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184B1 - 체형 교정의자 - Google Patents
체형 교정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4184B1 KR102624184B1 KR1020230089687A KR20230089687A KR102624184B1 KR 102624184 B1 KR102624184 B1 KR 102624184B1 KR 1020230089687 A KR1020230089687 A KR 1020230089687A KR 20230089687 A KR20230089687 A KR 20230089687A KR 102624184 B1 KR102624184 B1 KR 102624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cushion
- link
- rotation
- adjus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3692 i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131 sacroiliac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188 articular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89 pubic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YZHUMGUJCQRKBT-UHFFFAOYSA-M sodium chlorate Chemical compound [Na+].[O-]Cl(=O)=O YZHUMGUJCQRKB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0296 Intervertebral disc protr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23 Lord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904 Musculoskeletal stif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39 ischium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23 proprioceptive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17 zygapophyseal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을 연결장치의 메인모터, 조절부, 링크부를 통해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원회전부에 의해 의자방석을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골반, 척추 등의 체형을 교정함으로써, 별도의 물리치료를 받으러 가지 않고 일상생활 중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언제든지 교정치료 및 교정운동을 받을 수 있어 실용적이고 편리한 교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와 링크부에 의해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메인모터에 의해 원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원활한 교정 또는 재활운동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의자등받이에 쿠션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장치는 쿠션 받침부에 의해 받침쿠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주기에 의자방석의 원회전에 의한 교정 또는 재활운동의 효율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을 연결장치의 메인모터, 조절부, 링크부를 통해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원회전부에 의해 의자방석을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골반, 척추 등의 체형을 교정함으로써, 별도의 물리치료를 받으러 가지 않고 일상생활 중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언제든지 교정치료 및 교정운동을 받을 수 있어 실용적이고 편리한 교정이 이루어지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직이나 운전업에 관련된 종사자들은 장시간 동안 고정된 자세로 의자에 앉아 근무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고정된 자세가 오래 지속됨으로써 근육이 경직되기도 하고, 또 잘못된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어 허리 근육이나 척추에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인체의 허리는, 골격구조가 골반과 요추가 서로 연결되고 골반의 하부에는 고관절이 연결되며, 골반과 요추는 허리근육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즉, 학생이나 사무직 근로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체의 하중이 척추 및 골반에 전달하게 되기 때문에 척추 및 골반 그리고 이들 주위의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피로감이나 통증이 수반된다.
그리고, 의자에 앉는 자세가 잘못되거나 의자의 설계가 잘못되어 바른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척추디스크병(요추간판 탈출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렇듯, 앉아있는 것이 허리 문제의 원인이라면 원인을 찾아 없애지 않으면 주사나 약물, 수술로도 아무 소용이 없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 이유를 들 수 있는데 첫째는 허리 근육이 굳어서 아직 안풀렸던지, 둘째는 허리 근육이 약해서이다. 이 두가지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올바른 움직임 운동과 강화훈련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누워서 허리나 복부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골반이나 척추를 교정 및 강화시킬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재활 운동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활 운동기구들은 신체기능의 기본적인 요건으로 요구되는 중력, 고유수용감각, 인지, 동적 안정성과 기능이라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볼 때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골반이나 척추가 곧지 못하거나 비교적 허리가 뭉쳐있거나 근력이 약한 사람이 스스로 재활 운동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480729호의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를 제공하였으나, 한국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480729호의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는 안장의 전·후·좌·우·상·하 유동(circumduction, 원회전 운동)이 자유롭지 못한 결정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여 척추, 허리 등의 운동을 위한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1) 완벽한 골반의 대칭 형태
아래의 [표 1]과 같이, 골반의 구성은 크게 좌골, 치골, 장골, 천골로 구성되며 각각해당부위는 관절의 형태로 연결되며 연결부위는 연골이 존재하게 된다.
[표 1] |
|
연결부위중 가장 큰 부위는 천장관절이 된다. 원인은 알수 없으나 long time sitting, walk pattern, slipping pattern, lifting things.이외의 다양한 이유로 천장관절의 손상이 발생하여 골반은 틀어지게 된다.
여러 변화 중 천장관절의 변화은 천골과 장골의 변화 형태에 따라서 그 분류를 할 수 있다.
천골을 기준으로 장골의 전방이동, 후방이동, 내회전, 외회전은 아래의 [표 2]와 같은 방법으로 구분된다.
골반의 내회전과 외회전은 아래의 [표 3]과 같이 그 분류의 기준을 치골결합과 선골의 후면 중앙으로 한다.
2) 아래의 [표 4]는 천골과 선골의 결합부위 중심이동위치에 따라서 현상을 4개로 분석한다.
ASEx=Anterior Superior External rotation( 장골의 전상방 외회전)
ASIn=Anterior Superior Internal rotation(장골의 전상방 내회전)
PIEx=Posterior Inferior External rotation(장골의 후하방 외회전)
PIIn=Posterior Inferior Internal rotation(장골의 후하방 내회전)
3) 골반의 변형을 크게 4가지 현상을 분류한 방법으로 골반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한쪽면이 두 개의 현상이 결합되어서 나타나는데 즉 장골의 전방이동이 나타나면 내회전과 외회전을 반드시 동반되게 되어있고, 변화가 나타난 쪽의 반대편은 반드시 반대의 형태가 나타난다.
즉, 왼쪽장골이 PIIn(후하방 내회전) 형태로 나타나면 오른쪽 장골은 반드시 ASEx(전방외회전)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조합의 형태는 4가지의 형태로 보면아래의 [표 5]와 같다. 이때, 원회전운동방식의 골반 적용이 유리하게 적용된다.
4) 골반의 틀어지는 현상이 생겼을 때 발생되는 현상
a. 벌어진 관절부위의 관절연골의 부종으로 인하여 주위의 근육과 인대의 길이와 tension의 변화로 인한 근육, 인대의 통증이 발생한다.
b. 대퇴골의 내외회전 발생을 통한 다리길이의 변화가 생긴다.
c. 허리관절의 커브가 발생해서 디스크의 변화가 생겨 디스크 장애가 발생한다.
5) 고속원회전방식을 통한 벌어진 관절을 닫게 하는 방식은 아래의 [표 6]에서처럼, 보라색 화살표가 있는 부위가 관절연골의 부종으로 관절이 벌어진 위치를 나타낸다.
6) 양쪽 천장골 관절에 가하는 방식으로 [표 7]과 같이 정역으로 실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을 연결장치의 메인모터, 조절부, 링크부를 통해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원회전부에 의해 의자방석을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골반, 척추 등의 체형을 교정함으로써, 별도의 물리치료를 받으러 가지 않고 일상생활 중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언제든지 교정치료 및 교정운동을 받을 수 있어 실용적이고 편리한 교정이 이루어지는 체형 교정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와 링크부에 의해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메인모터에 의해 원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원활한 교정 또는 재활운동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형 교정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의자등받이에 쿠션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장치는 쿠션 받침부에 의해 받침쿠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주기에 의자방석의 원회전에 의한 교정 또는 재활운동의 효율성이 뛰어난 체형 교정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체형 교정의자에 있어서,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의자를 지지해주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의자다리와;
상기 의자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을 받쳐주는 의자등받이와;
상기 의자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의 하측과 연결되고, 궤도의 높낮이를 통해 상기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 조절 및 기울어진 의자방석의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체형을 교정하는 연결장치와;
상기 의자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의 회전속도, 일정 방향 횟수 도달시 방향전환 후 횟수 반복, 시간 및 원회전의 각도조절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연결장치 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의 작동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값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4개의 지점을 활용하여 작동되는데, 상기 의자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본체의 상부로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어 원회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원회전의 좌,우 방향전환, 회전시간, 회전속도를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의자방석이 편하중됐을 때도 원회전이 유지되도록 윔기어 형태의 감속기가 설치되는 메인모터와;
상기 4개의 지점 중 A-A'지점으로 의자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메인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부와;
상기 4개의 지점 중 B-B'지점으로 조절부와 연결되어 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의자방석을 기울어지게 하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부와;
상기 4개의 지점 중 C-C'지점으로 링크부와 연결되어 의자방석의 하측과 연결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의 기울어짐을 D-D'지점의 구조체인 의자방석에 적용하는 동시에 링크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여 의자방석을 기울어진 상태로 원회전(circumduction)시키는 원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부는, 4개의 지점을 활용하여 궤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상기 의자본체 내에 설치되어 의자본체의 상부로 축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모터와;
상기 보조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보조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연결기어와;
상기 제 1연결기어와 기어 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제 1연결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2연결기어와;
상기 제 2연결기어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제 2연결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 조절대와;
상기 하부 조절대의 내주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 조절대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리프팅되는 상부 조절대와;
상기 하부 조절대의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메인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상부 조절대의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은 상부 조절대에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부 조절대의 상,하 리프팅에 맞춰 상,하로 리프팅되며, 상부에 상기 링크부가 연결되어 연결부에서 전달된 회전력과 상부 조절대에서 전달되는 상,하 리프팅을 링크부에 전달하는 링크 연결부와;
상기 상부 조절대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가장자리에는 지지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리니어부싱이 설치되어 하부 조절대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 조절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만 리프팅시키는 상부 조절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부는,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의 측면 중 상,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의 상,하 리프팅시 접촉되면서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의 최소와 최대를 넘지않도록 체크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와;
상기 하부 조절대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하부 조절대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체크링과 접촉되고, 상기 하부 조절대의 회전수에 따라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체크하는 리미트 스위치 센서와;
상기 링크 연결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링크 연결부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원회전수를 측정하는 포토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링크부는,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부에 힌지장치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힌지장치에 의해 힌지링크와 연결되어 양끝단부가 힌지 작동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측에 힌지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원회전부와 연결되는 힌지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크와 힌지링크는 링크 연결부의 상,하 리프팅에 의해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호 간에 경사진 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링크 연결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수직 중심축에서 편심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회전부는, 상기 힌지링크의 내측에 베어링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의자방석의 하측과 연결되어 힌지링크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의자방석을 기울어지게 하는 의자축과;
상기 의자축의 내측을 수평으로 설치되는 축핀과;
상기 축핀의 양끝단부가 유니트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축핀을 받쳐주고, 양측은 의자본체와 유니트 베어링 및 축핀과 수평방향으로 직각 교차 설치되는 서포트 베어링축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는 베어링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고정판과 축핀 및 서포트 베어링축에 의해 의자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회전(circumduc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축의 내부에는, 상기 의자축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 및 링크연결부의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의자축의 반력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의자방석 또는 링크부의 유격을 방지하고, 상기 조절부의 이탈시 링크와 베어링의 응력을 흡수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교정축과;
상기 교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교정축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교정축의 일측에 접촉하여 교정축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의자본체의 상측부에 조작이 수월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연결장치와 연결된 PCB 회로와 제어 프로그램으로 메인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회전 속도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운전정지시에는 의자방석이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고, 운전시에는 의자방석을 기울어서 원회전을 실시하며, 운전이 끝나면 자동으로 의자방석이 수평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등받이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주도록 쿠션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쿠션장치는, 상기 의자등받이와 사용자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받쳐주는 받침쿠션과;
상기 받침쿠션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의자등받이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쿠션의 위치를 조절해주는 쿠션 받침부와;
상기 쿠션 받침부를 교정의자와 연결시켜 쿠션 받침부를 지지해주는 쿠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형 교정의자는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을 연결장치의 메인모터, 조절부, 링크부를 통해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원회전부에 의해 의자방석을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골반, 척추 등의 체형을 교정함으로써, 별도의 물리치료를 받으러 가지 않고 일상생활 중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언제든지 교정치료 및 교정운동을 받을 수 있어 실용적이고 편리한 교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와 링크부에 의해 의자방석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메인모터에 의해 원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원활한 교정 또는 재활운동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자등받이에 쿠션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장치는 쿠션 받침부에 의해 받침쿠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주기에 의자방석의 원회전에 의한 교정 또는 재활운동의 효율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교정의자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방석이 연결된 연결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한 연결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원회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방석의 원회전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쿠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회전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방석이 연결된 연결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한 연결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원회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방석의 원회전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쿠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회전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ㅋ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교정의자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방석이 연결된 연결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한 연결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원회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방석의 원회전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쿠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회전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형 교정의자는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언제든 앉아있는 상태에서 척추교정, 골반교정, 척추스트레칭, 재활운동 등을 할 수 있는 교정의자로써, 의자본체(10)와; 상기 의자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의자를 지지해주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의자다리(20)와; 상기 의자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을 받쳐주는 의자등받이(40)와; 상기 의자본체(10)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30)의 하측과 연결되고, 상기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 조절 및 기울어진 의자방석(30)의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체형을 교정하는 연결장치(100)와; 상기 의자본체(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100)의 회전속도, 시간 및 각도조절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연결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100)의 작동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값을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센서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의자본체(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장치(100), 의자방석(30), 의자등받이(40), 의자팔걸이(50) 등을 지지해주는 본체로써, 상기 의자본체(10)의 상부에는 베이스판(11)이 형성되어 연결장치(100), 의자등받이(40), 의자팔걸이(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의자본체(10)는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내부에 연결장치(100)의 메인모터(110), 보조모터(12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모터(110), 보조모터(121)는 의자본체(10) 내에 구비된 상태로 베이스판(11)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의자팔걸이(50)는 의자본체(10) 또는 연결장치(100)의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전,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의자팔걸이(50)의 끝단부에는 사용자가 교정운동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5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51)는 의자팔걸이(50)의 끝단부에서 전,후방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손잡이부(51)에는 교정의자의 작동을 긴급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정지버튼이 더 설치되며, 상기 긴급정지버튼은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의자등받이(40)는 의자본체(10) 또는 연결장치(100)의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주고, 상기 의자등받이(4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은 수직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어 쿠션장치가 연결된다.
상기 쿠션장치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등받이(40)와 사용자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받쳐주는 받침쿠션(41)과; 상기 받침쿠션(41)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의자등받이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쿠션(41)의 위치를 조절해주는 쿠션 받침부(42)와; 상기 쿠션 받침부(42)를 교정의자와 연결시켜 쿠션 받침부(42)를 지지해주는 쿠션 지지부(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쿠션(41)는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를 부드럽게 받쳐주기 위해 스펀지 또는 메모리폼 등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쿠션(41)의 후면은 쿠션 받침부(42)가 단단하게 연결되기 위해 하드한 판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 받침부(42)는 실시예에 따라 받침쿠션(41)과 쿠션 지지부(43)에 양끝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받침쿠션(41)의 위치를 조절해주는데, 상기 쿠션 받침부(42)는 도 8의 (a)에서처럼,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받침쿠션(41)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쿠션 받침부(42)는 도 8의 (b)에서처럼, 쿠션 지지부(43)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을 따라 상,하 회동될 수 있어 받침쿠션(4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지지부(43)는 쿠션 받침부(42)를 교정의자와 연결시켜 쿠션 받침부(42)를 받쳐주는데, 상기 쿠션 지지부(43)는 실시예에 따라 일측은 쿠션 받침부(42)와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은 의자팔걸이(50)의 후방에 수평으로 연결되거나, 의자본체(10) 또는 연결장치(100)의 케이스 상부에 연결되어 쿠션 받침부(42)를 받쳐준다.
이렇듯, 상기 쿠션장치는 전만을 위해서 사용자의 허리 뒤를 받치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허리가 뒤로 구부러지는것을 방지하는 것인데 이것은 요천추각의 유지 및 후방경사를 방지하여 허리후관절(facet joint)과 허리관절, 요천추관절, 선골과 천골관절사이의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의자다리(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본체(10)의 하측 외주연에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의자다리(20)는 외측 하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의자본체(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해준다.
여기서, 상기 의자다리(20)의 끝단부에는 의자를 지지해주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 등과 같은 이동수단(21)이 더 형성되어 공간에 제약 없이 의자를 사용하여 교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자다리(20)에는 이동수단(21) 이외에도 이동수단(2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동수단(미도시)도 더 형성되어 교정의자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앉은 자세에서 골반, 척추를 원회전하는 기구물의 형태는 이동형, 정지형, 이동정지형, 정지이동형으로 정의할 수 있고, 이동형은 바퀴가 달린 것, 정지형은 다리만 부착하거나 자체를 지표면, 하부표면 위에 정지시킨 것, 이동정지형은 바퀴에 정지기능을 포함한 형태나 다리의 형태에 정지기능을 활용하는 것, 정지이동형은 지표면, 하부표면에 내장된 바퀴 또는 롤러 등에 의해서 정지 이동되는 형태이며, 여기에 기타 부속물이 부착이 되어 하나의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때, 부속가능한 장치들로는 원회전 기구장치와 하측에 연결되는 기구물 다리, 기구물 다리와 바퀴, 기구물와 직연결되는 바퀴, 다리받침 바닥면, 바닥면 내의 롤러장치 등을 일컬을 수 있다.
또한, 전하부에 다리 맛사지 기구로 공기압, 기구방식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전후측에 연결되는 등받침, 손받침, 목받침, 어깨받침, 등받이 또는 목받이의 높낮이 조절장치 등이 있는데 등받침의 형태에 다양한 형태의 안마, 맛사지, 견인, 감압을 목적으로 하여 척추부, 척추주변부의 자극 목적으로한 기구물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 방식은 이동형, 고정형, 자동, 수동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에 연결되는 손받침이 들어갈 수 있으며 이것 또한 전완, 상완부를 포함하여 안마, 맛사지, 견인 기능을 넣을 수 있다. 같은 여러 구조물의 부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본체(10)에 의자방석(30)을 연결하는 장치로써, 상기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 조절 및 기울어진 의자방석(30)의 원회전(circumduction)이 이루어지도록 메인모터(110)와, 조절부(120)와, 링크부(130)와, 원회전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모터(1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의자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의자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베이스판(11) 상부로 회전축(1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모터(110)는 회전축(111)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조절부(12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모터(110)에는 감속기(113)가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고, 그로 인해 의자방석(30)의 원회전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113)는 메인모터(110)와 회전축(111) 사이에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의자방석(30)에 앉을 때 편하중되도록 앉아도 윔기어 형태이기에 원회전을 유지시켜준다. 즉, 상기 감속기(113)의 윔기어는 수평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기에 편하중에도 원활한 원회전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조절부(12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처럼, 의자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과 연결되고, 상기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메인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보조모터(121)와, 제 1연결기어(122)와, 제 2연결기어(123)와, 하부 조절대(124)와, 상부 조절대(125)와, 연결부(126)와, 링크 연결부(12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모터(121)는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로서, 의자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의자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베이스판(11)의 상부로 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을 통해 회전력을 제 1연결기어(122)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기어(122)는 보조모터(121)의 축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보조모터(121)의 회전력을 제 2연결기어(123)에 전달하고, 상기 제 2연결기어(123)는 제 1연결기어(122)와 기어 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제 1연결기어(1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 2연결기어(123)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하부 조절대(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기어(123)의 중앙부에는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조절대(124)는 원형 링형태로 형성되어 제 2연결기어(123)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기어(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 조절대(125)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조절대(125)는 원형 링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내주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조절대(125)는 하부 조절대(124)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같이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 리프팅된다. 이때, 상기 하부 조절대(124)와 상부 조절대(125)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 연결부(126), 링크 연결부(127)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상부 조절대(125)는 상부 조절대(125)의 상부에는 하부 조절대(12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만 리프팅시키는 상부 조절대 커버(129)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129)의 양단에는 리니어부싱(128)을 설치하여 지지대(11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조절대(125)의 회전력은 차단하고 상하운동은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112)의 홈에 스냅링 스톱퍼를 끼워 링크 연결부(127)의 과도한 기울어짐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하로 리프팅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26)는 하부 조절대(124)의 내측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에 연결되어 회전축(111)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연결부(126)는 하부 조절대(124)의 내측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축(111)의 회전력은 하부 조절대(12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연결부(126)의 내측 중앙부에는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이 결합되어 회전축(111)에 의해 연결부(126)가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127)는 연결부(126)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126)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연결부(126)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조절대(125)의 내측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부 조절대(125)의 상,하 리프팅에 맞춰 상,하로 리프팅되지만 회전력은 베어링에 의해 상부 조절대(125)에 전달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링크 연결부(127)의 상부면에는 링크부(130)의 연결링크(131)와 힌지장치(133)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에는 링크 연결부(127)에 연결된 링크부(130)가 역방향 각도로 경사지지 않도록 받침돌기(127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127a)는 링크부(130)의 연결링크(131)를 받쳐주어 의자축(141)이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링크부(13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처럼, 조절부(120)와 연결되어 조절부(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의자방석(30)을 기울어지게 하고, 상기 조절부(120)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링크(131)와, 힌지링크(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131)는 링크 연결부(127)의 힌지돌기에 힌지장치(13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131)의 타측은 힌지장치(133)에 의해 힌지링크(132)와 연결되어 양끝단부가 힌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링크(132)는 연결링크(131)의 타측에 힌지장치(13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링크(132)의 상부에는 원회전부(140)의 의자축(141)이 연결된다.
이렇듯, 평상시에는 링크 연결부(127)와 연결링크(131)와 힌지링크(132)가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가 링크 연결부(127)가 상부로 리프팅되면 연결링크(131)의 일측을 상부로 밀어올려 연결링크(131)가 경사지게 되고, 동시에 힌지 연결된 힌지링크(132)는 연결링크(131)와 반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 연결부(127)의 상부로 리프팅되는 높이에 따라 연결링크(131)와 힌지링크(132)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 연결부(127)가 완전히 하부로 리프팅되면 다시 링크 연결부(127)와 연결링크(131)와 힌지링크(132)가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131)와 힌지링크(132)는 링크 연결부(127)의 상,하 리프팅에 의해 힌지장치(13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호 간에 경사진 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링크 연결부(127)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링크 연결부(127)의 수직 중심축에서 편심되게 회전된다.
상기 원회전부(14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에서처럼, 링크부(130)의 힌지링크(132)와 연결되어 의자방석(30)의 하측과 연결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130)의 기울어짐을 의자방석(30)에 적용하는 동시에 링크부(130)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여 의자방석(30)을 기울어진 궤도 상태로 궤도의 높낮이를 만드는 원회전(circumduction)시키도록 의자축(141)과, 축핀(142)과, 베어링고정판(143)과, 교정축(1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회전(圓廻轉)이란, circumduction, 휘돌림, 순환운동, 회향운동이라고도 하고, 일예로, 눈의 눈동자를 원을 그리며 돌리는 것과 유사한데, 의자방석 자체가 수평회전하는 것이 아닌 기울어짐이 회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즉, 도 7에서처럼, 의자방석(30)의 4면중 1면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면 1면 다음에 2면이 기울어지고, 2면 다음에 3면이 기울어지며, 3면 다음에 4면이 기울어지고, 4면 다음에 다시 1면이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한면이 기울어지면 다른 3개의 면은 기울어지는 방향에 맞춰 상측으로 올라가는 형태를 뜻한다. 즉 일측면의 기울어진 궤도를 4면중 1면씩 수행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원회전 운동에 대해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서처럼, A,B,C,D,E는 y축과 수직하는 x축, z축으로 수평한 의자방석(30) 상태이며, A',B',C',D',E'는 xyz의 교차점C=C'를 중심으로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A지점의 보조모터(121)를 구동시키면 제 1 연결기어(122)와 제 2 연결기어(123)가 회전하고, 하부 조절대(124)가 회전되면서 나사면을 따라 상부 조절대(125)가 A'지점까지 수직 상하로 이동되며, 링크 연결구(127)가 상하 이동하여 A→A' 위치로 약 6mm 이동하고, B→B', C=C', D→D' 위치로 기울기(약 13°) E→E'를 만든다.
이때, 기울어짐 상태에서 메인모터(110)를 구동시키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의자방석(30)은 xyz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원회전하게 되면서 골반의 원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A지점은 상하강지점으로 하부 조절대(124), 상부 조절대(125), 링크 연결부(127)에 해당되고, 상기 B지점은 변곡지점으로 링크 연결부(127)에 연결되는 링크부(130)에 해당되며, 상기 C지점은 교차지점이고, 상기 D지점은 구조체로 원회전부(140)와 연결되는 의자방석(30)에 해당된다.
즉, 다시 한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원회전 원리는 4개의 지점(A,B,C,D지점, A',B',C',D'지점)으로 이루어지고, A-A'지점의 상승을 통해서 B-B'지점의 굴곡을 만들어내고 이를 위해서 보조모터를 사용하여 캠 또는 나사결합구조를 달아서 지지상승대를 상하강을 시켜서 컨트롤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서 C-C'지점을 xyz 변형을 만들어서 원회전을 유도하는 방식인데 이때 원회전에 의한 회전모멘텀을 십자형태의 유니트 베어링(144)을 활용하여 컨트롤하며, 이후 D-D'지점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스프링(147)이 감소시키는 동시에 링크사이의 추력변형을 커버하게 된다. 이에 4개의 지점을 이용하는 방식이 되겠고 이는 원회전의 궤도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D'지점의 원회전시 발생되는 편심을 방지하기 위해 윔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 형태의 감속기(113)를 사용한다.
이렇듯, 4개의 지점이 수직 연결상태에서 A-A'지점을 상승시켜 B-B'지점의 각도 형성을 유도하여 D'지점의 원회전을 유도한 후, 다시 A-A'지점을 하락시켜서 수직상태로 복원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원회전부(140)에 의해 링크부(130)에서 전달된 수평회전력을 원회전으로 전환시켜 의자방석(30)을 원회전시켜 사용자의 골반, 척추를 교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의자축(141)은 힌지링크(132)의 내측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의자축(141)의 타측은 의자방석(30)의 하측과 연결되어 힌지링크(132)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의자방석(30)을 기울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의자축(141)의 몸통에는 축핀(142)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축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정축(146)은 의자축(14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교정축(146)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의자방석(30) 또는 링크부(130)의 유격을 방지한다. 즉 상기 스프링(147)이 탄성적으로 당겨주고 있기에 링크부(130) 및 링크 연결부(127)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링크 구조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의자방석(30)을 흔들림 없이 잡아준다. 또한, 상기 스프링(147)은 상부 조절대(125)와 하부 조절대(124)에 과도한 이동(조절범위 초과)으로 인한 링크부(130)와 베어링이 받는 응력을 감해줌으로써 부품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교정축(146)에 접촉하여 교정축(146)의 탄성력 즉, 스프링(147)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148)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핀(142)은 의자축(141)의 축핀 관통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축핀(142)의 양끝단부는 의자축(141)의 양측 외부로 돌출 형성된 상태로 베어링고정판(14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축핀(142)이 의자축(141)에 설치되어 베어링고정판(143)에 연결됨으로써, 의자축(141)이 수평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베어링고정판(143)에 의해 원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고정판(143)은 축핀(142)의 양끝단부가 유니트 베어링(144)에 의해 연결되어 축핀(142)을 받쳐주고, 상기 베어링고정판(143)의 양측은 의자본체(10)와 유니트 베어링(144)과 서포트 베어링축(145)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고정판(143)은 의자축(141)을 중심으로 의자축(141)의 외부에 사각형 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고정판(143)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사면에는 4개의 유니트 베어링(144)이 각각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4개의 유니트 베어링(144) 중 2개의 유니트 베어링(144)에는 서포트 베어링축(145)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의자본체(10)에 연결됨으로써 베어링고정판(143)을 지지해준다.
또한, 상기 서포트 베어링축(145)은 유니트 베어링(144)에 연결된 상태에서 의자본체에 고정되는데, 상기 의자본체(10)의 상부면에 별도로 한쌍의 서포트 플레이트판(12)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판(12)에 서포트 베어링축(145)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유니트 베어링(144)에 연결됨으로써, 베어링고정판(143)을 받쳐준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유니트 베어링(144) 중 서포트 베어링축(145)이 연결된 유니트 베어링(144) 이외인 2개의 유니트 베어링(144)에는 축핀(142)의 양끝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4개의 유니트 베어링(144)은 평면상 "+" 방향에 형성되어 서포트 베어링축(145)과 축핀(142)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유니트 베어링(144)에는 축핀(142)의 양끝단부가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축핀(142)도 서포트 베어링축(145)에 의해 받쳐주고, 상기 축핀(142)은 의자축(141)을 받쳐주는 것으로 사용자가 의자방석에 앉으면 사용자의 하중은 의자축(141)을 통해 축핀에 전달되고, 다시 베어링고정판(143)과 서포트 베어링축(145)에 전달되어 서포트 플레이트판(12)에 의해 받쳐주기에 의자축(141)과 연결된 링크부(130)와 조절부(120)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아 파손 등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7에서처럼, 상기 베어링고정판(143)과 축핀(142)은 의자축(141)의 기울어진 상태에 맞춰 기울어지지만 의자방석을 원회전(circumduction)시키기 위해 링크부(130)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축핀(142)은 양끝단부가 상,하로 시소처럼 구동되는데 반해, 베어링고정판(143)은 4면이 순차적으로 시소처럼 구동되어 의자방석(30)을 원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본체(1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100)의 회전속도, 일정 방향 횟수 도달시 방향전환 후 횟수 반복, 시간 및 원회전의 각도(궤도 높낮이)조절를 제어하는데, 상기 연결장치(100)와 연결된 PCB 회로와 제어 프로그램으로 메인모터(110)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회전 속도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모터(121)의 회전으로 의자방석(30)의 기울림 각도를 조절하도록 보조모터(121)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에는 다양한 버튼부가 형성되는데, 전원버튼, ON/OFF버튼, 시간조작버튼, 회전속도조작버튼, 단계별 각도조절버튼, 긴급정지버튼, 원회전 방향 전환조절 버튼 등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의 다양한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 또는 보호자, 의사 등의 보조인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디테일하게 조작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 내에는 외부 콘센트와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할 수 있는 전원부와, 충전배터리를 내장하여 외부 전원공급이 끊기거나 연결선 없이 무선으로도 제어부(200)를 동작할 수 있는 충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운전정지 상태에서는 의자방석(30)이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고, 운전시에는 의자방석(30)을 기울어서 원회전을 실시하고, 운전이 끝나면 자동으로 의자방석(30)이 수평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100)의 작동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값을 제어부(200)에 전달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와, 리미트 스위치 센서(320)와, 포토 센서(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와, 리미트 스위치 센서(320)와, 포토 센서(33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체크한 값(신호)을 제어부(20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0)에는 체크값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는 2개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129)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 부위 상,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129)의 상,하 리프팅시 돌기 부위가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에 접촉되면서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의 최소와 최대를 넘지않도록 체크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는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의 최소와 최대를 체크하는 것으로 최소 0도와 최대 13도(최대 각도는 설정에 따라 다름) 내에 위치하게 하여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가 최소 또는 최대를 넘어서면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는 제어부(200)에 신호를 보내서 의자방석(30)의 원회전 작동을 멈추게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 센서(320)는 하부 조절대(124)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하부 조절대(124)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체크링(124a)과 접촉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 센서(320)는 하부 조절대(124)가 180도 회전될 때마다 체크링(124a)과 접촉되어 체크함으로써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체크한다. 즉, 상기 하부 조절대(124)가 180도 회전될 때마다 1단계씩 변경되는 것으로 실시예로 0단계에서부터 6단계로 나눠져 있다.
그리고, 상기 포토 센서(330)는 링크 연결부(127)의 외측에 설치되어 링크 연결부(127)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원회전수를 측정하여 편방향의 일정 회전 횟수가 되면 반대 방향으로 동일 회전 횟수를 적용하므로써 인체에 좌방향, 우방향의 원회전수를 동일하게 전환 적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크 연결부(127)의 외측 일측에 체크판(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체크판은 포토 센서(330)의 홈을 지나치면서 체크되는 원리로 측정된다.
10 : 의자본체 11 : 베이스판
12 : 서포트 플레이트판
20 : 의자다리 21 : 이동수단
30 : 의자방석
40 : 의자등받이 41 : 받침쿠션
42 : 쿠션 지지부 43 : 쿠션 받침부
50 : 의자팔걸이 51 : 손잡이부
100 : 연결장치 110 : 메인모터
111 : 회전축 112 : 지지대
113 : 감속기
120 : 조절부 121 : 보조모터
122 : 제 1연결기어 123 : 제 2연결기어
124 : 하부 조절대 124a : 체크링
125 : 상부 조절대 126 : 연결부
127 : 링크 연결부 127a : 받침돌기
128 : 리니어부싱 129 : 상부 조절대 커버
130 : 링크부 131 : 연결링크
132 : 힌지링크 133 : 힌지장치
140 : 원회전부 141 : 의자축
142 : 축핀 143 : 베어링 고정판
144 : 유니트 베어링 145 : 서포트 베어링축
146 : 교정축 147 : 스프링
148 : 조절나사
200 : 제어부
300 : 센서부 310 : 마이크로 스위치센서
320 : 리미트 스위치 센서 330 : 포토 센서
12 : 서포트 플레이트판
20 : 의자다리 21 : 이동수단
30 : 의자방석
40 : 의자등받이 41 : 받침쿠션
42 : 쿠션 지지부 43 : 쿠션 받침부
50 : 의자팔걸이 51 : 손잡이부
100 : 연결장치 110 : 메인모터
111 : 회전축 112 : 지지대
113 : 감속기
120 : 조절부 121 : 보조모터
122 : 제 1연결기어 123 : 제 2연결기어
124 : 하부 조절대 124a : 체크링
125 : 상부 조절대 126 : 연결부
127 : 링크 연결부 127a : 받침돌기
128 : 리니어부싱 129 : 상부 조절대 커버
130 : 링크부 131 : 연결링크
132 : 힌지링크 133 : 힌지장치
140 : 원회전부 141 : 의자축
142 : 축핀 143 : 베어링 고정판
144 : 유니트 베어링 145 : 서포트 베어링축
146 : 교정축 147 : 스프링
148 : 조절나사
200 : 제어부
300 : 센서부 310 : 마이크로 스위치센서
320 : 리미트 스위치 센서 330 : 포토 센서
Claims (12)
- 체형 교정의자에 있어서,
의자본체(10)와;
상기 의자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을 받쳐주는 의자등받이(40)와;
상기 의자본체(10)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받쳐주는 의자방석(30)의 하측과 연결되고, 궤도의 높낮이를 통해 상기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 조절하며, 상기 기울어진 의자방석(30)의 원회전(circumduction) 시켜 사용자의 체형을 교정하는 연결장치(100)와;
상기 의자본체(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100)의 회전속도, 일정 방향 횟수 도달시 방향전환 후 횟수 반복, 시간 및 원회전의 각도조절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연결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연결장치(100)의 작동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값을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장치(100)는, 4개의 지점을 활용하여 작동되는데,
상기 의자본체(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본체(10)의 상부로 회전축(11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원회전의 좌,우 방향전환, 회전시간, 회전속도를 전달하는 메인모터(110)와;
상기 4개의 지점 중 A-A'지점으로 의자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과 연결되고, 상기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며, 상기 메인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부(120)와;
상기 4개의 지점 중 B-B'지점으로 조절부(120)와 연결되어 조절부(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의자방석(30)을 기울어지게 하고, 상기 조절부(1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부(130)와;
상기 4개의 지점 중 C-C'지점으로 링크부(130)와 연결되어 의자방석(30)의 하측과 연결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130)의 기울어짐을 D-D'지점의 구조체인 의자방석(30)에 적용하는 동시에 링크부(130)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여 의자방석(30)을 기울어진 상태(E')로 원회전(circumduction)시키는 원회전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20)는, 4개의 지점을 활용하여 궤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상기 의자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의자본체(10)의 상부로 축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모터(121)와;
상기 보조모터(121)의 축에 연결되어 보조모터(1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연결기어(122)와;
상기 제 1연결기어(122)와 기어 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제 1연결기어(1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2연결기어(123)와;
상기 제 2연결기어(123)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제 2연결기어(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 조절대(124)와;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내주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리프팅되는 상부 조절대(125)와;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메인모터(110)의 회전축(111)에 연결되어 회전축(1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126)와;
상기 연결부(126)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126)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상부 조절대(125)의 내주연에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은 상부 조절대(125)에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부 조절대(125)의 상,하 리프팅에 맞춰 상,하로 리프팅되며, 상부에 상기 링크부(130)가 연결되어 연결부(126)에서 전달된 회전력과 상부 조절대(125)에서 전달되는 상,하 리프팅을 링크부(130)에 전달하는 링크 연결부(127)와;
상기 상부 조절대(125)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가장자리에는 지지대(112)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리니어부싱(128)이 설치되어 하부 조절대(124)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 조절대(125)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만 리프팅시키는 상부 조절대 커버(129);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129)의 측면 중 상,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조절대 커버(129)의 상,하 리프팅시 접촉되면서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의 최소와 최대를 넘지않도록 체크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310)와;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하부 조절대(124)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체크링(124a)과 접촉되고, 상기 하부 조절대(124)의 회전수에 따라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체크하는 리미트 스위치 센서(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127)의 외측에 설치되어 링크 연결부(127)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원회전수를 측정하는 포토 센서(3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30)는,
상기 링크 연결부(127)의 상부에 힌지장치(13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힌지장치(133)에 의해 힌지링크(132)와 연결되어 양끝단부가 힌지 작동되는 연결링크(131)와;
상기 연결링크(131)의 타측에 힌지장치(133)에 의해 연결되어 원회전부(140)와 연결되는 힌지링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크(131)와 힌지링크(132)는 링크 연결부(127)의 상,하 리프팅에 의해 힌지장치(13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4개의 지점 중 B-B'지점의 경사진 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링크 연결부(127)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수직 중심축에서 편심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회전부(140)는,
상기 힌지링크(132)의 내측에 베어링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의자방석(30)의 하측과 연결되어 힌지링크(132)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의자방석(30)을 기울어지게 하는 의자축(141)과;
상기 의자축(141)의 내측을 수평으로 설치되는 축핀(142)과;
상기 축핀(142)의 양끝단부가 유니트 베어링(144)에 의해 연결되어 축핀(142)을 받쳐주고, 양측은 의자본체(10)와 유니트 베어링(144) 및 축핀(142)과 수평방향으로 직각 교차 설치되는 서포트 베어링축(145)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는 베어링고정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고정판(143)과 축핀(142) 및 서포트 베어링축(145)을 중심축으로 기준하여 의자축(141)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회전(circumduc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축(141)의 내부에는,
상기 의자축(141)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 및 링크연결부의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의자축(141)의 반력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의자방석(30) 또는 링크부(130)의 유격을 방지하고, 상기 조절부(120)의 이탈시 링크와 베어링의 응력을 흡수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교정축(146)과;
상기 교정축(146)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교정축(146)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147)과;
상기 교정축(146)의 일측에 접촉하여 교정축(14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148);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의자본체(10)의 상측부에 조작이 수월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연결장치(100)와 연결된 PCB 회로와 제어 프로그램으로 메인모터(110)의 정회전과 역회전, 회전 속도 조절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모터(121)의 회전을 제어하여 의자방석(30)의 기울어짐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교정의자.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운전정지시에는 의자방석(30)이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고, 운전시에는 의자방석(30)을 기울어서 원회전을 실시하며, 운전이 끝나면 자동으로 의자방석(30)이 수평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등받이(40)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 또는 허리를 받쳐주도록 쿠션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장치는,
상기 의자등받이(40)와 사용자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받쳐주는 받침쿠션(41)과;
상기 받침쿠션(41)의 후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의자등받이(4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의자등받이(40)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쿠션(41)의 위치를 조절해주는 쿠션 받침부(42)와;
상기 쿠션 받침부(42)를 교정의자와 연결시켜 쿠션 받침부(42)를 지지해주는 쿠션 지지부(4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9687A KR102624184B1 (ko) | 2023-07-11 | 2023-07-11 | 체형 교정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9687A KR102624184B1 (ko) | 2023-07-11 | 2023-07-11 | 체형 교정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184B1 true KR102624184B1 (ko) | 2024-01-10 |
Family
ID=8951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9687A KR102624184B1 (ko) | 2023-07-11 | 2023-07-11 | 체형 교정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418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66694A (ja) * | 1998-12-01 | 2000-06-20 | Hiroshi Udo | 自動座面傾動椅子 |
KR200312315Y1 (ko) * | 2003-02-10 | 2003-05-09 | 이두평 |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
KR100829220B1 (ko) * | 2007-05-09 | 2008-05-14 | 이훈 | 허리받이 겸용 머리받이가 설치된 의자 |
KR200480729Y1 (ko) | 2016-03-29 | 2016-06-29 | 김경훈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
2023
- 2023-07-11 KR KR1020230089687A patent/KR102624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66694A (ja) * | 1998-12-01 | 2000-06-20 | Hiroshi Udo | 自動座面傾動椅子 |
KR200312315Y1 (ko) * | 2003-02-10 | 2003-05-09 | 이두평 |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
KR100829220B1 (ko) * | 2007-05-09 | 2008-05-14 | 이훈 | 허리받이 겸용 머리받이가 설치된 의자 |
KR200480729Y1 (ko) | 2016-03-29 | 2016-06-29 | 김경훈 | 환자 재활치료용 의자의 완충 고무틸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5211844B2 (en) |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 |
JP3555949B2 (ja) | 能動型動的シート装置 | |
US20080079301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proprioception and core health of the human body | |
US20190133325A1 (en) | Method for using a chair providing uplifting force to the user | |
EP1471864B1 (en) | Passive motion apparatus providing a controlled range of motion | |
US8439442B2 (en) |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proprioception and core health of the human body | |
US9498067B2 (en) | Seat device | |
KR20140046443A (ko) | 좌석 | |
US7093900B1 (en) | Seat | |
WO1986006940A1 (en) | Ergonomic seating assembly | |
CA2953773A1 (en) |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 |
US8282171B1 (en) | Seat assembly | |
KR20160096253A (ko) |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 |
US7931339B1 (en) | Seat assembly | |
KR102473998B1 (ko) | 자세 교정 및 허리 견인 기능성 의자 | |
KR101556833B1 (ko) | 앉음용 가구 유닛 | |
Mulcahy et al. | Adaptive seating for motor handicap: problems, a solution, assessment and prescription | |
KR102624184B1 (ko) | 체형 교정의자 | |
CN112425917B (zh) | 一种面向脊椎功能障碍老人的坐姿调节与保持装置 | |
KR20200046600A (ko) | 무브 체어 | |
KR101647461B1 (ko) |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 |
KR101945833B1 (ko) |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 | |
KR20240077872A (ko) | 체형 교정의자 | |
CN200973524Y (zh) | 自由椅 | |
CN209966688U (zh) |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