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37Y1 -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37Y1
KR200480837Y1 KR2020150001024U KR20150001024U KR200480837Y1 KR 200480837 Y1 KR200480837 Y1 KR 200480837Y1 KR 2020150001024 U KR2020150001024 U KR 2020150001024U KR 20150001024 U KR20150001024 U KR 20150001024U KR 200480837 Y1 KR200480837 Y1 KR 200480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ort
free conveyor
conveyor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열
Original Assignee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후쿠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to KR2020150001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현장에서 트러스 하부의 헤더 빔에 고정된 서포트에 볼팅만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캐리어와 행거와 반송물의 하중을 모든 서포트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의 변경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에 의하여 공중에 지지되는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하부에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전 구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H빔을 마련하고, 상기 H빔의 웹이 수직 방향을 향하게 하여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기 서포트 하단에 상부 결합부재와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에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를 하부 결합부재와 볼트에 의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CONNECTION BETWEEN OVERHEAD POWER AND FREE CONVEYOR AND SUPPORT THEREFOR}
본 고안은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Overhead Power and Free Conveyor)와 공중 지지대인 서포트(support)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현장에서 트러스 하부의 헤더 빔에 고정된 서포트에 볼팅만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캐리어와 행거와 반송물의 하중을 모든 서포트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의 변경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는 체인에 의해 추진되는 트롤리 및 푸셔와 캐리어에 결합된 캐리어 도그(dog)를 계합시키고, 트롤리에 결합된 파워 롤러는 상부에 배치된 파워 레일을 주행하게 하고, 캐리어 도그에 결합된 프리 롤러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프리 레일을 주행하게 하면서, 캐리어가 프리 롤러에 지지된 채로 프리 레일을 주행하면서 행거를 이동할 수 있게 한 컨베이어이다. 자동자 조립 라인에서 바디, 샤시, 도어 등을 운반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는 이러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작업자의 머리 위(예를 들면 자동차 공장의 천장 가까이 등)에 가설한 트러스 등에 서포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 서포트에 레일 등을 고정한 컨베이어이다.
종래에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컨베이어 공장에서 제작한 후, 트러스 및 서프트가 마련된 자동차 공장 등에 설치할 때, 컨베이어의 레일이나 레일 홀더 등을 각 오버헤드 서포트에 개별적으로 직접 부착하였다(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125823). 이와 같은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오버헤드 서포트의 결합 방식은 많은 부분을 용접으로 접합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작업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캐리어와 행거와 반송물의 하중이 전체 서포트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일부 서포트에 집중될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의 변경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서포트에 결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볼팅(bolting) 작업만으로 파워 앤프 프리 컨베이어를 오버헤드 서포트에 빠르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반송물의 이송중 캐리어와 행거와 반송물의 하중이 전체 서포트에 균일하게 분산되게 하여 각 서프트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컨베이어의 변경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한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에 의하여 공중에 지지되는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하부에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전 구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H빔을 마련하고, 상기 H빔의 웹이 수직 방향을 향하게 하여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기 서포트 하단에 상부 결합부재와 볼트(이하, 본 명세서에서 '볼트'는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함)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에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를 하부 결합부재와 볼트에 의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한 조의 수직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는, 상기 한 조의 수직앵글 사이에 삽입된 ∪자 형상의 이음쇠와, 상기 수직앵글과 이음쇠를 체결하는 제1조인트볼트와, 상기 이음쇠 수평부에 적층된 덮판과,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기 이음쇠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덮판과 상부 플랜지와 받침판을 일체로 체결하는 제2조인트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결합부재는, 수평면이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 하면에 접하고 수직면이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레일 홀더에 접하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과,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와 브라켓을 체결하는 제3조인트볼트와,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레일 홀더와 브라켓을 체결하는 제4조인트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헤더빔에 매달린 다수의 서포트에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우선,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 설치 경로 전체를 따라 각 서프트에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하고, 다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레일 홀더를 H빔의 하부 플랜지에 하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써,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 간의 모든 조립을 끝낼 수 있으므로, 파워 앤프 프리 컨베이어를 오버헤드 서포트에 빠르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컨베이어의 변경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또한, 캐리어와 행거와 반송물이 이동하면서 특정 서포트에만 하중을 집중시키지 않고 H빔에 의하여 전체 서포트에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서포트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헤더빔과, 서포트와, 볼트이음부와, 파워 앤 프리 콘베이어와, 캐리어와, 행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서포트와, 볼트이음부와, 파워 앤 프리 콘베이어와, 캐리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와, 볼트이음부와, 파워 앤 프리 콘베이어와, 캐리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헤더빔과, 서포트와, 볼트이음부와, 파워 앤 프리 콘베이어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는,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를, 컬럼(5)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러스(1)와 트러스(1)에 결합된 헤더빔(3)과 헤더빔(3)에 의하여 서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공중에 매달린 다수의 서포트(7)에 의하여, 공장 등의 천장 가까이에 부양시킨 것이다.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에는 캐리어 및 행거(55)가 결합되고, 행거(55)에는 차량 바디(VB) 등의 반송물이 적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는 말굽 형상의 레일 홀더(19)의 막힌 내부 상단에 파워 레일(21)을 마련하고, 레일 홀더(19)의 개방된 내부 하단에 프리 레일이 마련된다. 상기 파워 레일(21)에는 파워 롤러(23)가 마련되고, 상기 파워 롤러(23)에는 트롤리(25)가 롤러의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트롤리(27)는 구동체인(27) 및 푸셔(29)가 결합되어 파워 트레인을 형성한다. 상기 프리 레일(31)에는 프리 롤러(33)가 마련되고, 프리 롤러(33) 축에는 캐리어 도그(34)가 결합되며, 캐리어 도그(34)는 캐리어 컨넥션(53)에 의하여 캐리어(54)에 연결된다. 캐리어 도그(34)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트레인의 푸셔(29)는 상기 캐리어 도그(34)를 밀어 캐리어(54) 및 행거(55)가 프리 레일(31) 따라 주행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7)에 의하여 공중에 지지되는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7) 하부에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의 전 구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H빔(45)을 마련하고, 상기 H빔(45)의 웹(도 4의 부호 w)이 수직 방향을 향하게 하여 H빔(45)의 상부 플랜지(도 4의 부호 uf)를 상기 서포트(7) 하단에 상부 결합부재와 볼트(b1, b2)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도 4의 부호 lf)에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를 하부 결합부재와 볼트(b3, b4)에 의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7)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한 조의 수직앵글(9)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는, 상기 한 조의 수직앵글(9) 사이에 삽입된 ∪자 형상의 이음쇠(39)와, 상기 수직앵글(9)과 이음쇠(39)를 체결하는 제1조인트볼트(b1)와, 상기 이음쇠(39) 수평부에 적층된 덮판(41)과, 상기 H빔(45)의 상부 플랜지(uf)를 상기 이음쇠(39)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 플랜지(uf)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판(49)과, 상기 덮판(41)과 상부 플랜지(uf)와 받침판(49)을 일체로 체결하는 제2조인트볼트(b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49)과 이음쇠(39) 사이에는 H빔의 하부 플랜지(lf)가 미치지 않는 부분에 완충재(47)를 삽입하여 H빔(45)의 유격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7)는 상기 수직앵글(9) 이외에도 상기 수직앵글(9)을 경사 방향으로 보강하는 경사 보강앵글(11,13)과, 상기 1조의 수직앵글(9) 내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수직앵글(9)을 보강하는 가로 보강앵글(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쇠의 뒷면에는 보강판(51)을 더 부착하고, 이 보강판에는 볼트머리홈(H)을 형성하여 몸체는 상기 가로 보강앵글(15)에 결합되고, 머리는 상기 보강판의 볼트머리홈(H)에 결합된 제5조인트볼트를 더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결합부재는, 수평면이 상기 H빔(45)의 하부 플랜지(lf) 하면에 접하고 수직면이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의 레일 홀더(19)에 접하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43)과, 상기 H빔(45)의 하부 플랜지(lf)와 브라켓(43)을 체결하는 제3조인트볼트(b3)와,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의 레일 홀더(19)와 브라켓(43)을 체결하는 제4조인트볼트(b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조인트볼트(b2), 제3조인트볼트(b3), 제4조인트 볼트(b4) 및 제5조인트(b5)는 각 2개씩 체결된다. 각 조인트볼트(b1 ~ b5)에는 필요한 너트(n1 ~ n2)와 와셔(y)가 체결되며, 이때 너트로는 더블너트(n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조인트볼트(b1 ~ b5)가 체결되는 지점에는 볼트구멍(h)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헤더빔(3)에 매달린 다수의 서포트(7)에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17)를 설치함에 있어서, 우선,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17) 설치 경로 전체를 따라 각 서프트(7)에 H빔(45)의 상부 플랜지(uf)를 상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하고, 다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17)의 레일 홀더(19)를 H빔(45)의 하부 플랜지(lf)에 하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써,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17)와 서포트(7) 간의 모든 조립을 끝낼 수 있으므로, 파워 앤프 프리 컨베이어(17)를 오버헤드 서포트(7)에 빠르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컨베이어의 변경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또한, 캐리어(54)와 행거(55)와 반송물(VB)이 이동하면서 특정 서포트에만 하중을 집중시키지 않고 H빔(45)에 의하여 전체 서포트(7)에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서포트(7)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1 : 트러스(truss) 3 : 헤더빔(header beam)
5 : 컬럼(column) 7 : 서포트(support)
9 : 수직앵글 11, 13, 15 : 보강앵글
17 : 파워 앤 프리 콘베이어 19 : 레일홀더
21 : 파워레일 23 : 파워롤러
25 : 트롤리 27 : 체인
29 : 푸셔 31 : 프리레일
33 : 프리롤러 34 : 캐리어 도그
35 : 가이드롤러 37 : 볼트이음부
39 : 이음쇠 41 : 덮판
43 : 브라켓 45 : H빔
47 : 완충재 49 : 받침판
51 : 보강판 53 ; 캐리어 커넥션
55 : 캐리어 b1 ~ b5 : 조인트 볼트
h : 볼트 구멍 H : 볼트머리 구멍
n1 ~ n5 : 너트 y : 와셔

Claims (2)

  1.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에 의하여 공중에 지지되는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하부에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전 구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H빔을 마련하고,
    상기 H빔의 웹이 수직 방향을 향하게 하여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기 서포트 하단에 상부 결합부재와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에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를 하부 결합부재와 볼트에 의하여 조립하되,
    상기 서포트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한 조의 수직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는, 상기 한 조의 수직앵글 사이에 삽입된 ∪자 형상의 이음쇠와, 상기 수직앵글과 이음쇠를 체결하는 제1조인트볼트와, 상기 이음쇠 수평부에 적층된 덮판과,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기 이음쇠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덮판과 상부 플랜지와 받침판을 일체로 체결하는 제2조인트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결합부재는, 수평면이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 하면에 접하고 수직면이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레일 홀더에 접하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과,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와 브라켓을 체결하는 제3조인트볼트와, 상기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의 레일 홀더와 브라켓을 체결하는 제4조인트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2. 삭제
KR2020150001024U 2015-02-12 2015-02-12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KR200480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24U KR200480837Y1 (ko) 2015-02-12 2015-02-12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24U KR200480837Y1 (ko) 2015-02-12 2015-02-12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37Y1 true KR200480837Y1 (ko) 2016-07-12

Family

ID=5649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024U KR200480837Y1 (ko) 2015-02-12 2015-02-12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3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757B2 (ja) * 1989-02-14 1995-11-29 大福工営株式会社 トロリーコンベヤ用レール吊り下げ装置
KR0158530B1 (ko) * 1994-04-14 1998-12-01 마스다 쇼이치로 전차이용의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757B2 (ja) * 1989-02-14 1995-11-29 大福工営株式会社 トロリーコンベヤ用レール吊り下げ装置
KR0158530B1 (ko) * 1994-04-14 1998-12-01 마스다 쇼이치로 전차이용의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0202B2 (en) Extruded aluminum conveyor with track offset
CN102282062B (zh) 用于履带链条的主连杆
US5957057A (en) Rail system for carrier equipment
WO2016180516A1 (de) Temperier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werkstücken
US3039401A (en) Conveyor track structure
CN202345726U (zh) 一种运输装置
US8499926B2 (en) Chain link module for accumulating chain
EP0112916A1 (en) Plastic monorail conveyor trolley
KR102605011B1 (ko) V-트랙 지지 구조 컴포넌트
KR200480837Y1 (ko) 오버헤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와 서포트의 결합 구조
US6499408B1 (en) Rail support assembly for monorail crane
JP2010540380A (ja) チェーン、特に、シャーシキャリアまたは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コンベヤチェーン
CN104005322A (zh) 用于建筑机械的驱动轴组件
JP2006200273A (ja) 鋼製の大梁と小梁の接合構造
JP2013510782A (ja) 移送ローラー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移送装置
US3332538A (en) Conveyor structure
JP2000296770A (ja) 伸縮搬送物の吊り下げ搬送装置
EP2610099B1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leichte Fördergüter, insbesondere Fahrzeugteile
KR20160073070A (ko) 염전용 친환경 운송 대차 레일
JP3428377B2 (ja) 搬送設備
KR200368848Y1 (ko) 고정부재의 설치 및 연결구조를 가지는 운송차량용모노레일
JP3454053B2 (ja) 搬送設備用のレール間連結構造
KR101614714B1 (ko) 트로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KR20140005238U (ko) 모노레일용 연결레일
CN110027985B (zh) 一种双梁桥式起重机端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