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11Y1 - 원목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원목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11Y1
KR200445311Y1 KR20090004341U KR20090004341U KR200445311Y1 KR 200445311 Y1 KR200445311 Y1 KR 200445311Y1 KR 20090004341 U KR20090004341 U KR 20090004341U KR 20090004341 U KR20090004341 U KR 20090004341U KR 200445311 Y1 KR200445311 Y1 KR 200445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utter
base
cu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태
Original Assignee
김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태 filed Critical 김주태
Priority to KR2009000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02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 B27B5/06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7/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specially designed for length sawing of trunks
    • B27B7/04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specially designed for length sawing of trunks by making use of a plurality of circular saws mounted on a single spindle;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mutual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9/00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 B27G19/02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for circular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열되고, 원목 공급을 위한 이송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터를 포함하는 커팅부;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공급되는 원목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수단; 상기 이송부 후방에 배열되어,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커터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목 가공장치를 도입하여 원목이나 목재를 평판형태 또는 평판형태의 원목을 각목형태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각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원목이나 목재의 절단 시 커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차단하고, 또 과부하로 인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사후관리를 위한 작업이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목 가공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베이스, 이송부, 커팅부, 커터, 클램핑수단, 가이드수단, 간격유지수단, 블레이드, 거리조절수단

Description

원목 가공장치{CUT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원목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열되고, 원목 공급을 위한 이송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터를 포함하는 커팅부;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공급되는 원목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수단; 상기 이송부 후방에 배열되어,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커터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목 가공장치를 도입하여
원목이나 목재를 평판형태 또는 평판형태의 원목을 각목형태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각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원목이나 목재의 절단 시 커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차단하고,
또 과부하로 인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사후관리를 위한 작업이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목 가공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원목 또는 목재 가공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커터에 원목이나 목재를 투입하여 평판형태의 가공목이나, 평판형태의 가공목을 절단하여 각목형태로 가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원목 또는 목재 가공장치로는 실용신안권자 정열택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 제20-0404132호(2005.12.12.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목재 가공기”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배출클램핑부는 절단 가공된 원목의 가장자리 부분이 이탈하여 절단부로 역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공목에서 양 사이드에 배열되는 가공목은 원목의 표피 부분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또 원목의 표피 부분은 굴곡이 형성되어 그 표면 고르기가 일정하지 않게 유지되는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 가공목인 상기 배출클램핑부의 배출가이드롤러를 통과하면서 굴곡진 표피 부분에서 가공목 간의 거리가 임의적으로 변동이 가능하여
가공목 간의 거리가 커터의 두께보다 작아져 절단된 원목 사이에 커터가 끼이거나 압축력을 받아 커터에 과부하가 걸려 파손 및 손상의 위험이 있으며
또는 가공목 간의 거리가 커터의 두께 보다 넓어지는 경우에는 절단된 원목(W)이 커터(34)로 진입하는 절단되지 않는 원목을 벌려 치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속 회전하는 커터가 과부하로 파손되어 그 파편이 튀는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줄 수 있는 위험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된 원목 가공장치를 도입하여 원목이나 목재를 평판형태 또는 평판형태의 원목을 각목형태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각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원목이나 목재의 절단 시 커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차단하고,
또 과부하로 인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사후관리를 위한 작업이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의 지지로드에는 축 방향을 따라 돌기 형상의 고정키가 형성되고, 지지로드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에는 고정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지지로드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경우 그 방향성이 특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격유지수단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에는 거리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블레이드 간 거리의 조절을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나 형태를 갖는 가공목 생산에 적용 가능하고, 또한 이미 조절된 블레이드 간 거리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작업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원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열되고, 원목 공급을 위한 이송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터를 포함하는 커팅부;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공급되는 원목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수단; 상기 이송부 전방에 배열되어,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커터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베이스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연결되는 지지로드와,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커터 전방에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간격유지수단에서 상기 지지로드에는 축 방향을 따라 고정키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고정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구비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간격유지수단에서 상기 지지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블레이드 간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조절된 블레이드 간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는 커터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된 원목 가공장치를 도입하여 원목이나 목재를 평판형태 또는 평판형태의 원목을 각목형태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각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원목이나 목재의 절단 시 커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차단하고, 또 과부하로 인한 커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사후관리를 위한 작업이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의 지지로드에는 축 방향을 따라 돌기 형상의 고정키가 형성되고, 지지로드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에는 고정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지지로드에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경우 그 방향성이 특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격유지수단의 조립성 및 작업성 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에는 거리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블레이드 간 거리의 조절을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나 형태를 갖는 가공목 생산에 적용 가능하고, 또한 이미 조절된 블레이드 간 거리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작업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팅부와 간격유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팅부와 간격유지수단에 의한 원목 가공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적용되는 방향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원목(W)이 이송부(20)를 따라 공급되는 이송 방향에 따라 원목(W)이 초기에 공급되는 쪽을 ‘후방’이라 하고, 원목(W)이 커팅부(30)를 지나 절단되어 외부를 배출되는 쪽을 ‘전방’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되고, 원목(W) 공급을 위한 이송부(20);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되는 구동부(32)와, 상기 구동부(32)와 연결되는 복수 커터(34)를 포함하는 커팅부(30); 상기 베이스(10)에 배열되어, 공급되는 원목(W)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수단(40); 상기 이송부(20) 전방에 배열되어, 상기 커터(34)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W)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50); 및 상기 커터(34)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W)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에서, 상기 베이스(10)는
본 고안에 따른 원목(W) 가공장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10)는 하우징(미도시)에 의하여 덮여져 있어 원목(W) 가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커터(34)의 손상이나 파손으로 고속 회전하는 커터(34)의 파편이 튕겨져 비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 방지하고,
또 원목(W)의 절단 시 발생하는 톱밥 등의 가공 부산물이 작업장 내에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장 내의 청결 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에는 가공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커팅부(30) 하부 에 흡입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커터(34)에 의한 원목(W)의 가공 시 그 톱밥 등의 가공 부산물을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미도시)에는 패널 형태의 제어반(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자동화된 원목(W) 가공장치의 운행 시 커터(34)의 회전수의 제어, 이송부(20)의 이송속도의 제어, 장치의 온/오프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에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되고, 커팅부(30)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배열되어 공급되는 원목(W)을 이송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부(20)는 도 1에서 커팅부(30) 좌측에 배열된 제1 이송부(20A)와, 커팅부(30)의 우측에 배열되는 제2 이송부(20B)로 나눠며,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부(20A)(20B)는 순환 회전하는 컨베이어(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이송부(20A)는 커팅부(30) 쪽으로 원목(W)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부(20B)는 커팅부(30)를 통하여 절단된 가공목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에서, 상기 커팅부(30)는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되는 구동부(32)와, 상기 구동부(32)에 연결되는 복수의 커터(3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팅부(30)의 구동부(32)는 베이스(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구동모터(32)가 구비되어 커터(34)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커터(34)는 상기 구동모터(32)에 연결된 구동축(32a)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이상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34)는 원반 형태로 그 가장자리에 날이 형성된 원형 톱으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나 날의 개수 등은 원목(W)의 사이즈나 가공목의 사이즈와 형태에 따라 결정되며,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축(32a)에서 상기 커터(34)를 쉽게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체결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에 배열되는 커터(34)와 하부에 배열되는 커터(34)는 각각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절단선상에 놓이며, 이 경우 상부와 하부 커터(34)는 상호 접촉하지 않고 원목(W)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34)간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아울러 다양한 직경을 갖는 커터(34)를 적용하기 위해선 상기 커터(34) 간의 상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은 상기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등록실용 제20-0404132호 “목재 가공기”에서 상방 및 하방 원형톱을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가공깊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미 상기 등록실용에 의한 공지된 종래의 것을 도입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에서, 상기 클램핑수단(40)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되고, 공급되는 원목(W)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클램핑수단(40)은 상기 커팅부(30)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지점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수단(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고정되는 작동실린더 로드(41a)와, 상기 작동실린더 로드(41a) 로드와 연결되는 링크부재(43)와, 상기 링크부재(43)와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샤프트(45)와, 상기 회동샤프트(45) 일단에는 상기 베이스(10)와 연결되는 힌지축(47)과, 그리고 상기 회동샤프트(45) 타단에는 공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클램핑롤러(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작동실린더 로드(41a)는 원목(W)의 크기나 사이즈에 대응하여 클램핑롤러(4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재(43)와 회동샤프트(45)와 힌지축(47)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원목(W) 표면의 굴곡이나 거칠기에 따라 스스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클램핑롤러(49)는 원목(W)의 이송 시 원목(W)을 상부에서 가압하고, 원목(W)의 이송방향을 따라 공회전함으로 원목(W)의 이송이 보다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에서, 상기 가이드수단(50)은
상기 베이스(10) 전방에 배열되고, 상기 커터(34)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W)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단 가공된 원목(W)의 가장자리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이탈된 가공목이 커팅부(30)로 역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가이드수단(50)은 일방향 회전만 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가이드롤러(52)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중력방향을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롤러(52) 가운데 일측의 가이드롤러(52)는 가이드실린더(미도시)에 연결되어 원목(W)의 규격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52)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가이드수단(50)은 가공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공목에서 양 사이드에 배열되는 가공목은 원목(W)의 표피 부분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또 원목(W)의 표피 부분은 굴곡이 형성되어 그 표면 고르기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 가공목인 상기 가이드수단(50)의 가이드롤러(52)를 통과하면서 굴곡진 표피 부분에서 가공목 간의 거리가 임의적으로 변동이 가능하여
가공목 간의 거리가 커터(34)의 두께보다 작아져 절단된 원목(W) 사이에 커터(34)가 끼이거나 압축력을 받아 커터(34)에 과부하가 걸려 파손 및 손상의 위험이 있으며
또는 가공목 간의 거리가 커터(34)의 두께 보다 넓어지는 경우에는 절단된 원목(W)이 커터(34)로 진입하는 절단되지 않는 원목(W)을 벌려 치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커터(34) 전방에 간격유 지수단(60)을 배열하여 커터(34)의 과부하나 치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핵심적 기술적 사상인 간격유지수단(6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에서, 상기 간격유지수단(60)은
상기 커터(34)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W)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수단(60)은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62)과, 상기 고정브라켓(62)과 연결되는 지지로드(64)와,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64)에 연결되고, 상기 커터(34) 전방에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62)은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볼트나 용접방식을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62)에는 결합공(62a)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64)는 환형의 봉 형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62)의 결합공(62a)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 상기 블레이드(66)에는 상기 지지로드(64)에 삽입을 위한 삽입공(66a)이 형성되어 지지로드(64)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66) 상부에는 상기 커터(34)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W)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66)의 두께는 상기 커터(3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며, 최대로는 커터(34)의 두께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블레이드(66)의 두께가 커터(34)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는 경우에는 절단된 원목(W) 사이를 벌려 가공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60)을 원목(W) 가공장치를 도입함으로써 원목(W)이나 목재를 평판형태 또는 평판형태의 원목(W)을 각목형태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각 원목(W)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원목(W)이나 목재의 절단 시
커터(34)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차단하고, 또 과부하로 인한 커터(34)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가공목의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사후관리를 위한 작업이나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간격유지수단(60)에서 상기 지지로드(64)에는 지지로드(64)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 형상의 고정키(64a)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66)에는 상기 고정키(64a)에 대응하는 키홈(64b)이 상기 블레이드(66)의 삽입공(66a) 내주면 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62)의 결합공(62a) 내주면에도 상기 지지로드(64)의 고정키(64a)에 대응하는 키홈(6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64)의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62)의 결합공(62a)에 지지로드(64)가 관통 삽입된 후 지지로드(64)의 각 결합부(미도시)에 너트(미도시)를 삽입하여 지지로드(64)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로드(64)의 고정키(64a)와 상기 블레이드(66)의 키홈(64b)에 의하여 블레이드(66)의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지지로드(64)에 블레이드(66)를 연결하는 경우 그 방향성이 특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격유지수단(60)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간격유지수단(60)의 블레이드(66)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조절된 블레이드(66) 간 거리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거리조절수단(68)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거리조절수단(68)은 상기 지지로드(64)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66) 사이에 배열되는 링체(68a)로 이루어지며(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거리조절수단(68)은 블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체(68a)에는 상기 지 지로드(64)와의 연결을 위하여 수용공(68b)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68b)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로드(64)의 고정키(64a)에 대응하는 홈 형상의 키홈(68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수단(68)의 링체(68a)는 다양한 폭 사이즈를 갖도록 제작하여 준비하여 둠으로서, 상기 커터(34)에 의하여 절된 가공되어 성형되는 가공목의 두께에 따라 블레이드(66) 간의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리조절수단(68)에 의하여 블레이드(66) 간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나 형태를 갖는 가공목 생산에 적용 가능하고, 또한 이미 조절된 블레이드(66) 간 거리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작업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의 변형례로
상기 간격유지수단(60)의 고정브라켓(62)이 베이스(10)에 고정되지 않고 커터(34)의 사이즈에 따라 간격유지수단(60)을 전후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상기 고정브라켓(62) 상부에 가이드블록(62c)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62)의 가이드블록(62c)이 가이드레일(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62c)은 LM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12) 하부에 구동실린더(69)를 연결되며, 상기 구동실린더 로드(69a)에 고정브라켓(62)이 결합되어, 구동실린더(69)의 구동에 의하여 간격유지수단(60)의 가이드블록(62c)가 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간격유지수단(60)의 고정브라켓(62)를 전후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수단(60)과 커터(34)와의 이격 거리를 제어반(미도시)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커터(34)와 블레이드(66)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가공목 생산을 위한 전체 작업 공정이 단속 없이 효과적으로 진행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원목 가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팅부와 간격유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팅부와 간격유지수단에 의한 원목 가공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수단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W : 원목
10 : 베이스 12 : 가이드블록
20 : 이송부 20A : 제1 이송부
20B : 제2 이송부 22 : 컨베이어
30 : 커팅부 32 : 구동모터
32a : 구동축 34 : 커터
40 : 클램핑수단 41 : 작동실린더
41a : 작동실린더 로드 43 : 링크부재
45 : 회동샤프트 47 : 힌지축
49 : 클램핑롤러
50 : 가이드수단 52 : 가이드롤러
60 : 간격유지수단 62 : 고정브라켓
62a : 결합공 62c : 가이드블록
64 : 지지로드 64a : 고정키
66 : 블레이드 66a : 삽입공
68 : 거리조절수단 68a : 링체
68b : 수용공 62b, 66b, 68c : 키홈
69 : 구동실린더 69a : 구동실린더 로드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열되고, 원목 공급을 위한 이송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터를 포함하는 커팅부;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공급되는 원목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수단;
    상기 이송부 전방에 배열되어,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된 원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커터 전방에 배열되고, 절단된 원목 간의 틈새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목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베이스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연결되는 지지로드와,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커터 전방에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에서
    상기 지지로드에는 축 방향을 따라 고정키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고정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에서
    상기 지지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블레이드 간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조절된 블레이드 간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장치.
KR20090004341U 2009-04-13 2009-04-13 원목 가공장치 KR200445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341U KR200445311Y1 (ko) 2009-04-13 2009-04-13 원목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341U KR200445311Y1 (ko) 2009-04-13 2009-04-13 원목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311Y1 true KR200445311Y1 (ko) 2009-07-20

Family

ID=4698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4341U KR200445311Y1 (ko) 2009-04-13 2009-04-13 원목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65B1 (ko) 2009-07-14 2012-01-18 명 옥 이 원목성형장치
KR101482734B1 (ko) * 2013-12-10 2015-01-14 화신산업 주식회사 폐침목 재생장치
KR102121412B1 (ko) * 2019-05-29 2020-06-11 이태규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CN112077942A (zh) * 2020-09-02 2020-12-15 衡东振好木制品有限公司 一种木材切割装置自动清理木屑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283U (ko) 1977-07-14 1979-02-10
KR200294475Y1 (ko) 2002-07-31 2002-11-14 남궁민우 각목 제작용 원목 절단장치
KR100846321B1 (ko) 2007-04-06 2008-07-15 김주태 피죽용 제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283U (ko) 1977-07-14 1979-02-10
KR200294475Y1 (ko) 2002-07-31 2002-11-14 남궁민우 각목 제작용 원목 절단장치
KR100846321B1 (ko) 2007-04-06 2008-07-15 김주태 피죽용 제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65B1 (ko) 2009-07-14 2012-01-18 명 옥 이 원목성형장치
KR101482734B1 (ko) * 2013-12-10 2015-01-14 화신산업 주식회사 폐침목 재생장치
KR102121412B1 (ko) * 2019-05-29 2020-06-11 이태규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CN112077942A (zh) * 2020-09-02 2020-12-15 衡东振好木制品有限公司 一种木材切割装置自动清理木屑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985B1 (ko) 파이프 절단과 동시 면취기
CN106976133B (zh) 门套数控锯切铣形机
KR200445311Y1 (ko) 원목 가공장치
EP1498368A1 (en) A board processing unit
US11772294B2 (en) Double arbor vertical shape saw
KR20170100701A (ko) 자동 톱 기계장치
CN109203085B (zh) 高速优选截断精刨生产线
CN104552470B (zh) 一种门套板复合锯切机
KR20170139834A (ko) 선반(旋盤)용 동환봉 연삭장치
WO2006040894A1 (ja) 切削装置
CN110653880A (zh) 一种刀具悬挂式木工锯切自动加工机
CN204367081U (zh) 一种门套板复合锯切机
FI127662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tukkien käsittelemiseksi
KR100504212B1 (ko) 합성수지판재의 절단면 자동 가공장치
CN211640235U (zh) 防崩边双轴多片锯
KR100352470B1 (ko) 건축용 원목을 가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245850A (zh) 一种吊杆生产系统及加工工艺
KR100761751B1 (ko) 스티로폼 평면 절삭장치
KR200373803Y1 (ko) 판재절단장치
CN218657949U (zh) 一种棒材切割用固定装置
CN206123827U (zh) 边皮料剔分圆锯机
CN219650111U (zh) 一种异形木材分段锯切处理装置
KR200274626Y1 (ko) 목공용 선반의 공작물 곡면가공용 가이드장치
KR20150031866A (ko) 금속판 절단장치
CN210704183U (zh) 沙发木板裁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