의 격등 설정 정보라면, 도로용 조명등(1)의 격등을 시행하는 날짜 또는 시간 상태를 변경하고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정보 요청이 없는지 판단하여(단계 S1004), 정보 요청이 없는 경우, 일련의 절차를 종료한다.
단계 S1004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면, 점멸 제어기(100)의 동작 상태 등의 포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고안은 도로용 조명등에 설치된 점멸 제어기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관리 및 운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관리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제어기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도로용 조명등의 운영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도로용 조명등 2 : 램프
10 : 원격 제어 장치 100 : 점멸 제어기
110 : 적외선 통신부 120 : RTC부
130 : 점멸 제어부 140 : 저장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통신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사용자 인증부
240 : 단말 제어부 250 : 입력부
260 : 저장부 300 : 적외선 송수신기
310 : 적외선 수신부 320 : 수신 신호 증폭부
330 : 입력부 340 : 출력부
350 : 송신 신호 증폭부 360 : 적외선 송신부

Claims (1)

  1.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 제어기;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상기 점멸 제어기에 대한 설정 권한을 인증하고, 상기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점멸 제어기와 적외선 통신하여 도로용 조명등의 제어 설정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설정된 정보를 점멸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적외선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멸 제어기는,
    사용자 단말기와 적외선 적외선 통신하는 적외선 통신부;
    도로용 조명등의 점멸 시간에 대한 기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TC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매치 코드를 기 저장된 매치 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도로용 조명등을 제어하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부에서 제공되는 기준 시간 정보의 시간 편차를 보정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점멸 제어기의 동작 상태 및 설정 정보를 적외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점멸 제어부; 및
    도로용 조명등의 고유 코드 정보가 포함된 매치 코드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점멸 제어기 원격 제어 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인증 서버를 통하여 점멸 제어기에 대한 설정 권한을 인증하되,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서버로부터 매치 코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부;
    도로용 조명등에 대한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 정보를 점멸 제어기로 전송하고, 점멸 제어기의 동작 상태 및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말 제어부; 및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된 매치 코드 및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도로용 가로등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송수신기는,
    점멸 제어기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 신호 증폭부;
    증폭된 수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입력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이어잭 형태를 구비한 입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잭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이어잭 형태를 구비한 출력부;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신호 증폭부; 및
    증폭된 송신 신호를 상기 점멸 제어기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도로용 조명등의 점등 시간, 소등 시간, 격등 날짜 및 격등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점멸 제어기가 설치된 지역, 점등 상태, 소등 상태, 격등 시간, 격등 날짜 및 초기 점등 시간을 표시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는,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매치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도로용 조명등에 점등 시간, 소등 시간, 격등 날짜 및 격등 시간이 포함된 설정 정보를 요청하여 점멸 제어기의 동작 상태 및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점멸 제어부는,
    추출된 제어 정보가 점등 및 소등 시간 정보인 경우, 도로용 조명등의 점등 시간 및 소등 시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추출된 제어 정보가 램프 테스트 정보인 경우, 도로용 조명등의 램프가 동작여부를 테스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KR2020160003458U 2016-06-20 2016-06-20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KR200481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58U KR200481184Y1 (ko) 2016-06-20 2016-06-20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58U KR200481184Y1 (ko) 2016-06-20 2016-06-20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01 Division 2015-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84Y1 true KR200481184Y1 (ko) 2016-08-25

Family

ID=5685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458U KR200481184Y1 (ko) 2016-06-20 2016-06-20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119B1 (ko) * 2018-02-01 2019-01-04 (주)삼립 주민에 의해 밝기가 제어되는 조명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01619B1 (ko) * 2018-11-29 2020-04-20 주식회사 송림하이텍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CN111083861A (zh) * 2019-11-20 2020-04-28 万翼科技有限公司 路灯优化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986A (ko) * 2002-12-31 2004-07-07 국제전자제어 주식회사 분산제어방식을 이용한 가로등/보안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및 그 방법
KR20090055361A (ko) * 2007-11-28 2009-06-0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지능형 가로등을 이용한 이벤트 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8569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퓨처테크 계통 연계형 가로등 시스템 내의 가로등 제어 장치
KR20150049148A (ko)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무인트 적외선 리모컨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986A (ko) * 2002-12-31 2004-07-07 국제전자제어 주식회사 분산제어방식을 이용한 가로등/보안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및 그 방법
KR20090055361A (ko) * 2007-11-28 2009-06-0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지능형 가로등을 이용한 이벤트 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8569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퓨처테크 계통 연계형 가로등 시스템 내의 가로등 제어 장치
KR20150049148A (ko)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무인트 적외선 리모컨 수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119B1 (ko) * 2018-02-01 2019-01-04 (주)삼립 주민에 의해 밝기가 제어되는 조명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01619B1 (ko) * 2018-11-29 2020-04-20 주식회사 송림하이텍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CN111083861A (zh) * 2019-11-20 2020-04-28 万翼科技有限公司 路灯优化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38789B (zh) 车辆用便携机以及信息通信系统
CN107318203B (zh) 车辆灯光控制系统及方法
KR200481184Y1 (ko) 도로용 조명등의 원격 제어 장치
CN103136825B (zh) 信息通信系统以及车辆用便携机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31499A (ko) 인체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2428B1 (ko) 조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2299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보행 경로 가로등 제어시스템
KR101503366B1 (ko) 신호등을 무선 제어하는 이동식 신호등 장치
KR100435228B1 (ko) 교통신호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963509B1 (ko) 교통신호제어기의 무선제어장치
KR101314237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시스템
KR10080672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등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0146A (ko)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76563B1 (ko)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KR10154641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 mtf 제어장치
TWI507087B (zh) 智慧路燈控制系統、裝置及智慧路燈控制方法
KR20170018361A (ko)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101773776B1 (ko) 무선단말 자동설정 시스템
KR20160062826A (ko) 교통 신호등 제어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1713562B1 (ko)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고장 진단형 음향 신호기 및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101488966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가로등 제어시스템
KR101316041B1 (ko)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보행신호 점등 대기시간 표시장치
KR101489234B1 (ko)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