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25Y1 -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25Y1
KR200480725Y1 KR2020140004235U KR20140004235U KR200480725Y1 KR 200480725 Y1 KR200480725 Y1 KR 200480725Y1 KR 2020140004235 U KR2020140004235 U KR 2020140004235U KR 20140004235 U KR20140004235 U KR 20140004235U KR 200480725 Y1 KR200480725 Y1 KR 200480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piece
arm
cut
reinforc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457U (ko
Inventor
첸-펭 후앙
Original Assignee
켄타이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타이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켄타이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40004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2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 B23D45/021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with the saw blade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23D47/04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feeding work into engagement with the saw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일종의 가공부품을 길고 짧게 절단할 수 있는 원형톱으로 하나의 제1 잡는 장치, 제2 잡는 장치, 하나의 제1 보강조각, 제2 보강조각, 하나의 재료운송장치 및 하나의 톱절단장치를 포함하며, 재료운송장치는 절단하려고 하는 재료를 고정하여 제1 잡는 장치로 밀어 보내고, 톱절단장치는 하나의 톱니판을 포함하고 있어 제1, 2 잡는 장치에 잡혀있는 절단하려는 재료를 가공부품으로 절단해 낸다. 짧은 가공부품으로 절단하려고 할 때 제1 보강조각을 제1 잡는 장치에 조립하고 제2 잡는 장치가 짧은 가공부품의 좌, 우 양측면을 잡아 고정되게 하고 제2 잡는 장치가 짧은 가공부품을 놓게 하여 짧은 가공부품이 제1 보강조각의 경사면 모양의 윗면을 따라 자연적으로 낙하하게 되며, 긴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2 보강조각을 제2 잡는 장치에 조립하고 제2 잡는 장치가 긴 가공부품의 좌, 우 및 상, 하 네 측면을 잡아 긴 가공부품이 중력으로 인해 경사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machined parts cutting machine of circular saw}
본 고안은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종의 긴 가공부품과 짧은(얇은) 가공부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재래용 원형톱의 구조는 본인이 초기에 신청한 타이완 공고 제M367040호 특허에서 제시한 바인데 도면 1을 참고하면 이는 주로 하나의 재료운송기(10), 하나의 재료를 잡는 기구(11)와 하나의 톱니절단기구(12)를 포함하며, 그중 재료를 잡는 기구(11)는 하나의 안에서 잡는 장치(13), 하나의 밖에서 잡는 장치(14)와 하나의 위에서 잡는 장치(15)를 포함한다. 재료 운송기구(10)는 절단하려는 재료(A)를 집어서 재료 잡는 기구(11)의 한 측으로 이동하여 절단하려는 재료(A)의 한 단을 잡는 기구(11) 가운데로 운송한다. 재료운송기구(10)가 절단하려는 재료(A)의 한단을 잡는 기구(11) 가운데로 운반할 때 안에서 잡는 장치(13), 밖에서 잡는 장치(14)와 위에서 잡는 장치(15)가 절단하려는 재료(A)의 끝 부분을 잡은 후 톱니 기구(12)가 전후 이동하여 톱니판(16)이 안에서 잡는 장치(13)와 밖에서 잡는 장치(14) 사이의 절단 틈으로 절단하려는 재료(A)에 대해 절단을 가하여 그 끝 부분를 하나의 가공부품(A1)으로 잘라내고, 가공부품(A1)은 밖에서 잡는 장치(14)에 의해 잡혀 진다. 따라서 가공부품(A1)를 절단한 후 밖에서 잡는 장치(14)는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여 가공부품(A1)이 톱니판(16)에서 멀어지게 하여 다시 가공부품(A1)을 놓게 되어 가공부품(A1)이 빠르게 회전하는 톱니판(16)에서 발생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빨려들어가지 않아 절단면의 완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재래의 원형톱기구는 밖에서 잡는 장치(14)로 가공부품(A1)을 놓은 후 가공부품(A1)이 자동으로 하방의 가공부품 수집조에 떨어지게 되며 이로써 보통 밖에서 잡는 장치(14)의 하측부분에 윗면이 경사모양을 드러내는 하나의 외부 탑재좌(17)가 설치되는데 이로써 절단 과정에서 절단하려고 하는 재료(A)를 지탱하게 되고 가공부품(A1)을 절단한 후 밖에서 잡는 장치(14)가 가공부품(A1)을 놓아주게 되고 가공부품(A1)이 윗면이 경사면을 드러내는 외부 탑재좌(17)를 통해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 탑재좌(17)의 윗면은 경사진 모양을 드러내어 가공부품(A1)이 비교적 짧을 때(얇을 때) 그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밖에서 잡는 장치(14)의 잡는 힘이 충분히 그것을 잡아 외부 탑재좌(17)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이 때문에 가공부품(A1)이 여전히 밖에서 잡는 장치(14)에 의해 바깥을 향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후 다시 놓여지게 되어 양호하고 평정한 가공면을 가지게 된다. 반대로 가공부품(A1)이 비교적 길 경우 톱니판(16)이 절단하려는 재료(A)를 절단하는 순간 가공부품(A1)이 외부 탑재좌(17)보다 길게 돌출되어 무게가 무거워지고 밖에서 잡는 장치(14)가 좌, 우측의 잡는 힘에만 의지하게 되는데 이로써는 가공부품(A1)을 잡기에는 부족하며, 따라서 가공부품(A1)이 금방 외부 탑재좌(17)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경사되어 나아가 가공부품(A1)의 내부 단이 톱니판(16)에 접촉하게 되거나 혹은 다시 한번 톱니판(16)의 절단을 받게 되어 절단면에 심각한 마찰흔적 혹은 평평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가공품질에 영향을 가하게 되며 심지어 절단하려다가 절단되지 않을 때 가공부품(A1)은 중력에 의해 경사지는 모양이 발생하고 나아가 가공 평면의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 재래용의 통모양 집는 구조는 짧은(얇은) 가공부품을 절단하는 데만 적용되어 긴 가공부품을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1잡는장치와 제2잡는장치, 제1보강조각과 제2보강조각 그리고 재료운송장치 및 톱절단장치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일종의 긴 가공부품과 짧은(얇은) 가공부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일종의 가공부품을 길고 짧게 절단할 수 있는 원형톱을 제공하는데 이는 하나의 제1 잡는 장치, 제2 잡는 장치, 하나의 제1 보강조각, 제2 보강조각, 하나의 재료운송장치 및 하나의 톱절단장치를 포함한다.
그중 제1 잡는 장치는 하나의 제1 잡는 자리, 하나의 제1 활동 잡는 조각 및 하나의 제1 윗 잡는 조각을 포함한다. 제1 잡는 자리의 한 측에는 하나의 제1 잡는 팔과 제1 잡는 팔의 상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탑재좌가 있고 제1 잡는 팔의 상측에는 절단하려는 재료를 놓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재료방치부와 끝부분에 위치한 하나의 제1고정 잡는 조각을 가지고 있다. 제1활동 잡는 조각은 제1 잡는 자리에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제1고정 잡는 조각이 절단하려는 재료의 좌, 우 측면을 잡는 것에 맞추어 준다. 제1 윗 잡는 조각은 제1탑재좌에서 상, 하로 이동하여 재료방치부가 절단하려는 재료의 상, 하 측면을 잡는데 맞추어 준다.
또한 제2 잡는 장치는 하나의 제2 잡는 자리, 하나의 제2 활동 잡는 조각과 하나의 제2 윗 잡는 조작을 포함한다. 제2 잡는 자리는 제1 잡는 자리의 바깥측에 위치하며 제1 잡는 자리에 수평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진다. 제1 잡는 자리의 한 측에는 평행으로 제1 잡는 팔, 제2 잡는 팔이 갖추어져 있고 제2 잡는 팔 상방의 제2탑재좌에 위치해 있으며 제2 잡는 팔의 끝부분에는 하나의 제2고정 잡는 조각이 구비되어 있다. 제2 활동 잡는 조각은 제2 잡는 자리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며 제2고정 잡는 조각이 절단하려는 재료의 좌, 우측면을 잡는데 맞추어 진다. 제2 윗 잡는 조각은 제2 탑재좌에서 상, 하 이동하며 절단하려는 재료의 윗측면을 누르는데 맞추어 진다.
또한 하나의 제1보강조각(40)은 제2 잡는 팔(36)의 윗면에 결합되고 재료방치부(26) 사이에는 하나의 절단틈이 유지되며, 제1보강조각(40)의 윗면은 바깥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제2보강조각(50)은 제2 잡는 팔의 윗면과 결합되며 재료방치부(26)와의 사이에 하나의 절단틈을 유지하고, 제2보강조각(50)의 윗면은 수평면 모양을 드러내어 제2 윗 잡는 조각(33)이 절단하려는 재료의 상, 하측면을 잡는데 맞추어진다.
또한 재료방치부는 제1 잡는 팔 장치의 한측에 설치되며 절단하려는 재료를 잡는데 제공되고 그 한 단을 제1 잡는 장치와 제2 잡는 장치가 있는 곳으로 밀어보낸다.
또한 톱절단장치는 하나의 톱니판을 포함하는데 톱니판은 제1,2 잡는 장치의 절단틈으로 이동하여 절단하려는 재료의 한 단을 절단하여 하나의 가공부품을 절단해 내며 가공부품은 제2 잡는 장치에 의해 잡혀진다. 그중 제1보강조각과 제2보강조각은 필요에 의해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2 잡는 장치에 조립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길고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 가능하는 원형톱은 짧은(얇은)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1보강조각을 제2잡는 팔에 설치하고 제1 윗 잡는 조각을 아래로 이동하지 않으면 되는데 이렇게 짧은(얇은) 가공부품을 절단할 때 제2 고정 잡는 조각과 제2 활동 잡는 조각은 충분한 힘을 가지게 되어 바깥을 향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시 놓게 되어 제1 보강조각의 경사모양의 윗면을 따라 자연히 하락하게 된다. 긴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때는 제2보강조각을 제2 잡는 팔에 조립하고 제2 윗 잡는 조각을 아래로 이동하면 되는데 이렇게 긴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2 고정 잡는 조각과 제2 활동 잡는 조각이 긴 가공부품의 좌, 우 측면을 잡게되고 제2 윗 잡는 조각과 제2보강조각의 수평면 모양의 윗면에 의해 긴 가공부품의 상, 하 측면이 잡혀지게 되어 긴 가공부품이 무게로 인해 경사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길고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잡는장치와 제2잡는장치, 제1보강조각과 제2보강조각 그리고 재료운송장치 및 톱절단장치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일종의 긴 가공부품과 짧은(얇은) 가공부품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재래용 원형톱의 구조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입체외관 개략도.
도 3 은 본 고안이 톱절단장치와 통제시스템을 포함하지 않은 입체 확대 개
략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1, 2 보강조각의 입체분해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1보강조각이 제2 잡는 팔에 조립된 입체 개략도.
도 6 은 본 고안이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할 때의 단면 개략도.
도 7 은 본 고안이 긴 가공부품을 절단할 때의 입체 개략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제2 보강조각이 제2 잡는 팔에 조립된 입체 개략도.
도 9 는 본 고안이 긴 가공부품을 절단할 때의 단면 개략도.
본 고안에 적용된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는 도 2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도면 2-9를 참고하면, 이는 본 고안에서 서술한 길고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해 내는 원형톱으로 이는 하나의 잡는 장치(20), 하나의 제2 잡는 장치(30), 하나의 제1보강조각(40), 제2보강조각(50), 하나의 재료운송장치(60) 및 하나의 톱절단장치(70), 하나의 통제시스템(80)을 포함한다.
그중 제1 잡는 장치(20)는 하나의 제1 잡는 자리(21), 하나의 제1 활동 잡는 조각(22) 및 하나의 제1 위 잡는 조각(23)을 포함한다. 제1 잡는 자리(21)의 한 측에는 하나의 제1 잡는 팔(24)과 제1 잡는 팔(24)의 상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탑재좌(25)가 있고 제1 잡는 팔(24)의 상측에는 절단하려는 재료(B)를 놓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재료방치부(26)와 끝부분에 위치한 하나의 제1고정 잡는 조각(27)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활동 잡는 조각(22)은 제1 잡는 자리(21)에서 가로방향 공기항아리(도면에는 미표시)를 구동하여 제1 잡는 자리(21)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제1 고정 잡는 조각(27)이 절단하려는 재료(B)의 좌, 우측면을 잡는 것을 맞추게 된다. 제1 윗 잡는 조각(23)은 제1탑재좌(25)에 설치된 하나의 직립 공기항아리(230)를 이용하여 제1 탑재좌(25)를 상, 하로 이동시키며 재료방치부(26)가 절단하려는 재료(B)의 상, 하 측면을 잡는데 맞추게 된다.
또한 제2 잡는 장치(30)는 하나의 제2 잡는 자리(31), 하나의 제2 활동 잡는 조각(32)과 하나의 제2 윗 잡는 조각(33), 하나의 측정 스위치(34) 및 하나의 보호 측정기(35)를 포함한다. 제2 잡는 자리(31)는 제1 잡는 자리(21)의 바깥측에 위치하며 하나의 서버모터(도면에는 비표시)를 이용하여 수평이동으로 제1 잡는 자리(21)에 접근하거나 멀어져 그 이동거리를 통제한다.
상기 제1 잡는 자리(21)의 한 측에는 평행으로 제1 잡는 팔(24), 제2 잡는 팔(36)이 설치되고, 제2 잡는 팔(36) 상방의 제2탑재좌(37)에 위치해 있으며 제2 잡는 팔(36)의 끝 부분에는 하나의 제2 고정 잡는 조각(38)이 구비되어 있다.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은 제2 잡는 자리(31)에 설치된 하나의 가로방향 공기항아리(320)를 이용하여 제2 잡는 자리(31)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며, 제2고정 잡는 조각(38)이 절단하려는 재료(B)의 좌, 우 측면을 잡는 데 맞추게 된다. 제2 윗 잡는 조각(33)은 제2 탑재좌(37)에 설치된 하나의 직립 공기항아리(330)를 이용하여 제2탑재좌(37)에서 상, 하 이동하며 절단하려는 재료(B)의 윗 측면을 누르는데 맞추게 된다.
상기 측정 스위치(34)는 제2 잡는 자리(31)에 설치되어 접촉되었을 때 하나의 신호를 내보낸다. 보호측정기(35)는 제2탑재좌(37)에 설치되어 제2 윗 잡는 조각(33)이 아래로 이동하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동시에 그 결과를 전송한다. 하나의 제1 보강조각(40)은 나사마개(41)로 제2 잡는 팔(36)의 윗면에 나사로 결합되며 제1보강조각(40)의 윗면은 아래로 향해 경사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제1보강조각(40)은 제1 잡는 팔(24)의 한 측면을 향해 수평으로 하나의 제1돌출부(42)가 설치되고 제1돌출부(42)와 제1 잡는 팔(24)의 재료방치부(26) 사이에는 하나의 절단틈이 형성된다. 제1 보강조각(40)의 한 측에는 하나의 제1돌출부(43)가 있고 제1보강조각(40)이 제2 잡는 팔(36)에서 결합할 때 제1돌출부(43)가 측정 스위치(34)를 건드리지 않는다. 제2보강조각(50)은 나사마개(51)를 이용해 제2 잡는 팔(36)의 윗면과 나사로 결합되며 제2보강조각(50)의 윗면은 수평모양을 이루고 있어 제2 윗 잡는 조각(33)과 맞추어 절단하려는 재료(B)의 상, 하 측면을 잡는다.
상기 제2 보강조각(50)은 제1 잡는 팔(24)의 한 측면을 향해 수평으로 하나의 제2돌출부(52)가 설치하는데 제2돌출부(52)와 제1 잡는 팔(24)의 재료방치부(26)사이에는 하나의 절단틈이 형성된다. 제2보강조각(50)의 한 측면에는 하나의 제2돌출부(53)가 있고 제2보강조각(50)은 제2 잡는 팔(36)에 조립될 때 제2돌출부(53)는 측정 스위치(34)를 건드리게 된다.
상기 재료방치부(26)는 제1 잡는 장치(20)의 한측에 설치되며 수평으로 이동하는 제3 잡는 장치(61)가 있어 절단하려는 재료(B)를 잡는데 제공되고 그 한 단을 제1 잡는 장치(20)와 제2 잡는 장치(30)가 있는 곳으로 재료를 밀어보낸다.
상기 톱절단장치(70)는 하나의 제1, 2 잡는 장치(20, 30)의 한 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톱니판(71)을 포함하는데 톱니판(71)은 제1,2 잡는 장치(20, 30)의 절단면틈으로 이동하여 절단하려는 재료(B)의 한 단을 절단하여 하나의 가공부품(B1)을 절단해 내며 가공부품(B1)은 제2 잡는 장치(30)에 의해 잡혀진다.
상기 통제 시스템(80)은 가공수치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제1 잡는 장치(20), 제2 잡는 장치(30), 재료방치부(26)와 톱절단장치(70)가 자동으로 맞추어져 절단가공을 진행하게 하고 통제시스템(80)은 측정 스위치(34) 및 보호 측정기(35)와 연접되어 측정 스위치(34)에서 보낸 신호와 보호 측정기(35)에서 보낸 측정결과를 접수하고 이에 의거해 가공수치가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합되지 않을 때는 원형톱이 작동을 멈추고 비상신호를 발생한다.
본 고안의 원형톱은 가공작업을 진행할 때 먼저 통제 시스템(80)에 절단하고자 하는 가공부품(B1)의 길이 등 가공수치를 입력하고 그런 후 통제 시스템(80)이 가공수치에 의거해 재료운송장치(60)를 통제해 절단하고자 하는 재료(B)의 전단을 적당한 길이로 제1 잡는 장치(20)와 제2 잡는 장치(30)에 넣어 제1 잡는 장치(20)와 제2 잡는 장치(30)가 잡은 후에 다시 톱절단장치(70)의 톱니판(71)을 제1, 2 잡는 장치(20, 30)의 사이의 절단 틈까지 이동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재료(B)의 전단에 대해 절단을 진행하여 제2 잡는 장치(30)에 의해 잡혀진 가공부품(B1)을 절단해 낸다. 이는 도면 6에서와 같다. 톱니판(71)이 가공부품(B1)을 절단한 후 제2 잡는 장치(30)는 가공부품(B1)을 바깥을 향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동한 후 놓는다. 이는 도면7과 같다. 그런 후 이 톱니판(71)이 절단틈에서 멀어진다. 이렇게 하여 절단 분리된 가공부품(B1)이 톱니판(71)의 빠른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공흡인력에 ?인되어 가공부품(B1)의 절단면에 톱니판(71)의 마찰로 형성되는 오목볼록 평평하지 못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가공부품(B1)이 이로써 매끄러운 절단면을 가지게 되어 상품의 양호함을 증가시키며 이로써 절단 가공 후의 가공부품(B1)에 대해 다시 매끄럽고 평평하게 만드는 공정을 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절단하려고 하는 재료(B)가 마지막까지 절단되었을 때 제2 잡는 장치(30)를 이용해 절단하려는 재료(B)의 전단을 잡고 그런 후 재료운송장치(60)의 제3 잡는 장치(61)가 절단하려는 재료(B)의 후단을 놓고 다시 제2 잡는 장치(30)를 이용해 절단하려는 재료(B)를 바깥을 향해 적당한 가공길이까지 이동한 후 다시 제1 잡는 장치(20)로 절단하려는 재료(B)를 잡고 그런 후 제2 잡는 장치(30)가 다시 절단하려는 재료(B)의 전단을 놓고 원래 위치까지 이동하고 다시 절단하려는 재료(B)를 잡는다. 그런 후 다시 상술한 방식으로 톱니판(71)을 이용해 절단 가공작업을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재료(B)는 가능한 한 가장 많은 가공부품(B1)을 절단해 내고 이로써 효과적으로 남은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절감한다.
특별한 것은 본 고안에서 제1보강조각(40)과 제2보강조각(50)은 필요에 의해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 2 잡는 장치(30)에 조립한다.
예를 들어, 짧은(얇은) 가공부품(B1)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1보강조각(40)을 제2 잡는 장치(30)의 제2 잡는 팔(36)에 설치하는데 이렇게 하면 제1보강조각(40)의 제1돌출부(43)가 측정 스위치(34)를 건드리지 않으며 통제시스템(80)은 측정스위치(34)가 움직이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현재 짧은(얇은) 가공부품(B1)을 절단한다고 판단한다.
이렇게 상술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때 통제 시스템(80)은 제2 잡는 장치(30)의 제2 윗 잡는 조각(33)을 작동하지 않게 통제하여 제2 윗 잡는 조각(33)이 가공부품(B1)을 누를 때 가공부품(B1)이 제1보강조각(40)의 경사면 모양의 윗면이 비스듬히 눌려져 가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심하지 않아 설정을 잘못하여 제2 윗 잡는 조각(33)이 잘못 작동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보호 측정기(35)를 이용해 제2 윗 잡는 조각(33)이 아래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데 도면 5, 6과 같이 제2 윗 잡는 조각(33)이 아래로 이동했다고 측정되면 곧바로 측정결과를 통제 시스템(80)에 전송하고 통제 시스템(80)은 입력된 가공수치, 측정스위치(34)의 신호와 보호측정기(35)의 측정결과가 부합되지 않은지 여부를 통제하고 부합되지 않을 때는 즉시 원형 톱이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이렇게 하여 하나의 보호기제가 형성된다. 상술한 가공부품(B1)의「짧은(얇은)」것이라는 근거에 의해 주로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이 가공부품(B1)을 잡아 이것이 중력으로 인해 아래로 경사되지 않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데, 예를 들어 가공부품(B1)의 길이가 100mm일 때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이 가공부품(B1)을 잡아 중력으로 인해 아래로 경사되지 않게 하는데 길이 100mm의 가공부품(B1)은「짧은(얇은)」조건에 부합된다는 말이다. 이렇게 톱니판(71)이 짧은(얇은) 가공부품(B1)을 절단하여 분리해 낼 때는 제2 잡는 장치(30)의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만 이용하여 그것을 잡아 바깥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에 놓으면 제1보강조각(40)의 경사진 면의 윗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낙하하며 나아가 자동으로 재료를 배치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이는 도면 7에서와 같다.
즉, 긴 가공부품(B1)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2보강조각(50)을 제2 잡는 장치(30)의 제2 잡는 팔(36)에 조립하고, 제2 보강조각(50)의 제2 돌출부(53)가 측정 스위치(34)를 건드리게 되는데 도면 8에서와 같이 통제 시스템(80)이 측정스위치(34)가 전송한 신호에 의거해 현재 긴 가공부품(B1)을 절단한다고 판단한다. 상술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때 통제 시스템(80)은 제2 잡는 장치(30)의 제2 윗 잡는 조각(33)을 통제하여 잡는 동작을 진행하며 제2 보강조각(50)에 맞추어 가공부품(B1)의 상, 하 측면을 잡게 되며 이로써 가공부품(B1)이 절단되어 나올 때 중력으로 인해 경사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도면 9에서와 같다. 상술한 가공부품(B1)이 「길다」는 근거는 주로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이 가공부품(B1)을 잡아서 중력으로 인해 경사지지 않게 할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가공부품(B1)의 길이가 150mm일 때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이 가공부품(B1)을 잡아서 그것이 중력으로 인해 경사지는 일이 발생하여 길이가 150mm인 가공부품(B1)은 「긴」조건에 부합된다고 하겠다. 이와같이 톱니판(71)이 가공부품(B1)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2 잡는 장치(30)의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으로 가공부품(B1)의 좌, 우 양측면을 잡고 다시 제2 윗 잡는 조각(33)과 제2보강조각(50)의 윗면을 이용해 가공부품(B1)의 상, 하 측면을 잡게 되면 가공부품(B1)이 절단되어 나올 때 경사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잡는 장치(30)는 그것을 잡아 바깥을 향해 일정 거리로 이동한 후 놓게 되는데 가공부품(B1)이 그 자체의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낙하되고 자동 재료 배치의 효과에도 이른다.
상술한 설명으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원형톱은 길고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종래기술]
A 절단하려는 재료
A1 가공부품
10 재료운송기구
11 재료 잡는 기구
12 톱절단 기구
13 안에서 잡는 장치
14 밖에서 잡는 장치
15 위에서 잡는 장치
16 톱니판
17 외부 탑재좌
[본 고안]
B 절단하려는 재료
B1 가공부품
20 제1 잡는 장치
21 제1 잡는 자리
22 제1 활동 잡는 조각
23 제1 윗 잡는 조각
230 직립 공기항아리
24 제1 잡는 팔
25 제1탑재좌
26 재료방치부
27 제1 고정 잡는 조각
30 제2 잡는 장치
31 제2 잡는 자리
32 제2 활동 잡는 조각
320 가로 방향 공기항아리
33 제2 윗 잡는 조각
330 직립 공기항아리
34 측정 스위치
35 보호 측정기
36 제2 잡는 팔
37 제2탑재좌
38 제2 고정 잡는 조각
40 제1보강조각
41 나사결합
42 제1돌출부
43 제1돌출부
50 제2보강조각
51 나사결합
52 제2돌출부
53 제2돌출부
60 재료운송장치
61 제3 잡는 장치
70 톱절단장치
71 톱니판
80 통제 시스템

Claims (9)

  1. 하나의 제1 잡는 장치(20)는, 하나의 제1 잡는 자리(21), 하나의 제1 활동 잡는 조각(22) 및 하나의 제1 윗 잡는 조각(23)을 포함하고, 제1 잡는 자리(21)의 한 측에는 하나의 제1 잡는 팔(24)과 제1 잡는 팔(24)의 상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탑재좌(25)가 있고 제1 잡는 팔(24)의 상측에는 절단하려는 재료를 놓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재료방치부(26)와 끝부분에 위치한 하나의 제1고정 잡는 조각(27)을 가지고 있고, 제1활동 잡는 조각(22)은 제1 고정 잡는 조각(27)과 맞추어 절단하려는 재료의 좌, 우 측면을 잡고, 제1 윗 잡는 조각(23)은 제1 잡는 자리(21)에서 상, 하 이동하여 재료방치부(26)와 맞추어 절단하려는 재료의 상, 하 측면을 잡도록 구성되고,
    하나의 제2 잡는 장치(30)는, 하나의 제2 잡는 자리(31), 하나의 제2 활동 잡는 조각(32) 및 하나의 제2 윗 잡는 조각(33)을 포함하며, 제2 잡는 자리(31)는 제1 잡는 자리(21)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1 잡는 자리(21)에 수평으로 접근되거나 멀어지며, 제1 잡는 자리(21)의 한 측에는 평행으로 제1 잡는 팔(24), 제2 잡는 팔(36)이 설치되고, 제2 잡는 팔(36) 상방의 제2 잡는 자리(31)에 위치하며 제2 잡는 팔(36)의 끝 부분에는 하나의 제2 고정 잡는 조각(38)이 설치되고,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은 제2 잡는 자리(31)에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제2 고정 잡는 조각(38)이 절단하려는 재료의 좌, 우 측면을 잡고, 제2 윗 잡는 조각(33)은 제2탑재좌(37)에서 상, 하로 이동하여 절단하려는 재료(B)의 상측면을 누르도록 구성되며,
    하나의 제1보강조각(40)은 제2 잡는 팔(36)의 윗면과 결합해 재료방치부(26)와의 사이에 하나의 절단틈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1보강조각(40)의 윗면은 아래로 경사되는 경사면 모양을 드러내도록 구성되고, 제2보강조각(50)의 윗면은 수평면 모양을 가지며 제2 윗 잡는 조각(33)과 결합해 절단하고자 하는 재료의 상, 하 측면에 맞추어지고,
    하나의 재료운송장치(60)는 제1 잡는 장치(20)의 한 측에 설치되고 절단하려는 재료를 잡는데 쓰이며 그 한 단을 제1 잡는 장치(20)와 제2 잡는 장치(30)로 밀어 보내고,
    하나의 톱절단장치(70)는 하나의 톱니판(71)을 포함하는데, 톱니판은 제1, 2 잡는 장치(20),(30) 사이의 절단틈으로 이동하며 절단하려는 재료(B)의 한 단을 제2 잡는 장치(30)에 의해 잡혀진 가공부품을 절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조각(40)과 제2보강조각(50)은 필요에 의해 그중의 하나를 제2 잡는 장치(30)에 조립하고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경우 제1보강조각(40)을 선택하여 제2 잡는 팔(36)에 조립하고 제2 윗 잡는 조각(33)을 위로 이동하게 하며, 짧은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은 충분한 잡는 힘을 가지고 있어 아래로 향해 일정한 거리를 이동시키고 다시 놓게 하면 제1보강조각(40)의 경사면 모양의 윗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낙하되며, 긴 가공부품을 절단하고자 할 때 제2보강조각(50)이 제2 잡는 팔(36)에 조립되고 제2 윗 잡는 조각(33)을 아래로 이동시키며, 긴 가공부품을 절단하려고 할 때 제2 고정 잡는 조각(38)과 제2활동 잡는 조각(32)에 의해 긴 가공부품의 좌, 우 측면을 잡고 제2 윗 잡는 조각(33)과 제2보강조각(50)의 수평면 모양의 윗면으로 긴 가공부품의 상, 하 측면을 잡아 긴 가공부품이 중력으로 인해 경사가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에는,
    하나의 통제시스템(80)을 포함하되, 가공수치를 입력하고, 제1 잡는 장치(20), 제2 잡는 장치(30), 재료운송장치(60) 및 톱절단 장치(70)와 결합해 가공을 진행하게 되며, 그중 제2 잡는 장치(30)는 하나의 측정 스위치(34)를 포함하는데, 측정스위치(34)는 제2 잡는 자리(31)에 설치되고, 제1보강조각(40)의 한 측에 하나의 제1돌출부(42)를 가지며, 제2보강조각(50)의 한 측에는 제2돌출부(52)가 있고 제1보강조각(40)은 제2 잡는 팔(36)에 설치될 때 제1돌출부(42)는 측정 스위치(34)를 건드리지 않으며, 제2보강조각(50)은 제2 잡는 팔(36)에 조립될 때 제2돌출부(52)는 측정 스위치(34)를 건드리게 되어 측정 스위치(34)가 접촉된 후 하나의 신호를 발생하여 통제 시스템(80)에 현재 긴 가공부품의 절단을 진행한다는 정보를 전송하고 통제 시스템(80)은 측정 스위치의 신호에 의거해 입력된 가공수치가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2 잡는 장치는 하나의 보호 측정기를 포함하는데 보호 측정기는 제2 탑재좌에 설치되며 제2 윗 잡는 조각이 아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통제 시스템에 전송하며 제1보강조각은 제2 잡는 팔에 조립되어 보호 측정기가 제2 윗 잡는 조각의 하향 이동을 측정할 때 통제 시스템이 원형톱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조각과 제2보강조각은 각각 다수의 나사로 결합되며 제2 잡는 팔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5. 청구항 2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제2 잡는 장치의 제2 잡는 자리는 하나의 서버모터를 이용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통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활동 잡는 조각(22)과 제2 활동 잡는 조각(32)은 각각 1개의 가로방향 공기항아리(320)를 이용해 그 위치이동을 진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윗 잡는 조각과 제2 윗 잡는 조각은 각각 직립 공기항아리를 이용해 위치이동을 진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8.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조각(40)에는 제1 잡는 팔(24)의 한 측면을 향해 수평으로 하나의 제1돌출부(42)가 설치되는데 제1돌출부(42)와 제1 잡는 팔(24)의 재료방치부(26) 사이에는 절단틈이 형성되어 톱니판이 통과하는데 쓰이며, 제1보강조각(40)에는 제1 잡는 팔(24)의 한 측면을 향해 수평으로 하나의 제2돌출부(52)가 형성되는데 제2돌출부(52)와 제1 잡는 팔(24)의 재료방치부 사이에는 절단틈이 형성되어 톱니판이 통과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재료운송장치는 하나의 수평으로 이동하는 제3 잡는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는 절단하려는 재료를 잡는데 쓰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KR2020140004235U 2014-06-03 2014-06-03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KR200480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35U KR200480725Y1 (ko) 2014-06-03 2014-06-03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35U KR200480725Y1 (ko) 2014-06-03 2014-06-03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7U KR20150004457U (ko) 2015-12-11
KR200480725Y1 true KR200480725Y1 (ko) 2016-06-30

Family

ID=5502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35U KR200480725Y1 (ko) 2014-06-03 2014-06-03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9641B (zh) * 2019-03-28 2024-02-13 浙江百金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短料圆锯设备
CN110125477A (zh) * 2019-05-29 2019-08-16 东莞市晋诚机械有限公司 一种圆锯机的切割装置
CN110142455A (zh) * 2019-05-29 2019-08-20 东莞市晋诚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率圆锯机
CN114101790A (zh) * 2021-12-17 2022-03-01 衡阳金化高压容器股份有限公司 车载cng瓶锯切下料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705A (ja) 2005-05-02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機械加工治具
KR101209826B1 (ko) 2012-05-03 2012-12-07 배정득 정밀부품 면삭가공을 위한 밀링머신용 지그
US20140015185A1 (en) 2012-07-11 2014-01-16 Startechno Co., Ltd. Work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705A (ja) 2005-05-02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機械加工治具
KR101209826B1 (ko) 2012-05-03 2012-12-07 배정득 정밀부품 면삭가공을 위한 밀링머신용 지그
US20140015185A1 (en) 2012-07-11 2014-01-16 Startechno Co., Ltd. Work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7U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725Y1 (ko) 원형톱의 가공부품 절단장치
US10576559B2 (en) Sawing machine for sawing metal workpieces
US9908192B2 (en) Circular saw machine for sawing workpieces of various lengths
JP7220035B2 (ja) 帯鋸盤
CN108772927A (zh) 一种自动化锯竹设备
US10166615B2 (en) Slip detector
US9863751B2 (en) Measuring machine for measuring workpieces
CN108748491B (zh) 一种锯竹设备
KR20200039582A (ko) 금속 시트의 취급을 위한 개선된 장치 및 그것의 작동 방법
JP2011108806A (ja) 加工装置
JP5971888B2 (ja) 測長装置および切断機を一体とした装置
EP3015237A1 (en) Wire monitoring system
CN209737845U (zh) 一种锯竹设备
CN109227765A (zh) 一种木块切割自动推料装置
KR200445311Y1 (ko) 원목 가공장치
EP3554783B1 (en) Method for operating a sawline and a sawline
KR101356061B1 (ko) 충격시험편용 가공편 자동 제조장치
CN216780108U (zh) 一种剪切机运输装置
CN219996104U (zh) 一种锯竹机的量测机构
KR101784778B1 (ko) 방사성 오염 금속배관 절개장치
JP3205014U (ja) 測長装置
KR20150109573A (ko) 고속 절단기
CN111283408B (zh) 一种工业制动器镶套件自动组装设备
JP7386282B2 (ja) 切断部材処理装置及び切断システム
KR101285639B1 (ko) 마이크로드릴 재연마장치의 마이크로드릴 자동 위치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