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62Y1 - 난방기 - Google Patents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62Y1
KR200480562Y1 KR2020150006253U KR20150006253U KR200480562Y1 KR 200480562 Y1 KR200480562 Y1 KR 200480562Y1 KR 2020150006253 U KR2020150006253 U KR 2020150006253U KR 20150006253 U KR20150006253 U KR 20150006253U KR 200480562 Y1 KR200480562 Y1 KR 200480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exhaust
present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교
Original Assignee
비룡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룡전자(주) filed Critical 비룡전자(주)
Priority to KR2020150006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12Air heaters with additional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radi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15081Reheating of flu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기 몸체의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고안 난방기에 있어서, 압출판재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와 상기 난방기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 상기 난방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난방버너, 상기 난방버너에서 방출된 연소가스의 열기에 의하여 주변을 가열하는 방열관 및 상기 방열관에서 방열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압출판재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로 구성함으로써, 난방기 몸체의 내구성과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난방기{Heater}
본 고안은 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기에 있어서, 압출판재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와 상기 난방기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 상기 난방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난방버너, 상기 난방버너에서 방출된 연소가스의 열기에 의하여 주변을 가열하는 방열관 및 상기 방열관에서 방열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구성하여서, 난방기 몸체의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열관에 발열을 하며 배기가스 중 미연소 가스를 히터선을 구비하여서 난방열량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미연소 가스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구 측에 전후로 관통 연결된 배기냉각송풍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냉각송풍관로의 후방 측에 냉각송풍기를 구비하여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감시켜 배기가스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구 측에 침수 필터부를 구비하여서 배기가스를 침수배기에 의한 분진이 제거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구 측 방열관에서 열기를 흡열 축열하였다가 일정시간 축열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을 구비하여서, 난방기 연료공급 주기를 최소화하고 난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기는 석유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주변의 공기를 직접 또는 복사 가열하여 주변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난방기는 로터리형 난방기와 같이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와 돈풍기와 같이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복사열에 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난방기 중 돈풍기와 같은 난방기는 박스형상의 난방기몸체와 상기 난방기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 상기 난방부의 하부 측에 구비된 난방버너, 상기 난방버너에서 연속된 배기가스 배출되면서 주변공기를 간접가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에 방열이 완료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난방기는 난방버너에서 연속되어 발생한 연소가스가 방열부에서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고 복사열을 방출하여 난방기 근처에 있는 사람이 온기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난방기는 난방기몸체가 판재를 접어 형성되어 있어 그 내구성이 약하여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고 석유의 저유용량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04324호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난방기의 난방기몸체가 판재를 접어 형성되어 있어 그 내구성이 약하여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고 석유의 저유용량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 난방기에 있어서, 압출판재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와 상기 난방기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 상기 난방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난방버너, 상기 난방버너에서 방출된 연소가스의 열기에 의하여 주변을 가열하는 방열관 및 상기 방열관에서 방열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관에 발열을 하며 배기가스 중 미연소 가스를 히터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 측에 전후로 관통 연결된 배기냉각송풍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냉각송풍관로의 후방 측에 냉각송풍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 측에 침수 필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 측 방열관에서 열기를 흡열 축열하였다가 일정시간 축열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압출판재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로 구성함으로써, 난방기 몸체의 내구성과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관에 발열을 하며 배기가스 중 미연소 가스를 히터선을 구비함으로써, 난방열량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미연소 가스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 측에 전후로 관통 연결된 배기냉각송풍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냉각송풍관로의 후방 측에 냉각송풍기를 구비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감시켜 배기가스로 인한 화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 측에 침수 필터부를 구비함으로써 배기가스를 침수배기에 의한 분진이 제거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 측 방열관에서 열기를 흡열 축열하였다가 일정시간 축열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난방기 연료공급 주기를 최소화하고 난방소음을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기몸체의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리벳 결속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방열관에 히터선을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배기냉각송풍관로의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침수필터부의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하이브리드난방수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난방기의 내구성과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 난방기에 있어서, 압출판재(20)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11)와 상기 난방기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12), 상기 난방부(12)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난방버너(13), 상기 난방버너(13)에서 방출된 연소가스의 열기에 의하여 주변을 가열하는 방열관(14) 및 상기 방열관(14)에서 방열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5)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출판재(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내면으로 개구된 리벳결속홀(21)을 형성하고, 상기 리벳결속홀(21)에는 리벳머리가 걸림결속되는 리벳결속턱(22)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리벳결속홀(21)에는 난방기몸체(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마감판을 결속시키는 아이리벳이 결속되어 그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관(14)에 발열을 하며 배기가스 중 미연소 가스를 히터선(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선(30)은 난방기몸체(11)에 구비되는 난방제어부(16)에 의하여 난방버너(13)의 점화 후 1분간 또는 난방버너(13)의 소화 후 1분간 동작되어 점화 또는 소화 후 발생되는 미연소가스를 연소배출시킬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히터선(3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난방온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난방버너(13)의 동작과정에 함께 동작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15) 측에 전후로 관통 연결된 배기냉각송풍관로(41)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냉각송풍관로(41)의 후방 측에 냉각송풍기(4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15) 측에 침수 필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침수 필터부는 물이담아지며 상부가 개구된 침수용기(51)와 상기 배기구(15)와 연결되어 침수용기(51)의 상부에서 개구부가 침수용기(51) 침수되는 배기필터관(52)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기필터관(52)의 개구부는 연소가스의 미세배출을 위하여 타공망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기구(15) 측 방열관(14)에서 열기를 흡열 축열하였다가 일정시간 축열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은 방열관(14)의 내부 또는 전면에 구비되는 열교환관부(61) 및 난방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열매체가 채워진 축열탱크(62) 및 난방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열매체순환펌프(63) 및 난방제어부(16)가 열매체의 온도에 따라 난방버너(13)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이브리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열매체온도센서(64)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적용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난방기에 있어서, 압출판재(20)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11)와 상기 난방기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12), 상기 난방부(12)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난방버너(13), 상기 난방버너(13)에서 방출된 연소가스의 열기에 의하여 주변을 가열하는 방열관(14) 및 상기 방열관(14)에서 방열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5)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난방기몸체(11)의 내구성과 외관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출판재(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내면으로 개구된 리벳결속홀(21)을 형성하고, 상기 리벳결속홀(21)에는 리벳머리가 걸림결속되는 리벳결속턱(22)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압출판재(2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판재의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방열관(14)에 발열을 하며 배기가스 중 미연소 가스를 히터선(3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난방버너(13)의 점화 또는 소화과정에 발생하는 미연소가스가 명확하게 연소제거되고 난방버너(13)의 부족한 난방열기를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배기구(15) 측에 전후로 관통 연결된 배기냉각송풍관로(41)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냉각송풍관로(41)의 후방 측에 냉각송풍기(42)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배기가스의 온도가 화상이 방지되는 안전온도로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배기구(15) 측에 침수 필터부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배기가스 중에 함유된 분진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배기구(15) 측 방열관(14)에서 열기를 흡열 축열하였다가 일정시간 축열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방열관(14)에서 열기를 축열한 후 일정시간 후 축열된 열매체에 의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여 난방효율을 높이고 연료사용이 최소화 되는 것이다.
11 : 난방기몸체 12 : 난방부
13 : 난방버너 14 : 방열관
15 : 배기구 16 : 난방제어부
20 : 압출판재
21 : 리벳결속홀 22 : 리벳결속턱
30 : 히터선
41 : 배기냉각송풍관로 42 : 냉각송풍기
51 : 침수용기 52 : 배기필터관
61 : 열교환관부 62 : 축열탱크
63 : 열매체순환펌프 64 : 매체온도센서

Claims (5)

  1. 난방기에 있어서;
    압출판재(20)를 곡면으로 직각절곡하여 형성한 난방기몸체(11)와 상기 난방기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난방부(12), 상기 난방부(12)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난방버너(13), 상기 난방버너(13)에서 방출된 연소가스의 열기에 의하여 주변을 가열하는 방열관(14) 및 상기 방열관(14)에서 방열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5)로 구성하고;
    상기 압출판재(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내면으로 개구된 리벳결속홀(21)을 형성하고, 상기 리벳결속홀(21)에는 리벳머리가 걸림결속되는 리벳결속턱(22)을 형성하며;
    방열관(14)에 발열을 하며 배기가스 중 미연소 가스를 히터선(30)을 구비하되,
    상기 히터선(30)은 난방기몸체(11)에 구비되는 난방제어부(16)에 의하여 난방버너(13)의 점화 후 1분간 또는 난방버너(13)의 소화 후 1분간 동작되어 점화 또는 소화 후 발생되는 미연소가스를 연소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히터선(3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난방온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난방버너(13)의 동작과정에 함께 동작되게 구성하며;
    배기구(15) 측에 전후로 관통 연결된 배기냉각송풍관로(41)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냉각송풍관로(41)의 후방 측에 냉각송풍기(4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구(15) 측에 침수 필터부를 구비하되,
    상기 침수 필터부는 물이담아지며 상부가 개구된 침수용기(51)와 상기 배기구(15)와 연결되어 침수용기(51)의 상부에서 개구부가 침수용기(51) 침수되는 배기필터관(52)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기필터관(52)의 개구부는 연소가스의 미세배출을 위하여 타공망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구(15) 측 방열관(14)에서 열기를 흡열 축열하였다가 일정시간 축열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하이브리드난방수단은 방열관(14)의 내부 또는 전면에 구비되는 열교환관부(61) 및 난방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열매체가 채워진 축열탱크(62) 및 난방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열매체순환펌프(63) 및 난방제어부(16)가 열매체의 온도에 따라 난방버너(13)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이브리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열매체온도센서(6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6253U 2015-09-18 2015-09-18 난방기 KR200480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53U KR200480562Y1 (ko) 2015-09-18 2015-09-18 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53U KR200480562Y1 (ko) 2015-09-18 2015-09-18 난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62Y1 true KR200480562Y1 (ko) 2016-06-10

Family

ID=5613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53U KR200480562Y1 (ko) 2015-09-18 2015-09-18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6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89B1 (ko) * 2013-08-12 2013-12-09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양면 원적외선 히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89B1 (ko) * 2013-08-12 2013-12-09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양면 원적외선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60611A (en) Fireplace air circulating heater
KR200480562Y1 (ko) 난방기
KR101588120B1 (ko) 보일러겸용 난로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130075870A (ko) 펠릿 원적외선 히터
KR20150095527A (ko) Ptc 히터와 열매체 유를 이용한 팬 코일 난방 장치
KR10143112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790633B1 (ko) 원적외선 방사 라디에이터
KR101723400B1 (ko) 폐열 재활용 구조를 갖는 보일러 장치
KR102239860B1 (ko) 가스통 화목 난로
WO2020241345A1 (ja) 水素トーチ
US10823424B2 (en) Wood burning stove assembly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JPS6337609Y2 (ko)
JP4770338B2 (ja) 調理空間を備えた温風暖房機
JP2023084745A (ja) 可搬ストーブ装置
JP2017058069A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TWM548248U (zh) 節能低噪音瓦斯蒸爐
JP2023084744A (ja) 可搬ストーブ装置
JPS6315684Y2 (ko)
KR101508065B1 (ko) 난방 효율이 높은 우드칩 난로
KR101713217B1 (ko) 연탄보일러
KR100775890B1 (ko) 수냉식 석쇠
KR200295680Y1 (ko) 가스스토브 라디에이터
RU140338U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