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29Y1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Google Patents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0729Y1 KR200480729Y1 KR2020160001679U KR20160001679U KR200480729Y1 KR 200480729 Y1 KR200480729 Y1 KR 200480729Y1 KR 2020160001679 U KR2020160001679 U KR 2020160001679U KR 20160001679 U KR20160001679 U KR 20160001679U KR 200480729 Y1 KR200480729 Y1 KR 2004807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elded
- tilt
- fastening
- fix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 A63B2021/0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에 장치되는, 고무재질의 틸트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디스크환자, 요추결림환자, 교통사고환자 및 자세교정을 위하여 고안된 탄성력을 갖는 의자에 장치되는 고무틸트이며, 재활치료용 의자에 착석하면, 안장받침 샤프트 하부에 위치한 탄성력을 가진 천연 고무재질의 틸트가 사람의 체중에 의해 일정압력을 받아, 수축팽창을 반복함으로서 변형되고, 변형후에는 곧바로 복원되어, 사용자의 요추지지를 통해 요추와 척추를 균형있게 정렬시키고, 재활치료시 무리한 충격을 완충하며, 자세교정시에는 척추를 바로 잡아 벨런스있는 체형으로 만들어주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에 장치되는, 천연 고무재질의 틸트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디스크환자, 요추결림환자, 교통사고환자 및 자세교정을 위하여 고안된 탄성력을 갖는 의자에 장치되는 고무틸트이며, 재활치료용 의자에 착석하면, 안장받침 샤프트 하부에 위치한 탄성력을 가진 천연 고무재질의 틸트가 사람의 체중에 의해 일정압력을 받아, 수축팽창을 반복함으로서 변형되고, 변형후에는 곧바로 복원되어, 사용자의 요추지지를 통해 요추와 척추를 균형있게 정렬시키고, 재활치료시 무리한 충격을 완충하며, 자세교정시에는 척추를 바로 잡아 벨런스있는 체형으로 만들어주는 완충 고무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중단부에는 틸트가 장치되는데, 허리를 상황에 맞게 젖히거나 바로 세우는 장치로서, 고정된 척추의 움직임을 유발하여, 장시간 앉아 뭉쳐진 근육에 긴장을 풀고, 전신에 혈액 및 양분을 공급하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틸트를 조절하여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틸트는, 통상적으로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뒤로 젖히거나, 곧추세울 수 있고, 원하는 각도에 고정되어 의자를 틸팅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몸에 맞게 따라오는 등판은 허리를 항상 지지해 준다고 인식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형이 상이하여 등판이 완벽히 지지되기 힘들고, 일반적으로 의자의 틸트와는 달리 재활치료용 의자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허리에 부하되는 무게때문에 통증이 심하여, 고통을 경감하기 힘들고, 불편한 환자의 입장에서 손잡이를 이용한 틸팅은 무리가 있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재활치료시 손잡이를 건드려, 의자의 높낮이 또는 등받이의 각도가 이탈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그와 동시에, 민감한 척추 또는 요추가 다치게 되는 2차사고의 위험도 발생할 소지가 크며, 복잡합 틸트의 구성요소로 의자가 고장이 나기 쉽다.
그리고, 기존의 틸트 장치가 된 의자에 앉게 되면, 장시간 착석시 의자가 가변할 확률이 적어져 불편해지고, 불편함이 유지되어 자세가 망가지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재활치료시 손잡이를 건드려, 의자의 높낮이 또는 등받이의 각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고, 손잡이가 구비되어 재활치료시 방해 되엇던 불편함을 줄이며,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형에 따라 허리에 부하되는 무게를 줄여 통증을 경감하여야 한다.
또한, 고정된 척추의 움직임을 유발하고, 환자의 요추 또는 척추가 다치게 되는 2차 사고의 위험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고장이 없는 안전한 고무틸트를 제공하는데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환자재활치료용 의자의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장치는,
탄성부(100) 및 체결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100)는, 천연 고무(110), 상부 고정판(120), 상부 체결홈(160), 상부 유동판(140), 하부 고정판(130) 및 하부 체결홈(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판(120)은 상부 체결홈(160)의 상단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체결홈(160)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유동판(140)이 용접결합된다.
상기 하부 고정판(130)은 하부 체결홈(170)의 하단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 체결홈(170)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유동판(150)이 용접결합된다.
상기 천연 고무(110)는 상기 상부 유동판(140)과 상기 하부 유동판(150)사이의 간격을 가지고 둘러쌓아 고정되되, 상기 상부 고정판(120)의 상부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하부 고정판(130)의 하부면을 노출시킨다.
상기 체결부(200)는, 상부 샤프트(210), 상부 체결탭(230), 하부 샤프트(220) 및 하부 체결탭(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210)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체결탭(230)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상부 체결탭(230)은 상기 상부 체결홈(160)과 회전하여 체결된다.
상기 하부 샤프트(220)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체결탭(240)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하부 체결탭(240)은 상기 하부 체결홈(170)과 회전하여 체결된다.
상기 탄성부(100)는, 상기 천연 고무(110)의 재질로서, 탄성력을 가져 착석시의 하중을 견디며, 사람의 무게가 착석했을시, 인장력을 가지고 일정압력을 받아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변형되고, 다시 복원된다.
상기 천연 고무(110)는 상기 상부 유동판(140)과 상기 하부 유동판(150) 사이가 간격을 가지고 둘러쌓아 고정되되, 상기 상부 유동판은 상기 하부 유동판에 3 ~ 4cm의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 유동판(140)과 상기 하부 유동판(150)의 주위는 천연 고무(110)가 둘러쌓이며, 상기 상부 고정판(120)은 상부면이 노출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130)의 하부면이 노출되며, 상부 샤프트(210)의 모멘텀힘을 천연 고무(110)가 받아 휘어지면, 상기 상부 유동판(140)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천연 고무(110)의 단면은 윗쪽변이 아랫쪽 변보다 긴 평행사변형의 형상이다.
상기 상부 고정판(120)은, 스테인레스의 재질로서, 상기 상부 체결홈(160)의 상단에 용접결합되고, 상부면이 노출되되, 천연 고무(110)가 외부를 둘러싼 형상을 하여, 안장받침에 무게가 가해질 시 상기 천연 고무(110)의 인장력을 받아 전후좌우로 움직인다.
상기 하부 고정판(130)은, 스테인레스의 재질로서, 상기 하부 체결홈(170)의 하단에 용접결합되고, 하부면이 노출되되, 천연 고무(110)가 외부를 둘러 싼 형상을 하며, 하부 샤프트(22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부 유동판(140) 및 하부 유동판(150)은, 3~4cm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210)의 모멘텀힘을 천연 고무(110)가 받아 휘어지면, 상기 상부 유동판(140)이 전후좌후로 움직이고, 상기 하부 유동판(150)은 고정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2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상부 체결탭(230)이 용접결합되어, 안장받침대와 상기 상부 고정판(120)사이에 회전하여 체결된다.
상기 하부 샤프트(2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하부 체결탭(240)이 용접결합되어, 지지대와 상기 상부 고정판(120)사이에 회전하여 체결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해결 수단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착석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몸무게 및 환자의 형태에 따라, 고무틸트의 크기, 장치위치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환자 재활치료의자용에 적용되는 본 고안은, 신장률, 인열강도 및 탄성력이 좋은 천연고무를 사용한 복원력이 높은 천연 고무 틸트재의 사용으로 완벽한 요추지지를 통해 등 아래의 스트레스를 감소를 돕고, 요추와 척추 친골이 균형있게 정렬시키고 몸의 잘못된 자세를 발런스 있게 잡아주는 역활을 한다.
또한, 고정된 척추의 움직임을 유발하여, 재활치료에 효과를 높이고 기존의 손잡이를 제거하여, 갑작스런 높이변화를 없애고, 환자의 허리에 큰 충격을 주는 2차사고의 위험을 막으며,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없는 고무틸트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를 도시한 결합관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와 체결부를 도시한 결합관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와 체결부를 도시한 결합관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의 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좌우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상하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와 체결부를 도시한 결합관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와 체결부를 도시한 결합관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의 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좌우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상하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를 도시한 결합관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와 체결부를 도시한 결합관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와 체결부를 도시한 결합관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탄성부의 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좌우 움직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의 상하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뿐이다
본원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 틸트는.
재활치료용 의자의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탄성부(100) 및 체결부(2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100)는, 천연 고무(110), 상부 고정판(120), 상부 체결홈(160), 상부 유동판(140), 하부 고정판(130) 및 하부 체결홈(170)으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판(120)은 상부 체결홈(160)의 상단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체결홈(160)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유동판(140)이 용접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고정판(130)은 하부 체결홈(170)의 하단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 체결홈(170)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유동판(150)이 용접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천연 고무(110)는 상기 상부 유동판(140)과 상기 하부 유동판(150) 사이가 간격을 가지고 둘러쌓아 고정되되, 상기 상부 유동판은 상기 하부 유동판에 3 ~ 4cm의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 유동판(140)과 상기 하부 유동판(150)의 주위는 천연 고무(110)가 둘러쌓이며, 상기 상부 고정판(120)은 상부면이 노출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130)의 하부면이 노출되며, 상부 샤프트(210)의 모멘텀힘을 천연 고무(110)가 받아 휘어지면, 상기 상부 유동판(140)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천연 고무(110)의 단면은 윗쪽변이 아랫쪽 변보다 긴 평행사변형의 형상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200)는, 상부 샤프트(210), 상부 체결탭(230), 하부 샤프트(220) 및 하부 체결탭(240)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샤프트(210)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체결탭(230)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상부 체결탭(230)은 상기 상부 체결홈(160)과 회전하여 체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샤프트(220)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체결탭(240)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하부 체결탭(240)은 상기 하부 체결홈(170)과 회전하여 체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100)는, 상기 천연 고무(110)의 재질로서, 탄성력을 가져 착석시의 하중을 견디며, 사람의 무게가 착석했을시, 인장력을 가지고 일정압력을 받아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변형되고, 다시 복원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천연 고무(110)는, 고탄성체의 천연고무 재질로서, 외부의 무게에 따른 psi60 ~ 90의 압력을 받았을시 전후좌우로 최대 30°휘어지는 인장강도를 지니며, 상기 천연 고무(110)은 상황에 따라, 우레탄 고무로 대체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판(120)은, 스테인레스의 재질로서, 상기 상부 체결홈(160)의 상단에 용접결합되고, 상부면이 노출되되, 천연 고무(110)가 외부를 둘러싼 형상을 하여, 안장받침에 무게가 가해질 시 상기 천연 고무(110)의 인장력을 받아 전후좌우로 움직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고정판(130)은, 스테인레스의 재질로서, 상기 하부 체결홈(170)의 하단에 용접결합되고, 하부면이 노출되되, 천연 고무(110)가 외부를 둘러 싼 형상을 하며, 하부 샤프트(22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100)의 하부는 고정되고, 상부의 천연 고무(110) 및 상부 유동판(140)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회전력 및 복원력을 안장받침에 전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유동판(140) 및 하부 유동판(150)은, 3~4cm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210)의 모멘텀힘을 천연 고무(110)가 받아 휘어지면, 상기 상부 유동판(140)이 전후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하부 유동판(150)은 하부 샤프트(22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샤프트(2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상부 체결탭(230)이 용접결합되어, 안장받침대와 상기 상부 고정판(120)사이에 회전하여 체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샤프트(2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하부 체결탭(240)이 용접결합되어, 지지대와 상기 상부 고정판(120)사이에 회전하여 체결된다.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에 따른 본고안의 효과는, 신장률, 인열강도 및 탄성력이 천연고무를 사용한 복원력이 높은 천연고무 틸트로 완벽한 요추지지를 통해 등 아래의 스트레스를 감소를 돕고, 요추와 척추 친골이 균형있게 정렬시키고 몸의 잘못된 자세를 벨런스 있게 잡아주는 역활을 한다.
또한, 고정된 척추의 움직임을 유발하여, 재활치료에 효과를 높이고 기존의 손잡이를 제거하여, 갑작스런 높이변화를 없애고, 환자의 허리에 큰 충격을 주는 2차사고의 위험을 막으며,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없는 고무틸트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서술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탄성부 170 : 하부 체결홈
110 : 천연 고무 200 : 체결부
120 : 상부 고정판 210 : 상부 샤프트
130 : 하부 고정판 220 : 하부 샤프트
140 : 상부 유동판 230 : 상부 체결탭
150 : 하부 유동판 240 : 하부 체결탭
160 : 상부 체결홈
110 : 천연 고무 200 : 체결부
120 : 상부 고정판 210 : 상부 샤프트
130 : 하부 고정판 220 : 하부 샤프트
140 : 상부 유동판 230 : 상부 체결탭
150 : 하부 유동판 240 : 하부 체결탭
160 : 상부 체결홈
Claims (8)
- 재활치료용 의자의 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장치는,
탄성부 및 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부 고정판, 상부 체결홈, 상부 유동판, 하부 고정판, 하부 체결홈, 하부 유동판 및 천연 고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부 체결홈의 상단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체결홈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유동판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하부 고정판은 하부 체결홈의 하단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 체결홈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유동판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천연 고무는 상기 상부 유동판과 상기 하부 유동판 사이가 간격을 가지고 둘러쌓아 고정되되, 상기 상부 유동판은 상기 하부 유동판에 3 ~ 4cm의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 유동판과 상기 하부 유동판의 주위는 천연 고무가 둘러쌓이며,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부면이 노출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부면이 노출되며, 상부 샤프트의 모멘텀힘을 고무가 받아 휘어지면, 상기 상부 유동판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상기 체결부는, 상부 샤프트, 상부 체결탭, 하부 샤프트 및 하부 체결탭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체결탭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상부 체결탭은 상기 상부 체결홈과 회전하여 체결되며,
상기 하부 샤프트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체결탭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하부 체결탭은 상기 하부 체결홈과 회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천연 고무의 재질로서, 탄성력을 가져 착석시의 하중을 견디며, 사람의 무게가 착석했을시, 인장력을 가지고 일정압력을 받아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변형되고, 다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재활치료용 완충 고무틸트.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는, 고탄성체의 천연고무 재질로서, 외부의 무게에 따른 60psi ~ 90psi의 압력을 받았을시 전후좌우로 최대 30°휘어지는 인장강도를 지니는것을 환자 재활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은, 스테인레스의 재질로서, 상기 상부 체결홈의 상단에 용접결합되고, 상부면이 노출되되, 천연 고무가 외부를 둘러싼 형상을 하여, 안장받침에 무게가 가해질 시 상기 천연 고무의 인장력을 받아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재활치료용 완충 고무틸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은, 스테인레스의 재질로서, 상기 하부 체결홈의 하단에 용접결합되고, 하부면이 노출되되, 천연 고무가 외부를 둘러 싼 형상을 하며, 하부샤프트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재활치료용 완충 고무틸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상부 체결탭이 용접결합되어, 안장받침대와 상기 상부 고정판사이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재활 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샤프트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하부 체결탭이 용접결합되어, 지지대와 상기 상부 고정판사이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재활 치료의자용 완충 고무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679U KR200480729Y1 (ko) | 2016-03-29 | 2016-03-29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679U KR200480729Y1 (ko) | 2016-03-29 | 2016-03-29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0729Y1 true KR200480729Y1 (ko) | 2016-06-29 |
Family
ID=5634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679U KR200480729Y1 (ko) | 2016-03-29 | 2016-03-29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0729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967B1 (ko) * | 2017-02-20 | 2018-08-13 |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체형 교정장치 |
KR102071359B1 (ko) | 2018-10-31 | 2020-01-30 | 김경훈 | 환자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
KR102547884B1 (ko) | 2022-12-07 | 2023-06-26 | 서호영 | 전동 재활 벤치 |
KR102624184B1 (ko) | 2023-07-11 | 2024-01-10 | 김용덕 | 체형 교정의자 |
KR20240077872A (ko) | 2022-11-25 | 2024-06-03 | 김용덕 | 체형 교정의자 |
KR102672840B1 (ko) | 2022-12-07 | 2024-06-04 | 서호영 | 전동 재활 벤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071A (zh) * | 1995-08-29 | 1997-03-05 | 成兴工业株式会社 | 高度可调折叠椅 |
US6019422A (en) * | 1998-06-10 | 2000-02-01 | Taormino; Joseph S. | Laterally pivoting bicycle saddle mount with shock absorber |
KR200241414Y1 (ko) | 2001-05-02 | 2001-10-12 | 열 이 | 의자 뒷다리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
US6685268B2 (en) * | 2000-11-17 | 2004-02-03 | Stephan Meyer | Seat arrangement for sitting furniture |
KR20140079742A (ko) | 2012-12-19 | 2014-06-27 | 스칸디나비안 비지니스 시팅 에이에스 | 의자용 틸트 장착부를 구비하는 장치 |
-
2016
- 2016-03-29 KR KR2020160001679U patent/KR20048072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071A (zh) * | 1995-08-29 | 1997-03-05 | 成兴工业株式会社 | 高度可调折叠椅 |
US6019422A (en) * | 1998-06-10 | 2000-02-01 | Taormino; Joseph S. | Laterally pivoting bicycle saddle mount with shock absorber |
US6685268B2 (en) * | 2000-11-17 | 2004-02-03 | Stephan Meyer | Seat arrangement for sitting furniture |
KR200241414Y1 (ko) | 2001-05-02 | 2001-10-12 | 열 이 | 의자 뒷다리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
KR20140079742A (ko) | 2012-12-19 | 2014-06-27 | 스칸디나비안 비지니스 시팅 에이에스 | 의자용 틸트 장착부를 구비하는 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967B1 (ko) * | 2017-02-20 | 2018-08-13 |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체형 교정장치 |
KR102071359B1 (ko) | 2018-10-31 | 2020-01-30 | 김경훈 | 환자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
KR20240077872A (ko) | 2022-11-25 | 2024-06-03 | 김용덕 | 체형 교정의자 |
KR102547884B1 (ko) | 2022-12-07 | 2023-06-26 | 서호영 | 전동 재활 벤치 |
KR102672840B1 (ko) | 2022-12-07 | 2024-06-04 | 서호영 | 전동 재활 벤치 |
KR102624184B1 (ko) | 2023-07-11 | 2024-01-10 | 김용덕 | 체형 교정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0729Y1 (ko)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
JP5894277B2 (ja) |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 |
KR20110117193A (ko) |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2011254878A (ja) | 姿勢矯正装置 | |
JP7375048B2 (ja) | 体重を利用して抱擁支持、減圧、固定、脊椎保護および脊椎矯正を達成するための多機能ヘルスケアシート装置 | |
TWI683656B (zh) | 腰椎支撐輔助裝置 | |
JPWO2006027822A1 (ja) | 着座機構及び椅子 | |
US20030130696A1 (en) |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pinal adjustment | |
KR101725227B1 (ko) |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 |
US11413181B2 (en) | Modular device for dorsal protection | |
KR101916136B1 (ko) |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 |
KR102135906B1 (ko) | 결합형 기능성 베개 | |
TW201717877A (zh) | 脊柱矯正輔助裝置 | |
KR101684211B1 (ko) |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 |
KR102183964B1 (ko) | 허리 보호 벨트 | |
KR102358047B1 (ko) | 척추 스트레칭용 의자 | |
KR20130127348A (ko) | 요추견인장치 | |
KR101647461B1 (ko) |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 |
KR200381377Y1 (ko) | 척추교정기 | |
EP3075370B1 (en) | Self-massaging device | |
US6691354B1 (en) | Inflatable body support | |
US20190387886A1 (en) | Physical Motion Device | |
KR101187635B1 (ko) | 골반 고정식 착석물 | |
KR102577401B1 (ko) |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 |
JP7448208B2 (ja) | 首部用サポート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